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05B1 -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05B1
KR101862105B1 KR1020160086989A KR20160086989A KR101862105B1 KR 101862105 B1 KR101862105 B1 KR 101862105B1 KR 1020160086989 A KR1020160086989 A KR 1020160086989A KR 20160086989 A KR20160086989 A KR 20160086989A KR 101862105 B1 KR101862105 B1 KR 10186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ger
setting
water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6180A (en
Inventor
존 에스. 리.
Original Assignee
존 에스.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스. 리. filed Critical 존 에스. 리.
Priority to KR102016008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0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정수처리의 전 과정을 IoT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GPS를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정수처리 과정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수시스템은,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를 수행하고 정수된 물의 수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수장치(100);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의 정수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장치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지 등의 위치에 정수시스템을 기부한 기부자들이 GPS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의 설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수시스템 구동상태정보를 가지는 빅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whole process of electrolytic treatment using electrolysis using IoT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through GPS, collect big data about the 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the cloud server IoT and AI 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here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omprises: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onfigured to perform purification by electrolysis and output water level information of purified water; And a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integer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put from the outside,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water purifier, ; ≪ / RTI >
Donors who donate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t locations such as the Oji can confirm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donated by the user using the GPS information and can use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water purification control app to display the big data hav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driving state inform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nitor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donated by the user.

Description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방법{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금속전극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금속전극을 이용하여 지하수 등의 물을 전기분해로 정화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균을 살균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수처리의 전 과정을 IoT(Internet of Things)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클라우드서비스를 통해 정수처리 과정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free electrode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al-free electrode purification apparatus that uses water-free metal electrodes to purify water such as ground water by electrolysis to sterilize harmful bacteria contained in water,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that control the whole process of water purification by using IoT (Internet of Things)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llect big data about 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cloud service and ≪ / RTI >

최근에 들어 건강한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네랄이 죽지 않은 전해수 및 수소수를 만들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한 물 정수 시스템이 늘어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y water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water purification systems using electrolysis to produce electrolytic water and water that have not lost their minerals.

상술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물 정수시스템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98호는 원수유입구와 연결되며 마이크로 필터, 중공사막필터, 활성탄소섬유 필터 및 활성탄/활성탄소섬유필터가 직렬 연결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 흡착된 정수가 유입되며 내부에 전극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무격막이 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 전해조와, 전해된 정수가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는 냉수 및 온수저장탱크와, 냉수와 온수를 각각 배출하는 냉수 및 온수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전해 살균 냉온정수기를 개시한다.As a technique rela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electrolysis described above, 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0391598, which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inlet, has a micro filter, a hollow fiber filter, an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and an activated carbon / An electrolytic cell in which electrolytic water adsorbed by the filter unit flows into the electrolytic cell, and an electrode plate is arrang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lectrolytic cell, A cold water and hot water storage tank in which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separately stored, and cold water and hot water outlets respectively discharging cold water and hot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6982호는 실린더의 내부에 충전(充電)된 활성탄소 입자들에 의하여 실린더 내부를 통과하는 용수를 정화시키는 한편, 용수를 전기분해 할 때 발생되는 중간물질인 수산기(水酸基, hydroxyl radical)의 강력한 산화력 및 발생기수소(nascent hydrogen)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각종 화학물질, 유기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 및 산화 처리하여 깨끗한 물로 정화(淨化)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산화를 이용한 정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36982 discloses a method for purif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a cylinder by activated carbon particles charged in the cylinder, (Oxidation), which can adsorb and oxidize various chemical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heavy metals, etc. by the strong oxidizing power of hydrogen radicals (hydroxyl groups) and the reducing action of nascent hydrogen and purify them with clean wate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disclosed.

상술한 종래기술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물 정수 시스템은 텅스텐 또는 티타늄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금속전극의 경우 전기분해 작동 시의 산화와 환원반응으로 인하여 금속전극이 녹슬거나, 겉면에 코팅된 백금이 벗겨지는 물성변화로 인하여 전극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물의 성질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백금의 코팅기술을 발전시켜 벗겨지지 않고 장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정수장치도 개발되고 있으나, 백금 또한 금속으로써 산화와 환원작용에 의하여 변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고가로 인해 전극 코팅비용과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용화에 많은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electrolysis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uses metal electrodes such as tungsten or titanium.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tal electrode, the metal electrode rusts due to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during the electrolysis operation, or the properties of the platinum coated on the surface are deteriorated, thereby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or deteriorating the water properti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re has been developed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at develops a coating technique of platinum to enable long-term use without being peeled off.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platinum is also converted into metal by oxidation and reduction action, So that a great deal of burden is placed on practical use.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수행함이 없이 정수처리가 수행되고 있어, 정수 스케줄링을 수립하거나, 시간별 정수량, 정수시스템 동작상태 등의 정보 수집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teger process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control by a user, so that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an integer scheduling, or to provide an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such as a time constant amount of water an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peration stat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9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159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698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36982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분해를 이용한 정수처리의 전 과정을 IoT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GPS를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정수처리 과정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오지 등의 위치에 정수시스템을 기부한 기부자들이 GPS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의 설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수시스템 구동상태정보를 가지는 빅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entire process of water purification using electrolysis using IoT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By allowing the server to collect big data about the water treatment process, donors dona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the remote places can confirm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donated by the user using the GPS information, Provides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easy monitoring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donated 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rm big data hav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by using terminal equipped with control application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oT and AI-

무금속전극(131)에 의한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를 수행하고 정수된 물의 수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수장치(100); 및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onfigured to perform purification by electrolysis by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output water level information of purified water; And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의 정수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장치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integer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put from the outside,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상기 정수장치(100)는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상기 무금속전극(131)의 이물질 탈착을 위한 역방향 전극 인가시의 물의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circulation pump 132 for circulating water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a reverse electrode for desorbing foreign matters to the metal-free electrode 131. [

상기 무금속전극(131)은,The metal-free electrode (131)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전극(136)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적층돌기(137)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적층돌기가 삽입되는 적층돌기홈이 형성되고,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바삽입홀(138)이 형성되어 수평으로 결합된 후 수직으로 적층되는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mination projection 137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electrode 136 and a lamination projection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electrode 136. The lamination projection is inserted vertically And a first electrode 133 and a second electrode 135, which are horizontally coupled and vertically stacked, through which the fixing bar insertion holes 138 are formed.

