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68B1 -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68B1
KR101862168B1 KR1020170171025A KR20170171025A KR101862168B1 KR 101862168 B1 KR101862168 B1 KR 101862168B1 KR 1020170171025 A KR1020170171025 A KR 1020170171025A KR 20170171025 A KR20170171025 A KR 20170171025A KR 101862168 B1 KR101862168 B1 KR 10186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mposition
concrete
thickener
self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
윤섭
최훈국
김강민
이한용
김정빈
유성철
윤일상
하주형
임창근
한승철
김삼수
서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표산업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표산업,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표산업
Priority to KR102017017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1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이 높고 재료분리가 억제되며, 거푸집 내 밀실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콘크리트 조성물 1㎥ 기준으로 결합재 430~490kg; 배합수 170~180kg; 굵은골재 768~800kg; 잔골재 909~959kg; 을 포함하여 조성되되, 상기 결합재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30~80wt%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20~70wt%로 조성되고, 고성능감수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0~1.4wt% 첨가되고,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90~97wt% 및 증점제 3~10wt%가 혼합된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1~1.4wt% 첨가되어, 슬럼프플로우 600~700mm, T50 2.0~5.0, 소성점도 40pa·s 이하 및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이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Self-filling high flowable concre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동성이 높고 재료분리가 억제되며, 거푸집 내 밀실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는, 고유동 콘크리트가 ‘굳지않은 상태에서 재료분리 없이 높은 유동성을 가지면서 다짐작업 없이 자기 충전성이 가능한 콘크리트’라고 명시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고유동 콘크리트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의미가 사실상 동일하며, 상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상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은 아래 [표 1]과 같다.
자기충전성 등급 철근간격(mm) 콘크리트 품질
슬럼프플로우(mm) T50
1등급 35~60
600 이상
5~20
2등급 60~200 3~15
3등급 200 이상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또는 부재)은 자기충전성 등급을 2등급(T50 5~20초)으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미국 ACI 규정에서는 T50 관련하여 2초 이내면 점도가 낮고, 5초 이상이면 점도가 높다고 표현하고 있다.
캐이슨(Caisson)은 수중 구조물이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만들어진 중공형태의 구조물로, 자중 또는 외력을 가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침하시킨다. 바닥이 없는 원통모양의 상자 내부를 굴착하면서 침하시키는 오픈 캐이슨, 하부에 기밀한 작업공간을 만들고 그 속에 압축공기로 지하수를 배제하면서 인력 또는 특수한 기계를 이용하여 침하시키는 뉴메틱 캐이슨 등이 있다.
상기 캐이슨은 철근 콘크리트, 강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철근 콘크리트 캐이슨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 역시 철근 콘크리트 캐이슨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캐이슨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기충전성이 1등급 보다 더 우수해야 하고, 동시에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기초 구조물로 50MPa 이상의 고강도가 발현되야 하는 난점이 있다.
1. 등록특허 제1360823호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용 충전재 조성물" 2. 등록특허 제1750830호 "저점성 저발열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저점성 저발열 매스 콘크리트 조성물" 3. 등록특허 제1777593호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용 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본 발명은 종래의 고유동 콘크리트 보다 T50 성능이 향상되면서, 재료분리가 억제되는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슬럼프플로우 600~700mm, T50 2.0~5.0초, 소성점도 40pa·s 이하 및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이상이 발현되어, 철근콘크리트 캐이슨 구조물 제작에 활용 가능한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단위용적 1㎥ 기준으로 결합재 430~490kg; 배합수 170~180kg; 굵은골재 768~800kg; 잔골재 909~959kg; 을 포함하여 조성되되, 상기 결합재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30~80wt%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20~70wt%로 조성된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에, 고성능감수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0~1.4wt% 첨가되고,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90~97wt% 및 변성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변성구아검이 혼합된 증점제 3~10wt%가 혼합된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1~1.4wt% 첨가되며, 소다라임 글라스를 입도 16~65㎛의 구형으로 가공한 재료분리 방지재가 상기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 대비 4wt% 이하(0wt% 제외) 첨가되어, 슬럼프플로우 600~700mm, T50 2.0~5.0초, 소성점도 40pa·s 이하 및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이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이슨 제작용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이 향상되면서, 재료분리는 억제되어 밀실하게 충전된 캐이슨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위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상 고유동 콘크리트의 자기충전성 1등급 기준은 슬럼프플로우 600mm 이상, T50 5~20초이다.
