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011B1 -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011B1
KR101860011B1 KR1020160056091A KR20160056091A KR101860011B1 KR 101860011 B1 KR101860011 B1 KR 101860011B1 KR 1020160056091 A KR1020160056091 A KR 1020160056091A KR 20160056091 A KR20160056091 A KR 20160056091A KR 101860011 B1 KR101860011 B1 KR 10186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ore
molding
bronze
piece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115A (ko
Inventor
허점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
Priority to KR102016005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0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은, 조형물의 원형을 만드는 단계; 복수 조각의 겉틀을 제작하는 단계; 겉틀의 내벽에 두께 형성재를 더하는 단계; 보강 코어를 복수 조각의 겉틀로 감싸고, 복수 조각의 속틀을 제작하는 단계; 겉틀에서 두께 형성재를 제거하는 단계; 속틀의 외부에 복수 조각의 겉틀을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 겉틀과 속틀 사이로 브론즈 주물을 주입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보강 코어를 위치 고정하고, 복수 조각의 조형물을 보강 코어의 외부에 위치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은 기존의 브론즈와 같이 편심 하중에 의한 처짐에 취약한 재료를 사용하는 조형물의 구조를 강화하여 편심 하중이 조형물에 작용하는 경우에 조형물의 제작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면서, 제작비 측면에서 보강 구조의 추가로 인한 비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BRONZE THREE DIMENSIONAL ARTWORK HAVING REINFORCED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 설치되어 형상에 의한 미감을 제공하는 조형물의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형물은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태나 형상으로 만든 물체이다. 조형물로는 공원이나 학교에 설치되는 철재 또는 석재구조물, 혹은 동상 등이 있다.
이러한 조형물의 주재료로는 주로 나무, 돌, 철, 구리 등이 사용되며, 자연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재료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조형물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대한 조형물의 설치 고정 구조가 견고해야 하며, 하중의 분산과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조형물이 그 고유 형상의 특징으로 인해 편심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편심 하중을 받는 일부가 지면으로 처지면서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형물의 아래의 보조 지지대를 세울 수는 있으나, 이러한 부가 구조는 조형물의 특징을 해치게 되어 미감과 품격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조형물이 편심 하중에 대해 처지지 않도록 처짐에 강한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나 브론즈와 같은 청동 재료 특유의 질감을 살린 조형물은 여전히 편심 하중에 취약한 측면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13331 호(2007.11.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브론즈와 같이 편심 하중의 처짐에 취약한 재료를 사용하는 조형물의 구조를 강화하여 편심 하중이 조형물에 작용하는 경우에 조형물의 제작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은, 조형물의 원형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형을 이용하여 상기 원형의 형상과 같은 내벽 형상을 갖는 복수 조각의 겉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겉틀의 내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두께 형성재를 상기 겉틀의 내벽에 더하여 제작될 조형물의 두께를 상기 두께 형성재의 두께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겉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상기 겉틀의 중심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두께 형성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강 코어를 상기 복수 조각의 겉틀로 감싸면서 조립하고, 상기 두께 형성재와 상기 보강 코어 사이에 속틀의 제작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복수 조각의 속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겉틀을 상기 속틀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겉틀에서 상기 두께 형성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속틀의 외부에 복수 조각의 상기 겉틀을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겉틀과 속틀 사이로 브론즈 주물을 주입하여 복수 조각으로 분해 가능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상기 보강 코어를 위치 고정하고, 상기 복수 조각의 조형물을 보강 코어의 외부에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과 상기 보강 코어는, 위치 고정되는 지점에 대해 편심 하중을 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겉틀과 속틀은 주물사와 철근을 사용하여 두 조각으로 만들며, 상기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철근을 배치하며, 상기 겉틀과 속틀의 두 조각을 상기 철근의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겉틀과 상기 속틀의 외면부에는 이동을 위한 러그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조형물의 원형으로는 폴리머를 사용하며, 상기 두께 형성재로는 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코어로는 철 혹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강재를 사용하며, 상기 보강 코어는 원형 또는 사각의 중공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상기 보강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상기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의한 브론즈 조형물로서, 지면에 위치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 고정되는 보강 코어; 및 상기 보강 코어를 감싸면서 상기 보강 코어에 의해 지지 가능토록 상기 보강 코어를 따라 배치되는 브론즈 조형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브론즈와 같이 편심 하중에 의한 처짐에 취약한 재료를 사용하는 조형물의 구조를 강화하여 편심 하중이 조형물에 작용하는 경우에 조형물의 제작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면서, 제작비 측면에서 보강 구조의 추가로 인한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겉틀과 속틀의 제작순서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이어서 겉틀, 속틀, 그리고 보강 코어의 조립과 브론즈 조형물을 제작하는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겉틀과 속틀 사이에서 브론즈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서 각각 제작된 한 쌍의 브론즈 조형물을 용접하는 경우 배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은, 편심 하중이 작용하여 처짐에 의해 조형물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내부에 보강 코어를 배치하여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형물 제작방법이다. 처짐에 의한 조형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서는 다음과 같은 제작 순서에 의해 조형물을 제작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먼저 조형물의 원형(100)을 만드는 단계(S1), 원형(100)을 이용하여 원형(100)의 형상과 같은 내벽 형상을 갖는 분해 가능한 복수 조각의 겉틀(110, 111)을 제작하는 단계(S2), 그리고 겉틀(110, 111)의 내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두께 형성재(115)를 겉틀(110, 111)의 내벽에 더하여 제작될 조형물의 두께를 더하는 단계(S3)를 순서대로 진행한다. 이때는 두께 형성재(115)의 두께에 의해 브론즈 조형물(160)의 두께가 결정된다.
