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84B1 - 신발 조임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조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84B1
KR101863584B1 KR1020160152379A KR20160152379A KR101863584B1 KR 101863584 B1 KR101863584 B1 KR 101863584B1 KR 1020160152379 A KR1020160152379 A KR 1020160152379A KR 20160152379 A KR20160152379 A KR 20160152379A KR 101863584 B1 KR101863584 B1 KR 10186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lace
wires
fix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056A (ko
Inventor
박세종
김성우
황성목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는, 신발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단부와, 자유단이 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신발끈 및, 상기 신발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신발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신발에 잠금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끈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신발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조임 장치{Shoes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의 워킹화와 같은 신발에 적용되어, 단순 조작으로 신발을 조일 수 있는 신발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및 워킹화 등의 신발에는 신발이 각 개인의 발에 잘 맞도록 하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된다. 착용자는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신발을 신은 후 신발끈을 적절히 당겨 조임으로써 자신의 발과 신발이 밀착되도록 한다.
즉 종래의 신발의 경우, 신발 외피 개방부에 구멍을 뚫거나 그 구멍에 링을 부착하여 신발끈을 끼우거나, 또는 리벳으로 고리를 부착하여 신발끈을 끼워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멍이나 고리와 신발끈 간의 마찰 때문에 신발끈을 끼우는 것이 불편하고 신발끈을 조이거나 조인 후 풀기가 어려우며, 그에 따라 신발끈을 끼우고 조이거나 조인 후 푸는데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불편한 점이 많다. 특히 신발 외피의 맨 밑의 구멍은 신발 외피와 밀착되어 있어 신발끈을 끼우거나 빼내기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신발의 경우, 신발끈을 조일 때 맨 밑의 구멍이나 고리부터 차례차례 올라오며 조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발에 알맞게 조이기도 쉽지 않으며, 신발을 벗을 때에도 맨 위의 구멍이나 고리부터 차례차례 신발끈을 풀어 주어야 벗을 수 있으며, 특히 등산화·작업화 등 목이 높은 신발일수록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신발의 사용 목적에 맞춰 신발끈이 끼워지는 구멍 또는 고리가 제거된 상태로 신발이 제작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신발끈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발과 신발이 밀착되지 않아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안정된 걸음걸이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신발끈 및 신발끈 구멍이 없는 신발에 적용되어, 신발 외피를 조일 수 있고, 사용자 발에 신발 외피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안정된 착용감을 느끼도록 하는 신발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는, 신발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단부와, 자유단이 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신발끈; 및 상기 신발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신발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신발에 잠금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끈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신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의 간격이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2 단부에서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개수는 2의 배수일 수 있다.
상기 신발끈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신발끈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잠금 장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두 개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은 U자형 관통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면에 톱니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판형상 부재이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톱니 형상의 홈부에 맞물리는 탄성 래칫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상기 신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고정부 관통홀과 고정부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양단에 구형상으로 형성된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이한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상기 연결체를 구비하여,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상이한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톱니 형상의 홈부와 상기 탄성 래칫 구조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잠금 장치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에 의하면, 잠금 장치가 신발끈의 길이 조절 이후 신발끈의 제2 단부를 잠금하게 되면 신발을 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발에 신발 외피가 밀착되어 사용자가 안정된 신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단순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이 쉽고, 경량화되며, 단순 조작으로 신발끈 당김 동작이 가능하고, 신발끈의 복수의 와이어가 상호 이격되게 신발에 고정되므로 분산된 힘으로 신발의 외피 발등 부분을 적절히 조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의 제1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의 제2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의 신발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의 신발끈과 연결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는 신발(20) 외피가 사용자 발에 밀착되도록 신발(20)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끈(100), 연결체(200) 및 잠금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는, 신발끈(100)이 신발(20)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단부와 자유단이 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연결체(200)가 신발(20)에 구비되고, 잠금 장치(300)가 신발(20)에 고정 장착되되, 신발끈(1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신발끈(100)의 제2 단부를 신발(20)에 잠금시킬 수 있으며, 신발끈(100)이 복수의 