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470B1 - The laver feeder device - Google Patents

The laver feed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470B1
KR101862470B1 KR1020160127176A KR20160127176A KR101862470B1 KR 101862470 B1 KR101862470 B1 KR 101862470B1 KR 1020160127176 A KR1020160127176 A KR 1020160127176A KR 20160127176 A KR20160127176 A KR 20160127176A KR 101862470 B1 KR101862470 B1 KR 10186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ction
lure
link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7078A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6012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70B1/en
Publication of KR2018003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9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L)을 한 장씩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적재된 김(L)을 밀대(11)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5)와 모터(16)를 구비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적재된 김(L)을 적재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21)와 모터(25)를 구비하고, 리프트(2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LM블록(27)과 LM레일(28)을 구비하는 적재유니트(20);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리프트(21)로부터 잔여한 김(L)을 적재하는 홀딩판(31)과 홀딩실린더(35)를 구비하는 홀딩유니트(30);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흡착박스(41)를 구비하고, 흡착박스(41)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42), 캠링크(43), 모터(45)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46), 회전판(47)을 구비하는 인출유니트(40); 및 상기 인출유니트(40)에서 인출된 한 장의 김(L)을 컨베이어(71)를 통하여 김(L)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흡착로(73)와 블로워(75)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조에 있어 비교적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기반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구동이 원활하고 소음과 고장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에 있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고, 김 부스러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이를 포집/수집하여 비산에 의한 장치 손상은 물론 생산현장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or 15 and the motor 16 convey the stacked laver L to the plunger 11, (10); The LM block 27 and the LM 27 are provided with a lift 21 and a motor 25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laver L mounted on the supply unit 10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 21, A loading unit (20) having a rail (28); A holding unit 30 having a holding plate 31 and a holding cylinder 35 for storing the remaining lubrication from the lift 21 in the loading unit 20; And a suction box 41 for drawing out only one piece of lure L from the loading unit 20 and transporting the s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d 42, the cam link 43, A blower 46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the motor 45, a drawing unit 40 having a rotary plate 47; And a conveying unit 70 having a suction path 73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lure L through a conveyor 71 and a blower 75, which is drawn out from the drawing unit 40, ; And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easy to manufacture based on a relatively simple mechanism in manufacturing, smoothly driven, do not cause noise and trouble, Accuracy, speed and productivity are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further improved. In the process of exhausting the debris, it is collected / collect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production site at all times have.

Figure R1020160127176
Figure R1020160127176

Description

김 공급장치{The laver feeder device}The laver feeder device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에 있어 비교적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기반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구동이 원활하고 소음과 고장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에 있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rawing and feeding one sheet at a time from a stack of multiple layers, more specifically, And moreover, to improve the accuracy, promptness, and productivity of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one sheet at a time from a stack of laid multiple layers in use and furthe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최근,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져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불에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In recent years, the processing methods of kimchi have diversified, and the kimchi has been sold in a disposable manner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purchase the processed kimchi and eat it easily. In order to process such pavement, a series of processing steps of spraying perfume on the surface of the pavement, sprinkling the condiments on the surface of the pavement, cutting the pavement into a suitable size, and packaging the pavement are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2-000240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172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reference may be made to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2-0002401 (Prior Ar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58172 (Prior Art 2), and the like.

선행문헌 1은 공기흡입력과 이송벨트의 작용으로 해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채택하여 능률적이고 위생적이며, 해태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해태 공급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자동화를 기반으로 위생적이며 해태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 장비가 복잡하므로 작동 소음이 발생되면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흡착력을 발생하지 못하여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이탈이 수반되는 등 개선할 여지가 있다.Prior art 1 proposed a Haitai feeder that can be supplied with air suction force and conveyance belt to provide efficient and hygienic operation, and to prevent breakage of Haitai to improve its product value. However, it is hygienic based on automation and it is expected to prevent breakage of breakwater.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equipment, productivity is decreased due to the occurrence of operation noise, and since the accurate attraction force is not generat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steaming,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such as accompanied by detachment or detachment.

선행문헌 2는 전자의 선행특허 문제점을 보완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김 공급장치를 제안하였다. Prior Art 2 is a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romptness of operation to supply steadily and precisely the steaming without damaging by supplementing the problem of the former patent of the former, to be able to maintain high productivity by reliable operation, Supply device.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자동화를 기반으로 작동 소음이 적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최근 김이 갈수록 얇아짐으로 기인하여 김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한 장씩 정확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적재된 김이 자중에 의해 눌러져 손상이 발생하고 김 부스러기의 비산에 의한 장치 손상이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 장치를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관리하기가 힘들어 개선할 여지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t is expected that the operation noise is small and the productivity is maintained based on automation. However, due to the recent thinning of the steaming steam, It is difficult to cleanly and hygienically manage the apparatus as well as damage or breakage of the apparatus due to scattering of the debris, and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자동화를 기반으로 김의 파손 없이 공급하여 작동의 효율성 및 신속성 효과를 기대하는 김 공급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445호)를 제안한 바,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하나씩 인출하여 후속공정으로 공급하도록 수행된다. In order to solve these drawbacks, a Kim supply syst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0445),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efficiency and promptness of operation by supplying without damage to the Kim based on automation by the applicant, has been proposed. So that the multiple layers of the rods are taken out one by one and supplied to the subsequent process.