이때 조형물의 원형(100)은 겉틀(110, 111)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형물 형상으로서, 폴리머 계열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진 않으며, 석고 모형 형상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찰흙이나 석고 원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조형물의 원형(100)을 만든 후에는, 조형물의 원형(100)을 감싸는 거푸집으로 조형물의 원형(100)을 둘러싸고, 거푸집에 주물사를 투입하여 각각의 겉틀(110, 111)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거푸집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같은 구조이며, 겉틀(110, 111)에는 주물사와 함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철근(13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은 각각 배치되어 겉틀(110, 111)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며, 거푸집이 복수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중앙부근에 분해를 위한 경계를 설정하는 분리재(미도시)를 배치하여 복수 조각의 겉틀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다. 즉 겉틀(110, 111)은 분리재(미도시)가 경계가 되어 복수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겉틀(110, 111)은 다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철근(131)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노출된 철근(131)을 이용한다. 이때 겉틀(110, 111)은 각각 원형(100)을 사용하는 각각의 반쪽 거푸집에 의해 반쪽씩 나뉘어져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겉틀(110, 111)이 제작된 후에는, 겉틀(110, 111)의 내벽에 두께 형성재(115)를 더한다. 두께 형성재(115)로는 흙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흙의 두께에 따라 브론즈 조형물(160)의 두께가 결정된다. 즉 두께 형성재(115)는 겉틀(110, 111)과 후술되는 속틀(120, 121)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 사이의 간격이 조형물의 두께를 결정한다.
겉틀(110, 111)에 두께 형성재(115)를 더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제작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에 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겉틀(110, 11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겉틀(110, 111)의 중심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두께 형성재(115)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강 코어(150)를 복수 조각의 겉틀(110, 111)로 감싸면서 조립하고, 두께 형성재(115)와 보강 코어(150) 사이에 속틀(120, 121)의 제작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복수 조각의 속틀(120, 121)을 제작하는 단계(S4)를 진행한다.
보강 코어(150)는 겉틀(110, 111)의 굴곡 형상을 따라 절곡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코어(150)는 커팅과 용접을 하지 않고 마련되므로, 기존의 커팅과 용접에 의해 절곡 형상으로 제작한 보강 코너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속틀(120, 121)도 겉틀(110, 111)과 마찬가지로 주물사, 콘크리트, 석고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주로 주물사와 철근(131)을 사용한다. 또한 속틀(120, 121)도 상호 분해 가능한 복수 조각으로 만든다. 즉 속틀(120, 121)은 양쪽으로 쪼개져 분해되는 구조로 혹은 각각의 겉틀(110, 111)에 대해 각각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겉틀(110, 111)의 내벽부와 보강 코어(150) 사이에는 복수 조각으로 분리하기 위한 경계를 설정하는 분리재(미도시)가 보강 코어(150)에 대한 겉틀(110, 111)의 조립 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겉틀(110, 111)에 더해진 두께 형성재(115)와 보강 코어(150) 사이에, 속틀용 주물사를 투입하여 일정시간을 양생하여 굳힌 후 겉틀(110, 111)을 분리한다. 이어서 속틀(120, 121)에 묻은 흙을 털어 내면 속틀(120, 121)이 드러나게 된다. 이처럼 복수 조각의 속틀(120, 12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속틀(120, 121)의 양생 완성과 함께 겉틀(110, 111)을 속틀(120, 121)로부터 분리하고 겉틀(110, 111)에서 두께 형성재(115)를 제거하는 단계(S5)를 진행한다.
