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35B1 -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35B1
KR101861735B1 KR1020160168839A KR20160168839A KR101861735B1 KR 101861735 B1 KR101861735 B1 KR 101861735B1 KR 1020160168839 A KR1020160168839 A KR 1020160168839A KR 20160168839 A KR20160168839 A KR 20160168839A KR 101861735 B1 KR101861735 B1 KR 10186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vibrator
contact
cleaning liquid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숙
김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소닉
Priority to KR102016016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 하우징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가 마련된 인입부재와, 상기 버블발생부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환자의 구강에 캐비테이션을 발생시켜 치아 임플란트에 대해 비접촉 방식으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므로 치아 임플란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버블발생부에 의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많은 양의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므로 치면 세균막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Scaler device for dental}
본 발명은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을 발생시켜 치아 임플란트 표면에 생성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스케일러(Ultrasonic Scaler)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전원 압력으로부터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켜 초음파를 생성하고, 이 초음파를 이용해 치아나 환부 또는 시술위치의 치석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초음파 스케일러는 선단부에 팁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팁은 초음파 진동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팁은 통상적으로 철, 구리, 티타늄 및 금속합금 등으로 제조되는데, 팁의 사용이 반복되면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팁을 치석에 접촉한 다음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치석을 제거한다.
그러나, 치아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실제 치아와 달리 초음파 진동이 직접 인가시 크랙이 발생되므로 임플란트의 표면에 형성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553호: 치석제거용 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환자의 구강에 캐비테이션을 발생시켜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에 생성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파지 하우징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가 마련된 인입부재와, 상기 버블발생부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세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구는 다수개가 상기 인입부재의 일측면 및 상기 인입부재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이 마련된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중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및 제2와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중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제3와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버블발생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연장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연장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제2연장부분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상기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석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진동을 인가받아 상기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치석제거부재는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버블발생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치석제거부재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접촉돌기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돌기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돌기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된 전달패널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세정액 분사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세정액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에 접하도록 설치된 공급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튜브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2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3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분사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세정액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에 접하도록 설치된 공급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튜브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 및 치석제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4바이브레이터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인입부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1전달로드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2전달로드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상기 인입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블발생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구가 마련되고,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보호커버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석션 팁과, 상기 석션 팁에 연결되는 석션 배관을 포함하는 석션 유닛과, 상기 인입부재와 석션 팁 사이의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인입부재와 상기 석션 팁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상기 석션 팁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범위 이내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와 상기 석션팁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는 환자의 구강에 캐비테이션을 발생시켜 치아 임플란트에 대해 비접촉 방식으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므로 치아 임플란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버블발생부에 의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많은 양의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므로 치아 혹은 임플란트 표면의 표면 손상을 감소하면서 치면 세균막 혹은 치석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버블 발생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한 보다 구제척인 구현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스케일러(100)는 파지 하우징(110)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121)가 마련된 인입부재(120)와, 상기 버블발생부(121)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12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미도시)와, 상기 파지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전원선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12)가 마련된 본체(111)를 구비한다.
파지 하우징(110)은 내부에 진동발생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131)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파지 하우징(110)을 파지하여 인입부재(120)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파지 하우징(110) 외주면에는 진동발생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인입부재(120)는 파지 하우징(110)의 단부에 설치되며, 파지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인입부재(120)는 일단부가 파지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되게 고정되며, 타단부에 버블발생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입부재(120)는 진동발생부에 의해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견고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합금, 티타늄, 카본, 플라스틱, NiTi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120)는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인입부재(1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입부재(120)와 파지 하우징(110) 사이에는 인입부재(120)에 인가되는 진동이 파지 하우징(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파지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인입부재(120)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고,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버블발생부(121)는 인입부재(12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122)와, 상기 틀부재(122)의 중공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132)가 형성된 메쉬부재(123)를 구비한다. 상기 메쉬부재(123)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틀부재(122)의 중공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와이어로 구성된다. 한편, 버블발생부(121)의 메쉬부재(123)는 제1 및 제2와이어의 교차각도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와이어의 교차각도가 보다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블발생부(121)는 인입부재(120)가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시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에 잠기는데, 버블발생부(121)가 메쉬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진동발생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파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입부재(1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진동발생부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111)는 외부에 진동발생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진동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스위치(112)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어스위치(112)를 통해 상기 진동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100)는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세정액 분사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통과되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인입부재(12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일단면에 세정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공급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튜브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러(100)를 이용하여 치면 세균막 제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케일링이나 치면 세균막 제거 작업시 작업자는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주입한다. 