와이어(110)를 포함하여, 복수의 와이어(110)가 신발끈(100)의 제1 단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신발(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신발끈(100)의 제1 단부는 연결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는, 잠금 장치(300)가 신발끈(100)의 길이 조절 이후 신발끈(100)의 제2 단부를 잠금하게 되면 신발을 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발에 신발 외피가 밀착되어 사용자가 안정된 신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는, 단순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이 쉽고, 경량화되며, 단순 조작으로 신발끈 당김 동작이 가능하고, 신발끈의 복수의 와이어가 상호 이격되게 신발에 고정되므로 분산된 힘으로 신발의 외피 발등 부분을 적절히 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도3을 참고하면, 신발끈(100)은, 제1 단부에서 복수의 와이어(110)와 제2 단부에서 손잡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끈(100)의 제1 단부에서의 간격이 신발끈(100)의 제2 단부에서의 간격보다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일단이 신발의 연결체(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손잡이부(1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유연하고 강성한 나일론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제1 와이어(111), 제2 와이어(113), 제3 와이어(115) 및 제4 와이어(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와이어(110)는 제1 와이어(111), 제2 와이어(113), 제3 와이어(115) 및 제4 와이어(117)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많은 와이어 또는 적은 와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복수의 와이어(110)의 개수는 2의 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2를 참고하면,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20)의 외피 발등 부분을 관통하거나, 신발의 외피 발등 부분에 형성되는 고리(loop)를 통과하여 연결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신발 외피가 더욱 더 조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도4를 참고하면, 신발끈(100)의 제1 단부에서 제1 와이어(111), 제2 와이어(113), 제3 와이어(115) 및 제4 와이어(117) 각각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은, 양단이 구형상으로 형성된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와이어(111), 제2 와이어(113), 제3 와이어(115) 및 제4 와이어(117) 각각은 일단이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의 중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제1 와이어(111), 제2 와이어(113), 제3 와이어(115) 및 제4 와이어(117) 중 교체가 필요한 와이어가 발생하는 경우, 새로운 와이어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도4의(a)에서,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이 수평한 상태로 연결체(200)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4의(b)에서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이 수직한 상태로 연결체(200)의 일면에 맞닿아 연결체(200)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은 도4의(b)와 같이 연결체(200)에 밀접함으로써,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111, 113, 115, 117) 각각을 연결체(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3을 참고하면,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111, 113, 115, 117) 각각의 타단은, 신발끈(100)의 제2 단부에서 손잡이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111, 113, 115, 117) 각각은 손잡이부(120)로부터 고정 해제 가능하게 손잡이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111, 113, 115, 117) 각각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해 잠금 장치(30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복수의 와이어(100)를 당겨 신발이 조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잠금 장치(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121) 및 슬라이딩 부재(121)와 복수의 와이어(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일면에 톱니 형상의 홈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톱니 형상의 홈부(121a)는 잠금 장치(300) 내부의 탄성 래칫 구조에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톱니 형상의 홈부(121a)는, 슬라이딩 부재(121)를 당기는 사용자의 당김 동작이 없는 경우, 잠금 장치(300) 내부의 탄성 래칫 구조에 맞물려 걸림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1)의 슬라이딩 동작이 멈추도록 한다.
슬라이딩 부재(121)의 일단에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고정되는 연결부재(123)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121)의 타단은 사용자가 잡고 당기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 부재(121)의 타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3)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일단에 형성되어, 복수의 와이어(110)와 슬라이딩 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23)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123)는 잠금 장치(30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부재(12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23)는, 잠금 장치(300) 내부에서 슬라이딩 부재(121)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슬라이딩 부재(121)를 멈추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123)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삽입 고정되는 구멍(12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123a)은 연결부재(123)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구멍(123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구멍(123a)을 통해 연결부재(123)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부재(123)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연결부재(1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23) 내측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제1 와이어(111) 및 제2 와이어(113)가 연결부재(123)에 삽입되어 체결부재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와이어(111)와 제2 와이어(113)가 사용자에 의해 잡아 당겨지면 체결부재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연결부재(12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23)와 복수의 와이어(110)의 착탈 구조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다.