두께 형성재(115)는 겉틀(110, 111)에 바른 흙이므로, 도구에 의해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겉틀(110, 111) 뿐만 아니라 속틀(120, 121)의 외면에 묻은 흙까지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브론즈 조형물(160)을 제작하기 위한 복수 조각으로 나누어진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이 모두 마련된다.
이제부터는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주형체인 브론즈 조형물(160)을 제작한다. 이러한 브론즈 조형물(160) 또한 내부로 보강 코어(150)를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 조각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브론즈 조형물(16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속틀(120, 121)의 외부에 복수 조각의 겉틀(110, 111)을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S6)를 진행하며,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 사이로 융해된 브론즈를 주입하여 복수 조각으로 분해 가능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S7)를 진행한다.
이때 도 4a를 참조하면, 한 쌍의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은 각각의 마주하는 철근(131)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하나로 조립될 수 있다.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 사이에도 조형물이 복수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분해를 위한 경계를 설정하는 분리재(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복수 조각의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은 용접에 의해 경계라인 상에 배치된 철근(131)을 연결함으로써 브론즈 주물을 위한 조형물 주조 틀(140)로 제작된다. 융해된 브론즈를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 사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주입구를 통해 주입하고, 서서히 냉각시켜 브론즈 조형물(160)을 완성한다. 주입구와 분리재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주입구는 주조 틀(140)의 복수개소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리재는 상하부 한 쌍으로 구성되는 주조 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리재는 가로 방향의 중앙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주조 틀(140)은 용접된 철근을 절단함으로써 양쪽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브론즈 조형물(160)이 제작된다. 이처럼 브론즈 조형물(160)은 분리재(미도시)에 의해 복수 조각으로 분해 가능함에 따라 조형물의 최종 설치 위치까지 보강 코어(150)와 함께 복수 조각 형태로 운반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보강 코어(150)를 베이스(170) 상에 설치한다. 즉 보강 코어(150)의 하단부를 베이스(170) 상에 볼팅 혹은 용접하여 완전하게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서는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보강 코어(150)를 브론즈 조형물(160)보다 먼저 위치 고정하고, 복수 조각의 조형물을 보강 코어(150)의 외부에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S8)를 진행한다.
보강 코어(150)와 조형물의 내부 간격은 전술한 속틀(120, 121)의 두께 정도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론즈 조형물(160)의 내부에 보강 코어(150)가 배치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체 하중에 의해 브론즈 조형물(160)의 일부가 처지는 경우에도, 조형물이 그 내부에 있는 보강 코어(1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일정 정도 이상 조형물의 변형이 차단되며, 그 변형 정도가 미미하여 외부에서는 변형 정도를 인식하기는 어렵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브론즈와 같이 편심 하중에 의한 처짐에 취약한 재료를 사용한 조형물의 구조를 강화하여 편심 하중이 조형물에 작용하는 경우에 조형물의 제작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작비 측면에서 보강 구조의 추가로 인한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은, 주로 청동과 같이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드는 조형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청동을 사용하나 이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조형물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기 브론즈 조형물(160)과 보강 코어(150)는, 위치 고정되는 지점에 대해 편심 하중을 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브론즈 조형물(160)의 고정된 하단부 중심부에 대해 상단부로 갈수록 하단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중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론즈 조형물(160)은 일정한 직선 기둥이나 하중이 균일하게 지지되는 형상이 아니어서, 재료의 특성에 따라 상부 측에서 쉽게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처짐에 강한 재질로 만들어진 보강코어를 조형물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조형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은 주물사와 철근(131)을 사용하여 반쪽으로 상호 분리 가능한 두 조각으로 만들며, 철근(13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철근(131)을 배치하며,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의 두 조각을 철근(131)의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복수 조각의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은 노출된 철근(131)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철근(131)이 산소 용접 등에 의해 절단되어 복수 조각으로 다시 분해될 수 있다. 겉틀(110, 111)의 흙을 제거한 후에 조형물을 만들기 위해 복수 조각을 다시 조립할 때는, 상호 대응하는 철근(131)을 용접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브론즈 주물을 위한 주조 틀(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겉틀(110, 111)과 속틀(120, 121)의 외면부에는 이동을 위한 러그(132)를 마련할 수 있다. 속틀(120, 121)의 러그(132)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겉틀(110, 111)과 같은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러그(132)는 통상 철근을 사용한 고리형상으로서, 주물사와 함께 철근(131)의 배치 시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러그(132)의 철근으로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형물의 원형(100)으로는 폴리머를 사용하며, 두께 형성재(115)로는 흙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 코어(150)로는 철 혹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강재를 사용하며, 보강 코어(150)는 원형(100) 또는 사각의 중공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코어(150)는 청동 조형물의 처짐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의한 브론즈 조형물(160)로서, 지면에 위치 고정되는 베이스(170), 베이스(170) 상에 위치 고정되는 보강 코어(150), 그리고 보강 코어(150)를 감싸면서 보강 코어(150)에 의해 지지 가능토록 보강 코어(150)를 따라 배치되는 브론즈 조형물(16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브론즈 조형물(160)은 내부에 보강 코어(1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재료의 특성상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보강 코어(1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변형이 거의 차단되어 고유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원형 110, 111: 겉틀