다음, 작업자는 파지 하우징(110)을 파지하고, 진동발생부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버블발생부(121)가 작업대상 치아 임플란트에 인접되게 구강 내 세정액에 접촉되도록 인입부재(120)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인입부재(12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측으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고, 캐비테이션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표면에 생성된 치면 세균막이 제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러(100)는 환자의 구강에 캐비테이션을 발생시켜 치아 임플란트에 대해 비접촉 방식으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므로 치아 임플란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버블발생부(121)에 의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많은 양의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므로 치면 세균막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블발생부(125)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블발생부(125)는 상기 인입부재(12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12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버블발생부(125)는 인입부재(12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고, 인입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요철(126)은 버블발생부(125)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버블발생부(125)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요철(126)은 버블발생부(125)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버블발생부(125)가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버블발생부(125)는 도 4와 같이 원형 또는 도 5와 같이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블발생부(127)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버블발생부(127)는 상기 인입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128)와, 상기 틀부재(128)의 중공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3와이어(129)를 구비한다. 상기 제3와이어(129)는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틀부재(128)에 배열된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제3와이어(129)는 인입부재(12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3와이어(129)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입부재(120)의 연장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블발생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블발생부(130)는 상기 인입부재(120)의 내부에 내부공간(131)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재(120)의 타단부에 상기 내부공간(131)에 연통되는 관통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버블발생부(130)가 마련된 인입부재(120)의 타단부는 파지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인입부재(120)는 환자의 구강에 인입시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에 잠기는데, 상기 세정액의 일부는 관통구(132)를 통해 내부공간(131)으로 인입된다. 관통구(132) 및 내부공간(131)에 의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고, 진동발생부(230)로부터 진동이 인가시 버블발생부(130)로부터 캐비테이션이 발생된다.
한편, 버블발생부(130)의 관통구(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상기 인입부재(120)의 일측면 및 상기 인입부재(120)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구(132)들이 인입부재(1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보다 더 확장된다.
또한, 버블발생부(130)는 관통구(132)로부터 파지 하우징(110)에 인접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내부를 통과한 세정액이 분사되는 보조분사구(139)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세정액 분사부(240)의 공급튜브(241)는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인입부재(120)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급튜브(241)는 내부에 세정액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내부유로를 통과한 세정액이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튜브(241)의 타단부는 파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본체(111)에 설치되며, 세정액 공급부재(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공급튜브(241)는 내부를 통과하는 세정액에 의해 진동발생부(230)가 방열될 수 있도록 일측이 진동발생부(2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데, 진동발생부(230)를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튜브(241)를 통해 인입부재(120)의 내부공간(131)으로 분사된 세정액은 내부공간(131)을 통과하고, 관통구(132)를 통해 환자의 구강으로 공급된다.
한편, 세정액 공급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공급튜브(241)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상기 본체(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튜브(241)에 연결되어 수용탱크의 세정액을 공급튜브(241)의 일단부로 펌핑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11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급튜브(241)는 수용탱크 대신에 병원에 마련된 세정액 공급시설에 연결될 수도 있다.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된 세정액은 파지 하우징(110)을 통과하여 인입부재(1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관통구(132) 및 보조분사구(139)를 통해 환자의 구강 내로 분사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블발생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버블발생부(140)는 인입부재(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연장부분(141) 및 제1연장부분(141)에 형성된 제2연장부분(142)을 구비한다.
제1연장부분(141)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인입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연장부분(141)은 인입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장부분(142)은 제1연장부분(14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연장부분(14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연장부분(142)은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블발생부(14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외측면에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많은 양의 캐비테이션이 발생된다. 또한, 버블발생부는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므로 임플란트 사이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위치에 인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러(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스케일러(200)는 상기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석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치석제거부재(2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치석제거부재(210)는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1)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치석제거부재(210)는 일단부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파지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치석제거부재(21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치석제거부재(210)는 인입부재(120)에 대응되게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블발생부(121)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블발생부(1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치석제거부재(2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단부가 절곡된 것이 아니라 직선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치석제거부재(210)는 타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고, 진동발생부(230)에 의해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견고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합금, 티타늄, 카본, 플라스틱, NiTi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의 버블발생부(121)를 갖는 인입부재(120)에 치석제거부재(210)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치석제거부재(210)는 상기 진동발생부(230)로부터 진동을 인가받아 상기 치석을 제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인입부재(1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치석제거부재(210)에 인입된 인입부재(1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치석제거부재(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작업자는 진동발생부(230)로부터 치석제거부재(210)에 진동을 인가한 다음, 치석제거부재(210)의 단부를 치석에 접촉시켜 치아에 생성된 치석을 제거한다. 한편, 치석제거부재(210)의 단부에는 노출구(212)가 형성되어 진동하는 버블발생부(121)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어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러(200)는 치아 임플란트에 버블발생부(121)를 통해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치석에 치석제거부재(210)를 접촉시켜 치석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치과용 스케일러(200)는 치석제거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치면 세균막 제거 작업 또는 치석제거부재(210)를 통한 치석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발생부(250)는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바이브레이터(251)와, 상기 치석제거부재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접촉돌기(252)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로부터 상기 접촉돌기(25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된 전달패널(253)을 구비한다.
