KR101864084B1 -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84B1
KR101864084B1 KR1020170120264A KR20170120264A KR101864084B1 KR 101864084 B1 KR101864084 B1 KR 101864084B1 KR 1020170120264 A KR1020170120264 A KR 1020170120264A KR 20170120264 A KR20170120264 A KR 20170120264A KR 101864084 B1 KR101864084 B1 KR 10186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ns
frame
front s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우
Original Assignee
정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우 filed Critical 정관우
Priority to KR102017012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84B1/ko
Priority to PCT/KR2018/009902 priority patent/WO20190595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구조를 통해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높임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에 따른 적합한 부품 채택을 통해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사용자의 콧등과 눈을 감싸도록 잠수경 형태로 형성된 제1 본체와, 렌즈가 끼워지고 상기 제1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렌즈틀과, 상기 렌즈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렌즈가 고정되도록 하는 렌즈고정덮개와, 단면이 역'ㄷ'자 형태를 이루어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시청홀이 형성된 후면이 제1 본체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와, 단말기가 끼워지고 상기 제2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2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단말기틀과, 상기 단말기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말기고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는 후방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1 외형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는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외형체와 힌지결합된 제2 외형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는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기가 장착되고 사용자가 두부에 착용한 상태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의 집중도를 높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최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이슈화되고 있으며,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입체 영상을 나타나게 하는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Mouunted Display)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본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군사, 의료 및 교육용 영상 시스템과 오락용 가상현실 시스템 등의 영상 구현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용 또는 휴대용 음향/영상 시스템과 유무선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가 고급화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일반인들이 쉽게 이를 구입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4883호 '접이식 가상현실 시청용 장치'(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가 장착되어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말기가 구비되어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몸체(100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10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두부측 고정부(20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용발명에서의 몸체(1000)는 단말기로부터 재생된 영상이 렌즈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이르기까지 영상공급부(1130), 글래스부(1120), 영상출력부(1100), 폴딩부(1200), 안면지지부(1300)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구성이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어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는 경우 몸체(1000) 내로 빛이 들어와 사용자는 제대로 된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0)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이 모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몸체(1000)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 중 일부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일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두 개의 렌즈가 글래스부(1120)에 고정되어 렌즈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어린아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눈 사이 간격이 다른 사용자가 인용발명을 이용하여 가상현실이 구현된 영상을 시청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 구조를 통해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높임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에 따른 적합한 부품 채택을 통해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사용자의 콧등과 눈을 감싸도록 잠수경 형태로 형성된 제1 본체와, 렌즈가 끼워지고 상기 제1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렌즈틀과, 상기 렌즈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렌즈가 고정되도록 하는 렌즈고정덮개와, 단면이 역'ㄷ'자 형태를 이루어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시청홀이 형성된 후면이 제1 본체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와, 단말기가 끼워지고 상기 제2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2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단말기틀과, 상기 단말기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말기고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는 후방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1 외형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는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외형체와 힌지결합된 제2 외형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는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가 끼워지는 두 개의 렌즈끼움홀이 형성된 렌즈틀이 다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렌즈틀은 렌즈끼움홀 간의 간격이 상이하되, 상기 시청홀은 최소 간격을 가지는 렌즈끼움홀과 최대 간격을 가지는 