상기 정수장치(100)는,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정수대상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110);A water supply pump (110)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object;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정수하는 무금속전극(131)과, 상기 무금속전극(131)과 순환펌프(132)가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140)를 포함하는 전기분해조(130); 및A metal-free electrode 131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electrolyzes the water to be electrolyzed and an outer case 140 in which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the circulation pump 132 are mounted, A decomposition tank 130; And

일정 간격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위센서(153)들로 이루어지는 수위센서부(151)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정수량을 IoT 기반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물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water tank 150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nd outputting an amount of purified water based on IoT to the outside, having a water level sensor unit 151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153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ike.

상기 정수장치(100B)는,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B)

일정 간격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위센서(153)들로 이루어지는 수위센서부(151)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정수량을 IoT 기반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물탱크(150);A water tank 150 having a water level sensor unit 151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15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and outputting an amount of purified water based on IoT to the outside;

상기 물탱크(15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6); 및A water supply pipe 156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150; And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정수하는 무금속전극(131)과, 상기 무금속전극(131)과 순환펌프(132)가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140)와 상기 무금속전극(131)으로 물탱크(150)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는 정수펌프(110)를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분해조(1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non-metal electrode 131 for receiving and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lectrolyze the introduced water, an outer case 140 in which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the circulation pump 132 are mounted, And an electrolytic bath 130A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50 including a water pump 110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150 by an electrode 131. [

상기 컨트롤러(200)는,The controller (200)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215);A GPS unit 215 for providing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정수장치의 구동상태정보와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IoT제어부(220);An IoT control unit 220 for receiving and storing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의 정수과정, 데이터 수집 과정을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정수제어부(230);An integer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putted from outside;

무금속전극(131)에 증착된 산화물, 이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를 위해 역방향 전압을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에 인가하도록 무금속전극(131)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극전환스위치부(240);Metal electrode 131 to apply a revers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to remove sludge including oxides and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 electrode change-over switch unit 240 for performing switching for chang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s;

IoT제어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와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A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received by the IoT control unit 220;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빅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비스부(260); 및A cloud service unit 260 for transmit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o outside for generating big data; And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mmunication unit 26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상기 정수제어부(210)는,The integer control unit 210,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정수작동, IoT기반 작동상태정보 수집, 알람정보수집 및 알람출력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ger system and to provide at least one of integer operation, IoT-bas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collection, alarm information collection and alarm output, or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ger system .

상기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는,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above-

현재시간과 날짜,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설정정보;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current time and date, and time zone information;

정수 사이클의 각 단계별 작동시간 정보를 가지는 정수 시나리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동 스케줄링정보 또는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 중 어느 하나인 작동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동정보;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teger scenario hav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of each step of the integer cycle, integer operation scheduling information for each day of the week, or operating method information that is either manual operation, schedul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정보; 또는System software upgrade information; or

계정설정, 오디오 검출 설정, 시스템정보 또는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i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ccount setting, audio detection setting, system information or network information; Or more.

상기 정수시스템 설정정보는,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인접된 모바일 단말기(300)의 근거리 통신 또는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인접된 모바일 단말기(300)와 접속되어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300 through communication via a local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neighboring mobile terminal 300 and receive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

상기 컨트롤러(200)는The controller (200)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n input unit 210 receiving a user's control command.

상기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은,The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상기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을 수신하여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정수 시 정수장치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상기 정수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teger control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receiving the integer system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teger system sett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o remotely control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상기 정수제어앱(310)은,The integer control application 310,

정수제어앱의 설정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바들이 구비되는 메뉴바창; 및A menu bar having menu bars for selecting a setting menu of the constant control application; And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고,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n interface,

상기 인터페이스는,The interface comprises:

상태창과 메인컨트롤창을 구비하여 정수상태와 정수시작, 정수정지,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터페이스;A main interface that has a status window and a main control window to perform an integer state, an integer start, a constant stop, and a sterilization operation;

타임존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설정인터페이스;A time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time for each time zone;

정수시나리오설정, 정수 스케줄링 또는 작동방법선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설정인터페이스;An operation setting interface that allows one or more of an integer scenario setting, an integer scheduling, or an operation method selection to be performed;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 및An upgrade setup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perform software upgrades; And

계정설정, 오디오검출설정, 정보수정 또는 네트워크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설정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main setting interface for enabling setting of an account, setting of audio detection, modification of information, or network setting.

상기 작동설정인터페이스는,The operation setting interface includes:

정수, 방전, 살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1사이클의 각 단계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시나리오설정인터페이스;A constant scenario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 time for each step of one cycle, which is a combination of constant, discharge, and sterilization;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작동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링설정인터페이스; 및A scheduling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n operation schedule for performing a time-based integer work per day; And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하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perating method selection interface that allows selection of manual operation, schedul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상기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은,The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상기 컨트롤러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정수장치의 구동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클라우드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cloud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llected from the controller or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big dat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및 AI 기반의 정수 방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oT and AI-

현재시간과 날짜,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설정정보, 정수 사이클의 각 단계별 작동시간 정보를 가지는 정수 시나리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동 스케줄링정보 또는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의 어느 하나인 작동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동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정보; 또는 계정설정, 오디오 검출 설정, 시스템정보 또는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수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정수설정정보수신과정;A current time and date, 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ime zone information, an integer scenario having information on each step of the integer cycle, an integer operation scheduling information for each day of the week, or an operation method that is either manual operation, Operat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upgrade information of the system software; Or mai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n account setting, an audio detection setting, system information, or network information;

정수제어부(230)가 상기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정수장치(100)를 구동하여 정수를 수행하고, IoT 제어부(220)가 센서들을 통해 물탱크의 수위, 온도, 오동작 정보와 정수시스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수작동과정;The integer controller 230 drives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o perform an integer value and the IoT controller 220 controls the water level, temperature, malfunc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rough the sensors An integral operation process of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상기 정수작동과정 중에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는 구동상태정보저장과정;A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constant oper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클라우드서비스부(255)가 근거리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 또는 클라우드서버(400)로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비스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cloud service process in which the cloud service unit 255 transmits driv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cloud server 400. [

