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81B1 -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81B1
KR101862181B1 KR1020110120907A KR20110120907A KR101862181B1 KR 101862181 B1 KR101862181 B1 KR 101862181B1 KR 1020110120907 A KR1020110120907 A KR 1020110120907A KR 20110120907 A KR20110120907 A KR 20110120907A KR 101862181 B1 KR101862181 B1 KR 10186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mage processing
image
output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551A (ko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28,596 priority Critical patent/US9019404B2/en
Publication of KR2012006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28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고속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링 픽셀 분의 감소에 의한 시야율의 저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위해 원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라인마다 독출하고, 상기 라인마다 출력하는 독출부(51)와, 상기 라인이 입력되어, 해당 라인마다 화상처리에 따른 링 픽셀을 부가한 후에 상기 화상처리를 하고, 화상처리 후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처리부(52)와,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이 입력되어, 해당 화상처리 후 라인에 대해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변환후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변환부(53)와, 상기 독출부(51)로부터 상기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부(52)로부터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출력 타이밍 제어부(57)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본 발명은, 화상처리를 행했을 때에 링(Ring) 픽셀 분만큼 화소가 감소하는 것에 의해 시야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생성할 때에 촬상 소자로부터 삽입된 베이어(bayer) 데이터(원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YUV 데이터로의 변환, 노이즈 리덕션이나, 에지 강조 등의 화상보정 등의 각 화상처리 및 확대, 축소, 카피 등의 각종 화상변환을 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처리를 행할 경우,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라인마다 순차 화상처리부로 입력해서 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처리를 할 때는, 복수의 화소를 참조하여 하나의 새로운 화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고, 그 경우, 원화상 데이터에 아무런 대책을 행하지 않고 화상처리를 하면, 도 4의 왼쪽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픽셀이라고 불리는 원화상 데이터의 주위의 분만큼 작아진 상태에서 처리 후에 화상 데이터를 얻게 된다. 이렇게 입력 화상에 대해서 화상처리후의 출력 화상이 작아져 시야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4의 오른쪽 도면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화상 데이터의 주위에 화상처리로 소실되는 링 픽셀 분만큼 원화상 데이터의 주위에 대해서 부가한 픽셀인 링픽셀 틀을 화상처리전에 구비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같은 화소수의 출력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처리 이외에, 예를 들어, 입력된 화상을 2배로 확대하는, 픽셀 카피라고 하는 화상변환도 화상처리후에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화상처리, 및 화상변환이 연속으로 행해지는 경우의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SDRAM(4A)에 원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상기 SDRAM(4A)으로부터의 원화상 데이터를 라인마다 독출하는 입력 DMA(Direct Memory Access)(51A)(이하, 독출부)과, 상기 독출부(51A)에 의해 독출된 라인에 대해서 각종 화상처리를 하는 직결해서 구비되는 제1필터(53A), 제2필터(54A), 제3필터(55A)로 이루어지면서 화상처리 후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처리부(52A)와, 상기 화상처리부(52A)와 직결해서 구비되어, 상기 화상처리후 라인을 확대 또는 카피하는 화상변환부(56A)(Resize)과, 확대 또는 카피된 라인을 상기 SDRAM(4A)에 기억시키는 출력부인 출력DMA(58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상변환부(56A)는, 라인을 확대할 때에 예를 들어, 1라인에 대해서 2라인을 출력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입력보다도 출력하여 상기 SDRAM(4A)에 기억시키는 데에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 이러한 화상변환부(56A)에 있어서 출력 중에 새로운 라인 입력이 수행되면,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리므로, 출력이 끝나고 나서 상기 화상변환부(56A)에 다음 연산에 필요한 라인이 입력되도록 타이밍을 리퀘스트하는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상기 독출부(51A)로 입력하고 있다. 