렌즈끼움홀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렌즈끼움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안착돌기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렌즈틀은 렌즈가 끼워지는 렌즈끼움홀 외측에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후방을 향해 함입형성되되, 상기 렌즈고정덮개는 렌즈틀 내측에 결합되어 안착홈에 놓여진 안착돌기를 덮어 렌즈가 렌즈끼움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틀은 내측에 단말기가 끼워지는 단말기끼움홈이 함입형성되고, 상기 단말기끼움홈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양측 방향으로 밴드끼움홈이 함입형성되어, 상기 밴드끼움홈에 끼워지고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착용밴드의 설치가 가능하되, 상기 단말기고정덮개는 후면에 단말기틀에 형성된 밴드끼움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밴드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외형체는 후방을 향할수록 제2 본체의 측면과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틀에 형성된 밴드끼움홈과 연장되도록 양측 방향으로 밴드끼움홈이 함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렌즈틀, 렌즈고정덮개가 결합된 제1 본체와, 전방에 단말기틀, 단말기고정덮개가 결합된 제2 본체의 전(全)측면을 감싸도록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가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에 의해 밀폐되는 이중구조를 형성하는바, 단말기로부터 재생된 영상이 사용자의 눈에 이르기까지 빛이 완벽히 차단되어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가 힌지결합되는바, 이를 손쉽게 해제하여 내부에 수용된 렌즈틀, 렌즈, 렌즈고정덮개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렌즈틀을 사용자의 눈과 눈 사이 간격에 맞도록 교체가 가능하여 어린아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단말기틀과 단말기고정덮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이중 구조를 통해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높임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에 따른 적합한 부품 채택을 통해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사용자의 콧등과 눈을 감싸도록 잠수경 형태로 형성된 제1 본체와, 렌즈가 끼워지고 상기 제1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렌즈틀과, 상기 렌즈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렌즈가 고정되도록 하는 렌즈고정덮개와, 단면이 역'ㄷ'자 형태를 이루어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시청홀이 형성된 후면이 제1 본체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와, 단말기가 끼워지고 상기 제2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2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단말기틀과, 상기 단말기틀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말기고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는 후방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1 외형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는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외형체와 힌지결합된 제2 외형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는 제1 외형체와 제2 외형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콧등과 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1 본체(100)와, 단면이 역'ㄷ'자 형태를 이루어 전면(前面)이 개방되고 후면(後面)이 제1 본체(100)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방은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는 상태와 같이 놓여질 경우, 제2 본체(400)의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후방은 제1 본체(100)에서 사용자의 콧등과 눈가에 맞닿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본체(100)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제1 본체(100)의 전방에 렌즈(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100)의 전방에는 렌즈(10)가 끼워지고 제1 본체(100)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렌즈틀(200)이 결합되며, 상기 렌즈틀(200)의 전방에는 끼워진 렌즈(10)가 고정되도록 하는 렌즈고정덮개(300)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안착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가 원형인 경우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안착돌기(11)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틀(200)은 렌즈(10)가 끼워져 사용자가 렌즈(10)를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관통된 렌즈끼움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끼움홀(210)은 사용자의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끼움홀(210)의 외측, 즉 렌즈끼움홀(210)의 외주연에 상기 안착돌기(11)에 대응되는 안착홈(211)이 후방을 향해 함입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0)는 안착돌기(11)가 렌즈틀(200)에 형성된 안착홈(211)에 놓이도록 하여 렌즈틀(20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안착돌기(11)와 안착홈(211)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억지끼워지도록 하여 렌즈(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보다 견고히 렌즈(10)가 고정되도록 상기 렌즈고정덮개(300)를 렌즈틀(200)에 고정한다.
상기 렌즈고정덮개(300)는 렌즈틀(200)에 끼워진 렌즈(10)의 외측을 둘러싸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211)에 놓여진 안착돌기(11)를 덮게 된다. 이에 따라 렌즈(10)는 렌즈끼움홀(210)에 견고히 고정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시 렌즈(1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본체(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이 제1 본체(100)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바, 후면에는 상기 렌즈(10)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관통된 시청홀(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400)의 전방에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본체(400)의 전방에는 단말기가 끼워지고 제2 본체(400)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단말기틀(500)이 결합되며, 상기 단말기틀(500)의 전방에는 끼워진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말기고정덮개(600)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틀(500)은 내측에 단말기가 끼워지는 단말기끼움홈(510)이 단말기 크기에 대응되도록 함입형성되며, 단말기는 화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끼워지는바, 화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단말기끼움홈(510)이 관통된다.