상기 IoT 및 AI 기반의 정수 방법은,In the IoT and AI-based integer methods,

통신부(260)를 통해 정수설정정보를 입력받은 후 근거리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에 의해 정수제어부(230)로 정수설정정보를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저장된 구동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 사용자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서버(400)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통신접속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0, the integer setting unit 230 transmits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integer control unit 230 through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ed for the cloud service to the outside,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terminal 300, the user terminal, or the cloud server 400.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무금속전극에 의한 전기분해 정수에 있어서, IoT 및 AI 기반으로 정수시스템의 구동을 일괄 제어하게 됨으로써, 정수시스템의 유지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ll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in the electrolysis solution by the metal-free electrode, thereby remarkably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 정보를 매 시간별로 저장한 후 빅데이터 생성을 위해 클라우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정수시스템에 제한되지 않고 설치된 모든 정수시스템에 대한 구동상태정보 기반 데이터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ingle integer system by transmit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integer system every hour and then transmitting it to a cloud server or a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big data, Based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efforts for improving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오지 등의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WIFI 등의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IoT 및 AI 기능에 의해 자동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remote control through a communication such as WIFI and provides a cloud service even in an area where an Internet infrastructure such as a remote area is not built, and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IoT and AI functions,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convenience and maintenanc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GPS를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정수처리 과정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오지 등의 위치에 정수시스템을 기부한 기부자들이 GPS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의 설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수시스템 구동상태정보를 가지는 빅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기부한 정수시스템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stallation location to be confirmed through GPS, and enables the donors who have contributed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a place such as a remote place to collect GPS data Can confirm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has been donated and can confirm the big data hav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peration state information by using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water purification control app, And provides the effect of monito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금속전극(131)의 사시도.
도 3은 정수장치(10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정수제어앱(310)의 메인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정수시스템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인인터페이스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타임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작동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정수시나리오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케줄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메인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네트워크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정수 시스템의 정수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tal-free electrode 131 of FIG.
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B.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main interface of the constant control application 310,
5 is a view showing main interface screens showing respective operating states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6 shows a time setting interface;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etting interfac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er scenario interface;
9 shows a schedule setting interface;
10 shows an operating method selection interface;
11 shows an upgrade setting interface;
12 is a view showing a main setting interface;
13 shows a network setting interface;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integer method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of disclosure, an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so, the word "exemplary"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Any aspect described herein as "exemplary " is not necessarily to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상기 정수시스템은 무금속전극을 구비한 정수장치(100)와 IoT(Internet of Things)와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정수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한 후 빅데이터 생성을 위해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00)와, 컨트롤러(200)에 접속하여 정수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컨트롤러(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300) 및 통신망(500)을 통해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기(300) 또는 컨트롤러(200)로부터 구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 후 정수작동의 이력정보와 통계정보 등을 생성하는 클라우드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es a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having a metal-free electrode, an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A controller 20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for inputting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an integer system for driv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Provides the cloud ser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that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200 by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driv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controller 200, And a cloud server 400 for generating history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integer operation after the creation.

도 1의 정수장치(100)는 물탱크(150)의 외부에 설치된 전기분해조(130)가 지하수 등을 정수 처리하여 물탱크(150)로 공급하도록 하고, 정수량, 물의 온도 등의 정보를 물탱크(150)의 수위센서부(151)의 수위센서(153)들과 온도센서(154)들에 의해 검출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allows the electrolytic bath 13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50 to purify the ground water or the like and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water tank 150, And is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s 153 and the temperature sensors 154 of the water level sensor unit 151 of the tank 150. [

상기 정수장치(100)는 정수대상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110)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정수하는 무금속전극(131)과, 상기 무금속전극(131)과 순환펌프(132)가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140) 및 무금속전극(131)의 이물질 탈착을 위한 역방향 전극 인가 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32)를 포함하는 전기분해조(130) 및 일정 간격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위센서(153)들로 이루어지는 수위센서부(151)와 온도센서(153)와,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160)와 배수관(161)을 구비하여 상기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정수량, 물 온도를 외부로 출력하는 물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부(151)와 상기 온도센서(153)는 IoT 기반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서 검출된 신호 정보를 IoT제어부(220)로 유선이나 무선신호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water supply pump 110 for supplying water to be purified, a non-metal electrode 131 for electrolyzing water to which the water is supplied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n electrolytic bath 130 including an outer case 140 in which a circulation pump 132 is installed and a circulation pump 132 for circulating water in application of a reverse electrode for desorption of foreign substances to the metal- A water level sensor 151 and a temperature sensor 153 which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153 spaced vertically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drain pump 160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to the outside and a drain pipe 161 And a water tank 150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nd outputting a purified water amount and a water temperature to the outside. The water level sensor 151 and the temperature sensor 153 are driven based on IoT,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transmit detected signal information to the IoT controller 220 as wired or wireless signals.

상기 무금속전극(131)은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에 고함량의 CNT(Carbon Nano Tube)를 고분자 중합한 전기전도성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된다. 상기 전기전도성 플라스틱 소재는 평균 0.3Ω 이하의 낮은 표면 전기저항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전기분해를 통한 산화와 환원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중이 1 ~ 1.1 바람직하게는 1.049로서 금속 대비 매우 낮아 경량화 소재로서 최적화되어 있다. 즉, 금속과 대비하여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의 향상을 위해 두께나 크기를 늘리더라도 무게나 가격 측면에서 경제적이며, 전기분해율을 높이기 위한 표면적의 증가를 위한 형상 가공을 현저히 용이하게 한다.The metal-free electrode 131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material obtained by polymerizing a high content of carbon nanotube (CNT) in PP (polypropylen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material has a low surface electric resistance of 0.3? Or less on average, thereby enabling oxidation and reduction action through electrolysis. And a specific gravity of 1 to 1.1, preferably 1.049, which is extremely low as compared with metals, and thus is optimized as a lightweight material. That is, since it is light in weight compared to metal, it is economical in terms of weight and cost even if it is increased in thickness or size to impro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remarkably facilitates shape processing fo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for increasing the electrolysis rate.