다만, 수중 구조물이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한 캐이슨을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할 때에는 위와 같은 자기충전성 1등급의 고유동 콘크리트를 적용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밀실한 충전이 어려우며, 재령 28일 압축강도가 50MPa 이상 소요되는 등의 조건도 부가된다. 즉, 아래 [표 2]와 같은 물성이 발현되는 자기충전 콘크리트가 요구되며, 이러한 초고유동성이 발현되면서도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항 목 목표 성능 기준
유동성 슬럼프플로우(mm) 650±50
내구성 재령 28일 압축강도(MPa) 50 이상
충전성 T50(초) 2.0~5.0
소성점도(pa·s) 40 이하
이에 본 발명은 「단위용적 1㎥ 기준으로 결합재 430~490kg; 배합수 170~180kg; 굵은골재 768~800kg; 잔골재 909~959kg; 을 포함하여 조성되되, 상기 결합재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30~80wt%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20~70wt%로 조성된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에, 고성능감수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0~1.4wt% 첨가되고,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90~97wt% 및 변성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변성구아검이 혼합된 증점제 3~10wt%가 혼합된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1~1.4wt% 첨가되며, 소다라임 글라스를 입도 16~65㎛의 구형으로 가공한 재료분리 방지재가 상기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 대비 4wt% 이하(0wt% 제외) 첨가되어, 슬럼프플로우 600~700mm, T50 2.0~5.0초, 소성점도 40pa·s 이하 및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이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이슨 제작용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출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일반적으로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도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조건에 맞추어 아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조성물(비교예 1)을 배합설계하였다.
구분 단위용적질량(1㎥ 당 kg) AD
(Bwt%)
W OPC S/P Binder S G20
비교예1 50MPa 170 490 - 490 922 800 1.4
W : 물 OPC :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S/P : 고로슬래그 미분말 S : 직경 5mm 이하 잔골재
G20 : 직경 20mm 굵은골재 AD : 고성능 감수제
구 분 슬럼프플로우
(mm)
T50
(초)
압축강도(MPa)
7일 28일
비교예 1 50MPa 655 8.8 51.3 56.6
상기 비교예 1은 위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축강도면에서 목표 성능 기준을 충족하였으나 T50 측정값이 8.8초이므로, 자기충전성(고유동성) 목표 기준인 T50 2.0~5.05초 범위가 충족되지 않아 OPC의 일부를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치환함으로써 유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아래 [표 5]와 같이 OPC의 20~70wt%를 유동성 개선 효과가 있는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치환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과 재령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시험 결과는 아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 분 단위용적질량(1㎥ 당 kg ) AD
(Bwt%)
W OPC S/P Binder S G20
실시예 1 S/P 20wt% 170 392 98 490 918 797 1.3
실시예 2 S/P 45wt% 170 294 196 490 914 793 1.1
실시예 3 S/P 70wt% 170 196 294 490 909 789 0.9
구 분 슬럼프플로우
(mm)
T50
(초)
압축강도(MPa)
7일 28일
실시예 1 S/P 20wt% 655 7.2 53.3 62.5
실시예 2 S/P 45wt% 660 5.7 55.7 67.2
실시예 3 S/P 70wt% 670 5.5 54.4 68.0
실시예 1~3 모두 재령 28일 기준 목표강도를 모두 만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교예 1보다도 10.4~20.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목표 압축강도(재령 28일 50MPa 이상) 발현 범위 내에서 분체량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T50 성능이 목표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위수량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변화를 시험하였다.
