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091B1 -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 Google Patents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091B1
KR101701091B1 KR1020160070725A KR20160070725A KR101701091B1 KR 101701091 B1 KR101701091 B1 KR 101701091B1 KR 1020160070725 A KR1020160070725 A KR 1020160070725A KR 20160070725 A KR20160070725 A KR 20160070725A KR 101701091 B1 KR101701091 B1 KR 10170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screw
clamps
clamp
pos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형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중공부(133)를 갖는 기둥부(132); 일단이 중공부(133) 내에 삽입되고, 타단에 지지부(140)가 형성된 숫나사(138); 숫나사(138)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너트(136); 및 숫나사(138)와 기둥부(132)를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Post of An Access Floor with Aseismicity}
본 발명은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산실의 바닥이나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 바닥은 억세스 플로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1은 종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 바닥의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부분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으로부터 적게는 20 cm, 높게는 1 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하는 억세스 플로어 구조이다. 이러한 억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에는 많은 전선(42)과 파이프(45) 들이 혼재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이를 쉽게 변경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플로어(20)를 걷어 낼 수 있다.
즉, 종래의 억세스 플로어 구조는 7,000 ~ 8,000개의 포스트(30)를 일정간격마다 세워 용접하고(용접부, 12), 상부에 격자 형태의 프레임(25)을 설치한다. 그 다음, 각 격자마다 플로어(20)를 끼워넣어 바닥을 완성한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인 경우에는 전선(42)과 파이프(45)의 양이 많아서 억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 높이가 0.3 m ~ 2 m 이다. 따라서, 바닥면(10)이 고르지 않아도 플로어(20)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포스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작업중 하나이다.
도 2는 도 1중 포스트(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스트(3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6)를 돌려 원하는 높이를 맞춘후, 숫나사(38)를 중공부(33)에 집어 넣어 설치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포스트 구조에서는 지지부(40), 숫나사(38) 및 너트(36)가 헤드(34) 위에 단순히 얹혀져 있는 상태에 지나지 않았다. 중공부(33)에 삽입된 숫나사(38) 역시 중공부(33)에 나사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헐렁하게 삽입된 상태일 뿐이었다.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지진에 대한 내진 설계가 중요시 되면서, 억세스 플로어에도 내진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상하방향의 지진보다는 수평방향의 좌우 지진에 대한 내진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도 2 및 도 3과 같은 종래의 포스트 구조에서는 지진 발생시 덜렁거림이나 들어올려지는 등의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중공부(133)를 갖는 기둥부(132); 일단이 상기 중공부(133) 내에 삽입되고, 타단에 지지부(140)가 형성된 숫나사(138); 숫나사(138)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너트(136); 및 숫나사(138)와 기둥부(132)를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클램핑수단은, 숫나사(138)를 고정하기 위해, 숫나사(138)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 기둥부(132)를 고정하기 위해, 기둥부(132)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 및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와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이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도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은, 일단이 제 1 상부클램프(21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하부클램프(22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수직클램프(230); 및 일단이 제 1 상부클램프(212)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하부클램프(22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수직클램프(23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양단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는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클램핑수단은 강재로 제작된다.
기둥부(132)의 상단에는 헤드(134)가 더 형성되고,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너트(136)의 상부에서 숫나사(138)를 고정하고,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헤드(134)의 하부에서 기둥부(132)를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숫나사(138)의 외경은 40 ~ 60 mm 이고, 중공부(133)의 내경은 숫나사(138)의 외경에 접촉하지 않을 만큼의 크기이다.
또한, 기둥부(132)의 길이는 0.3 m ~ 1 m 범위이다.
그리고, 이러한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는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 바닥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과 같은 높은 높이의 억세스 플로어 구조에서도 높이를 쉽게 맞출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지진에 대해서도 내진성을 갖출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동공구로 쉽게 볼트와 나사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포스트를 설치하더라도 작업성이 향상되고,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 바닥의 억세스 플로어에 관한 부분 상태도,
도 2는 도 1중 포스트(3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스트(3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포스트의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수직방향)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도면을 도시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32)는 내부에 중공부(133)를 갖는 강재 파이프이다. 기둥부(132)는 길이는 0.3 m ~ 1 m 범위가 적합하다. 0.3 m 미만에서는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적합하지 않고, 1 m 초과하면 전도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둥부(132)의 길이는 약 0.4 m ~ 0.5 m가 바람직하다.