도 2는 도 1의 무금속전극(131)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tal-free electrode 131 of FIG.

상술한 특성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상기 무금속전극(131)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전극(136)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적층돌기(137)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적층돌기가 삽입되는 적층돌기홈이 형성되고,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바삽입홀(138)이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은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맞물림전극(136)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서로 대향하도록 원통형으로 결합 되어 무금속전극(1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적층돌기(137)와 적층돌기홈(미도시, 저면에서 적층돌기(137)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됨)에 의해 수직으로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기분해 용량에 따라 수직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etal-free electrodes 131 mad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materi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re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engaging electrodes 136 engaging with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amination protrusions 13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Cylindrical first electrode 133 and second electrode 135 each having a lamination projection groove in which a lamination projection is inserted in a bottom surface and in which a fixing bar insertion hole 138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ngaging electrodes 1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water, . And is vertically stacked in multiple stages by the stacked projections 137 and the stacked projection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acked projections 137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vertical length can be easily .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러(200)는,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215), 정수장치의 구동상태정보와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IoT제어부(220)와, AI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100)의 정수과정, 데이터 수집 과정을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정수제어부(230)와, 무금속전극(131)의 슬러지 제거를 위해 역방향 전압을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에 인가하도록 전기분해조(130)의 무금속전극(131)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극전환스위치부(240)와, IoT제어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와 GPS부(215)의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와,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빅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비스부(255),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 및 정수시스템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인 부가 기능으로서 사용자 제어 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210)와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GPS unit 215 for providing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 IOT controller 220 having an AI func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data collec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onstant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Metal electrode 131 of the electrolytic bath 130 so as to apply a revers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in order to remove the sludge of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a control unit 22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received by the IoT control unit 22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GPS unit 215 A storage unit 2 for sto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A cloud service unit 255 for transmit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an integer system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o the outside for generating big data, And a power supply unit 25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purified water system. In addition, as an optional additional fun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210 for inputting a user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280 for displaying a driving state.

상술한 구성의 정수시스템은 고유하게 식별되는 ID와 IP 주소가 부여되어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er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given an uniquely identified ID and an IP address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via local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the Internet.

상기 GPS부(215)는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식별하여 제공한다. 이에 의해 오지에 정수시스템을 기부한 기부자(도네이터)들은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300) 또는 자신의 PC를 통해 클라우드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이 기부한 장치가 어느 지역에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로서의 정수시스템의 작동 기간 동안의 동작상태, 정수량, 정수시간 정보, 살균 상태, 물의 온도 등의 정보 장기간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자신의 기부가 정당하게 사용되고 있는 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PS unit 215 identifies and provide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Donors dona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the outsides can access the cloud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equipped with the water control application or the user's own PC, And monitors the long-term driving state of the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s the big data provided by the cloud server 400, the purified water amount, the purified water time, the sterilization state, Whether or not donations are properly used, and so on.

상기 IoT제어부(220)는 정수장치(100)의 물탱크(150)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부(151)와 온도센서(153)를 통해 정수량과 물 온도를 매시간 수집하며, 전기분해조(130)의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의 전류, 전압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IoT 제어부(220)는 각각의 센서들과 인터넷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IoT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control unit 220 collects the purified water and the water temperature every hour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unit 151 and the temperature sensor 153 provided in the water tank 150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collect the current and voltage of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t this time, the IoT control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ased on the IoT that performs Interne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respective sensors.

상기 정수제어부(230)는 AI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시스템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수제어부(230)는 AI 기능에 의해 전극, 전극전환스위치부 등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작 후 교체주기를 알리는 알람 또는 물탱크 내의 물의 오염 등에 대한 알람을 정수제어앱으로 푸시 기능에 의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integer controller 230 has an AI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pu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stant control unit 230 can output an alarm for notifying the replacement period 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the electrode change switch unit and the lik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pollution of water in the water tank by the AI function, Respectively.

상기 정수설정정보는, 현재 시간과 날짜,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설정정보, 정수 사이클의 각 단계별 작동시간 정보를 가지는 정수시나리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동 시간을 포함하는 스케줄링정보 또는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 중 어느 하나인 작동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동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정보 또는 계정설정, 오디오 검출 설정, 시스템정보 또는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date, 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ime zone information, an integer scenario having information on each step of the integer cycl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ing an integer operating time per each day of the week, Opera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operating method information that is either operating or automatic operation, upgrade information or account setting of the system software, audio detection setting, system setting information, or network setting information .

상기 정수설정정보는 하기의 정수제어앱(310)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teger control application 310 described below.

상기 구동상태정보는 정수장치(100)의 시간대별 정수작동시점, 정수량, 물온도, 총정수량, 현재 정수량, 무금속전극의 정수, 방전, 살균 주기, 물탱크의 배수 주기, 정수시스템의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 등의 정수시스템의 작동방법 정보, 정수시스템의 오동작 정보, 네트워크 접속정보, 모바일 단말기 접속정보, 네트워크상태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the time of the water purification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the water purification time, the water temperature, the total water purification amount, the present water purification amount, Information on operation method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such as schedul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malfunction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onnection information, and network status information.

상기 전극전환스위치부(240)는 무금속전극(131)에 증착된 산화막이나 이물질 등의 슬러지의 제거를 위해 제1전극(133)과 제2전극(155) 사이의 극성을 전환하는 방전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제1전극(133)과 제2전극(155)의 전극을 바꾸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ctrode changeover switch unit 240 performs a discharge operation for switching the polari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55 to remove sludge such as an oxide film or a foreign substance deposited on the metal- And a switching element which is switched to change the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55 to perform the operation.

상기 클라우드서비스부(255)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구동상태정보를 빅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클라우드서버(400)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클라우드서버(400)와 의 접속 및 구동상대정보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loud service unit 255 controls the connection with the cloud server 400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partner information so that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400 in order to generate the big data .

