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79B1 -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79B1
KR101861779B1 KR1020160111832A KR20160111832A KR101861779B1 KR 101861779 B1 KR101861779 B1 KR 101861779B1 KR 1020160111832 A KR1020160111832 A KR 1020160111832A KR 20160111832 A KR20160111832 A KR 20160111832A KR 101861779 B1 KR101861779 B1 KR 10186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main body
spraying
connector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866A (ko
Inventor
진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보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보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보배
Priority to KR102016011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71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 A01M7/0078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including break-aw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30Track-tensio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농약살포대를 본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가 내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정,역회전 구동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
상기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임의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동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모터의 구동시 상기 본체를 이동 및 방향전환시키며 상기 본체의 주행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궤도형 벨트;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농약공급장치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는 농약공급호스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이음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착탈 및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가 작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주행시 분사노즐을 통해 농약을 상기 작물에 살포하는 농약살포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a agricultural pesticides crop duster}
본 명세서의 내용은 농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물 재배지의 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기 위한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crops, 作物)이라 함은 논 또는 밭에서 재배하는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 비료작물, 원예작물 등을 지칭한다.
작물의 재배는 논 또는 밭에서 직접 하거나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하게 되며, 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토지에 밑거름을 준 다음 밭을 갈고 두둑한 이랑을 만들게 된다.
이때, 두둑한 이랑과 이랑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태의 고랑이 형성되며, 작업자는 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씨를 뿌리고, 모종을 심거나 솎아주고, 웃거름을 주고, 작물이 자라면 수확을 하게 된다.
전술한 고랑은 그 폭이 협소한 반면에, 작물을 각종 병충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고, 수확량을 증산시키기 위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이때, 소규모의 작물 재배지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식 분무기를 어깨에 메어 협소한 고랑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물에 직접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반면에, 대규모의 작물 재배단지인 경우에는 농약살포장치를 차량 또는 경운기 등에 탑재시키고, 농약살포장치와 연결되는 호스 형태의 농약살포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물에 농약을 살포시 차량 또는 경운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협소한 고랑으로 차량 및 경운기가 직접 진입할 수 없어 농약 살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10342호에 게시된 수동 농약 살포용 호스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농약 살포장치로부터 농약분무기로 연결되는 농약 호스 및 기둥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농약 호스를 부상시켜 재배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었다.
전술한 수동 농약 살포용 호스 가이드장치는 작업자가 농약분무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협소한 고랑을 따라 직접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게 되므로 이동이 힘들고, 작물에 대해 정확한 농약 살포가 어려우며, 농약의 살포과정에서 분무상태로 비산되는 농약이 작업자의 호흡기에 영향을 주게 되어 농약 중독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10342호에 수동 농약 살포용 호스 가이드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은,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농약살포대를 본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농약살포대를 커넥터에 대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한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작물에 대한 농약 살포 및 주행을 반 자동화하여 농약 살포시 분무상태로 비산되는 농약으로부터 작업자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가 내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정,역회전 구동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
상기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임의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동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모터의 구동시 상기 본체를 이동 및 방향전환시키며 상기 본체의 주행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궤도형 벨트;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농약공급장치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는 농약공급호스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이음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착탈 및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가 작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주행시 분사노즐을 통해 농약을 상기 작물에 살포하는 농약살포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농약살포대를 본체에 착탈시켜 사용함에 따라 농약 살포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하거나, 또는 창고 등에 보관시 부피가 축소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편리성을 갖게 된다.