이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서, 상기 독출부(51A)가 새로운 라인을 독출하면, 상기 제1필터(53A)에 그 라인이 입력되고, 차례차례로 제2필터(54A), 제3필터(55A)로 입력되어서 화상처리가 수행된 후, 상기 화상변환부(56A)로 새로운 라인이 입력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6에서 도시한 링 픽셀 틀 중 하측의 링 라인에 관해서 데이터의 분출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독출부(51A)가 원화상 데이터의 하단의 라인을 독출하면, 상기 SDRAM(4A)에는 하측의 링 라인의 데이터는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독출부(51A)에 리퀘스트가 있어도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하측의 링 라인에 대응하는 분출 동작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화상처리부(52A)에 대해서, 상기 화상변환부(56A)를 직결하는 구성을 중단하면, SDRAM의 밴드 폭을 삭감할 수 없어, 화상처리에 관련되는 동작의 고속화의 달성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처리부에 대해서 화상변환부를 직결한 구성에 의해 메모리의 밴드 폭을 삭감하고, 고속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링 픽셀 분의 감소에 의한 시야율의 저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처리 장치는, 원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부와, 상기 라인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라인마다 화상처리에 따른 링 픽셀을 부가한 후에 상기 화상처리를 하고,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이 입력되면,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에 대해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변환부와, 상기 독출부에서 상기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상기 화상처리후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출력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 방법은, 원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화상 데이터 저장 과정과,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 과정과, 상기 라인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라인마다 화상처리에 따른 링 픽셀을 부가한 후에 상기 화상처리를 하고,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처리 과정과,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이 입력되어, 상기 화상처리후 라인에 대해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변환 과정과, 상기 독출 시에 상기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 후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출력 타이밍 제어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화상처리 장치, 화상처리 방법에 따르면, 고속화상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링 픽셀의 감소에 의한 시야율의 저하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상처리 장치가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화상처리의 타이밍에 대해서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종래의 링 픽셀의 감소에 의해 시야율의 저하에 대해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종래의 링 픽셀 틀을 원화상에 구비한 경우의 화상처리 공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화상처리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화상처리 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탑재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베이어 데이터를 YUV데이터로 변환할 때의 각종 화상처리 및 확대, 카피 등의 화상변환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는 렌즈(1)을 통해서, CCD(2)위에 결상되고, 그 상을 전기 신호로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부(Analog-Front End :AFE)(3)로 보내진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부(3)에서는 우선, 자동 게인 컨트롤부(Automatic Gain Control: AGC)(31)에 의해, 신호가 증폭되어, AD 컨버터(3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베이어 데이터)은 SDRAM(4)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베이어 데이터의 화상은, 이미지 프로세서(5)에서 YUV화상으로 변환된 후, 화상압축부(6)에 순서대로 보내져서, 예를 들어, 화상압축부(6)에서 JPEG형식으로 부호화된다. 부호화된 압축 화상은 메모리카드(7)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시된 각 구성부가 협업함으로써 상기 화상처리 장치 200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5)는 도 2의 화상처리부(52) 및 화상변환부(56)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상처리 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인 SDRAM(4)(이하,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 입력DMA(51), 화상처리부(52), 화상변환부(56), 출력 타이밍 제어부인 리퀘스트 제어(57)(이하, 출력 타이밍 제어부) 및 출력DMA(58)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는, 원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CCD(2)로부터 변환된 피사체의 화상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부(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화상인 베이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인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입력DMA(51)은, 독출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 MPU(Micro Processor Uint)를 통하지 않고 액세스하여,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상기 화상처리부(52)에 입력한다. 