숫나사(138)는 외경이 40 ~ 60 mm 이고, 길이는 30 ~ 50 cm 범위이다. 숫나사(138)의 상부에는 지지부(140)가 설치되고, 지지부(140)는 도 1과 같은 프레임(25) 및 플로어(20)를 지지한다. 숫나사(138)의 나머지 부분은 중공부(133)에 삽입되나, 중공부(133)에 끼이거나 나사결합하지는 않는다.
헤드(134)는 기둥부(132)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수직 하중을 고르게 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헤드(134)의 내경도 중공부(133)의 내경과 같도록 할 수 있다.
너트(136)는 숫나사(138)에 나사체결되며, 지지부(140)의 높이를 확정하는 기능을 한다. 즉, 너트(136)를 돌려 지지부(140)가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한뒤 헤드(134) 위에 올려 놓는다.
클램프수단은 숫나사(138)와 기둥부(132)에서 고정되는 구성이다. 클램프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수단은 대략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 및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로 이루어진다.
제 1 상부클램프(212)는 강재로 제작되며, 숫나사(138)의 둘레 절반을 감쌀수 있는 반원형을 형성하고 양단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2 상부클램프(214)는 제 1 상부클램프(212)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한쌍을 이루어 숫나사(138)의 외경 전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제 1 하부클램프(222)는 강재로 제작되며, 기둥부(132)의 둘레 절반을 감쌀수 있는 반원형을 형성하고 양단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2 하부클램프(224)는 제 1 하부클램프(222)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한쌍을 이루어 기둥부(132)의 외경 전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숫나사(138)의 직경보다 기둥부(132)의 직경이 더 크므로 각 외경 치수에 맞도록 클램프를 준비한다.
제 1 수직클램프(230)는 강재로 제작되며, 길이는 150 ~ 200 mm 범위이나 설계변경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제 1 수직클램프(230)의 상단은 상부클램프에 걸릴 수 있도록 90°절곡된 제 1 절곡부(236)를 형성하고, 하단은 하부클램프에 걸릴 수 있도록 90°절곡된 제 2 절곡부(238)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2 절곡부(236, 238) 인근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공(2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직클램프(232)는 제 1 수직클램프(2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클램프 수단의 체결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을 형성하고 볼트(216, 226)와 너트(218, 228)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리벳이나 용접, 접착 등 통상의 접합 수단으로 등가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의 시공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바닥면(10)에 일정간격으로 기둥부(132)를 설치한다. 설치는 용접이나 끼워맞춤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숫나사(138)에 너트(136)를 체결하고 숫나사(138)를 중공부(133)내로 집어 넣는다. 그리고, 너트(136)를 조금씩 돌려 가면서 지지부(140)가 인근 지지부(140)와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높이 조절된 너트(136)를 헤드(134)위에 올려 놓는 것으로 높이 조절 과정은 완료한다.
그 다음, 제 1, 2 상부 클램프(212, 214)로 너트(136) 상부의 숫나사(138)를 감싸고, 제 1, 2 상부 클램프(212, 214) 사이에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를 끼워 제 1 볼트(216)와 제 1 너트(218)로 체결한다. 제 1, 2 상부 클램프(212, 214)는 너트(136)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제 1, 2 하부 클램프(222, 224)로 헤드(134) 하부의 기둥부(132)를 감싸고, 제 1, 2 하부 클램프(222, 224) 사이에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를 끼워 제 2 볼트(226)와 제 2 너트(228)로 체결한다. 제 1, 2 하부 클램프(222, 224)는 헤드(134)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은 클램프 수단의 체결은 완료된다. 상술한 체결순서는 작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역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숫나사(138)와 기둥부(132)가 클램프 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일체화되고, 너트(136)와 숫나사(138)의 상하 및 좌우의 미세한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서 내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바닥면,
12 : 용접부,
20 : 억세스 플로어,
25 : 프레임,
30 : 포스트,
32 : 기둥부,
33 : 중공부,
34 : 헤드,
36 : 너트,
38 : 숫나사,
40 : 지지부,
42 : 전선,
45 : 파이프,
50 : 제어장치,
132 : 기둥부,
133 : 중공부,
134 : 헤드,
136 : 너트,
138 : 숫나사,
140 : 지지부,
212 : 제 1 상부클램프,
214 : 제 2 상부클램프,
216 : 제 1 볼트,
218 : 제 1 너트,
222 : 제 1 하부클램프,
224 : 제 2 하부클램프,
226 : 제 2 볼트,
228 : 제 2 너트,
230 : 제 1 수직클램프,
232 : 제 2 수직클램프,
234 : 볼트공,
236 : 제 1 절곡부,
238 : 제 2 절곡부.