또한, 농약살포대를 커넥터에 대해 연통되도록 이음연결시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시킴에 따라 농약공급호스에 대한 작업자의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작물에 대한 농약 살포 및 주행을 반 자동화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되므로 농약 중독으로 인해 농약 살포작업을 기피하는 현상 및 농어촌의 부족한 노동력을 해소하고, 농약 살포시 분무상태로 비산되는 인체에 유해한 농약으로부터 작업자 건강을 보호할 수 있어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게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약 살포장치에서, 본체를 궤도형 벨트에 의해 주행시키는 구동부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약 살포장치에서, 살포장치의 내부 도면,
도 4(a,b,c)는 도 1에 도시된 농약 살포장치에서, 농약살포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의 사시도, 단면도 및 농약살포대의 기울어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농약 살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게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게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는,
덮개(뚜껑을 말함)(10)가 상단 개구부에 힌지(경첩을 말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11)가 내설되는 박스형태의 상단이 개방되는 본체(12);
본체(12)에 내설되고, 배터리(11)에 연결되어 정,역회전 구동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13,14);
본체(12)의 좌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주행모터(13,14)에 연결되는 구동롤러(15,16) 및 구동롤러(15,16)와 이격되어 임의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동롤러(idler)(17,18)에 설치되고, 주행모터(13,14)의 구동시 본체(12)를 이동시키거나 방향전환시키며 본체(12)의 주행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19)이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궤도형 벨트(20,21);
덮개(10)에 장착되고, 농약공급장치(미 도시됨)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는 농약공급호스(22)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이음연결되는 커넥터(23);
커넥터(23)의 상면에 착탈 및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본체(12)가 작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주행시 분사노즐(24)을 통해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게 되는 농약살포대(25);를 구비한다.
커넥터(23)는
덮개(10)에 형성되는 관통공(미 도시됨)에 장착되고, 농약살포대(25) 하단의 보스형태의 연장부(26)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27)이 내주연에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28);
결합홈(27) 밑에 형성되는 밸브시트(29)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공(30)을 개폐시키고, 농약살포대(25)가 하우징(28)에 결합되어 농약살포대(25)의 연장부(26) 바닥면에 연장되는 가압편(26a)에 의해 가압될 경우 배출공(30)을 개방시키게 되는 볼밸브(31);
볼밸브(31)를 밸브시트(29)에 가압하여 배출공(30)을 차단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32)(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
하우징(28)의 하단에 결합되어 볼밸브(31) 또는 탄성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고, 농약공급호스(22)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이음연결되는 캡(33);을 구비할 수 있다.
농약공급호스(22)의 일단(농약공급장치의 릴에 감기는 반대쪽을 말함)을 커넥터(23)의 바닥면에 연통되게 이음연결하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행 또는 농약살포시 커넥터(23)로부터 농약살포대(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8)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34)와, 절개부(34) 하단에 연통되게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35);
농약살포대(25)를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연장부(2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걸림홈(35)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스토퍼(stopper)(36);
연장부(26)의 바닥면과 밸브시트(29)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농약살포대(25)가 커넥터(23)에 대해 결합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37)(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농약공급장치는 작물이 재배되는 이랑의 시작 또는 끝 부위에 배치되고, 농약을 농약공급호스를 통해 분사노즐(24)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물에 희석되는 농약이 저장되는 농약통, 펌프 등을 포함하고, 농약공급장치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2)의 주행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19)은
구동롤러(15,16)의 긴장측(벨트가 구동롤러(15,16)쪽으로 감기는 쪽을 말함)에서 궤도형 벨트(20,21)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1회전릴(38);
구동롤러(15,16)의 이완측(벨트가 구동롤러(15,16)로부터 풀려나오는 쪽을 말함)에서 궤도형 벨트(20,21)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회전릴(39);
제1회전릴(38)의 고정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구동롤러(15,16)의 밑에 위치하는 피동롤러(18)의 고정축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40);
제1링크(40)의 중간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회전릴(39)의 고정축이 위치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타측에 슬롯(slot)(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링크(41);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5는 커넥터(23)를 덮개(10)의 상면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미 도시된 리모트컨트롤러의 전진 또는 후진 버튼의 조작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13,14)를 구동시킴에 따라 본체(12)가 작물이 생육되는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고랑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즉,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13,14)의 구동시,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13,14)각각의 제1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베벨기어(43)가 회전됨에 따라 제1베벨기어(4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44)가 회전하게 된다. 제2베벨기어(44)가 형성되고 구동롤러(15,16)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제2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15,16)가 회전될 경우, 구동롤러(15,16) 및 수개의 피동롤러(17,18)에 설치된 궤도형 벨트(20,21)가 궤도운동을 하게 되므로 본체(12)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13,1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5,16)와 아이들러인 피동롤러(17,18)에 의해 궤도형 벨트(20,21)를 궤도운동시킴에 따라 본체(12)를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주행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물이 생육되는 이랑의 시작 또는 끝 부위에 배치되는 농약공급장치(미도시됨)의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농약은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고랑을 따라 이동되는 농약호스(농약공급장치의 권선릴에 농약호스가 감기거나 풀리게 됨)를 통해 본체(12) 내부의 농약공급호스(22)에 공급될 수 있다.