아래 [표 7]은 위의 실시예 2를 기준으로 배합수량을 단위용적 1㎥ 당 170~190kg 범위에서 변화를 주면서 콘크리트 물성 시험을 진행하였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 결과는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 분 단위용적질량(1㎥ 당 kg ) AD
(Bwt%)
W OPC S/P Binder S G20
실시예 2 W 170 170 294 196 490 914 793 1.1
실시예 4 W 180 180 294 196 490 899 793 1.0
실시예 5 W 190 190 294 294 490 885 768 1.0
구 분 슬럼프플로우(mm) T50(초)
실시예 2 W 170 660 5.7
실시예 4 W 180 685 4.2
실시예 5 W 190 625 4.8
실시예 4, 5 모두 T50 목표기준은 만족하나, 실시예 5의 경우 단위수량 증가에 의해 점성 감소로 인해 유동성능이 다소 저감되고, 재료분리 가능성도 높아지므로 배합수량은 단위용적 1㎥ 당 170~180kg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연하면,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잉여페이스트의 양과 상태에 의해 좌우되는데, 잉여 페이스트의 양은 충분한 상태이고 점도가 높으면 페이스트와 골재간의 마찰력(결합력)이 높아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저하되고, 페이스트의 점도가 적정수준 보다 낮으면 마찰력이 감소하여 페이스트와 골재간의 재료분리가 발생한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4와 같이 배합수량이 단위용적 1㎥ 당 170~180kg인 경우 페이스트와 골재가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플로우를 형성하였으나, 배합수량을 단위용적 1㎥ 당 190kg까지 증가시킨 경우에는 수량 증가에 의해 페이스트의 점성이 감소하여 플로우를 형성할 때 페이스트와 골재간의 마찰력이 너무 감소하여 페이스트가 골재를 이끌고 이동하지 못하여 플로우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로우 중앙부분에 골재가 다소 쌓이는 골재와 페이스트간의 재료분리 현상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재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를 검토하였다.
한편, 위의 실시예 1~3에서 목표 압축강도 기준을 상회하는 결과가 도출되어, 아래 [표 9]와 같이 분체량(결합재량)을 저감시킨 실시예 6을 기준으로, 다양한 증점제를 바꾸어 적용하면서 콘크리트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 분 단위용적질량(1㎥ 당 kg )
W OPC S/P Binder S G20
실시예 6 S/P 45wt% 170 236 194 430 959 800
구 분 혼화제비율(wt%) 혼화제
사용량
(Bwt%)
실험결과
폴리카르
본산계
증점제 슬럼프플로
(㎜)
T50
(초)
소성점도
(pa·s)
압축강도
(28일, ㎫)
증점제 1
(변성전분)
97 3 1.1 685 4.0 - -
증점제 2
(변성전분)
97 3 1.1 675 3.9 - -
증점제 3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97 3 1.1 680 4.1 - -
증점제 4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97 3 1.1 675 3.8 - -
증점제 5
(변성구아검)
97 3 1.1 685 3.9 - -
증점제 6
(변성전분)
97 3 1.1 685 4.4 - -
증점제 7
(증점제 2+4+5)
97 3 1.1 675 3.2 28.5 60.6
증점제 8
(증점제 2+4+5)
95 5 1.2 685 3.8 27.0 60.1
증점제 9
(증점제 2+4+5)
93 7 1.3 685 4.0 30.8 58.6
증점제 10
(증점제 2+4+5)
90 10 1.4 690 4.2 31.5 55.4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기반으로 증점제를 혼합하였다. 상기 폴르카르본산계 감수제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 향상을 위한 것이고, 상기 증점제는 재료분리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증점제로는 변성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변성구아검 등을 적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변성전분은 전분을 화학처리하여 저점성, 고점성, 냉수에 대한 용해 등의 특성을 부가한 물질로서, 전분의 -OH기의 H를 제거하고 다른 관능기를 부가하여 원하는 특징을 얻을 수 있으며 프로필렌 옥사이드 등의 관능기를 부가한다. 변성처리 과정에서 하나의 관능기를 부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관능기를 일정 비율로 처리하여 점성 및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 1, 2, 6은 모두 변성전분이지만 점도 차이로 구분된다. 고형분 10wt%의 동일 조건에서 점도가 각각 89,000cps, 3,000cps, 350cps인 것이다.
