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194A -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 Google Patents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194A
KR20160079194A KR1020140190165A KR20140190165A KR20160079194A KR 20160079194 A KR20160079194 A KR 20160079194A KR 1020140190165 A KR1020140190165 A KR 1020140190165A KR 20140190165 A KR20140190165 A KR 20140190165A KR 20160079194 A KR20160079194 A KR 2016007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tor
pipe
spray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훈
이광율
Original Assignee
송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훈 filed Critical 송정훈
Priority to KR102014019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194A/ko
Publication of KR2016007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2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with additional devices or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01Crusher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및 밭 등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재배하는 작물을 수확 시 용이하게 적재 할 수 있도록 상부로 받침판(400)이 구성되고, 배터리(130)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농약 또는 물을 분무 시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제어부(200)가 구성되어 사용 시 위치의 제약이 따르지 않고, 더불어 운용기를 선택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113)에 의해 편리성이 부여되는 분무와 운반기능을 가지며 작물의 재배, 비료 및 사료의 이송, 수확 등 다양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무인 다목적 운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The manless multipurpose operation device taking the spraying and transportation }
본 발명은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하는 작물을 수확 시 용이하게 적재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농약 또는 물을 분무 시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어 위치의 제약이 따르지 않고, 더불어 운용기를 선택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 할 수 있는 편리성이 부여되는 분무와 운반기능을 가지며 작물의 재배, 비료 및 사료의 이송, 수확 등 다양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무인 다목적 운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과거 농촌에서는 농약이나 약상비료 등을 살포하기 위하여 등에 매는 방제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돌아다니면서 직접 살포하거나 일정간격으로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는 긴 호스를 양측에서 들고 살포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최근에는 특히 과수작물의 경우 병해충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람이 운전하는 과수용 방제기가 많이 보급되었지만 이러한 기존의 방제 방법은 사람이 직접 들고 운반하는지 또는 운전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방제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인체에 해로운 방제 용액에 노출되는 것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경우 자동화하여 방제작업을 이루기에 용이하나 과수작물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주로 경사지에 형성되어 자동화가 곤란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35299 (실)가장자리에 난간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난간에 착탈식으로 된 제2 난간이 구비된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저면 전후부에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구동장치부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장치부는 지지프레임의 전후부에 장착되어 전륜 및 후륜으로 구비된 두쌍의 바퀴와, 전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과, 그리고 한 쌍의 후륜 사이에 설치되어 후륜의 양 바퀴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와, 하단에는 전류의 주축에 연결된 수직로드 양측과 와이어로서 연결되는 조향판을 고정설치함으로서 수평레버식 핸들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릴 때 전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구성과, 수평레버식 핸들의 축에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후륜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0239207 (특) 밭고랑 옆에 설치되어지는 가이드와이어와, 이가이드와이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아암롤러와, 이 센서아암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센서아암과, 이 센서아암의 각도변화를 검출하는 가변저항기와, 이 가변저항기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컨버터와, 이 A/D컨버터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좌, 우의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1칩 마이컴과, 이 1칩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되어지는 주행부와, 이 주행부와 구동모터의 관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파워트랜지스터와, 상기 1칩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방제부로 이루어진 것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공개번호 10-2012-0041910 (특) 어도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와, 약제탱크 및 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방제부를 구비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방제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지면에는 한 쌍의 루프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동일한 축 선상에서 움직이는 두 개의 바퀴를 구비하되, 상기 바퀴는 각각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제기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제1 및 제2 초음파 센서가 형성되어, 상기 루프가 상기 초음파센서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를 회전을 달리하여 복귀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방제부는 방제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경사각센서와, 수직으로 입설되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경사 여부를 판단하는 포텐쇼메타와, 상기 붐대의 힌지 상부와 회전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링크와, 상기 제3 링크의 타측단에 장착되어 제3 링크를 회전시키는 경사각조절모터와, 상기 붐대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분무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고동부와 방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20-0417904 (실)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게 이동되며, 약액 또는 물을 분무하기 위한 약대가 설치된 무인 방제기에 있어서, 몸체와, 각각 상기 몸체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각각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레일의 시점과 종점에서 정지 또는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약대에서 