상기 통신부(260)는 정수 시스템이 외부와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이나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60)는 내부에 USIM 또는 SIM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의해 GSM 또는 CDMA 망을 통해 자체적으로 이동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통신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60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that enable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WIFI and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60 may include a USIM or an SIM chip,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a GSM or CDMA network.

상기 입력부(210)는 선택적 구성으로서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와 접속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정수 시스템으로 제어명령의 입력의 필요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10 is constituted by a keypad, a touch pad, or the like that can input a control command when an input of a control command is required in the integer system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can not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ystem .

상기 표시부(280) 또한 선택적 구성으로서,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정수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정수 시스템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80 may also optionally comprise a display panel that allows the user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when the state can not be verified by accessing the purified water system using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300 have.

도 3은 정수장치(10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B.

상기 정수장치(100B)는, 도 3과 같이, 일정 간격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위센서(153)들로 이루어지는 수위센서부(151)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정수량을 IoT 기반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물탱크(150), 상기 물탱크(15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6) 및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정수하는 무금속전극(131)과, 상기 무금속전극(131)과 순환펌프(132)가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140)와 상기 무금속전극(131)으로 물탱크(150)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는 정수펌프(110)를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분해조(1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B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unit 151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15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tore the purified water, A water supply pipe 156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150, and a non-metal electrode 131 for electrolyz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tank 150, An outer case 140 in which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the circulation pump 132 are installed and a water pump 110 for flowing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50 by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an electrolytic bath 130A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50. [

도 3의 정수장치(100B)의 구성은 물탱크(150)의 내부에 전기분해조(130A)가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탱크(150)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기분해조(130)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정수시스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3, the electrolytic apparatus 130A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50 so that water can be purified by electrolysis. Thu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ater tank 150, The size of the electrolytic bath 130 can be set to be constant,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상기 구성의 정수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정수 시스템의 구동상태를 확인하고 정수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정수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300)에서 구동되어 상기 정수 시스템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정수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제어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300 and input the water pur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ger control application which i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300 to enable checking of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to input and control integer setting information.

도 4는 정수제어앱(310)의 메인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main interface of the integer control application 310. [

도 4와 같이 상기 정수제어앱(310)은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메뉴바, 타임설정메뉴바, 작동설정메뉴바, 업그레이드설정메뉴바, 메인설정메뉴바를 포함하는 메뉴바창(301)과 인터페이스화면들을 표시하는 표시창(3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integer control application 310 includes a menu bar 301 including a main menu bar, a time setting menu bar, an operation setting menu bar, an upgrade setting menu bar, and a main setting menu bar, And a display window 303 for displaying screens.

도 4의 경우 메인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도 5는 정수시스템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인인터페이스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shows a main interface, and FIG. 5 shows main interface screens showing operation states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도 4와 같이, 상기 메인인터페이스는 정수된 물의 온도, 정수량, 구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창(status)과 정수작업의 시작, 종료 및 방전(전극청소: Wash Electrode)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과 정수량을 나타내는 메인컨트롤창(Main control)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the main interface includes a status window for displaying the purified water temperature, a purified water amount, and driving time information, an icon for selecting start, end, and discharge of the purified water work (Wash Electrode) And a main control window (Main control) representing a purified water amount.

상기 메인인터페이스는 정수 작동 상태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정수 동작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의 (a) 메인인터페이스의 상태창(status)에는 물의 온도가 화씨 78도, 정수량이 2t, 정수시간이 2.7시간임을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컨트롤 창에는 정지(stop), 정수시작(start purification), 방전(Wash Electrode)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과 함께 정수를 시작해서 27초가 경과되어 2t의 물이 정수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5의 (b)는 정지상태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무금속전극(131)의 슬러지 제거를 위하여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의 극성을 변환하여 구동시키는 방전상태를 나타낸다.The main interface outputs anoth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constant operation state. Specifically, FIG. 5A is a screen showing an integer operation. 5 (a) shows that the water temperature is 78 degrees Fahrenheit, the water amount is 2t, and the integer time is 2.7 hours in the status window of the main interface. In the main control window, an integer that starts with an icon that allows you to select stop, start purification, and discharge electrode (Wash Electrode) indicates that 2 t of water has been purified after 27 seconds have elapsed. 5 (b) shows a stop state, and FIG.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larity of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is changed and driven for removing the sludge of the metal-free electrode 131 Indicates the discharge status.

도 6은 타임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time setting interface.

타임설정인터페이스는 메뉴바창에서의 원으로 표시된 타임설정메뉴바가 눌리는 경우 출력된다.The time setting interface is displayed when the time setting menu bar indicated by a circle in the menu bar is pressed.

상기 타임설정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현재시간(Current Time), 지역시간(Time Zone), 시간동기(Synchronize with this time), 수동시간설정(Set Manually)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time setting interface, the user can perform a current time, a time zone, a synchronize with this time, and a set time manually.

도 7은 작동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etting interface.

작동설정인터페이스는 메뉴바창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작동설정메뉴바가 눌려지는 경우 출력된다.The operation setting interface is displayed when the operation setting menu bar indicated by a square in the menu bar is pressed.

상기 작동설정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정수시나리오, 스케줄링 설정, 작동방법 선택 등의 정수작동을 위한 작동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operation setting interface, the user can set an operation for an integer operation such as an integer scenario, a scheduling setting, and an operation method selection.

도 8은 정수시나리오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 integer scenario interface.

도 8의 정수시나리오인터페이스는 도 7의 작동설정인터페이스에서 정수 시나리오(Purification Scenario)를 선택하는 경우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이다.The integer scenario interface of FIG. 8 is an interface that is output when selecting an integer scenario (Purification Scenario) in the operation setting interface of FIG.

상기 정수시나리오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정수를 위한 정수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시나리오는 정수, 방전, 살균 단계의 조합된 주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정수, 방전, 살균, 방전의 주기를 1사이클로 정의하였고, 사용자는 정수시나리오인터페이스에 각각의 정수, 방전, 살균, 방전 단계의 구동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정수 시나리오를 수정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경우 정수 시간 30분, 살균 시간 30분, 방전 시간 1분을 가지도록 정수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Through the integer scenario interface, the user can set an integer scenario for an integer. The constant scenarios consist of a combined cycle of integer, discharge, and sterilization step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od of the constant, discharge, sterilization, and discharge is defined as one cycle, and the user sets the driving time of each constant, discharge, sterilization, So that you can edit and edit it. 8 shows a case in which an integer scenario is set so as to have an integer time of 30 minutes, a sterilization time of 30 minutes, and a discharge time of 1 minute.

