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439B1 -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439B1
KR101861439B1 KR1020160131348A KR20160131348A KR101861439B1 KR 101861439 B1 KR101861439 B1 KR 101861439B1 KR 1020160131348 A KR1020160131348 A KR 1020160131348A KR 20160131348 A KR20160131348 A KR 20160131348A KR 101861439 B1 KR101861439 B1 KR 10186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jig
fixed
clamps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179A (ko
Inventor
이성형
김종현
박종민
이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4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2Vibration control arrangements, e.g. for generating random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7Specimen mounting arrangements, e.g. table head adap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6Multidirectional test stands

Abstract

본 발명은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진성을 시험하게 될 포스트(13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지그(370); 포스트(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지그(380);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축고정부(410)에 고정되어 제 1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1 구동부(310);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축고정부(420)에 고정되어 제 2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2 구동부(330); 상부지그(380)의 제 1, 2 방향과 각각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축고정부(430)에 고정되어 제 3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3 구동부(350); 포스트(130)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450); 및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제어하고,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40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Aseismicity Testing Apparatus for a Post of An Access Floor}
본 발명은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산실의 바닥이나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 바닥은 억세스 플로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1은 종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 바닥의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부분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으로부터 적게는 20 cm, 높게는 1 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하는 억세스 플로어 구조이다. 이러한 억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에는 많은 전선(42)과 파이프(45) 들이 혼재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이를 쉽게 변경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플로어(20)를 걷어 낼 수 있다.
즉, 종래의 억세스 플로어 구조는 7,000 ~ 8,000개의 포스트(30)를 일정간격마다 세워 용접하고(용접부, 12), 상부에 격자 형태의 프레임(25)을 설치한다. 그 다음, 각 격자마다 플로어(20)를 끼워넣어 바닥을 완성한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인 경우에는 전선(42)과 파이프(45)의 양이 많아서 억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 높이가 0.3 m ~ 2 m 이다. 따라서, 바닥면(10)이 고르지 않아도 플로어(20)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포스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작업중 하나이다.
도 2는 도 1중 포스트(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스트(3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6)를 돌려 원하는 높이를 맞춘후, 숫나사(38)를 중공부(33)에 집어 넣어 설치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포스트 구조에서는 지지부(40), 숫나사(38) 및 너트(36)가 헤드(34) 위에 단순히 얹혀져 있는 상태에 지나지 않았다. 중공부(33)에 삽입된 숫나사(38) 역시 중공부(33)에 나사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헐렁하게 삽입된 상태일 뿐이었다.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지진에 대한 내진 설계가 중요시 되면서, 억세스 플로어에도 내진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상하방향의 지진보다는 수평방향의 좌우 지진에 대한 내진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엑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 기준이 마련된 것이 없고, 시험 장치도 개발되지 못했다. 따라서, 종래의 다양한 포스트들이 내진성을 검증받지 못한 채 시공되어 시공품질이 의문시 되고 있다. 또한, 실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에는 대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개발의 시급성 마져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엑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진성을 시험하게 될 포스트(13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지그(370); 포스트(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지그(380);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축고정부(410)에 고정되어 제 1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1 구동부(310);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축고정부(420)에 고정되어 제 2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2 구동부(330); 상부지그(380)의 제 1, 2 방향과 각각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축고정부(430)에 고정되어 제 3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3 구동부(350); 포스트(130)의 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450); 및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제어하고,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3 축고정부(410, 420, 430)중 적어도 2개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2 축고정부(410, 420)는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지그(380)와의 사이에 회동이 자유로운 링크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레인게이지(450)는 포스트(130)의 클램프(230, 232) 및 기둥부(132)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400)는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전술한 내진성 시험장치를 이용한 시험방법에 있어서, 포스트(130)의 하부에 하부지그(370)를 고정하고, 포스트(130)의 상부에 상부지그(380)를 고정하는 단계(S100); 상부지그(380)에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상호 직각이 되도록 연결하는 단계(S120); 포스트(130)에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부착하는 단계(S140); 제어부(400)가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제어하여 포스트(130)에 외력을 가하는 단계(S160); 제어부(400)가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은 선형적으로 변하는 외력, 충격파적으로 변하는 외력, 정현파적으로 변하는 외력중 하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단계(S100)는 용접이나 볼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단계(S120)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시단계(S180)는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470)에 도식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 또는 전산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포스트에 대해 손쉽게 내진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결과는 성능 보강이나 설계 변경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직각 좌표계에 따른 3차원의 외력을 조합적으로 구현하여 포스트에 인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외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간단한 지진파 뿐만 아니라 복잡한 형태의 지진파에 대한 내진성 시험도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 바닥의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부분 상태도,
도 2는 도 1중 포스트(3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스트(30)의 단면도,
도 4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클램프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험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9는 내진성 시험을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450)가 부착된 포스트의 부분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의 대략적인 시스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포스트의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수직방향)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도면을 도시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스트의 구성
도 4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32)는 내부에 중공부(133)를 갖는 강재 파이프이다. 기둥부(132)는 길이는 0.3 m ~ 1 m 범위가 적합하다. 0.3 m 미만에서는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적합하지 않고, 1 m 초과하면 전도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둥부(132)의 길이는 약 0.4 m ~ 0.5 m가 바람직하다.