상기 증점제 3, 4 역시 성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로 동일하지만 고형분 2wt%의 동일 조건에서 점도가 각각 15,000cps, 30,000cps인 것이다.
증점제 1~6번까지 종류별로 검토한 결과 T50면에서 증점제 2, 4, 5가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상적으로 증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증점제 계열마다 작용하는 기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증점제 2, 4, 5를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증점제 2는 자체 점성은 크지 않으나, 배합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점성을 조절하기 위한 증점 조절제의 역할을 하며, 증점제 4는 자체 점성이 크며, 배합에서 재료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증점제 5는 증점제 2, 4의 점성을 유지시켜주는 증점안정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증점제 2, 4, 5를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혼화제 내 10wt%까지 첨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시멘트 입자가 물과 접촉하게 되면 표면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서로 응집하려는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시멘트 입자 사이에 유동성에 필요한 자유수를 가두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속수(가두어진 자유수)가 증가하게 되어 유동성이 불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 때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 또는 혼화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면 유동성은 향상되나, 콘크리트의 균질성이 소실되어 결국은 재료분리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를 적용하여 유동성과 재료분리 방지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방안을 제공하지만, 소다라임 글라스(soda-lime-borosilicate glass) 성분으로 이루어진 재료분리 방지재를 첨가함으로써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재료분리 발생을 더욱 억제하는 방안을 함께 제공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는 기본적으로 시멘트 페이스트의 체적(물과 시멘트의 절대 체적의 합)과 골재 공극 체적의 관계에서 설명할 수 있다. 시멘트 페이스트의 체적이 골재 공극의 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콘크리트는 이론적으로는 제로 슬럼프가 되며, 현실적으로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보다 많은 과잉의 페이스트가 필요하다. 필요한 워커빌리티 발현을 위해 필요한 과잉의 페이스트는 다음의 2가지에 의존한다. 페이스트 자체의 컨시스턴시와 골재의 표면적이다. 아래 [참고도 1]은 위와 같은 원리의 이론적 근거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도 1]
Figure 112017124069969-pat00001
한편, 최밀 충전상태는 골재를 다쳐 충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이 경우 입자군의 공극은 최소가 된다. 여기에 물과 시멘트를 더하여 비비면 최밀충전상태에 있던 골재의 공극으로 페이스트가 들어가 공극을 메우게 된다. 이러한 골재 사이의 공극을 메운 페이스트를 충전페이스트라고 한다. 그러나 이 양의 페이스트만으로는 골재와 골재사이가 밀착되어 내부의 마찰력이 너무 커서 워커빌리티가 좋지 않은 콘크리트가 된다. 여기에 페이스트를 조금 더 추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면 그 효과는 상기 [참고도 1]의 오른쪽과 같이 분산되어진 상태(Dispersion)가 되어 개개의 입자는 페이스트의 얇은 막으로 싸이게 되는데, 이 막을 구성하는 페이스트를 ‘잉여페이스트’라고 하며, 이 막의 두께를‘잉여페이스트 두께’라고 한다. 상기 잉여페이스트 두께가 두꺼울수록 골재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킨다. 이 때 충전페이스트의 부분은 최밀충전상태와 동일하다. 잉여페이스트는 골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하시켜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소성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료분리 방지재를 추가함으로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재료분리가 방지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가 구형인 점으로 인해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아래 [표 11]에는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의 물성이 나타나 있다.