그러나 이는 자동화를 기반으로 김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후속공정으로 정확히 공급을 기대하는 효과는 있지만, 기구적으로 복잡하여 제작이 복잡하면서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흡착하여 인출하는 과정에서 빈번히 두 장씩 인출됨이 발생되어 후속공정으로 원활히 공급하지 못하는 점 등 미흡한 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However, it is effective to expect the supply to the subsequent process with minimum damage on the basis of automation. However, since it is complicated due to its complicate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operate smoothly. In particula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mooth supply to subsequent process due to frequent withdrawal of two sheets during withdrawal process.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2-0002401호 "해태 공급기"(공고일자: 1992. 04. 13.)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2-0002401 "Haitai Feeder" (Notice Date: Apr. 13, 199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172호 "김 공급장치"(등록일자: 2012. 06. 1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8172 entitled " Kim Supply Device " (registered on June 13, 20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445호 "김 공급장치"(등록일자: 2014. 10. 0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50445 entitled " Kim Supply Device " (registered on January 10, 201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에 있어 비교적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기반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구동이 원활하고 소음과 고장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에 있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김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m supply apparatus that improves the accuracy, promptness,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aking out only one sheet from the stacked laver and further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김 부스러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이를 포집/수집하여 비산에 의한 장치 손상은 물론 생산현장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debris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debris, so as to keep the production site clean at all times as well as damage to the apparatus by scatte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김을 밀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모터를 구비하는 공급유니트; 상기 공급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적재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와 모터를 구비하고, 리프트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LM블록과 LM레일을 구비하는 적재유니트;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리프트로부터 잔여한 김을 적재하는 홀딩판과 홀딩실린더를 구비하는 홀딩유니트;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한 장의 김만을 인출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흡착박스를 구비하고, 흡착박스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 캠링크, 모터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 회전판을 구비하는 인출유니트; 및 상기 인출유니트에서 인출된 한 장의 김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김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흡착로와 블로워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출유니트는 블로워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흡착박스에 의해 흡착된 김으로부터 발생되는 김 부스러기를 집진하는 집진관, 집진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김 부스러기를 포집하여 수거하는 포집망을 구비하고, 상기 인출유니트는 흡착박스의 상면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도어,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회동하는 링크축, 도어의 양측으로 연계하여 회동하는 링크, 링크에서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스프링이 탄지된 링크롤, 흡착박스의 진행방향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경사운동 가능한 안내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박스는 그 하면 상에 볼트에 의해 장착되는 흡착판, 흡착판 상에 김이 공급되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한 장의 김만을 흡입하여 인출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판은 김과 접촉되는 양측의 모서리부 상에 김의 최소면만을 접촉하도록 그 형상이 완곡면 또는 경사면 중에서 선택하거나 혼용하는 접촉면, 접촉면의 사이에 김이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stacked pieces of laid one by one, comprising: a feeding unit having a conveyor and a motor for conveying the laid laid to the platen; A loading unit having an LM block and an LM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 and a lift and a motor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laver in the supply unit; A holding unit having a holding plate and a holding cylinder for loading the remaining steels from the lift in the loading unit; A take-out unit having a suction box that draws only a single piece of kim in the loading unit and transfers the s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blow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a rod, a cam link, and a motor for cranking the suction box; And a transfer unit including an adsorption furnace and a blower for adsorbing and discharging the steam through a conveyor, wherein the withdrawing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lower and is supported by a suction box And a collecting net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debr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ing tube. The drawing unit includes a door for discharging the suction force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x, A link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oor, a link roll having a spring for interrup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t the link, a guide capable of inclining the door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uction box, Wherein the adsorption box comprises a suction plate moun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ith bolts, And a suction port for sucking and drawing out only one piece of the kimchi, wherein the suction plate has a shape selected from a curved surface or a sloped surface so as to contac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tread on the corners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tread Contact surface which does not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contact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면서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혼용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outlets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rectang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공급장치는 제조에 있어 비교적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기반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구동이 원활하고 소음과 고장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에 있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고, 김 부스러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이를 포집/수집하여 비산에 의한 장치 손상은 물론 생산현장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and operation, the Kim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ly mechanical simplification in manufacturing, smoothly driven, does not cause noise and trouble, It improves the accuracy, promptness and productivity of the operation by taking out only one sheet from the laver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 collects / collects the debris during the process of exhausting the debris,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nd maintained at all tim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 구성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각각 양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 구성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인출유니트의 주요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흡입박스의 주요 구성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흡입박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view. FIG.
Figs. 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Fig.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drawing uni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structural diagrams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and a modification of the suction box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perational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uction box among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L)을 한 장씩 공급하는 장치에 관하여 관련되며, 특히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추구하면서도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김 공급장치는 공급유니트(10), 적재유니트(20), 홀딩유니트(30), 인출유니트(40), 이송유니트(70) 등의 주요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급유니트(10), 적재유니트(20), 홀딩유니트(30), 인출유니트(40), 이송유니트(70)는 적재된 김(L)을 2열로 이송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즉 3열 내지 4열 등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열로 이송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eeding a plurality of stacked pieces of lime (L) one by 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feeding a single piece of laver from a multi-layered laver, . Such a Kim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major components such as a supply unit 10, a loading unit 20, a holding unit 30, a drawing unit 40, and a transfer unit 70. Here, the supply unit 10, the loading unit 20, the holding unit 30, the drawing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70 transfer the loaded rods L to two rows. In addition, To four rows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for transferring to two rows,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공급유니트(10)는 적재된 김(L)을 밀대(11)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5)와 모터(16)를 구비한다. 공급유니트(10)는 도 1처럼 적재된 김(L)을 컨베이어(15)로 공급하는데, 이는 2열로 적재된 김(L)을 이송한다. 이러한 컨베이어(15)는 모터(16)에 의해 작동하는 바, 적재된 김(L)을 이송하기 위해 밀대(11)를 설치하고, 밀대(11)는 컨베이어(15)의 벨트(또는 체인) 상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적재된 김(L)을 이송하여 후속된 적재유니트(20)로 전달한다.The feed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15 and a motor 16 for conveying the laundered lid L to the plunger 11. The supply unit 10 feeds the laid L as shown in Fig. 1 to the conveyor 15, which transports the laid L in two rows. This conveyor 15 is driven by a motor 16 and is provided with a plunger 11 for conveying the laid L and the plunger 11 is mounted on a belt (L) is transferred to a subsequent loading unit (20).