숫나사(138)는 외경이 40 ~ 60 mm 이고, 길이는 30 ~ 50 cm 범위이다. 숫나사(138)의 상부에는 지지부(140)가 설치되고, 지지부(140)는 도 1과 같은 프레임(25) 및 플로어(20)를 지지한다. 숫나사(138)의 나머지 부분은 중공부(133)에 삽입되나, 중공부(133)에 끼이거나 나사결합하지는 않는다.
헤드(134)는 기둥부(132)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수직 하중을 고르게 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헤드(134)의 내경도 중공부(133)의 내경과 같도록 할 수 있다.
너트(136)는 숫나사(138)에 나사체결되며, 지지부(140)의 높이를 확정하는 기능을 한다. 즉, 너트(136)를 돌려 지지부(140)가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한뒤 헤드(134) 위에 올려 놓는다.
클램프수단은 숫나사(138)와 기둥부(132)에서 고정되는 구성이다. 클램프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클램프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수단은 대략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 및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로 이루어진다.
제 1 상부클램프(212)는 강재로 제작되며, 숫나사(138)의 둘레 절반을 감쌀수 있는 반원형을 형성하고 양단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2 상부클램프(214)는 제 1 상부클램프(212)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한쌍을 이루어 숫나사(138)의 외경 전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제 1 하부클램프(222)는 강재로 제작되며, 기둥부(132)의 둘레 절반을 감쌀수 있는 반원형을 형성하고 양단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2 하부클램프(224)는 제 1 하부클램프(222)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한쌍을 이루어 기둥부(132)의 외경 전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숫나사(138)의 직경보다 기둥부(132)의 직경이 더 크므로 각 외경 치수에 맞도록 클램프를 준비한다.
제 1 수직클램프(230)는 강재로 제작되며, 길이는 150 ~ 200 mm 범위이나 설계변경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제 1 수직클램프(230)의 상단은 상부클램프에 걸릴 수 있도록 90°절곡된 제 1 절곡부(236)를 형성하고, 하단은 하부클램프에 걸릴 수 있도록 90°절곡된 제 2 절곡부(238)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2 절곡부(236, 238) 인근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공(2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직클램프(232)는 제 1 수직클램프(2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험장치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험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축고정부(410)는 강재로 제작된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설치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자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 1 축고정부(410)는 기계적 성능 실험시 높은 하중을 변형없이 견뎌야 하므로 충분한 강성과 크기를 가진 강재로 제작된다.
제 2 축고정부(420)는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직립하는 강재 빔이나 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축고정부(430)는 "∩"자형으로 제작된 제 1 축고정부(410)의 수평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제 3 축고정부(430)는 제 1 축고정부(41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 1, 2, 3 축고정부(410, 420, 430)는 빔과 벽체로 설명하였으나 빔을 벽체로 대체하거나 벽체를 빔으로 대체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 1 축구동부(310)는 X축 방향(수평면상의 일방향)의 외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축구동부(310)의 일단은 상부지그(380)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은 제 1 축고정부(410)에 볼트로 체결된다. 링크부(314)는 상부지그(380)와 제 1 축구동부(310)의 피스톤(312) 사이에 연결되어 미세한 축선 방향의 불일치(예 : 모멘트)를 제거하고 순수한 인장력이나 압축력만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링크부(314)는 힌지 연결, 유니버셜 조인트 등 다양한 조인트 연결이 가능하다. 제 1 축구동부(31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서보모터 등이 가능하다.