제1바이브레이터(251)는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된 인입부재(120)의 일단부가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1바이브레이터(251)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세정액 분사부(240)의 공급튜브(241)는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바이브레이터(251)의 일측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바이브레이터(251)는 상단부가 제1서브지지부재(299)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299)는 치석제거부재(210) 내부 하단에 고정되며, 하면에 제1바이브레이터(251)의 상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299)는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직접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전달패널(253)이 관통되도록 접촉돌기(25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급튜브(241)의 일단부도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299)를 관통되게 설치된다.
접촉돌기(252)는 치석제거부재(210)의 일단부 내측면에 인입부재(120)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252)는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치석제거부재(210)에 설치되며, 진동이 치석제거부재(21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패널(253)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로부터 상기 접촉돌기(25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된다. 즉, 전달패널(253)은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전달패널(253)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의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돌기(252)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돌기(252)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즉, 전달패널(253)은 위치에 따라 접촉돌기(252) 또는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단부가 상시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1바이브레이터(251)로부터 접촉돌기(252)까지의 이격거리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패널(253)은 제1바이브레이터(251)의 진동을 접촉돌기(252)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지 하우징(110)에는 작업자가 상기 전달패널(253)을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2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전달패널(253)에 대향되는 파징 하우징(110)의 벽면에 관통되게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는 파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일단부가 전달패널(253)에 고정되고, 파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체(255)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파지체(255)를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전달패널(253)은 하단부가 제1바이브레이터(2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접촉돌기(252)에 접촉하여 진동이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되고, 작업자가 파지체(255)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전달패널(253)은 상단부가 접촉돌기(252)로부터 분리되어 치석제거부재(210)로의 진동 전달이 중단된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발생부(300)는 상기 인입부재(120)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120)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2바이브레이터(310)와, 상기 치석제거부재(210)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치석제거부재(210)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3바이브레이터(320)를 구비한다. 이때, 치석제거부재(210) 내부에는 인입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패드(3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패드(333)는 내측면이 치석제거부재(21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입부재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패드(333)는 인입부재에 인가된 진동이 상기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이브레이터(310)는 제1지지유닛(311)에 의해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된 인입부재(120)의 일단부가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2바이브레이터(31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2바이브레이터(310)는 상단부가 제2서브지지부재(319)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제2서브지지부재(319)는 치석제거부재(210) 내부 하단에 고정되며, 하면에 제2바이브레이터(310)의 상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319)는 제2바이브레이터(31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직접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연결로드(322)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제1지지유닛(311)은 제2바이브레이터(310)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완충링(312)과, 상기 제1완충링(31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파지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3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완충링(312)은 제2바이브레이터(31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파지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제3바이브레이터(320)는 제2지지유닛(321)에 의해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로드(322)에 의해 치석제거부재(210)에 연결된다. 이때, 치석제거부재(210)는 일단부 일부가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연결로드(322)는 일단이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된 치석제거부재(210)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3바이브레이터(320)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로드(322)는 제3바이브레이터(32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바이브레이터(32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지지유닛(321)은 제3바이브레이터(320)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완충링(323)과, 상기 제2완충링(32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파지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32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완충링(323)은 제3바이브레이터(32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파지 하우징(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액 분사부(240)의 공급튜브(241)는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에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의 일측에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튜브(241)는 상기 제2서브지지부재(319)를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 하우징(110)의 외주면 또는 본체(111)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 모두를 작동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통해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310,320)를 작동시켜 인인부재 또는 치석제거부재(210)에 진동을 인가시킨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발생부(400)는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에,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4바이브레이터(420)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인입부재(1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인입부재(120)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1전달로드(430)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43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2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치석제거부재(210)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2전달로드(440)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430,440)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41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410)을 회전시키는 조작부(450)를 구비한다.