또한, 단말기는 종류별로 크기가 모두 상이한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단말기 크기에 맞는 단말기끼움홈(510)이 형성된 단말기틀(500)이 마련되거나, 시중에 판매되는 단말기 중 크기가 가장 큰 단말기를 끼울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크기에 맞는 단말기끼움홈(510)이 형성된 단말기틀(500)을 마련한 다음, 실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단말기끼움홈(510)에 끼울 시, 남는 공간을 채워 단말기가 억지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부재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마련된 단말기틀(500)에 단말기를 억지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보다 견고히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단말기고정덮개(600)를 단말기틀(500)에 고정한다. 상기 단말기고정덮개(60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틀(500)에 결합되어 단말기끼움홈(510)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단말기끼움홈(510)에 견고히 고정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시 단말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의 빛이 단말기틀(500) 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렌즈(10)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결합된 제1 본체(100)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결합된 제2 본체(400)만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나, 여러가지 구성이 결합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 빛이 완벽히 차단되지 못하여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400) 내로 빛이 들어와 사용자에게 제대로된 영상을 전달하지 못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를 감싸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00)는 후방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1 외형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400)는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2 외형체(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는 각각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와 별도로 마련되어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외형체(110)의 전단과 제2 외형체(410)의 후단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일 예로, 제1 외형체(110)의 전단과 제2 외형체(410)의 후단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밀폐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400)가 밀폐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또다른 일 예로 제2 외형체(410)의 후단이 제1 외형체(110)의 전단의 크기보다 조금 크기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제2 외형체(410)의 후단이 제1 외형체(110)의 전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외형체(110)와 제1 본체(100)의 일측에 코 형상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 형상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제2 외형체(410)와 제2 본체(40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의 결합에 의한 리브 구조로 인해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가 상하좌우로 받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400)가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에 의해 밀폐되는 이중구조를 형성하는바, 단말기로부터 재생된 영상이 사용자의 눈에 이르기까지 빛이 완벽히 차단되어 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가 힌지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외형체(110)의 전단 및 제2 외형체(410)의 후단은 일부가 연결된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본체(100), 제2 본체(200),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는 모두 연장되어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가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의 전(全)측면을 감쌈에 따라 내부에는 렌즈틀(200), 렌즈(10), 렌즈고정덮개(300)가 구용되게 되는데, 상기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가 힌지결합되는바 필요시 내부에 수용된 구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렌즈틀(200)을 사용자의 눈과 눈 사이 간격에 맞는 것으로 교체를 할 수 있어 어린아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렌즈틀(200)을 교체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가 끼워지는 두 개의 렌즈끼움홀(210)이 형성된 렌즈틀(200)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렌즈틀(200)은 각각이 렌즈끼움홀(210) 간의 간격이 상이하다.
이때, 제2 본체(400)에 형성된 시청홀(420)은 최소 간격을 가지는 렌즈끼움홀(210)과 최대 간격을 가지는 렌즈끼움홀(210)을 가지는 렌즈끼움홀(210)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렌즈끼움홀(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어린아이의 경우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이 어른에 비해 작으며, 사람마다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바, 본 발명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정확한 초점으로 와이드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렌즈틀(200)을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과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착용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용밴드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밴드는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착용밴드가 고정되는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착용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틀(500)에 형성된 단말기끼움홈(510)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양측 방향으로 밴드끼움홈(20)이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끼움홈(20)의 폭과 깊이는 착용밴드의 폭과 깊이를 고려하여 형성한다. 상기 밴드끼움홈(20)에 착용밴드의 일부가 끼워진 후 외부로 나온 부분을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말기끼움홈(510)에는 단말기의 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착용밴드는 단말기의 후면을 지나 단말기틀(500)의 가장자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바, 단말기끼움홈(510)에 끼워진 단말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틀(500)에 착용밴드가 설치되는 경우 단말기틀(500)의 전방에 단말기고정덮개(600)가 결합되는데, 상기 단말기고정덮개(600)의 후면에는 단말기틀(50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밴드끼움홈(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밴드의 설치로 인해 단말기틀(500)과 단말기고정덮개(600)가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여 빛이 내부로 들어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착용밴드는 단말기틀(50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과 단말기고정덮개(60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고정되게 되는바, 단말기틀(500)과 단말기고정덮개(600)는 견고히 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외형체(410)에도 밴드끼움홈(20)이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외형체(410)는 후방을 향할수록 제2 본체(400)의 측면과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밴드끼움홈(20)은 제2 외형체(410)의 전방에 단말기틀(500) 결합시 단말기틀(50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과 연장되도록 제2 외형체(410)의 양측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외형체(410)의 외형이 후방을 향할수록 커짐으로써, 착용밴드는 제2 외형체(41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에 밀착된다.