본 발명에 따른 적재유니트(20)는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적재된 김(L)을 적재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21)와 모터(25)를 구비하고, 리프트(2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LM블록(27)과 LM레일(28)을 구비한다. 적재유니트(20)는 도 1 및 도 2b처럼 공급유니트(10)로부터 적재된 김(L)을 전달받아 이를 수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승강하여 후속유니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리프트(21)와 모터(25), LM블록(27)과 LM레일(28)로 구성된다. 리프트(21)는 공급유니트(10)의 컨베이어(15)로부터 이송된 적재된 김(L)을 수용하고, 하부에 스프링이 탄지되어 어느 정도의 완충력을 지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트(21)는 체인(미설명된 도면부호 23)에 연결되어 모터(25)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The load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 21 and a motor 25 for loading the laver L in the feeding unit 10 and vertically feeding the laver L and a motor 25, The LM block 27 and the LM rail 28 are provided. 1 and 2B, the loading unit 20 receives the load L from the supply unit 10 and gradually lifts the load L in a vertical direction to transfer the load to a subsequent unit, A motor 25, an LM block 27, and an LM rail 28. [ The lift 21 is installed so as to receive the loaded lur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15 of the supply unit 10 an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buffering force due to the spring mounted on the lower part. The lift 21 is connected to a chain (not shown) 23 and vertically elevat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5.

그리고 LM블록(27)과 LM레일(28)은 도 2b처럼 적재유니트(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LM블록(27)은 리프트(21)의 일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리프트(21)의 승강에 따라 상호 연동하여 승강한다. LM레일(28)은 리프트(21)의 진행방향으로 LM블록(27)의 위치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프트(21)의 승강에 따라 LM블록(27)이 LM레일(28)에서 주행하여 위치 변동한다. 이에 따라 적재유니트(20)에서 리프트(21)의 승강을 주도하는 체인(23)의 처짐 등을 LM블록(27)과 LM레일(28)이 상호 보완하여 보다 정밀한 적재유니트(20)의 승강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2B, the LM block 27 and the LM rail 28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ading unit 20. The LM block 27 is integr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21, And moves up and dow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s the lift 21 ascends and descends. The LM block 27 is mounted on the LM rail 28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M block 27 can be chang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ft 21, Change. This allows the LM block 27 and the LM rail 28 to complement each other so that the chain 23 lea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 21 can be complemented by the stacking unit 20,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리프트(21)로부터 잔여한 김(L)을 적재하는 홀딩판(31)과 홀딩실린더(35)를 구비한다. 홀딩유니트(30)는 적재유니트(20)에서 리프트(21)가 하강할 때 잔여한 김(L)을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홀딩판(31)과 홀딩실린더(35)로 구성된다. 홀딩판(31)은 도 1처럼 리프트(21)와 상호 연계하여 작동하고, 리프트(21)로부터 상호 대응하여 홀딩실린더(35)에 연결되어 회동한다. 즉 리프트(21)에 적재된 김(L)이 소진되어 재차 공급유니트(10)의 컨베이어(15)에서 적재된 김(L)을 적재하기 위해 하강할 때 홀딩판(31)이 홀딩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리프트(21)로부터 잔여한 김(L)을 적재하여 후속하는 인출유니트(40)의 작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load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ing plate 31 and a holding cylinder 35 for loading the remaining lime from the lift 21. The holding unit 30 serves to load the remaining lubrication when the lift 21 descends from the loading unit 20. The holding unit 30 includes a holding plate 31 and a holding cylinder 35. The holding plate 31 operates in cooperation with the lift 21 as shown in Fig. 1, and rotates by being connected to the holding cylinder 35 in mutual correspondence from the lift 21. That is, when the ladle L mounted on the lift 21 is exhausted and descended to load the ladle L mounted on the conveyor 15 of the supply unit 10 again, the holding plate 31 is held by the holding cylinder 35 So that the remaining ladle L is loaded from the lift 21 and the subsequent operation of the drawing unit 40 is continuous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인출유니트(40)는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흡착박스(41)를 구비하고, 흡착박스(41)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42), 캠링크(43), 모터(45)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46), 회전판(47)을 구비한다. 적재유니트(20)는 도 1 및 도 4처럼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흡착박스(41)상에 로드(42), 캠링크(43), 모터(4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하여 후속유니트로 한 장의 김(L)을 전달함과 함께 모터(45), 블로워(46), 회전판(47)에 의해 적재된 김(L)에 대해 한 장의 김(L)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한다.The drawing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ction box 41 for drawing out only one piece of lure L from the loading unit 20 and carry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am link 42, a cam link 43, a motor 45, a blower 46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rotary plate 47. The loading unit 20 serves to draw out only one piece of the lure L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loading unit 41 has a rod 42, a cam link 43, and a motor 45 A single piece of the lure L is transferred to the subsequent unit by the motor 45, the blower 46 and the rotary plate 47, And generates a sucking force.