이때, 파지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판(410)이 설치되되, 내부공간(131)을 인입부재(120)의 일단부가 인입된 제1단위공간(402)과, 조작부(450)가 설치되는 제2단위공간(402)으로 구획하는 격벽(40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410)은 제1단위공간(402)에 대응되는 격벽(401)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판(410)의 회전축은 단부가 제2단위공간(402)에 돌출되도록 격벽(401)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판(410)은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4바이브레이터(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슬롯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파지 하우징(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패드(4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패드(421)는 삽입슬롯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바이브레이터(420)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회전판(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상부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1접촉자석(422)이 설치되어 있다.
제1전달로드(430)는 제3지지유닛(431)에 의해 상기 파지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하고, 상단은 인입부재(120)의 일단부에 고정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달로드(430)는 제4바이브레이터(420)부터 발생된 진동이 인입부재(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전달로드(430)의 하단에는 제4바이브레이터(420)가 접근시 제1접촉자석(422)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2접촉자석(4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접촉자석(422) 및 제2접촉자석(432)에 의해 제4바이브레이터(420)와 제1전달로드(430)가 상호 자력결합되므로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진동이나 파지 하우징(110)에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제4바이브레이터(420)와 제1전달로드(430) 간의 접촉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제3지지유닛(431)은 제1전달로드(43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3완충링(433)과, 상기 제3완충링(43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파지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3고정부재(434)를 구비한다. 상기 제3완충링(433)은 제4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파지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제2전달로드(440)는 상단이 파지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된 치석제거부재(210)의 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전달로드(440)는 제4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치석제거부재(2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전달로드(440)의 하단에는 제4바이브레이터(420)가 접근시 제1접촉자석(422)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3접촉자석(441)이 설치되어 있다. 제1접촉자석(422) 및 제3접촉자석(441)에 의해 제4바이브레이터(420)와 제2전달로드(440)가 상호 자력결합되므로 제4바이브레이터(420)의 진동이나 파지 하우징(110)에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제4바이브레이터(420)와 제2전달로드(440) 간의 접촉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조작부(450)는 격벽(401)에 관통된 회전판(410)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된 조작로드(451)와, 조작로드(45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재(452)를 구비한다. 이때, 파지 하우징(110)은 조작로드(451)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조작로드(451)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구(4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구(403)는 조작로드(451)의 회동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452)는 파지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 파지부재(452)의 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파지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파지부재(452)를 파지한 다음 조작로드(451)를 회전하여 회전판(410)을 회전시키므로 제4바이브레이터(420)를 이동시켜 제1전달로드(430) 및 제2전달로드(4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조작부(450)는 상기 회전판(4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41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53)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420)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430,440)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회전모터(453)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터(453)는 파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판(410)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조작스위치(454)는 도시된 예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111)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조작스위치(454)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파지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진동발생부(400)는 제4바이브레이터(420)를 회전시켜 인입부재(120) 및 치석제거부재(2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므로 한 개의 바이브레이터만을 이용하여 인입부재(120) 및 치석제거부재(2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5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500)는 상기 인입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커버부재(50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호커버부재(501)는 내부에 인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블발생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재(501)는 작업시 충격에 의한 인입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부재(51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부재(511)는 버블발생부(121) 및 인입부재(120)의 타단부 일부만 감싸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인입부재(120)의 나머지부분에는 서브커버체(5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커버체(512)는 인입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되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부재(511)는 인입부재(1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므로 교환시 용이하게 인입부재(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600)는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석션 팁(31)과, 상기 석션 팁(31)에 연결되는 석션 배관(35)을 포함하는 석션 유닛(30)과, 상기 인입부재와 석션 팁(31) 사이의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인입부재와 상기 석션 팁(31)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50)와,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상기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범위 이내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와 상기 석션팁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석션 팁(31)은 치석제거부재(210)에서 인가되는 진동으로 인해 치아로부터 떨어진 치석과 섞인 물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단부에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은 석션 배관(35)을 따라 이동되어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석션 배관(35)에는 