따라서, 착용밴드는 단말기틀(500), 단말기고정덮개(600), 제2 외형체(41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본체(400)의 양 측면과 제1 본체(100)의 양측면에 이어폰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음성단자에 끼워진 이어폰은 제2 본체(400)의 이어폰홀을 통과한 후, 제1 본체(100)의 이어폰홀을 통해 빼내져 사용자의 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체(400)의 양 측면과 제1 본체(100)의 양측면을 비롯하여 제1 외형체(110)의 양측면 또는/및 제2 외형체(410)의 양측면에도 이어폰홀이 관통형성되어, 위에서 언급한 장착방법 외의 방법으로 이어폰을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펄프 등과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밀폐된 이중 구조를 통해 빛을 완벽히 차단하고 사용자에 따른 렌즈틀(500) 교체 등이 가능한바, 사용자는 효과적인 영상 시청을 할 수 있다.
10 : 렌즈 11 : 안착돌기
20 : 밴드끼움홈
100 : 제1 본체 110 : 제1 외형체
200 : 렌즈틀 210 : 렌즈끼움홀
211 : 안착홈
300 : 렌즈고정덮개
400 : 제2 본체 410 : 제2 외형체
420 : 시청홀
500 : 단말기틀 510 : 단말기끼움홈
600 : 단말기고정덮개

Claims (5)

  1.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사용자의 콧등과 눈을 감싸도록 잠수경 형태로 형성된 제1 본체(100)와, 렌즈(10)가 끼워지고 상기 제1 본체(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 본체(100)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렌즈틀(200)과, 상기 렌즈틀(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렌즈(10)가 고정되도록 하는 렌즈고정덮개(300)와,
    단면이 역'ㄷ'자 형태를 이루어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10)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시청홀(420)이 형성된 후면이 제1 본체(100)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본체(400)와, 단말기가 끼워지고 상기 제2 본체(4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2 본체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단말기틀(500)과, 상기 단말기틀(500)의 전방에 결합되어 끼워진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말기고정덮개(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100)는 후방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는 제1 외형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400)는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전(全)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외형체(110)와 힌지결합된 제2 외형체(4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400)는 제1 외형체(110)와 제2 외형체(41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단말기틀(500)은 내측에 단말기가 끼워지는 단말기끼움홈(510)이 함입형성되고, 상기 단말기끼움홈(510)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양측 방향으로 함임형성된 밴드끼움홈(20)으로부터, 상기 제2 본체(400)에 마련되어 양측 방향으로 함입형성된 밴드끼움홈(20)까지 연장되도록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착용밴드의 설치가 가능하되,
    상기 단말기고정덮개(600)는 후면에 단말기틀(500)에 형성된 밴드끼움홈(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밴드끼움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형체(410)는 후방을 향할수록 제2 본체(400)의 측면과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20264A 2017-09-19 2017-09-19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64A KR101864084B1 (ko) 2017-09-19 2017-09-19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09902 WO2019059547A1 (ko) 2017-09-19 2018-08-28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64A KR101864084B1 (ko) 2017-09-19 2017-09-19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084B1 true KR101864084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64A KR101864084B1 (ko) 2017-09-19 2017-09-19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4084B1 (ko)
WO (1) WO2019059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26B1 (ko) 2018-04-12 2018-10-12 정관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204101824U (zh) * 2014-09-05 2015-01-14 珠海真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移动终端上观看左右格式片源的3d立体眼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779A (ja)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60002824U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WO2016159444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 단말기 고정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204101824U (zh) * 2014-09-05 2015-01-14 珠海真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移动终端上观看左右格式片源的3d立体眼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26B1 (ko) 2018-04-12 2018-10-12 정관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47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45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379376B2 (e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JP5942467B2 (ja) 表示装置
WO2014108693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105340294A (zh) 具有可适应装配的耳机
WO2007037089A1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US20220326524A1 (en) Mask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2017015969A1 (zh) 头戴式电子装置
KR101841105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4084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20571A1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WO2016172964A1 (zh) 一种头戴式显示设备
CN205581416U (zh) 一种镜片可替换的虚拟现实眼镜
KR101688313B1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커버조립체
WO2023001271A1 (zh) 智能眼镜
CN216411738U (zh) 智能眼镜
JP2017181945A (ja) 眼鏡および眼鏡装着用アタッチメント
WO2017028284A1 (zh)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JP2017195515A (ja) 頭部装着装置および把持装置
JP2865589B2 (ja) 立体映像再生システム用液晶シャッタ眼鏡
KR20030065638A (ko) 입체 영상용 안경
JP3485689B2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200430109Y1 (ko) 단안형 페이스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7826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212846146U (zh) 遮光罩构件及vr眼镜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