분무되는 약액 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움직이며 짐을 싣거나 필요에 따라 분무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순한 편리성만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무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분무기를 구비하여 설치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어 다소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고, 구동함에 있어 구성되는 장비가 매우 고가의 장비이다 보니 제작 시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농업에 이용하는 무인주행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받아 분석 후 구동모터에 입력되어 작동하게 되는데 이는, 센서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가 있어 자칫 위급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종래 기술과 비슷하게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고가의 기술로 구성되어 있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유동토록 구성되어 있지만 레일을 설치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이러한 레일은 다른 작업에서 활용하지 못하면 방제를 제외한 작업시에는 장애물과 같은 것으로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종합해보면 고가의 장비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위험성이 높은 장치에 반해, 재배 작물을 수확 시 용이하게 적재 가능토록 구성하고, 농약 또는 물을 분무 시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제약이 없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부여되는 장치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전원파이프의 유동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제약 없이 구동 가능토록 구성하고, 농약 또는 물을 분무하되 분무파이프를 호스와 연결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열림-잠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하여 편리성을 부여하고, 프레임의 상부로 받침판을 안착 구성하여 재배하는 수확 시 용이하게 싣고 다닐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움 꺾임 되는 손잡이(103)가 구성되고, 하부로 회전축(110)이 구성되되 외주를 감싸는 기어(111)와 양측에 바퀴(116)가 끼움 결합 되고, 상기 기어(111)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110)을 회전하는 모터(120)와 상기 모터(120)에 전류를 인가하는 배터리(130)가 각각 구성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 제 1유동홈(211)이 구성되되, 상기 제 1유동홈(211) 내부를 유동하며 일 측에 걸림홈(212)이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원파이프(210)와,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 단부에 구성되되 돌출되는 스위치가(221)가 상기 걸림홈(212)에 걸림 되는 전원스위치부(220)와, 상기 제 1유동홈(211)의 타 측에 제 2유동 홈(231)이 구성되되, 상기 제 2유동 홈(231)의 내부를 유동하며 일 측에 호스(h)의 레버(r)와 연결되는 호스잠금부재(232)로 구성되는 분무파이프(230)를 포함하는 작동제어부(200)로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와 운반 기능이 구비된 무인 다목적 운용기에 의하면 종래의 구성에 비해 저가의 제작비용을 소비하며 작동 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무엇보다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분무를 할 수 있어 분무 시 습기로 인해 누전이나 감전 및 농약 중독위험이 될 위험성이 전혀 없이 효과적인 작업이 진행되어 편리성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동으로 교환하여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고, 수확 시 수확물을 받침판에 싣고 다닐 수가 있어 많은 인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 할 수 있고, 하우스 또는 밭에서 자유로이 위치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레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락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원파이프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원파이프와 전원스위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원파이프와 전원스위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분무파이프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분무파이프와 호스잠금부재를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분무파이프와 호스잠금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재배하는 작물을 수확 시 용이하게 적재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농약 또는 물을 분무 시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으며 위치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더불어 운용기를 선택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 할 수 있는 편리성이 부여되는 분무와 운반기능을 가지며 작물의 재배, 비료 및 사료의 이송, 수확 등 다양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로서 통상적으로 종래에 있어 일반적으로 농약 및 물을 분무 시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 하거나 물을 분무 하였고, 고가의 기계장비를 구매하여 사용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사람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어 피로가 많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가의 장비를 구매하기에는 부담이 많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분무와 운반기능을 가진 무인 다목적 운용기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프레임(100)에는 도 2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기될 기타 구성요소들이 결합 및 안착 또는 연결 구성될 수 있는 전체적인 틀의 개념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축(110)이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110)의 외주를 감싸는 기어(111)가 일체로 구성되며 양측에는 바퀴(116)가 끼움 결합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10)의 양측으로 바퀴(116)가 끼움 구성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110)은 프레임(100)의 하부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을 관통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움 꺾임 되는 손잡이(103)가 구성되어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선택적으로 위치 또는 방향을 변경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며 끼움 홈(101)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109)이 구성되어 하기될 받침판(400)의 돌출부(401)가 용이하게 끼움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 모터(120)가 안착 구성되되 상기 기어(111)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하기될 배터리(130)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상기 회전축(110)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120)와 기어(111)가 연결 구성되되 본 발명에서는 벨트(121)를 적용하여 도시되었지만 사용에 따라 체인 또는 통상의 연결 구성되는 방법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120)가 무인 운용기의 유동 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 양측 단부에 이음 연결되는 지지대가 구성되어 용이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130)는 무인 운용기의 전체적인 구동이 가능토록 전류를 모터(120)와 제어부(300)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130)에서 