도 9는 스케줄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schedule setting interface.

도 9의 스케줄설정인터페이스는 도 7의 스케줄설정(Schedule Setting)이 선택되는 경우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이다.The schedule setting interface of FIG. 9 is an interface that is output when the schedule setting (Schedule Setting) of FIG. 7 is selected.

사용자는 도 9의 스케줄설정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일별, 요일의 시간별 정수장치의 구동 시간 정보를 가지는 스케줄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수 시스템을 일정 기간 동안 스케줄링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generate the scheduling information having the drive time information of the day-by-da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day by day through the schedule setting interface of FIG. Accordingl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도 10은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method selection interface.

도 10의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는 도 7의 작동설정인터페이스에서 작동선택(Operation Selection)이 선택되는 경우 출력된다.The operation method selection interface of FIG. 10 is output when Operation Selection is selected in the operation setting interface of FIG.

사용자는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작동(Manual Operation), 스케줄링작동(Schedule Operation), 자동 작동(Automatic Operation)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작동은 수동설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동작동은 기설정된 스케줄대로 작동스위치의 온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작동을 의미한다.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manual operation, scheduling operation, and automatic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method selection interface. Here, manual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operated by manual setting. And the automatic operation means that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chedule.

도 11은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upgrade setting interface.

도 11의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는 메뉴바창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되는 업그레이드메뉴바가 선택되는 경우 출력된다.The upgrade setting interface of FIG. 11 is displayed when an upgrade menu bar indicated by a rectangle in the menu bar is selected.

상기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는 현재 버전(current version)을 표시하고, 소프트웨어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선택창(choose file)이 구비되며, 시스템 재시작(system Restart)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메모를 작성(Some note here)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grade setting interface includes a file selection window for displaying a current version and allowing a software file to be selected. The upgrade setting interface can perform a system restart, Some note here).

도 12는 메인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main setting interface.

도 12의 메인설정인터페이스는 메뉴바창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메인설정메뉴바가 선택되는 경우 출력된다.The main setting interface of FIG. 12 is displayed when a main setting menu bar indicated by a rectangle is selected in the menu bar.

상기 메인설정인터페이스를 통해 계정설정(account), 오디오 검출 설정(audio Detect Setup), 정보설정(information), 네트워크설정(Network Setup)을 수행할 수 이게 된다.An account setting, an audio detection setting, an information setting, and a network sett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ain setting interface.

상기 계정설정(account)은 관리자, 일반 사용자 등의 사용자 계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account setting allows a user account such as an administrator or a general user to be set.

상기 네트워크 설정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network setting allows a user to set a network environment.

도 13은 네트워크설정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etting interface.

사용자는 도 13의 네트워크설정인터페이스를 통해 IP 할당 형식(IP Assign Type) 선택, 포트 변환(Port Change), 멀티캐스트(Multicast), IP 필터링(IP filtering), 서버관리(Management Server). DDNS 클라이언트(DDNS Client) 설정, DymDNS 설정(DymDNS settings), 전극, 전극전환스위치부 등의 교체주기 또는 물탱크 내의 물의 오염 등에 대한 알람을 정수제어앱으로 푸시 기능에 의해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서버(Alarm Server), UART 포트 설정(UART Port Setup) 등의 네트워크 관련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selects IP Assign Type, Port Change, Multicast, IP filtering, and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setting interface of FIG. It is a function to output the alarm about the replacement period of DDNS client (DDNS Client) setting, DymDNS setting (DymDNS settings), electrode, electrode change switch part, water pollution in water tank, Related settings such as an alarm server (alarm server) and a UART port setting (UART port setup), which enable the setting of the alarms.

사용자(운영자 또는 기부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수제어앱(310)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300)의 WIFI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정수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수시스템설정정보를 입력하고, 정수시스템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있으며, 클라우드서버(400)에 접속하여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및 장기간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user (operator or contributor) accesse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f the mobile terminal 300 having the water control application 3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put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setting information And can monitor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can monitor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the driving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connecting to the cloud server 400.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300)와 접속 기능에 의해 상기 정수 시스템은 인터넷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오지 환경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내장되는 통신부(260)의 WIFI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기(300)의 중계를 통해 다수의 정수 시스템들의 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400)를 통해 빅데이터를 생성한 후 가공하여 정수 시스템과 관련한 유효한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The above-described water purification system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f the built-in communication unit 260 even in a state where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remote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system is not installed A cloud service can be provided which can generate and process data of a large number of water purification systems through the relay of the mobile terminal 300 by generating big data through the cloud server 400 and then generating and providing valid data rela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t becomes.

또한, 상기 정수시스템은 원격 관리를 위한 제어서버(미도시) 또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not shown) for remote management or a user terminal such as a PC connected to the Internet.

도 14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정수 시스템의 정수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integer method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14와 같이 상기 정수 시스템의 정수 방법은, 통신접속과정(S10), 정수설정정보수신과정(S20), 정수작동과정(S30), 구동상태정보저장과정(S40), 클라우드서비스과정(S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4, the integer method of the integer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S10, an integer setting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0, an integer operation step S30, a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ing step S40, a cloud service step S50, .