다른 예로, 연결부재(123)는 구멍(123a) 두 개가 연통되도록 U자형으로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와이어(115)와 제4 와이어(117)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3 와이어(115)와 제4 와이어(117) 중 어느 하나가 한 쪽 구멍(123a)에 삽입되어, 연결부재(123) 내부 U자형 통로를 지나 다른 쪽 구멍(123a)을 통해 빠져 나온 이후에 길이 조절을 통해 연결부재(123)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23)의 구멍(123a)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111, 113, 115, 117)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복수의 와이어(110)는 연결부재(123)에 삽입 고정되는 대신, 연결부재(1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연결체(200)는 신발(20)의 외피 발등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체(200)는 신발(20)의 외피 좌측 부분(도1 및 도2 기준)에 고정되거나, 신발(20)의 외피 우측 부분(도1 및 도2 기준)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신발(20)의 외피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양측에 두 개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체(200)는 신발(20)의 형상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20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체(200)는 테두리 부분이 신발(20)의 갑피에 부착되고 중심 부분이 신발(20)의 갑피로부터 띄워질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연결체(200)는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과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은 제1 고정부 관통홀(P1), 제2 고정부 관통홀(P2), 제3 고정부 관통홀(P3) 및 제4 고정부 관통홀(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 각각은 연결체(20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 각각은 고정부(111a, 113a, 115a, 117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111a, 113a, 115a, 117a)가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도와준다.
복수의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은 제1 고정부 안착홈(H1), 제2 고정부 안착홈(H2), 제3 고정부 안착홈(H3) 및 제4 고정부 안착홈(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 각각은 연결체(200) 일면이 내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 각각은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 각각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 각각은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와이어(110)의 고정부(111a, 113a, 115a, 117a) 각각은 고정부 관통홀(P1, P2, P3, P4) 각각을 관통하여 고정부 안착홈(H1, H2, H3, H4) 각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와이어(110)는 연결체(200)에 고정된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잠금 장치(300)는 신발의 입구측 외피 부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0)는 손잡이부(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0)는 손잡이부(120)의 홈부(121a)(도3참조)와 맞물리도록 탄성 래칫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금 장치(300)는 손잡이부(120)가 한 쪽 방향(신발(20)의 후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잠금 장치(300)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톱니 형상의 홈부(121a)와 자신의 탄성 래칫 구조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슬라이딩 부재(121)가 잠금 장치(3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 장치(300)의 잠금 해제 구조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잠금 해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복수의 와이어(110)와 연결체(200)의 연결 구조에 따른 신발 조임 과정을 설명한다.