인가받은 전류로 전체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130)도 상기 모터(120)와 동일하게 지지대의 타 측으로 구성된 다른 하나의 지지대의 상부로 안착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동 방법을 통하여 종래에 단순이 많아 사용되어 오던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유동되는 손수레 및 운용기를 자동화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111)와 상호 마주하며 상기 회전축(110)의 외주를 감싸는 유동뭉치(117)가 구성되되 다수의 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뭉치(111)의 외주를 감싸며 길게 형성되는 작동레버(113)가 좌, 우로 유동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뭉치(117)와 마주하며 상기 회전축(110)의 외주를 감싸며 다수의 결합홈(115)이 형성되는 구동뭉치(114)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구동함에 있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113)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일 측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유동뭉치(117)의 돌기(112)가 상기 구동뭉치(114)의 결합홈(115)으로 결합되어 자동적으로 구동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작동레버(113)를 타 측 방향으로 조작 하여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유동뭉치(117)의 돌기(112)가 상기 구동뭉치(114)의 결합홈(115)에서 빠지게 되어 수동식으로 무인 운용기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다수의 고정홈(106)이 형성되는 고정뭉치(105)가 구성되어 상기 작동레버(113)를 유동 시켜 상기 돌기(112)가 결합홈(115)에 끼움 되되 고정 될 수 있도록 하게 되어 무인 운용기의 오작동 및 유동뭉치(117)의 돌기(112)나 구동뭉치(114)의 결합홈(115)이 마모 되지 않고 견고 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130)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130)가 상기 모터(120)로 인가하는 전류를 임의적으로 차단시켜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유동 시킬 수 있도록 단락스위치(107)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단락스위치(107)의 구성에 따라 무인으로 작동하는 무인 다목적 운용기가 불필요한 배터리(130)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배터리(130)의 사용량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또는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부로는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로 다수의 돌출부(401)가 구성되는 받침판(400)이 구성되어 상기 끼움 홈(101)에 끼움 결합가능토록 구성되어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이용한 농작물의 수확 및 농약 또는 물을 분무 시 공간부상에 수확물, 농약 통, 물통 등을 담거나 안착 시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400)은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주로 도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농약 통 또는 물통을 고정 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성하여 용이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작동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도 6 내지 13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전원파이프(210)는 도 6 또는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 제 1유동홈(211)이 구성되되 상기 제 1유동홈(211)의 내부를 유동하며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보다 양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일 측에 걸림홈(212)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 단부에 구성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스위치(221)가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걸림홈(212)에 걸림 구성되는 전원스위치부(220)가 구성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21)가 상기 걸림홈(212)에 항상 걸림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원파이프(210)가 좌, 우로 유동됨에 따라 스위치(221)도 동시에 좌, 우로 유동가능 하게 되며 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파이프(210)가 일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스위치(221) 또한 일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무인 다목적 운용기가 일 측 방향으로 유동 하게 되는 것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파이프(210)가 타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스위치(221) 또한 타 측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하게 되며 무인 다목적 운용기가 타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파이프(210)와 전원스위치부(220)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무인 운용기가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유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원스위치부(220)의 스위치(221)가 동시에 유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 상기 무인 다목적 운용기가 왕복운동을 하는 곳의 양 끝에 막대를 세워 놓게 되면 상기 전원파이프(210)가 세워진 막대의 부딪히게 되며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일 측 단부에는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무인 운용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 가능토록 전원파이프작동레버(213)가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변경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길이를 보다 더 길게 구성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거리범위를 선택적으로 형성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양측 단부로 상기 분무파이프(23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파이프(240)를 연결 구성하여 지속적인 분무를 하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농약 또는 물을 지속적으로 분무 할 수 있게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구성에 의해 고가의 감지센서 및 기타 센서들과 제어부를 구성 할 필요가 없이 비용이 절감되며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전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무파이프(230)는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타 측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 2유동 홈(231)이 구성되되, 상기 제 2유동 홈(231)의 내부를 유동하며 일 측에 농약 또는 물을 분무하는 호스(h)의 레버(r)와 연결되는 호스잠금부재(232)로 구성되어 분무 시 자동적으로 잠금-열림이 되어 용하게 농약 및 물을 분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무파이프(230)가 일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됨과 동시에 호스(h)의 레버(r)와 연결된 호스잠금부재(232)가 동시에 일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호스(h)의 레버(r)가 열림 되어 농약 또는 물이 분무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무파이프(230)가 타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호스잠금부재(232)가 동시에 타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호스(h)의 레버(r)가 잠금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파이프(210)와 동일하게 상기 분무파이프(230)의 일 측 단부에는 분무 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분무되는 