흡입펌프가 연결되어 있어 석션 팁(31)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또한, 이를 통해, 석션 유닛(30)과 치석제거부재(210) 및 인입부재(120)가 연동될 수 있어, 석션 팁(31)과 진동발생부의 구동을 위한 패러미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석션 배관(35)의 일단에는, 석션 배관(35)으로부터 석션 팁(31)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석션 팁 연결부(3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600)는 일회용 제품인 석션 팁(31)이 석션 배관(35)으로부터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 팁(31)과 석션 팁 연결부(33)는 끼움 결합, 암수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석션 팁(31)에는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석션 센서(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석션 배관(35)에는 센서부(50)와 연결되는 센서 라인(32)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석션 센서(34)와 센서 라인(32)은 석션 팁(31)이 석션 팁 연결부(33)와 결합되는 경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석션 팁(31)과 인입부재(120) 사이의 패러미터 차이의 정보 또는 석션 팁(31)과 인입부재(120)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인입부재(120)과 석션 팁(31) 사이의 패러미터 차이 또는 스케일러 팁(11)과 석션 팁(31)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한다. 센서부(50)는 센서 라인(32)과 석션 센서(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입부재(120)에 설치되어 패러미터를 측정하는 스케일러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본체(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범위 이내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진동발생부와 석션 팁(31)을 작동시킨다.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는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이 접촉되는 대상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판단 기준은 특정값을 가질 수 없고, 이러한 차이를 소정의 신뢰도 이상에서 커버할 수 있는 허용 범위(tolerance) 내에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70)에는 MCU(micro controller unit)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매칭회로(matching circuit), 피드백 회로(feedback circuit)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센서부(50)가 패러미터 차이를 감지하는 경우, 패러미터 차이는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0)는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에 대한 범위로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 간의 임피던스 차이는 무한대일 수 있다.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는 경우,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가 무한대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50)는 이와 같은 저항치의 변화를 포함한 임피던스 차이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기준 범위는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센서부(50)가 감지하는 내용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50)가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감지하는 경우, 기준 범위는 임피던스 차이에 대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센서부(50)가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 각각의 패러미터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각각의 패러미터는 자기장, 광량 및 근접 거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기준 범위는 인입부재(120)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각각의 패러미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인입부재(120)에서 진동이 인가되도록 진동발생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러미터 차이란,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으로부터 감지되는 패러미터의 상대적인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각각의 패러미터란, 인입부재(120)와 석션 팁(31)으로부터 감지되는 패러미터의 상대적인 차이가 아니라, 인입부재(120)가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는 절대적인 패러미터 값과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는 절대적인 패러미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석션 팁(31)이 구강 내부에 위치할 때 인입부재(120)와 무관하게 석션 팁(31)이 갖는 패러미터 값, 인입부재(120)가 구강 내부에 위치할 때 석션 팁(31)과 무관하게 인입부재(120)가 갖는 패러미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석션 팁(31)이 세정액 및 이물질을 빨아들이도록 석션 배관(35)에 연결된 흡입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진동발생부와 상기 흡입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MCU는 진동발생부와 석션 팁(31)이 작동 중인 경우, 패러미터 정보(패러미터 차이 또는 각각의 패러미터)가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진동발생부와 석션 팁(3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600)는 인입부재(120)가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하였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고,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자동으로 멈춤으로써, 장시간 사용 시, 종래의 풋 스위치로 인해 시술자에게 야기되는 발목 및 다리의 피로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의 실수로 인해 풋 스위치가 오작동되는 경우 시술자 및 환자에게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없앨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10: 파지 하우징
111: 본체
112: 제어스위치
120: 인입부재
121: 버블발생부
122: 틀부재
123: 메쉬부재
210: 치석제거부재
211: 수용공간
212: 노출구
250: 진동발생부
251: 제1바이브레이터
252: 접촉돌기
253: 전달패널
254: 슬라이딩부재
255: 파지체
310: 제2바이브레이터
320: 제3바이브레이터
410: 회전판
420: 제4바이브레이터
430: 제1전달로드
440: 제2전달로드
450: 조작부

Claims (19)

  1. 파지 하우징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가 마련된 인입부재와;
    상기 버블발생부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석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진동을 인가받아 상기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치석제거부재는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버블발생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치석제거부재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접촉돌기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돌기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돌기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된 전달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세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다수개가 상기 인입부재의 일측면 및 상기 인입부재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중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및 제2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중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제3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인입부재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연장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연장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제2연장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분사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세정액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이 상기 치석제거부재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에 접하도록 설치된 공급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튜브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3. 파지 하우징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가 마련된 인입부재와;