이러한 흡착박스(41)는 후술하는 흡착판(50)과 상호 연결되어 적재유니트(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적재된 김(L)에 대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한 장씩 인출하여 이송유니트(70)로 전달한다. 흡착박스(41)는 상부에 블로워(46)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는 동시에 흡입력을 단속하기 위해 회전판(47)이 설치되어 블로워(46)의 배출구에 연접되어 모터(45)에 의해 회동한다. 로드(42), 캠링크(43)는 흡착박스(41)에 상호 연결되고, 캠링크(43)에 모터(4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송하여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여 이송유니트(70)로 전달한다. The suction box 41 is interconnected with a suction plate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unit 2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the loaded lure L. The suction force is transferred one by one to the transfer unit 70 do. The suction box 41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46 by a pipe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a rotary plate 47 is installed to interrupt the suction force. The suction plate 4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46, do. The rod 42 and the cam link 43 are interconnected to the adsorption box 41.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5 is transmitted to the cam link 43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Only the roots L of the sheet are taken out and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70.

도 1에서 적재유니트(20)에서 적재된 김(L) 중에서 한 장의 김(L)을 인출할 때에는 회전판(47)의 관통공과 블로워(46)의 배출구가 일치되어 흡착박스(41)의 흡착판(50)에 흡입력이 발생되고, 흡착박스(41)가 로드(42) 및 캠링크(43)에 의해 이송유니트(70)로 한 장의 김(L)만을 전달할 때에는 회전판(47)의 관통공이 블로워(46)의 배출구에 어긋나 흡착박스(41)의 흡착판(50)에 흡입력이 차단된다. 즉 흡착박스(41)의 흡착판(50)에 흡입력으로 적재유니트(20)로부터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여 이송유니트(70)의 컨베이어(71)로 전달함과 동시에 흡착박스(41)의 흡착판(50)의 흡입력이 차단된다.1, the through hole of the rotary plate 47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46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one piece of the lure L is taken out from the laundries L in the loading unit 20, 50 and the suction box 41 transmits only one piece of the lure L to the transfer unit 70 by the rod 42 and the cam link 43, the through hole of the rotary plate 47 is connected to the blower 46, the sucking plate 50 of the sucking box 41 is blocked by the sucking force. That is, only one lint L is drawn out from the loading unit 20 by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plate 50 of the suction box 41,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71 of the transfer unit 70, The sucking force of the attracting plate 50 is cut off.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인출유니트(40)는 블로워(46)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흡착박스(41)에 의해 흡착된 김(L)으로부터 발생되는 김 부스러기를 집진하는 집진관(48), 집진관(48)으로부터 배출되는 김 부스러기를 포집하여 수거하는 포집망(49)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b처럼 김(L)을 인출하는 과정, 즉 흡착박스(41)에 의해 흡착된 김(L)으로부터 발생되는 김 부스러기를 단순히 외부로 배기하지 않고, 이를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관(48)과 포집망(49)을 구비한다. 집진관(48)은 인출유니트(40)의 블로워(46)에 연결되어 포집망(49)에 의해 김 부스러기를 집진한다. 이에 따라, 인출유니트(40)의 일측에 설치된 집진관(48)과 포집망(49)에 의해 흡착박스(41)에 의해 흡착된 김(L)으로부터 발생되는 김 부스러기를 배기하지 않고, 이를 포집망(49)에 고스란히 집진하여 생산현장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 관리는 물론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wing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tube 48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lower 46 and collects the debris generated from the lure L adsorbed by the adsorption box 41, And a collection net 49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debr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48. 