즉, 농약공급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농약은 농약공급호스(22)를 통해 덮개(10)에 장착된 커넥터(23)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23)를 이루는 하우징(28)에 내설된 볼밸브(31)가 탄성부재(32)에 의해 탄성지지됨에 따라 볼밸브(31)에 의해 밸브시트(29)의 배출공(30)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농약공급호스(22)를 통해 공급되는 농약은 하우징(28) 내부에 공급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28) 상단의 결합홈(27)에 농약살포대(25) 하단의 연장부(26)를 결합시킬 경우, 연장부(26)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압편(26a)에 의해 볼밸브(31)를 가압하여 밸브시트(29)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이때 탄성부재(32)는 압축력을 받게 됨).
전술한 바와 같이 농약살포대(25)의 하단을 하우징(28)의 결합홈(27)에 결합시킬 경우 밸브시트(29)로부터 이탈되는 볼밸브(31)가 열림상태로 전환되므로 농약공급호스(22) - 하우징(28)의 배출공(30) - 농약살포대(25)는 각각 연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농약공급호스(22)를 통해 하우징(28)에 이동된 농약은 하우징(28) 상단의 결합홈(27)에 연장부(26)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농약살포대(25)의 수 개의 분사노즐(24)을 통해 작물에 살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8)에 농약살포대(25)를 결합시킬 경우, 농약살포대(25)의 연장부(26)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36)를 하우징(28)의 결합홈(27)에 형성된 절개부(34)에 안착시킨 후, 농약살포대(25)를 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스토퍼(36)가 절개부(34)에 연통된 걸림홈(35)에 안착되어진다.
이때, 농약살포대(25)의 연장부(26)의 바닥면과 하우징(28)의 결합홈(27)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8)에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농약살포대(25)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 또는 농약살포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 농약살포대(25)가 하우징(28)의 결합홈(27) 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하우징(28)으로부터 농약살포대(2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c)에서와 같이, 농약살포대(25)는 분사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농약을 작물에 살포시, 작물의 재배위치 및 크기, 또는 고랑으로부터의 작물까지의 거리에 따라 작물을 향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농약을 작물에 살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약 살포장치에 의하면, 농약공급장치로부터 농약공급호스(22)를 통해 공급되는 농약을 분사노즐(24)을 통해 작물에 살포하게 되는 농약살포대(25)를 본체(12)의 덮개(10)에 장착된 커넥터(2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농약 살포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작물 재배지 또는 창고로 운반할 경우, 또는 농약 살포장치를 창고 등에 보관시 농약살포대(25)를 본체(1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농약 살포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부피가 대폭 축소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약살포대(25)를 커넥터(23)에 대해 연통되도록 이음연결시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시킴에 따라 농약공급호스(22)에 작업자의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게시된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덮개 11; 배터리
12; 본체 13,14; 주행모터
15,16; 구동롤러 17,18; 피동롤러
19; 장력조절수단 20,21; 궤도형 벨트
22; 농약공급호스 23; 커넥터
24; 분사노즐 25; 농약살포대
26; 연장부 27; 결합홈
28; 하우징 29; 밸브시트
30; 배출공 31; 볼밸브
32; 탄성부재 33; 캡
34; 절개부 35; 걸림홈
36; 스토퍼 37; 탄성부재
38; 제1회전릴 39; 제2회전릴
40; 제1링크 41; 제2링크
42; 슬롯(slot)

Claims (3)

  1.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배터리가 내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정,역회전 구동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모터;