    상기 버블발생부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석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진동을 인가받아 상기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치석제거부재는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버블발생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2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3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분사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세정액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이 상기 치석제거부재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정액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가 방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및 제3바이브레이터에 접하도록 설치된 공급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튜브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5. 파지 하우징과;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버블발생부가 마련된 인입부재와;
    상기 버블발생부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주입된 세정액과 접촉시 상기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에 발생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정액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 임플란트에 생성된 치석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진동을 인가받아 상기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치석제거부재는 내부에 상기 인입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버블발생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블발생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인입부재 및 치석제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파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4바이브레이터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인입부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인입부재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1전달로드와,
    일단이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의 회전궤적 상의 상기 파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치석제거부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치석제거부재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2전달로드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제4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1 및 제2전달로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석션 팁과, 상기 석션 팁에 연결되는 석션 배관을 포함하는 석션 유닛과;
    상기 인입부재와 석션 팁 사이의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인입부재와 상기 석션 팁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환자의 구강에 공급된 세정액에 접촉되고, 상기 석션 팁이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범위 이내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패러미터 차이 또는 상기 각각의 패러미터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와 상기 석션팁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KR1020160168839A 2016-12-12 2016-12-12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KR10186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39A KR101861735B1 (ko) 2016-12-12 2016-12-12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39A KR101861735B1 (ko) 2016-12-12 2016-12-12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735B1 true KR101861735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839A KR101861735B1 (ko) 2016-12-12 2016-12-12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928A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디알뷰 치아 스케일링 시술의 트레이닝을 위한 인공 치아 모델 및 치아 스케일링 시술 트레이닝 기구
CN115227431A (zh) * 2022-08-05 2022-10-25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式口腔护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870A (ja) * 1998-09-06 2001-03-13 Nonomura Tomosuke 生体組織健康装置
KR100604484B1 (ko) * 2005-09-23 2006-07-25 주식회사 넵스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비접촉식 초음파 구강 세정기
US20130337404A1 (en) * 2012-06-13 2013-12-19 James Feine Ablation Method and Device
KR101509565B1 (ko) * 2013-05-24 2015-04-06 김인재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870A (ja) * 1998-09-06 2001-03-13 Nonomura Tomosuke 生体組織健康装置
KR100604484B1 (ko) * 2005-09-23 2006-07-25 주식회사 넵스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비접촉식 초음파 구강 세정기
US20130337404A1 (en) * 2012-06-13 2013-12-19 James Feine Ablation Method and Device
KR101509565B1 (ko) * 2013-05-24 2015-04-06 김인재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928A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디알뷰 치아 스케일링 시술의 트레이닝을 위한 인공 치아 모델 및 치아 스케일링 시술 트레이닝 기구
KR20220041061A (ko) 2019-01-29 2022-03-31 주식회사 디알뷰 치아 스케일링 시술의 트레이닝을 위한 인공 치아 모델 및 치아 스케일링 시술 트레이닝 기구
CN115227431A (zh) * 2022-08-05 2022-10-25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式口腔护理装置
CN115227431B (zh) * 2022-08-05 2024-04-16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式口腔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294B2 (ja) 放電洗浄デバイスのための出力先端部
JP4181913B2 (ja) 歯科用治療装置
US20190083354A1 (en) Massage device for pressure wave massage
JP4942121B2 (ja) 医科歯科用装置
JP6320426B2 (ja) 超音波先端アセンブリ
KR101861735B1 (ko) 치과용 스케일링 장치
KR20200013653A (ko) 피부를 세정 및 처리하기 위한 장치용 tens 부착부
JP6096928B2 (ja) 放電洗浄器装置及び方法
KR20140028079A (ko) 유수식 초음파 구강 세정장치, 및 유수식 초음파 구강 세정방법
CN101553183B (zh) 牙齿冲洗器
KR20170095376A (ko) 열린 창상의 초음파 치료용 장치
CN108499950A (zh) 一种医疗装置的超声清洗装置
JP7105931B2 (ja) 歯科治療電気器具
KR200462769Y1 (ko) 근관세척용 이리게이션 장비
KR20160111706A (ko) 구강 청결 기구
WO2020141532A1 (en)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JP2001008736A (ja) 超音波歯ブラシ
KR20110099978A (ko) 월풀 욕조의 살균장치
JPH11197160A (ja) 切削研磨清掃治療装置および方法
KR200482945Y1 (ko) 근관치료 장치
CN114903631B (zh) 一种超声波洁牙器换能器
CN206836978U (zh) 一种洁牙设备及具有防溅水摄像功能的洗牙器
KR102341378B1 (ko)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KR101821562B1 (ko)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JP2005342030A (ja) 口腔内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