1 and 2B, in order to collect the debris generated from the lavender (L) adsorbed by the adsorption box (41) without simply discharging the debris to the outside, 48 and a collecting net 49. The collecting tube 48 is connected to the blower 46 of the drawing unit 40 and collects the debris by the collecting net 49. This makes it possible not to exhaust the debris generated from the lure (L) adsorbed by the adsorption box (41) by the dust collecting tube (48) and the dust collecting net (4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awing unit (40)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oduction site clean at all times and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s well by collecting it in the net (49).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인출유니트(40)는 흡착박스(41)의 상면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도어(61), 도어(61)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회동하는 링크축(63), 도어(61)의 양측으로 연계하여 회동하는 링크(65), 링크(65)에서 도어(61)의 개폐를 단속하는 스프링(66)이 탄지된 링크롤(67), 흡착박스(41)의 진행방향으로 도어(61)를 개폐시키도록 경사운동 가능한 안내레일(68)을 구비한다. 인출유니트(40)는 흡착박스(41)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어(61), 링크축(63), 링크(65), 링크롤(67), 안내레일(68)로 구성된다. 도어(61)는 흡착박스(41)의 상면에 위치하여 링크축(63)으로부터 회동하여 개폐된다. 링크(65)는 도어(61)의 양측으로 연계하여 회동하고, 링크(65)의 일측에 스프링(66)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링크롤(67)이 연결된다. 안내레일(68)은 흡착박스(41)의 진행방향에 위치하여 도어(61)의 개폐, 즉 개방시키기 위한 경사운동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unit 40 includes a door 61 for discharging the suction force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box 41, a link shaft 63 for rotating to gu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61, A link 65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both sides of the door 61; a link roll 67 in which a spring 66 for interrup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61 is fixed on the link 65; And a guide rail 68 which is inclin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6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drawer unit 40 discharges the suction force remaining in the suction box 41. The drawer unit 40 includes a door 61, a link shaft 63, a link 65, a link roll 67, a guide rail 68, . The door 61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x 41 and is rotated from the link shaft 63 to be opened and closed. The link 65 is pivot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oor 61. A spring 66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nk 65 and a link roll 67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guide rails 68 are locat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dsorption box 41 and enable inclined movement for opening / closing, i.e., opening the door 61.

한편, 도 4(a)처럼 도어(61)의 개폐 동작시, 링크축(63) 상에 링크(65)에 설치된 스프링(66)에 의해 도어(61)는 폐쇄됨과 함께 회전판(47)의 관통공과 블로워(46)의 배출구가 일치되어 흡착박스(41)에 흡입력이 발생된다.(적재된 김(L) 중에서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할 때) 그리고 도 4(b)처럼 링크축(63) 상에 링크(65)에 설치된 링크롤(67)이 안내레일(68)의 경사를 타면서 링크축(63)으로부터 회동하여 도어(61)는 개방하여 흡착박스(41)상에 잔여하는 흡입력을 배출한다. 4 (a), when the door 61 is opened and closed, the door 61 is closed by the spring 66 provided on the link 65 on the link shaft 63,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blower 46 is aligned an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adsorption box 41. When only one of the laver L is loaded, The link roll 67 provided on the link 65 on the guide rail 63 is pivoted from the link shaft 63 while tilting the guide rail 68 to open the door 61 and remain on the suction box 41 The suction force is discharged.

이러한 도어(61)를 개폐하여 흡입력을 배출하는 개폐 동작은 인출유니트(40)의 작동, 즉 적재된 김(L)을 흡착박스(41)에서 한 장의 김(L)만을 정확하게 인출하여 이송유니트(70)로 전달하는 작동과 상호 연동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61 and discharging the suction force ar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drawing unit 40, that is, the operation of drawing the loaded lure L accurately from the suction box 41, 70).