구 분 진비중(g/㎖) 90%파괴강도(㎫) 입경(㎛)
재료분리 방지재
(소다라임 글라스)
0.125~0.6 1.7~193.1 16~65
소다라임 글라스를 입도 16~65㎛(시멘트 입자의 입도는 45~90㎛)의 구형으로 가공한 재료분리 방지재가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됨으로써 전체적인 분체의 평균 입도가 감소되고 고른 분포를 형성하므로 유동성능이 개선되고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다. 또한, 콘크리트 내 볼베어링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가 시멘트 입자 사이에 분포하게 되면서 구속수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동성에 관여하는 자유수가 증가시키는 작용에 의해 유동성능이 더욱 개선된다.
또한,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가 시멘트 입자사이에 분포하여 단위 페이스트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골재 사이를 충전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량이 적어지고 유동성에 기여하는 잉여 페이스트량이 증가하여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며, 좀 더 균일하고 밀집된 페이스트 구조를 형성하므로 재료분리 방지에 기여하게 된다.
아래 [표 12]의 실시예 7 내지 11은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의 첨가 비율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아래 [표 13]에는 실시예 7 내지 11에 대한 콘크리트 물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7 내지 11에 적용된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97wt% 및 상기 [표 10]의 증점제 8(증점제 2+4+5) 3wt%가 혼합된 것이다. [표 12]의 GB가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이며,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는 콘크리트 조성물 전체 대비 외할로 첨가된 것이다.
구 분 단위용적질량(1㎥ 당 kg ) AD
(B%)
GB
(1㎥당 kg )
혼화제
(B%)
W OPC S/P Binder S G20
실시예 7 GB 0 170 236 194 430 959 800 1.1 0 1.1
실시예 8 GB 0.5 170 236 194 430 959 800 1.0 0.5 1.1
실시예 9 GB 1.0 170 236 194 430 959 800 1.0 1.0 1.1
실시예 10 GB 2.0 170 236 194 430 959 800 1.0 2.0 1.1
실시예 11 GB 4.0 170 236 194 430 959 800 1.0 4.0 1.1
구 분 슬럼프플로
(㎜)
T50
(초)
소성점도
(pa·s)
압축강도(㎫)
7일 28일
실시예 7 GB 0 685 3.8 28.1 43.8 60.6
실시예 8 GB 0.5 700 3.6 27.7 44.2 61.9
실시예 9 GB 1.0 690 3.4 33.6 45.5 60.5
실시예 10 GB 2.0 695 2.9 38.9 43.5 59.2
실시예 11 GB 4.0 670 2.5 39.9 40.0 55.8
위의 [표 13]에서는 재료분리 방지재가 콘크리트 조성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T50 성능은 향상된다. 다만,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동일체적안에 입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소성점도는 다소 증가하게 되며, 실시예 11의 경우에는 소성점도가 40Pa·s에 육박하게 되므로 상기 재료분리 방지재 사용량이 콘크리트 조성물의 4wt%를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전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

  1. 단위용적 1㎥ 기준으로 결합재 430~490kg; 배합수 170~180kg; 굵은골재 768~800kg; 잔골재 909~959kg; 을 포함하여 조성되되, 상기 결합재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30~80wt%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20~70wt%로 조성된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에,
    고성능감수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0~1.4wt% 첨가되고,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90~97wt% 및 변성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변성구아검이 혼합된 증점제 3~10wt%가 혼합된 고유동-분리방지형 혼화제가 상기 결합재 대비 1.1~1.4wt% 첨가되며,
    소다라임 글라스를 입도 16~65㎛의 구형으로 가공한 재료분리 방지재가 상기 베이스 콘크리트 조성물 대비 4wt% 이하(0wt% 제외) 첨가되어,
    슬럼프플로우 600~700mm, T50 2.0~5.0초, 소성점도 40pa·s 이하 및 재령 28일 압축강도 50MPa 이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이슨 제작용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70171025A 2017-12-13 2017-12-13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KR10186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025A KR101862168B1 (ko) 2017-12-13 2017-12-13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025A KR101862168B1 (ko) 2017-12-13 2017-12-13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168B1 true KR101862168B1 (ko) 2018-05-29

Family

ID=6245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025A KR101862168B1 (ko) 2017-12-13 2017-12-13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77B1 (ko) * 2018-12-20 2019-08-16 주식회사 삼표산업 점성조절용 혼합물을 이용한 보통강도용 자기충전 콘크리트