도1에서,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20)의 외피 좌측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와이어부(110)에 의해 신발(20)의 외피 부분이 조이게 되고, 이후 신발(20)의 외피가 사용자 발에 밀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정된 신발 착용감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와이어(110)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의 단일 색상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색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2에서,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20)의 외피 우측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20)의 외피 발등 부분을 관통하거나, 고리(loop)를 통과하여 연결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신발(20)은 매시 형태의 외피를 가지며, 복수의 와이어(110)는 신발(20)의 매시 형태의 외피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아 당기게 되면, 복수의 와이어(110)에 의해 신발(20)의 외피가 조이게 되고, 신발(20)의 외피가 사용자 발에 밀접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와이어(110)는 도1 및 도2에서 설명한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조임 장치(10)는 사용자의 손잡이부(120) 당김 동작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110)가 신발 외피를 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발에 신발의 외피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신발 착용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신발 조임 장치
100: 신발끈
110: 복수의 와이어
111, 113, 115, 117: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
111a, 113a, 115a, 117a: 제1, 제2, 제3, 제4 고정부
120: 손잡이부
121: 슬라이딩 부재
121a: 홈부
123: 연결부재
123a: 구멍
200: 연결체
P1, P2, P3, P4: 고정부 관통홀
H1, H2, H3, H4: 고정부 안착홈
300: 잠금 장치
20: 신발

Claims (16)

  1. 신발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단부와, 자유단이 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신발끈; 및
    상기 신발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신발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신발에 잠금시키는 잠금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끈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신발에 고정되고,
    상기 신발은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상기 신발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체는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고정부 관통홀과 고정부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것인 신발 조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에서의 간격이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2 단부에서의 간격보다 넓은 것인 신발 조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개수는 2의 배수인 것인 신발 조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신발끈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잠금 장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두 개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은 U자형 관통인 것인 신발 조임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면에 톱니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판형상 부재이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톱니 형상의 홈부에 맞물리는 탄성 래칫 구조를 가지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단에 구형상으로 형성된 막대 형태인 것인 신발 조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이한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상기 연결체를 구비하여,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상이한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고정 가능한 것인 신발 조임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톱니 형상의 홈부와 상기 탄성 래칫 구조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잠금 장치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매시 형태의 외피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신발의 상기 매시 형태의 외피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 조임 장치.
KR1020160152379A 2016-11-16 2016-11-16 신발 조임 장치 KR10186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79A KR101863584B1 (ko) 2016-11-16 2016-11-16 신발 조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79A KR101863584B1 (ko) 2016-11-16 2016-11-16 신발 조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056A KR20180055056A (ko) 2018-05-25
KR101863584B1 true KR101863584B1 (ko) 2018-06-01

Family

ID=6229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379A KR101863584B1 (ko) 2016-11-16 2016-11-16 신발 조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210A (en) 1992-07-20 1998-11-24 Bernier; Rejeanne M. Shoe tightening apparatus
JP3801965B2 (ja) 1993-09-27 2006-07-26 ケイ‐ツ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ブーツ
US20090184189A1 (en) * 2008-01-18 2009-07-23 Soderberg Mark S Closu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7993B1 (it) * 2000-06-26 2003-07-21 Htm Sport Spa Struttura di leva,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sportive
KR20140140733A (ko) * 2013-05-30 2014-12-10 정민우 운동화의 끈 자동 풀림 과 조임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210A (en) 1992-07-20 1998-11-24 Bernier; Rejeanne M. Shoe tightening apparatus
JP3801965B2 (ja) 1993-09-27 2006-07-26 ケイ‐ツ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ブーツ
US20090184189A1 (en) * 2008-01-18 2009-07-23 Soderberg Mark S Closur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056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53B1 (ko)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CA2614369C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clothing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7654012B2 (en) Closure device for shoe
US20170188654A1 (en) Accessorizable Shoe and Accessories for the Shoe
US8381415B1 (en) Flip-flop back strap device
US7793436B2 (en) Footwear with exchangeable fastening system
BRPI0710391A2 (pt)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KR101440592B1 (ko) 와이어 신발
US20160081433A1 (en) Lacing system for shoe
KR101446270B1 (ko) 지지 성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족부 보조기
US20140013621A1 (en) Convertible Footwear
KR101863584B1 (ko) 신발 조임 장치
KR101847865B1 (ko) 신발착탈식 자전거 페달용 클릿 고정장치
US20200068996A1 (en) Laced shoe
KR101853083B1 (ko) 신발끈 고정장치
US20180220744A1 (en) Footwear retainer
KR101614858B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KR101315194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170029763A (ko) 굽 교체형 구두
JP4787491B2 (ja) 紐の緊締具
KR200267874Y1 (ko) 신발용 끈 고정구
KR102650954B1 (ko)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US20160316857A1 (en) Shoe Lace Retention Clip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