상기 통신접속과정(S10)에서는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통신부(260)를 통해 정수설정정보를 입력받은 후 근거리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에 의해 정수제어부(230)로 정수설정정보를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저장된 구동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 사용자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서버(400)와 접속하는 통신 접속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서버(400)와의 직접 접속은 정수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인 경우 가능하게 된다.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S10, integer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0 according to the set network information, and integer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eger control unit 230 by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for connecting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300, the user terminal or the cloud server 400 in order to transmit the stored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rect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cloud server 400 becomes possible whe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상기 정수설정정보수신과정(S20)에서는 통신접속과정(S10)에 의해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300), 사용자 단말기(미 도시) 등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임설정정보, 정수시나리오와 스케줄링정보와 작동방법 정보를 포함하는 작동설정정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정보, 메인설정정보, 네트워크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정수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In the step of receiving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S20), time setting information, an integer scenario, scheduling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are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not shown) And receives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he software upgrade information, the main setting information,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and stores the received integer sett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상기 정수작동과정(S30)에서는 정수제어부(230)가 상기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정수장치(100)를 구동하여 정수를 수행하고, IoT 제어부(220)가 센서들을 통해 물탱크의 수위, 온도, 오동작을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정수제어앱을 통해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In step S30, the water controller 230 drives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er setting information, and the IoT controller 220 controls the water level, the temperature, the malfunction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300 so tha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can be monitored through the water control application .

상기 구동상태정보저장과정(S40)은 상기 정수작동과정 중에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한다.The drive state information storage step S40 stores the driv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constant oper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서비스과정(S50)은 클라우드서비스부(255)가 근거리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 또는 클라우드서버(400)로 전송하여 다수의 정수 시스템들의 구동상태정보를 가지는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우드서비스과정(S50)에서 오지에 정수시스템을 기부한 도네이터들은 클라우드서버(400)에 접속하여 GPS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기부한 장치가 어느 지역에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로서의 정수시스템의 작동 기간 동안의 동작상태, 정수량, 정수시간 정보, 살균 상태, 물의 온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cloud service process S50 is a process in which the cloud service unit 255 transmits driv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cloud server 400, So that it is possible to generate big data having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cloud service process (S50), the donors dona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an access the cloud server 400 and confirm the GPS information, there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donated by the donator,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the time of the purified water, the disinfection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etc. during the operation period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s the big data provided by the server 400 can be confirm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정수장치
110: 급수펌프 130: 전기분해조
131: 무금속전극 132: 순환펌프
133: 제1전극 135: 제2전극
136: 맞물림전극 137: 적층돌기
139: 고정바 150: 물탱크
151: 수위센서부 153: 수위센서
154: 온도센서 161: 배수관
160: 배수펌프 200: 컨트롤러
210: 입력부 220: IoT 제어부
230: 정수제어부 240: 전극전환스위치부
250: 저장부 255: 클라우드서비스부
260: 통신부 270: 전원부
301: 메뉴바창 303: 표시창
310: 정수제어앱 300: 모바일 단말기
400: 클라우드서버
100: Water purification device
110: Feed water pump 130: Electrolysis tank
131: metal-free electrode 132: circulation pump
133: first electrode 135: second electrode
136: engaging electrode 137: lamination projection
139: Fixing bar 150: Water tank
151: water level sensor unit 153: water level sensor
154: temperature sensor 161: drain pipe
160: Drain pump 200: Controller
210: input unit 220: IoT control unit
230: constant control section 240: electrode switch section
250: storage unit 255: cloud service unit
260: communication unit 270:
301: menu bar 303: display window
310: integer control application 300: mobile terminal
400: Cloud server

Claims (14)