    상기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임의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동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모터의 구동시 상기 본체를 이동 및 방향전환시키며 상기 본체의 주행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궤도형 벨트;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농약공급장치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는 농약공급호스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이음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착탈 및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가 작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주행시 분사노즐을 통해 농약을 상기 작물에 살포하는 농약살포대;를 구비하는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장착되고, 상기 농약살포대의 연장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내주연에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홈 밑의 밸브시트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공을 차단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농약공급호스가 이음연결되는 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농약살포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하단에 연통되게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농약살포대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부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스토퍼;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과 상기 밸브시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농약살포대가 상기 커넥터에 대해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20160111832A 2016-08-31 2016-08-31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186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32A KR101861779B1 (ko) 2016-08-31 2016-08-31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32A KR101861779B1 (ko) 2016-08-31 2016-08-31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66A KR20180024866A (ko) 2018-03-08
KR101861779B1 true KR101861779B1 (ko) 2018-05-28

Family

ID=6172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832A KR101861779B1 (ko) 2016-08-31 2016-08-31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3128A (zh) * 2018-06-04 2018-10-26 安徽省大地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用农药喷洒装置
CN108934226B (zh) * 2018-07-18 2021-07-30 徐州惠泉泵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喷灌机
CN109169609B (zh) * 2018-10-31 2021-12-17 杭州岚飞科技有限公司 小型农药喷洒设备
CN109169610B (zh) * 2018-10-31 2021-12-07 杭州岚飞科技有限公司 梯形茶园喷药的小型设备
CN111264506B (zh) * 2020-03-31 2021-10-08 华电中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喷药机器人
KR102259602B1 (ko) 2020-10-27 2021-06-03 김광수 농약 자동 살포장치
WO2022099678A1 (zh) * 2020-11-16 2022-05-19 于洪珍 一种农业种植用打药机
KR102506248B1 (ko) * 2022-07-21 2023-03-03 백영배 배터리에 의해 작동하는 농약살포장치를 갖는 전동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66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779B1 (ko)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1861778B1 (ko)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US20220095527A1 (en) Robotic platfor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in agricultural systems
US9622398B2 (en) Robotic gantry bridge for farming
KR102272389B1 (ko) 자율주행식 무인방제차량의 분사장치
KR101661707B1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US20210029892A1 (en) Plan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ES2833407T3 (es) Dispositivo de rociado para un robot de rociado y robot de rociado
KR100966115B1 (ko) 농약살포장치
US11517009B1 (en) Weed-E-Bug
KR102275386B1 (ko)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KR20220040545A (ko) 농업용 액체 살포장치
JP3495339B2 (ja) 茶株内噴霧器および茶株病害虫駆除方法
CN110463680A (zh) 一种行走式农田除草遮蔽装置
CN213848399U (zh) 一种手提便捷型农药喷雾器
US20240172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an agricultural area
KR20010019044A (ko) 트랙터 부착용 다목적 농약 살포장치
CN212279599U (zh) 一种果木农药喷洒器
KR102139550B1 (ko) 분무작업 겸용 퇴비살포기
JPS629981Y2 (ko)
KR101692355B1 (ko) 견인형 방제기
KR200278643Y1 (ko) 이중호스 릴을 갖는 트랙터용 농약분무기
KR20160079194A (ko)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JPH0517181Y2 (ko)
CN112205379A (zh) 一种果木农药喷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