이 입력DMA(51)은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로부터 리퀘스트가 있었을 경우에, 원화상 데이터를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1라인 또는 복수 라인마다 독출하여, 상기 화상처리부(52)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처리부(52)는, 상기 입력DMA(51)에 의해 독출된 라인에 대해서 각종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화상처리후 라인을 후속의 상기 화상변환부(56)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화상처리부(52)는, 3개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필터(53)(filter1)는 베이어 데이터로부터 YUV데이터로의 변환, 제2필터(54)(filter2)는 노이즈 리덕션, 제3필터(55)(filter3)는 에지 강조의 보정 등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 3개의 필터는 직렬로 직결되어 있고, 각 필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직접 다음 공정의 필터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각 필터에 있어서 복수 픽셀의 화소에 근거하여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고, 그대로 입력된 화상에 대해서 처리를 행하면 그만큼 화소가 감소해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각 필터에 있어서, 링 픽셀을 입력된 라인에 대해서 부가하도록 하고 있고, 링 픽셀의 하측부분의 라인을 하측 링 라인이라고 본 실시예에서는 칭한다. 부가하여, 상기 제1필터(53), 제2필터(54), 제3필터(55)에 있어서 부가되는 하측 링 라인의 라인수를 L1, L2, L3이라고 칭한다. 또한, 각 필터에는 처리에 필요한 수의 라인을 기억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56)(Resize)는, 상기 화상처리부(52)에 대해서, 직접 연결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라인을 확대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화상변환부(56)는, 예를 들어 1라인의 입력에 대해서 2라인의 출력을 행하는 것이며, 출력된 라인은, 상기 출력DMA(58)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 보존된다.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Request 제어)는, 상기 제3필터(55)의 출력 라인수를 관측하여, 상기 화상변환부(56)에 대해서 라인이 입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상기 화상변환부(56)가 라인을 확대 또는 카피하는 것일 경우, 출력이 완료할 때까지 새로운 입력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출력 타이밍 제어부(57)는, 상기 입력DMA(51) 및 상기 화상처리부(52)의 각 필터에 대해서 라인을 언제 출력할지에 대해서 그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의 구체적인 동작으로써,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는, 입력DMA에 해당하는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될 때까지는, 상기 독출부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된 후는, 상기 화상처리부(52)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은, 상기 화상변환부(56)가 축소 처리, 즉, 입력된 라인수보다도 적은 라인수를 출력할 경우에는, 특별히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화상변환부(56)로의 입력대기가 없으므로, 연속해서 라인을 입력하면 되고, 각 필터의 블록은, 입력되는 라인이 없어진 것을 검출해서 각 하측 링 라인을 다음 필터 또는 화상변환부(56)에 입력하도록 구성해 두면 된다. 즉, 제1필터(53)이면, L1분의 하측 링 라인을 순차, 다음 제2필터(54)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56)가 확대 처리 또는 카피를 행하는, 즉, 1라인 입력에 대해서 1라인 출력이상이 행해질 경우에는,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출력될 때까지의 동안은, 상기 입력DMA(51)의 라인의 독출, 및 그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상변환부(56)에서 출력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면, 다음 라인을 독출하도록 입력DMA(51)에 리퀘스트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 후, 각 필터에 있어서 부가되는 링 픽셀 틀에 맞추어, 각 하측 링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56)까지 입력되도록, 제1필터(53), 제2필터(54), 제3필터(55)의 순으로 각 하측 링 라인을 출력하는 리퀘스트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리퀘스트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그 순번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원화상 데이터를 분할한 라인수인 입력 라인수를 A, 상기 제3필터(55)로부터 지금까지 출력된 출력 라인수를 B, 각 필터에 있어서의 하측 링 라인의 수를 L1, L2, L3이라고 한 경우, A-(L1+L2+L3)≤B <A-(L2+L3)의 사이에 출력 라인수 B가 있을 때는, 상기 제1필터(53)로부터 하측 링 라인을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출력하도록 리퀘스트한다. 이어서 A-(L2+L3)≤B <A-L3의 사이에 출력 라인수 B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은, 상기 제2필터(54)에 하측 링 라인을 위에서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리퀘스트한다. 마지막으로, A-L3≤B <A의 사이에 출력 라인수 B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3필터(55)에 하측 링 라인을 위에서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리퀘스트한다.