KR102181654B1 (ko) * 2020-01-21 2020-11-24 주식회사 삼표산업 자기충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조방법
KR20220077822A (ko) 2020-11-30 2022-06-09 주식회사 삼표산업 소다라임 글라스를 이용한 저점성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20230055613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삼표산업 재료분리 저감형 고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 타설 유도판이 구비된 박스형 cft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30160445A (ko) 2022-05-17 2023-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를 이용한 고유동성 시멘트계 복합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95B1 (ko) 2008-01-09 2009-04-17 한일시멘트 (주) 자기충전용 저발열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7593B1 (ko) * 2017-03-20 2017-09-13 주식회사 삼표산업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용 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95B1 (ko) 2008-01-09 2009-04-17 한일시멘트 (주) 자기충전용 저발열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7593B1 (ko) * 2017-03-20 2017-09-13 주식회사 삼표산업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용 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77B1 (ko) * 2018-12-20 2019-08-16 주식회사 삼표산업 점성조절용 혼합물을 이용한 보통강도용 자기충전 콘크리트
KR102181654B1 (ko) * 2020-01-21 2020-11-24 주식회사 삼표산업 자기충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조방법
KR20210094444A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삼표산업 자기충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53418B1 (ko) * 2020-01-21 2022-01-20 주식회사 삼표산업 자기충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성물
KR20220077822A (ko) 2020-11-30 2022-06-09 주식회사 삼표산업 소다라임 글라스를 이용한 저점성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20230055613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삼표산업 재료분리 저감형 고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 타설 유도판이 구비된 박스형 cft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30160445A (ko) 2022-05-17 2023-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를 이용한 고유동성 시멘트계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68B1 (ko)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CN109437749B (zh) 基于包裹粗骨料砂浆厚度的c60混凝土及其配合比设计方法
JP5681676B2 (ja) セメント組成物、セメント系マトリックス、繊維補強セメント系混合物及びセメント混和材
TW200817300A (en) Filler for reinforcement joint and method of reinforcement joint filling operation using the same
CN110885202B (zh) 一种预裹浆骨料嵌锁型混凝土的制备工艺
KR20210055280A (ko) 일반강도 고유동성 콘크리트용 혼화제 조성물
JP2011195364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硬化体
JP6035784B2 (ja) 増粘剤及び収縮低減剤を混入した中流動コンクリート
KR101380419B1 (ko) 중량 콘크리트
KR101338502B1 (ko) 수축 저감 및 초조강형 시멘트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제조방법
KR100928402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시멘트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220077822A (ko) 소다라임 글라스를 이용한 저점성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755423B1 (ko) 자기충전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방법
CN112456859A (zh) 煤矿膏体充填用减水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556164B2 (ja) 高強度モルタル組成物
KR101223161B1 (ko) 지반 치환용 고유동 저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5430434B2 (ja) 堤体構築工法
JP2014088294A (ja) セメント組成物
JP2012201558A (ja) 銅スラグ含有コンクリート用細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KR102538947B1 (ko) 실리카계열 초미분말을 포함하는 복합 결합재
KR102616772B1 (ko) 층간 소음 저감형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09088B1 (ko)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이 화합된 고성능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CN114873980B (zh) 基于混凝土原理的大掺量惰性材料胶凝材料设计方法
JP2024005273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2360392B1 (ko) 고로괴재슬러그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