호스(h)의 레버(r)를 잠금 또는 열림 할 수 있도록 분무파이프작동레버(233)가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변경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3)의 사이로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성되어 본 발명의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를 선택적으로 제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00)에는 최초 사용자가 운용기를 작동 시키는 전원스위치(301)가 일 측에 구성되며 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작 할 수 있는 속도조절부(303)가 구성되어 운용기의 속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속도조절부(303)로 인해 선택적으로 운용기의 속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분무를 줄일 수 있으며 많은 양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속도를 제어하여 많은 양을 분무 할 수 있게 되어 실용성이 극대화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상기 단락스위치(107)의 역할과 동일한 역을 가진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운용기를 정지 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자동화 구성으로 인하여 최초 사용자가 제어부(300)에 구성된 전원스위치(301)를 조작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편리성이 극대화 되고 종래의 구성에 비해 저가의 제작비용을 소비하며 작동 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무엇보다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분무를 할 수 있어 분무 시 습기로 인해 누전이나 감전 및 농약 중독위험이 될 위험성이 전혀 없이 효과적인 작업이 진행되어 편리성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동으로 교환하여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고, 수확 시 수확물을 받침판(400)에 싣고 다닐 수가 있어 많은 인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 할 수 있고, 하우스 또는 밭에서 위치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운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100 : 프레임 101 : 끼움 홈 103 : 손잡이 105 : 고정뭉치
106 : 고정홈 107 : 단락스위치 109 : 지지대
110 : 회전축 111 : 기어 112 : 돌기 113 : 작동레버
114 : 구동뭉치 115 : 결합홈 116 : 바퀴 117 : 유동뭉치
120 : 모터 121 : 벨트 130 : 배터리
200 : 작동제어부
210 : 전원파이프 211 : 제 1유동홈 212 : 걸림홈
213 : 전원파이프작동레버
220 : 전원스위치부 221 : 스위치
230 : 분무파이프 231 : 제 2유동홈 232 : 호스잠금부재
233 : 분무파이프작동레버 240 : 연장파이프
300 : 제어부 301 : 전원스위치 303 : 속도조절부
400 : 받침판 401 : 돌출부
h : 호스 r : 레버

Claims (3)

  1. 프레임이 구비되되,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 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바퀴로 구성되는 운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원파이프(210)와,
    상기 프레임(100)의 모터(120)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전원파이프(210)에 형성된 걸림홈(212)에 스위치(221)가 연결되는 전원스위치부(220)로 구성되는 작동제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호스(h)의 레버(r)와 연결 되는 호스잠금부재(232)가 구성되어 작동 시 상기 레버(r)가 유동하며 호스(h)가 잠금-열림 될 수 있도록 분무파이프(230)가 구성되고,
    상기 분무파이프(230)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분부파이프(230)를 선택적으로 조작 할 수 있도록 분부파이프작동레버(233)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파이프(210)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전원파이프(210)를 선택적으로 조작 할 수 있도록 전원파이프작동레버(213)가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상기 작동레버(113)를 유동시켜 상기 돌기(112)가 결합홈(115)에 끼움 되어 고정 될 수 있도록 고정뭉치(105)가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130)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130)가 상기 모터(120)로 인가하는 전류를 임의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단락스위치(107)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103)의 사이에는 제어부(300)가 구성되되, 상기 모터(120)를 구동시키는 전원스위치(301)가 구성되고, 상기 모터(120)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속도조절부(30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0)에는 다수의 돌기(112)가 형성되는 유동뭉치(117)가 작동레버(113)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유동뭉치(117)와 마주하며 다수의 결합홈(115)이 형성되는 구동뭉치(114)가 구성되어 상기 돌기(112)가 상기 결합홈(115)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0)이 회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부로 돌출되며 끼움 홈(101)이 구성되는 다수의 지지대(109)가 구성되되, 하부로 돌출되는 받침판(400)이 구성되어 상기 끼움 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KR1020140190165A 2014-12-26 2014-12-26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KR20160079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65A KR20160079194A (ko) 2014-12-26 2014-12-26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65A KR20160079194A (ko) 2014-12-26 2014-12-26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194A true KR20160079194A (ko) 2016-07-06

Family

ID=5650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165A KR20160079194A (ko) 2014-12-26 2014-12-26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272B1 (ko) *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272B1 (ko) *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0467B1 (en) Working vehicle
KR102388072B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861778B1 (ko)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KR101460991B1 (ko)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KR102272389B1 (ko) 자율주행식 무인방제차량의 분사장치
US11104009B2 (en) Movement device provided with cylindrical rotating bodies
KR101861779B1 (ko)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1661707B1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KR20100093761A (ko) 무인 자동화 농약살포장치
IT201900001789A1 (ko)
KR20160079194A (ko) 분무와 운반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운용기
KR20150067841A (ko) 무인자동화 방제장치
ES2833407T3 (es) Dispositivo de rociado para un robot de rociado y robot de rociado
CN109362685B (zh) 一种新型智能农业洒药装置
KR20180046146A (ko) 농기계의 구동장치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KR101864715B1 (ko) 전휠타입의 시설원예용 다기능 플랫폼 무인반송장치
KR100856142B1 (ko) 다목적 전동 손수레
JPH07203826A (ja) 走行型防除機
KR20110117785A (ko) 작업 유닛 이동장치
KR20150144007A (ko) 주행형 자동 방제기 모듈 타입
KR102590318B1 (ko) 자율주행형 왕겨 살포로봇
KR200334565Y1 (ko) 농약살포용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