또,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착박스(41)는 그 하면 상에 볼트(51)에 의해 장착되는 흡착판(50), 흡착판(50) 상에 김(L)이 공급되는 길이방향(ℓ)으로 위치하여 한 장의 김(L)만을 흡입하여 인출하는 흡입구(53)를 구비한다. 흡착박스(41)는 그 하면에 서로 연통되면서 볼트(51)에 의해 장착되는 흡착판(50)과, 흡착판(50)상에 한 장의 김(L)을 흡입하여 인출하도록 흡입구(53)로 구성된다. 즉 흡착판(50)은 도 1 및 도 5처럼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46)와 흡착박스(41)에 서로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바, 블로워(46)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이 흡착박스(41)를 통하여 흡착판(50)으로 공급된다. 흡착판(50)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53)를 구비한다. 이러한 흡입구(53)는 흡착판(50) 상에 김(L)이 공급되는 길이방향(ℓ)에 위치하도록 개재된다. 즉, 이는 기존의 김(L) 공급은 폭 방향으로 김을 공급함과 함께 이를 인출하였으나, 김의 흡착면이 넓어 김이 부서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김(L)이 공급되는 방향인 길이방향(ℓ)으로 흡입구(53)를 형성한다. 이러한 흡착판(50)과 흡입구(53)는 적재유니트(20)의 리프트(21)에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의 김(L)만이 인출하여 흡착할 수 있도록 김(L)의 최소면 만이 닿도록 형성되고, 그에 따른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ption box 41 is provided with a suction plate 50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with bolts 51, And a suction port 53 for sucking out only one piece of the lure L. The adsorption box 41 is composed of a suction plate 50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by bolts 51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uction port 53 for sucking and drawing one piece of the lure L on the suction plate 50 . 1 and 5, the suction plate 50 is communicated with the blower 46 and the suction box 41 that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blower 46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late 41 through the suction box 41, (50). The adsorption plate 5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53 so that only one piece of the lure L can be drawn out from the multi-layered laver. The suction port 53 is interpos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which the lure L is supplied onto the suction plate 50.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upply of the lime (L), the supply of the lime in the width direction was taken out, but occasionally the lime of the lime was often broken due to the broad absorption surface of the li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uction port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pe L is supplied. The suction plate 50 and the suction port 53 are formed so tha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is contacted so that only one lure L can be drawn out from the lure loaded on the lift 21 of the stacking unit 20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흡착판(50)은 김(L)과 접촉되는 양측의 모서리부 상에 김(L)의 최소면만을 접촉하도록 그 형상이 완곡면 또는 경사면 중에서 선택하거나 혼용하는 접촉면(56)(57), 접촉면(56)(57)의 사이에 김(L)이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58)을 구비한다. 흡착판(50)은 도 5처럼 김(L)의 최소면 만이 접촉되도록 접촉면(56)(57)과 비접촉면(58)으로 이루어지는데, 즉 접촉면(56)(57)은 김(L)으로부터 최소면만이 접촉되고, 비접촉면(58)은 접촉면(56)(57)의 사이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김(L)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ttracting 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act surface 56, which is selected or mixed from a round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contac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on the corners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lure L, Contact surface 58 in which no contact is mad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56 and the contact surface 57 between the contact surface 56 and the contact surface 58. [ The attracting plate 50 is composed of the contact surfaces 56 and 57 and the contactless surface 58 so tha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is in contact as shown in FIG. And the non-contact surface 58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56 and 57 in a stepped manner so that the contact surface 58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한편, 접촉면(56)(57)은 도 5b처럼 김(L)의 최소면만이 접촉되도록 완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완곡면과 경사면은 이를 각각 선택하여 형성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이를 서로 혼용해서 형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5b처럼 흡착판(50)에서 접촉면(56)(57)이 김(L)의 최소면만이 접촉됨과 함께 후술하는 흡입구(53)에 의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의 김(L)만 흡입하여 흡착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surfaces 56 and 57 are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a sloped surface so tha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surface L is in contact as shown in FIG. 5B. This can be formed by using them as needed. 5B, the contact surfaces 56 and 57 of the adsorption plate 5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and the lures L are stacked by the intake port 53, So that it can be sucked and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입구(53)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면서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혼용하여 구비한다. 흡입구(53)는 도 6처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데, 이는 한 장의 김(L)만을 흡입하여 인출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 형성 가능하다. 도면에서처럼 흡입구(53)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들을 각각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5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outlets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53 is circular, elliptical, rectangular, rectangular, or polygonal. The suction port 53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6.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53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ction port 53 in a range that can suck and draw only one piece of the lure 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53 may be circular, elliptical, rectangular, rectangular, polygonal,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에 따라, 흡착판(50)은 김(L)이 공급되는 길이방향(ℓ)으로 흡입구(53)를 형성함과 함께 접촉면(56)(57)을 통하여 김(L)의 최소면만이 접촉할 수 있도록 흡착하여 흡입함으로 김의 손상이 적을 뿐만 아니라, 다음 공급되는 김(L)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 한 장의 김(L)만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원활한 공정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ction plate 50 forms the suction port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which the lure L is supplied, and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can contact through the contact surfaces 56 and 57 So that the damage of the steam is reduced and the steam (L) supplied next is not affected at all. Thus, only one steam (L) can be supplied quickly and stably to induce a smooth process flow.