이렇게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57)가 동작하므로, 상기 입력 타이밍 및 각 필터의 입출력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도 3처럼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처리 장치 200에 따르면, 링 픽셀 틀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처리부(52)인 각 필터 처리의 출력을 직접 확대 처리 등이 행해지는 화상변환부(56)에 입력하여, 확대 처리 등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원화상으로부터 화상처리를 행한 후 확대 화상으로 변환해도, 확대 화상의 시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4)의 밴드 폭을 삭감하여, 고속으로 소비 전력을 억제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모든 라인이 독출된 후에 대해서도, 상기 화상처리부에 대해서 라인의 출력을 요구할 수 있고, 상기 화상처리부에 있어서 부가되는 링 픽셀 분의 라인에 대해서도 상기 화상변환부에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출력 타이밍이 제어되고 있으므로, 확대 또는 카피라고 한 1라인의 입력에 대해서 1라인이상의 출력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출력 도중에 새로운 입력이 있어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부에 대해서 직렬로 직접 연결되는 상기 화상변환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화상처리부에서의 처리 결과를 우선 메모리 등에 기억시켜서 다시 화상변환을 행하기 위해서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메모리의 밴드 폭을 삭감하여, 고속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 이외에 그 밖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터에 의한 화상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필터의 수는 도 2에서의 필터 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이거나 1개이어도 된다. 즉, 화상처리부에 대해서 화상변환부가 직결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그 밖의 화상처리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탑재해도 상관없다. 그 외, 본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나 실시예의 조합을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200 화상처리 장치
4 원화상 데이터 기억부
51 독출부
52 화상처리부
56 화상변환부
57 출력 타이밍 제어부

Claims (12)

  1. 화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독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라인마다 링 픽셀을 부가한 후에 화상처리된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처리부;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에 대해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라인을 출력하는 화상변환부; 및
    상기 독출부에서 상기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출력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분할한 입력 라인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부터 출력된 출력 라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각각에 있어서의 링 픽셀의 하측부분의 라인인 하측 링 라인 수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화상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될 때까지 상기 독출부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된 후에는, 상기 화상처리부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독출부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됨에 따라 상기 화상변환부에서 출력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면, 다음 라인을 독출하도록 상기 독출부에 리퀘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출력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리퀘스트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원화상 데이터를 1라인 또는 복수 라인마다 독출하여,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하는 DMA(Direct Memory 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변환부는,
    상기 화상처리부와 직렬로 직접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메모리에 원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독출부로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부로 출력하는 동작;
    상기 화상처리부로 입력되는 라인마다 링 픽셀을 부가한 후에 화상처리된 라인을 화상변환부로 출력하는 동작;
    상기 화상변환부로 입력되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에 대해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라인을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독출된 라인이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로 출력되는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독출된 라인이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분할한 입력 라인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부터 출력된 출력 라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각각에 있어서의 링 픽셀의 하측부분의 라인인 하측 링 라인 수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밍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라인이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될 때까지 상기 독출된 라인이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독출된 후에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라인이 상기 화상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이 상기 화상변환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화상변환부에서 상기 화상처리된 라인에 대애서 확대 또는 카피를 행한 라인의 출력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독출된 라인의 다음 라인을 독출하도록 리퀘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독출부로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부로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하나 이상의 라인마다 화상처리한 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방법.
  12. 삭제
KR1020110120907A 2010-12-20 2011-11-18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KR1018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28,596 US9019404B2 (en) 2010-12-20 2011-12-16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mage degra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3454 2010-12-20
JP2010283454A JP2012134648A (ja) 2010-12-20 2010-12-20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551A KR20120069551A (ko) 2012-06-28
KR101862181B1 true KR101862181B1 (ko) 2018-07-05

Family

ID=4664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07A KR101862181B1 (ko) 2010-12-20 2011-11-18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34648A (ko)
KR (1) KR1018621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265A (ja) * 2003-02-24 2004-09-16 Nikon Corp 画素の折り返し機能を有する画素抽出回路、および撮像装置
JP2010153942A (ja) * 2008-12-23 2010-07-08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265A (ja) * 2003-02-24 2004-09-16 Nikon Corp 画素の折り返し機能を有する画素抽出回路、および撮像装置
JP2010153942A (ja) * 2008-12-23 2010-07-08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551A (ko) 2012-06-28
JP2012134648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25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image capture method in which an image is processed by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devices
JP4508132B2 (ja) 撮像装置、撮像回路、および撮像方法
US81941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uff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294689A (ja) 撮像装置、撮像回路、および撮像方法
RU2394388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JP4636755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5793716B2 (ja) 撮像装置
KR101364050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35826A (ko) 화상처리장치, 그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촬상 장치 및 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8009645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712454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18929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080860A (ja) カメラ及びカメラ画像転送システム
JP201002875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5117217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862181B1 (ko)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JP5011289B2 (ja) 撮像装置
US90194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mage degradation
JP424271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646745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9142836A1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復号プログラム
JP481612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0354193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4137663B2 (ja) 映像生成装置および映像生成プログラム
JP4250511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