Claims (12)

  1.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중공부(133)를 갖는 기둥부(132);
    일단이 상기 중공부(133) 내에 삽입되고, 타단에 지지부(140)가 형성된 숫나사(138);
    상기 숫나사(138)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너트(136); 및
    상기 숫나사(138)와 상기 기둥부(132)를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숫나사(138)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숫나사(138)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
    상기 기둥부(13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132)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 및
    상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와 상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클램프(21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하부클램프(22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수직클램프(230); 및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클램프(212)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하부클램프(22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수직클램프(232);이며,
    상기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의 양단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이며; 그리고,
    상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반원형이고 상호 대칭이고,
    상기 제 1, 2 수직클램프(230, 232)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강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32)의 상단에는 헤드(13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상부클램프(212, 214)는 상기 너트(136)의 상부에서 상기 숫나사(138)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2 하부클램프(222, 224)는 상기 헤드(134)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부(13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138)의 외경은 40 ~ 60 mm 이고,
    상기 중공부(133)의 내경은 상기 숫나사(138)의 외경에 접촉하지 않을 만큼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32)의 길이는 0.3 m ~ 1 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실 바닥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KR1020160070725A 2016-06-08 2016-06-08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KR10170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25A KR101701091B1 (ko) 2016-06-08 2016-06-08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25A KR101701091B1 (ko) 2016-06-08 2016-06-08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091B1 true KR101701091B1 (ko) 2017-02-01

Family

ID=581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725A KR101701091B1 (ko) 2016-06-08 2016-06-08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99U (ko) * 1994-09-16 1996-04-15 이철우 지중배수관의 연결장치
KR100749048B1 (ko) * 2006-08-04 2007-08-13 안종식 건축용 수직 서포트
KR20090095221A (ko) * 2008-03-05 2009-09-09 경 환 정 콘크리트 몰탈을 압송하는 이송배관라인의 조인트부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배관라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99U (ko) * 1994-09-16 1996-04-15 이철우 지중배수관의 연결장치
KR100749048B1 (ko) * 2006-08-04 2007-08-13 안종식 건축용 수직 서포트
KR20090095221A (ko) * 2008-03-05 2009-09-09 경 환 정 콘크리트 몰탈을 압송하는 이송배관라인의 조인트부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배관라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2006B2 (en) Supporting frame assembly
JP2017031584A (ja) 鉄筋支持具および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用鉄筋の設置方法
JP2018519439A (ja) 固定アセンブリ
KR20150061467A (ko) 강재 교각 고정용 고장력 앵커와 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교각의 시공 방법
KR101701091B1 (ko) 내진성을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포스트
JP5619984B1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JP2015025288A (ja) 柱脚補強方法及び装置
KR101960276B1 (ko) 면진장치의 설치를 위한 이중마루용 바닥지지체
KR101476511B1 (ko) 철골구조물의 주각부 수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각부 시공방법
CN211405412U (zh) 适用于电力基建施工现场临时电缆支撑的支撑架
JP2020060074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JP5538151B2 (ja)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CN110277753B (zh) 适用于电力基建施工现场临时电缆支撑的支撑架及其方法
CN219241548U (zh) 一种高度宽度便于调节的安防围栏
CN220849072U (zh) 一种可安装临时水电管线的施工围挡
KR101636216B1 (ko) 지주 기초구조물
CN220066810U (zh) 一种临时用电线路固定器
JP6386390B2 (ja) 建物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3039980U (zh) 便于安装的综合多管道抗震支架
KR102453493B1 (ko) 안전 펜스
JP6722626B2 (ja) 金属キャスクの保管装置及び保管方法
CN217559215U (zh) 一种免焊接式单管门型抗震支架
KR101957823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