본 발명에 다른 이송유니트(70)는 상기 인출유니트(40)에서 인출된 한 장의 김(L)을 컨베이어(71)를 통하여 김(L)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흡착로(73)와 블로워(75)를 구비한다. 이송유니트(70)는 도 1처럼 인출유니트(40)에서 인출된 한 장의 김(L)을 컨베이어(71)를 전달 받아 후속유니트로 이송한다. 인출유니트(40)에 근접하게 설치된 컨베이어(71)는 2열로 설치되어 김(L)을 후속된 유니트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유니트(70)는 한 장의 김(L)을 전달 받기 위해 컨베이어(71), 흡착로(73), 블로워(75)로 구성된다. 컨베이어(71)는 인출유니트(40)에 근접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흡착로(73)는 인출유니트(40)의 흡착판(50)으로부터 인출된 김(L)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흡입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흡착로(73)는 블로워(75)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한 장의 김(L)을 전달받아 컨베이어(71)를 통해 후속유니트로 이송한다.The conveying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ath 73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lure L through a conveyor 71 and a blower 75 . The conveying unit 70 receives the conveyor 71 from the drawing unit 40 and conveys the laver L to the conveying unit 70 as shown in FIG. The conveyor 71 installed close to the drawing unit 40 is installed in two rows and conveys the laver L to the succeeding unit. The conveying unit 70 includes a conveyor 71, an adsorption furnace 73, and a blower 75 for receiving a single piece of lime L. The conveyor 71 is driven by the motor in the vicinity of the drawing unit 40 and the suction path 73 generates a suction force so as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lure L drawn out from the suction plate 50 of the drawing unit 40 do. The adsorption furnace 73 is connected to the blower 75 by a pipe and receives a piece of the lime L and transfers it to the following unit via the conveyor 7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에 있어 비교적 기구적으로 단순화를 기반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구동이 원활하고 소음과 고장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에 있어 다층으로 적재된 김으로부터 한 장씩만을 인출하는 작동에 따른 정확성, 신속성,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고, 김 부스러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이를 포집/수집하여 비산에 의한 장치 손상은 물론 생산현장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imple operation based on a comparatively mechanical simplicity in manufactur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at is smooth in driving, does not cause noise and trouble, Accuracy, spe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product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t can be collected / collected in the process of exhausting debris, so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oduction site clean at all times as well as damage the device by scattering.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공급유니트 11: 밀대 15: 컨베이어
16: 모터 20: 적재유니트 21: 리프트
25: 모터 27: LM블록 28: LM레일
30: 홀딩유니트 31: 홀딩판 35: 홀딩실린더
40: 인출유니트 41: 흡착박스 42: 로드
43: 캠링크 46: 블로워 48: 집진관
49: 포집망 50: 흡착판 53: 흡입구
56,57: 접촉면 58: 비접촉면 60: 도어
65: 링크 66: 스프링 67: 링크롤
68: 안내레일 70: 이송유니트 71: 컨베이어
73: 흡착로 75: 블로워 L: 김
ℓ: 김의 길이방향
10: supply unit 11: pusher 15: conveyor
16: motor 20: stacking unit 21: lift
25: motor 27: LM block 28: LM rail
30: holding unit 31: holding plate 35: holding cylinder
40: drawing unit 41: suction box 42: rod
43: cam link 46: blower 48: dust collector tube
49: Collecting net 50: Suction plate 53: Suction port
56,57: contact surface 58: non-contact surface 60: door
65: link 66: spring 67: link roll
68: guide rail 70: conveying unit 71: conveyor
73: Adsorption furnace 75: Blower L: Kim
ℓ: Longitudinal direction of Kim

Claims (6)