제 2 축구동부(330)는 Y축 방향(수평면상의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외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축구동부(330)의 일단은 상부지그(380)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은 제 2 축고정부(420)에 볼트로 체결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축구동부(310)와 동일하므로 구성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축구동부(350)는 Z축 방향(연직방향)의 외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3 축구동부(350)의 일단은 상부지그(380)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제 3 축고정부(430)에 볼트로 체결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2 축구동부(310, 330)와 동일하므로 구성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포스트(130)는 내진성을 시험하기 위한 대상이며, 포스트의 하단은 하부지그(370)에 단단히 고정되고, 포스트(130)의 상단은 상부지그(380)에 단단히 고정된다. 포스트(130)가 상부지그(380) 및 하부지그(370)와 고정되는 방식은 용접이 대표적이다. 하부지그(370)는 볼트 등을 통해 바닥에 고정된다.
도 9는 내진성 시험을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450)가 부착된 포스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에는 내진성을 강화하기 위해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 등으로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의 변형량이 내진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 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4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일면에 2개씩 총 4개를 부착한다. 도면을 이해를 돕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신호선은 도시를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기둥부(132), 상부클램프, 하부클램프 또는 다른 관심 영역에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더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의 대략적인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는 각각 구동회로부(390)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400)는 3개의 구동회로부(390)ㅇ와 연결되어 있다. 이는 제어부(400)가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를 개별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D 컨버터(450)는 스트레인 게이지(450)로부터의 저항 변경을 휘스톤 브리지를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들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450)에 그래프나 수치로 표시한다.
제어부(400)는 미리 설계된 프로파일로 포스트(130)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외력의 프로파일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외력일 수도 있고, 충격파적으로 변하는 피크, 정현파적으로 변하는 진동, 또는 이들의 연속이나 조합 또는 실제 지진의 프로파일 등이 될 수 있다.
시험장치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험하고자 하는 포스트(130)의 하부에 하부지그(37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포스트(130)의 상부에 상부지그(380)를 용접으로 고정한다(S100).
그 후, 상부지그(380)에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상호 직각이 되도록 연결한다(S120).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축구동부(310)의 일단을 제 1 축고정부(410)에 고정한 뒤, 타단을 상부지그(380)의 일변에 볼트나 용접으로 연결한다. 이때, 제 1 축구동부(310)는 X축 방향이므로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같은 방식으로, 제 2 축구동부(330)의 일단을 제 2 축고정부(420)에 고정한 뒤, 타단을 상부지그(380)의 일변에 볼트나 용접으로 연결한다. 이때, 제 2 축구동부(330)는 Y축 방향이므로 제 1 축구동부(310)와 같은 평면상에서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다.
제 3 축구동부(350)의 일단을 제 3 축고정부(430)에 고정한 뒤, 타단을 상부지그(380)의 상면에 볼트나 용접으로 연결한다. 이때, 제 3 축구동부(350)는 Z축 방향이므로 제 1, 2 축구동부(310, 330)와 수직을 이루는 연직방향이 되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포스트(130)에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부착한다(S140). 스트레인 게이지(4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일면에 부착한다. 스트레인 게이지(450)는 더 필요한 경우 기둥부(132) 또는 숫나사(138) 등에 더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포스트(130)에 외력을 가한다(S160). 즉,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의 동작에 따른 합력이 포스트(130)의 상단에 외력으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포스트(130)가 변형함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450)에서 변형율에 따른 신호가 출력된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출력신호를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450)에 표시한다(S180). 디스플레이(450)에 표시하는 방법은 숫자로 표시하거나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출력신호는 저장되고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신호를 보면서 포스트(130)의 내진성 또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거동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바닥면,
12 : 용접부,
20 : 억세스 플로어,
25 : 프레임,
30 : 포스트,
32 : 기둥부,
33 : 중공부,
34 : 헤드,
36 : 너트,
38 : 숫나사,
40 : 지지부,
42 : 전선,
45 : 파이프,
50 : 제어장치,
132 : 기둥부,
133 : 중공부,
134 : 헤드,
136 : 너트,
138 : 숫나사,
140 : 지지부,
212 : 제 1 상부클램프,
214 : 제 2 상부클램프,
216 : 제 1 볼트,
218 : 제 1 너트,
222 : 제 1 하부클램프,
224 : 제 2 하부클램프,
226 : 제 2 볼트,
228 : 제 2 너트,
230 : 제 1 수직클램프,
232 : 제 2 수직클램프,
234 : 볼트공,
236 : 제 1 절곡부,
238 : 제 2 절곡부,
300 : 내진성 시험장치,
310 : 제 1 축구동부,
312 : 피스톤,
314 : 링크부,
330 : 제 2 축구동부,
350 : 제 3 축구동부,
370 : 하부지그,
380 : 상부지그,
390 : 구동회로부,
400 : 제어부,
410 : 제 1 축고정부,
420 : 제 2 축고정부,
430 : 제 3 축고정부,
450 : 스트레인 게이지,
460 : A/D 컨버터,
470 : 디스플레이,

Claims (11)