무금속전극(131)에 의한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를 수행하고 정수된 물의 수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수장치(10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의 정수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장치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00);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기 무금속전극(131)의 이물질 탈착을 위한 역방향 전극 인가시의 물의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onfigured to perform purification by electrolysis by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d output water level information of purified water;
A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integer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put from the outside,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a circulation pump (132) for circulating water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a reverse electrode for desorbing foreign matter to the metal-free electrode (131).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금속전극(131)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전극(136)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적층돌기(137)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적층돌기가 삽입되는 적층돌기홈이 형성되고,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바삽입홀(138)이 형성되어 수평으로 결합된 후 수직으로 적층되는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non-metal electrode (131) according to claim 1,
A lamination projection 137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electrode 136 and a lamination projection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electrode 136. The lamination projection is inserted vertically And a first electrode (133) and a second electrode (135) vertically stacked after being fixed horizontally with a fixed bar insertion hole (138) formed therethroug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215);
정수장치의 구동상태정보와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IoT제어부(22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장치의 정수과정, 데이터 수집 과정을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정수제어부(230);
무금속전극(131)에 증착된 산화물, 이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를 위해 역방향 전압을 제1전극(133)과 제2전극(135)에 인가하도록 무금속전극(131)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극전환스위치부(240);
IoT제어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와 정수시스템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수장치(100)의 구동상태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동상태정보를 빅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비스부(260);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
상기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200)
A GPS unit 215 for providing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 IoT control unit 220 for receiving and storing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 integer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putted from outside;
Metal electrode 131 to apply a revers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133 and the second electrode 135 to remove sludge including oxides and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metal-free electrode 131, An electrode change-over switch unit 240 for performing switching for chang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s;
A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received by the IoT control unit 220;
A cloud service unit 260 for transmit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system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o outside for generating big data;
A communication unit 26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controller (200)
And an input unit (210)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수제어부(230)는,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정수작동, IoT기반 작동상태정보 수집, 알람정보수집 및 알람출력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nteger controller (230)
An IoT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ger system and to provide at least one of integer operation, IoT-based operating state information collection, alarm information collection and alarm output, or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ger system; AI 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는,
현재시간과 날짜,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설정정보;
정수 사이클의 각 단계별 작동시간 정보를 가지는 정수 시나리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동 스케줄링정보 또는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 중 어느 하나인 작동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동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정보; 또는
계정설정, 오디오 검출 설정, 시스템정보 또는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5,
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current time and date, and time zone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teger scenario hav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of each step of the integer cycle, integer operation scheduling information for each day of the week, or operating method information that is either manual operation, schedul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software upgrade information; or
Mai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ccount setting, audio detection setting, system information or network information; ≪ RTI ID = 0.0 > IoT < / RTI > and AI 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수시스템의 정수설정정보는,
인접된 모바일 단말기(300)의 근거리 통신 또는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인접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와 접속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
상기 컨트롤러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정수장치의 구동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클라우드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5,
The mobil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mobile terminal 300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of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300 or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loud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collected from the controller or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big dat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0)와 무선통신에 의해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정수 시 정수장치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상기 정수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정수제어앱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ger control application that collects driving state inform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200, receives integer system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to remotely control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 IoT and an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수제어앱은,
정수제어앱의 설정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바들이 구비되는 메뉴바창; 및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태창과 메인컨트롤창을 구비하여 정수상태와 정수시작, 정수정지,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터페이스;
타임존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설정인터페이스;
정수시나리오설정, 정수 스케줄링 또는 작동방법선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설정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업그레이드설정인터페이스; 및
계정설정, 오디오검출설정, 정보수정 또는 네트워크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설정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9,
A menu bar having menu bars for selecting a setting menu of the constant control application; And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n interface,
The interface comprises:
A main interface that has a status window and a main control window to perform an integer state, an integer start, a constant stop, and a sterilization operation;
A time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time for each time zone;
An operation setting interface that allows one or more of an integer scenario setting, an integer scheduling, or an operation method selection to be performed;
An upgrade setup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perform software upgrades; And
An IOT and AI-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main setting interface for enabling an account setting, an audio detection setting, an information correction or a network setting to be perform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인터페이스는,
정수, 방전, 살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1사이클의 각 단계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시나리오설정인터페이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작동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링설정인터페이스; 및
수동작동, 스케줄 작동 또는 자동작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방법선택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하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시스템.
11. The system of claim 10,
A constant scenario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 time for each step of one cycle, which is a combination of constant, discharge, and sterilization;
A scheduling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n operation schedule for performing a time-based integer work per day; And
An IoT and AI based integ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lower interface including an operating method selection interface that allows selection of manual operation, schedul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삭제delete 현재시간과 날짜,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설정정보, 정수 사이클의 각 단계별 작동시간 정보를 가지는 정수 시나리오, 요일별 시간대별 정수 작동 스케줄링정보 또는 수동작동, 스케줄작동 또는 자동작동의 어느 하나인 작동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동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정보; 또는 계정설정, 오디오 검출 설정, 시스템정보 또는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수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정수설정정보수신과정;
정수제어부(230)가 상기 정수설정정보에 따라 정수장치(100)를 구동하여 정수를 수행하고, IoT 제어부(220)가 센서들을 통해 물탱크의 수위, 온도, 오동작 정보와 정수시스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수작동과정;
상기 정수작동과정 중에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는 구동상태정보저장과정;
클라우드서비스부(255)가 근거리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수집된 구동상태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 또는 클라우드서버(400)로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비스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방법.
A current time and date, 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ime zone information, an integer scenario having information on each step of the integer cycle, an integer operation scheduling information for each day of the week, or an operation method that is either manual operation, Operat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upgrade information of the system software; Or mai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n account setting, an audio detection setting, system information, or network information;
The integer controller 230 drives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o perform an integer value and the IoT controller 220 controls the water level, temperature, malfunc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rough the sensors An integral operation process of col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A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constant oper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And a cloud service process in which the cloud service unit (255) transmits driv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cloud server (400).
청구항 13에 있어서,
통신부(260)를 통해 정수설정정보를 입력받은 후 근거리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에 의해 정수제어부(230)로 정수설정정보를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저장된 구동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300), 사용자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서버(400)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통신접속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IoT 및 AI 기반의 정수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receiving the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0, the integer setting unit 230 transmits integ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integer control unit 230 through local communication or Internet communica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stored for the cloud service to the outside, (300), a user terminal, or a cloud server (400).
KR1020160086989A 2016-07-08 2016-07-08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62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89A KR101862105B1 (en) 2016-07-08 2016-07-08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89A KR101862105B1 (en) 2016-07-08 2016-07-08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80A KR20180006180A (en) 2018-01-17
KR101862105B1 true KR101862105B1 (en) 2018-07-04

Family

ID=6102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989A KR101862105B1 (en) 2016-07-08 2016-07-08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2312B (en) * 2018-04-28 2022-06-24 佛山市雅洁源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water purifier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2054809B1 (en) * 2019-07-18 2019-12-12 (주)동천기공 Wat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eep running
CN111901128B (en) * 2020-09-29 2020-12-15 成都清渟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data safety of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based on block chain
CN113359588A (en) * 2021-07-08 2021-09-07 成都思为交互科技有限公司 Water purifier monitoring control system
KR102435404B1 (en) * 2021-12-23 2022-08-24 (주)그룬 System for managing filters of microfiltration devices based on pres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943A (en) *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kali ionized water maker
KR101354569B1 (en) * 2013-10-16 2014-02-07 김병문 Water purifier filter replacement alarm and remot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943A (en) *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kali ionized water maker
KR101354569B1 (en) * 2013-10-16 2014-02-07 김병문 Water purifier filter replacement alarm and remot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80A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05B1 (en) PURIFICATION SYSTEM BASED ON IoT AND AI AND THE METHOD THEREOF
CN206955673U (en) Water purifier with remote control
KR101135697B1 (en) Water quality measuring equipment based on multiple sensing technology
CN106145203A (en) Water purifier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H0857482A (en) Device for producing ion-rich water
CN105452174A (en) Electro-chemical filter apparatus
CN108862690A (en) Internet of Things water purifier and its monitoring method
CN101306854A (en) Water treatment device
AU2015307266A1 (en) Data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fluids
CN104511205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monitoring device of water purifier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with remote terminal
CN101993135A (en) Two-in-one cupric chloride/cupric bromide disinfecting apparatus for swimming po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569657A (en) Management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purified water and its implementing method
US10077198B2 (en) Electrosorption system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from water
CN107966966A (en) A kind of management of the use of water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water quality detection
JP2008030024A (en) Deionizing device and its using method
JPH10180259A (en) Wate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CN105174514A (en) Control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machine of internet of things
CN108328817A (en) A kind of laboratory sewage disposal device of centralized processing
CN104932434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sewage treatment membrane bioreactor
CN100540747C (en) The modified version fully automatic high oxidation electric potential sterilized water generator
CN212425485U (en) Intelligent water purifier
JP2008279408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system
KR101657707B1 (en) Modular electrolysis system
CN104030405B (en) Electrochemical enhanced sand filter tank arsenic removal method
CN103373780B (en) A kind of device for purifying potable water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