다층으로 적재된 김(L)을 한 장씩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김(L)을 밀대(11)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5)와 모터(16)를 구비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적재된 김(L)을 적재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21)와 모터(25)를 구비하고, 리프트(2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LM블록(27)과 LM레일(28)을 구비하는 적재유니트(20);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리프트(21)로부터 잔여한 김(L)을 적재하는 홀딩판(31)과 홀딩실린더(35)를 구비하는 홀딩유니트(30);
상기 적재유니트(20)에서 한 장의 김(L)만을 인출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흡착박스(41)를 구비하고, 흡착박스(41)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42), 캠링크(43), 모터(45)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46), 회전판(47)을 구비하는 인출유니트(40); 및
상기 인출유니트(40)에서 인출된 한 장의 김(L)을 컨베이어(71)를 통하여 김(L)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흡착로(73)와 블로워(75)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출유니트(40)는 블로워(46)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흡착박스(41)에 의해 흡착된 김(L)으로부터 발생되는 김 부스러기를 집진하는 집진관(48), 집진관(48)으로부터 배출되는 김 부스러기를 포집하여 수거하는 포집망(49)을 구비하고,
상기 인출유니트(40)는 흡착박스(41)의 상면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도어(61), 도어(61)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회동하는 링크축(63), 도어(61)의 양측으로 연계하여 회동하는 링크(65), 링크(65)에서 도어(61)의 개폐를 단속하는 스프링(66)이 탄지된 링크롤(67), 흡착박스(41)의 진행방향으로 도어(61)를 개폐시키도록 경사운동 가능한 안내레일(68)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박스(41)는 그 하면 상에 볼트(51)에 의해 장착되는 흡착판(50), 흡착판(50) 상에 김(L)이 공급되는 길이방향(ℓ)으로 위치하여 한 장의 김(L)만을 흡입하여 인출하는 흡입구(53)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판(50)은 김(L)과 접촉되는 양측의 모서리부 상에 김(L)의 최소면만을 접촉하도록 그 형상이 완곡면 또는 경사면 중에서 선택하거나 혼용하는 접촉면(56)(57), 접촉면(56)(57)의 사이에 김(L)이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1. An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laid-on-demand (L)
A feeding unit 10 having a conveyor 15 and a motor 16 for conveying the laid L to the platen 11;
The LM block 27 and the LM 27 are provided with a lift 21 and a motor 25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laver L mounted on the supply unit 10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 21, A loading unit (20) having a rail (28);
A holding unit 30 having a holding plate 31 and a holding cylinder 35 for storing the remaining lubrication from the lift 21 in the loading unit 20;
And a suction box 41 for drawing out only one piece of lure L from the loading unit 20 and transporting the s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d 42, the cam link 43, A blower 46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the motor 45, a drawing unit 40 having a rotary plate 47; And
A conveyance unit 70 having a suction path 73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lure L through a conveyor 71 and a blower 75, the one lance L drawn out from the drawing unit 40; , ≪ / RTI >
The drawing unit 40 includes a dust collecting pipe 48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lower 46 and collects the debris generated from the lure L adsorbed by the adsorption box 41, And a collection net (49) for collecting the collected debris,
The drawing unit 40 includes a door 61 for discharging the suction force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box 41, a link shaft 63 for rotating the door 61 to gu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61, A link 65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k 65 and a link roll 67 in which a spring 66 for interrup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61 is fixed on the link 65; And a guide rail 68 which can be inclined to open and close,
The adsorption box 41 is provided with a suction plate 50 moun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ith bolts 51 and a pair of rods L And a suction port 53 for sucking out only the suction port 53,
The attracting plate 50 i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56 and 57 for selecting or combining the shape of the convex surface or the inclined surface so as to contact only the minimum surface of the lure L on the corners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lure L, And a non-contact surface (58) in which the lips (56) and (57)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53)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면서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혼용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ort (5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suction port (53)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53) is circular, elliptical, rectangular, rectangular or polygonal.
KR1020160127176A 2016-10-01 2016-10-01 The laver feeder device KR101862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76A KR101862470B1 (en) 2016-10-01 2016-10-01 The laver feed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76A KR101862470B1 (en) 2016-10-01 2016-10-01 The laver feed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78A KR20180037078A (en) 2018-04-11
KR101862470B1 true KR101862470B1 (en) 2018-05-29

Family

ID=619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176A KR101862470B1 (en) 2016-10-01 2016-10-01 The laver feed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4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71B1 (en) * 2019-12-12 2021-01-06 강신탁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laver
KR20220162290A (en)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모엔 Transfer apparatus for paper b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508B1 (en) * 2019-12-12 2022-02-22 씨제이제일제당 (주) Manufacturing device of spring ro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07B1 (en) * 2007-11-20 2008-02-29 정재강 Apparatus for producing spliced laver by peicing sheets of laver
KR101450445B1 (en) * 2013-04-23 2014-10-13 강신탁 The laver feed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07B1 (en) * 2007-11-20 2008-02-29 정재강 Apparatus for producing spliced laver by peicing sheets of laver
KR101450445B1 (en) * 2013-04-23 2014-10-13 강신탁 The laver feed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71B1 (en) * 2019-12-12 2021-01-06 강신탁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laver
KR20220162290A (en)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모엔 Transfer apparatus for paper bag
KR102517315B1 (en) * 2021-06-01 2023-04-03 주식회사 모엔 Transfer apparatus for pape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78A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70B1 (en) The laver feeder device
KR101238176B1 (en) Automatic devices for harvesting mushroom in a bottle
JP61894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substantially flat workpiece from the top of the stacked workpieces
GB2474727A (en) Reversing the orientation of gloves to be stacked
KR101450445B1 (en) The laver feeder device
CN205471311U (en) A get material system automatically that is used for breakage of polycrystalline silicon silicon rod to process
CN105905605B (en) A kind of electronic product material automatic transportation production line
JP2013216446A (en) Cleaning device
EP3578702A1 (en) Cloth stretching apparatus
JP2008200744A (en) Destack feeder
KR101834643B1 (en) Loading and withdrawing apparatus of the laver feeder device
JP5934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acking sliced food
KR101158172B1 (en) Apparatus for supply laver
KR101663934B1 (en) Automatic sorting and feeding device
CN206813952U (en) Battery pole plates prefabricated card-inserting device
CN116038742A (en) Express sorting manipulator
US2895587A (en) Egg cracking mechanism
CN209795940U (en) Gloves are horizontal to be got and are got device
CN206375435U (en) Sorting positioning feeder
CN206622699U (en) Sheet pack releases line system
JPH10167237A (en) Drawing-out device of cup packaging bag
KR102349904B1 (en) Laver supply apparatus
CN220946897U (en) Paper box cutting machine
CN215854037U (en) Bottle unscrambler
JPS63281939A (en) Automatic opening and delivery apparatus for corrugated cardboar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