  1.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중공부(133)를 갖는 기둥부(132); 일단이 상기 중공부(133) 내에 삽입되고, 타단에 지지부(140)가 형성된 숫나사(138); 상기 숫나사(138)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너트(136); 및 상기 숫나사(138)와 상기 기둥부(132)를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숫나사(138)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숫나사(138)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 상기 기둥부(13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132)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클램프(21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하부클램프(22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수직클램프(230); 및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클램프(212)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하부클램프(22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수직클램프(232);이며,
    상기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양단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이며; 그리고, 상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이고, 상기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상기 절곡부에는 볼트공(234)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로 연결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해,
    내진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포스트(13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지그(370);
    상기 포스트(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지그(380);
    상기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축고정부(410)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1 구동부(310);
    상기 상부지그(380)의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축고정부(420)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2 구동부(330);
    상기 상부지그(380)의 제 1, 2 방향과 각각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축고정부(430)에 고정되어 상기 제 3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 3 구동부(350);
    상기 포스트(130)의 클램프(230, 232) 및 기둥부(132)에 설치되는 스트레인 게이지(450);
    상기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를 제어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각 제 1, 2, 3 구동부(310, 330, 35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그(380)와의 사이에 회동이 자유로운 링크부(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축고정부(410, 420, 430)중 적어도 2개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축고정부(410, 420)는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2, 3 축구동부(310, 330, 3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31348A 2016-10-11 2016-10-11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KR10186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48A KR101861439B1 (ko) 2016-10-11 2016-10-11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48A KR101861439B1 (ko) 2016-10-11 2016-10-11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79A KR20180040179A (ko) 2018-04-20
KR101861439B1 true KR101861439B1 (ko) 2018-07-06

Family

ID=6208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348A KR101861439B1 (ko) 2016-10-11 2016-10-11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390A (ko) * 2004-12-30 2006-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 대차프레임 동응력 시험장치 및 방법
KR20120126815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액트 3 자유도 가진 시험 장치
KR20130136618A (ko) * 2012-06-05 2013-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좌 시 전단력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390A (ko) * 2004-12-30 2006-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 대차프레임 동응력 시험장치 및 방법
KR20120126815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액트 3 자유도 가진 시험 장치
KR20130136618A (ko) * 2012-06-05 2013-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좌 시 전단력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79A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gro et al. Full-scale PSD testing of a torsionally unbalanced three-storey non-seismic RC frame
EP1108831A1 (en) Root wrapping type aseismic reinforcemen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base of column member
Popov et al. Cyclic inelastic buckling of thin tubular columns
CN206696093U (zh) 轴向受拉试验装置
JP6445090B2 (ja) 加力試験装置
KR20140108648A (ko) 브레이스재
CN107167378A (zh) 轴向受拉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N103698210B (zh) 燃料组件综合力学性能试验装置及其实验方法
CN103526954B (zh) 一种超重精密埋件的施工方法
KR101859494B1 (ko) 선형 부재와 플레이트를 이용한 기둥 내진 성능 보강 공법
JP2008303573A (ja) 耐震補強ケーブル
KR101861439B1 (ko)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대한 내진성 시험장치
CN110984375A (zh) 一种自复位钢框架梁柱节点结构及制作方法
Avgerinou et al. Full‐scale tests on used steel storage racks
JP5590994B2 (ja) 弾塑性ブレースを用いた防震工法及び防震構造
JP2018071142A (ja) 耐震補修構造および耐震補修方法
JP2008162657A (ja) 球形タンクの脚部の構造と構築方法
KR20110094263A (ko) 스너버의 조립식 성능시험 방법 및 장치
CN109030253B (zh) 圆钢管超低周疲劳试验装置及塑性变形采集方法
JP2019105574A (ja) 耐荷性能試験装置および耐荷性能試験方法
CN109307578B (zh) 一种支吊架抗震性能检测设备的标定夹具
CN219369407U (zh) 一种隧道支护机构的双向加载试验装置
KR101880630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CN218885623U (zh) 一种用于检验斜柱节点强度的缩尺试验系统
KR101701091B1 (ko)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