115: 두께 형성재 120, 121: 속틀
130: 주물사 131: 철근
132: 러그 140: 주조 틀
150: 보강 코어 160: 브론즈 조형물
170: 베이스

Claims (8)

  1. 조형물의 원형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형을 이용하여 상기 원형의 형상과 같은 내벽 형상을 갖는 분해 가능한 복수 조각의 겉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겉틀의 내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두께 형성재를 상기 겉틀의 내벽에 더하여 제작될 조형물의 두께를 상기 두께 형성재의 두께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겉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상기 겉틀의 중심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두께 형성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강 코어를 상기 복수 조각의 겉틀로 감싸면서 조립하고, 상기 두께 형성재와 상기 보강 코어 사이에 속틀의 제작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복수 조각의 속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겉틀을 상기 속틀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겉틀에서 상기 두께 형성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속틀의 외부에 복수 조각의 상기 겉틀을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겉틀과 속틀 사이로 브론즈 주물을 주입하여 복수 조각으로 분해 가능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상기 보강 코어를 위치 고정하고, 상기 복수 조각의 조형물을 보강 코어의 외부에 조립 배치하면서 위치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과 상기 보강 코어는, 위치 고정되는 지점에 대해 편심 하중을 가하는 형상인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겉틀과 속틀은 주물사와 철근을 사용하여 두 조각으로 만들며, 상기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철근을 배치하며, 상기 겉틀과 속틀의 두 조각을 상기 철근의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겉틀과 상기 속틀의 외면부에는 이동을 위한 러그를 마련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의 원형으로는 폴리머 계열을 사용하며, 상기 두께 형성재로는 흙을 사용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어로는 철 혹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강재를 사용하며, 상기 보강 코어는 원형 또는 사각의 중공 단면을 갖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는 지점에 상기 보강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를 배치하는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른 상기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의 제작방법에 의한 브론즈 조형물로서,
    지면에 위치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 고정되는 보강 코어; 및
    상기 보강 코어를 감싸면서 상기 보강 코어에 의해 지지 가능토록 상기 보강 코어를 따라 배치되는 브론즈 조형물.
KR1020160056091A 2016-05-09 2016-05-09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KR10186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1A KR101860011B1 (ko) 2016-05-09 2016-05-09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1A KR101860011B1 (ko) 2016-05-09 2016-05-09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15A KR20170126115A (ko) 2017-11-17
KR101860011B1 true KR101860011B1 (ko) 2018-05-21

Family

ID=6080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091A KR101860011B1 (ko) 2016-05-09 2016-05-09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0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586A (ja) 1998-10-30 2000-10-31 Premark Rwp Holdings Inc 押出し装飾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586A (ja) 1998-10-30 2000-10-31 Premark Rwp Holdings Inc 押出し装飾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15A (ko)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632B1 (ko) 튜브형 고무몰드를 활용한 중공 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20110044181A (ko) 강합성 벽체파일 제조방법 및 강합성 벽체파일 제조용 거푸집
Hague et al. Structural design and resin drainage characteristics of QuickCast 2.0
KR20160043509A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165348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KR101652943B1 (ko) 고층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 제조 공법
KR102055012B1 (ko) 프리캐스트 격자형보 몰드의 탈형 장치
KR101860016B1 (ko) 보강 코어를 갖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KR101860011B1 (ko) 보강 코어를 갖는 브론즈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CN204919605U (zh) 预制装配式钢筋砼地下综合管廊及其生产模具
CN207189920U (zh)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挡土墙模具装置
KR101593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기둥을 이용한 기둥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AU2019277210B2 (en) Void former
CN102031831B (zh) 内含钢筋骨架约束高强混凝土斜柱转换节点及其施工方法
CN212613272U (zh) Uhpc免埋钢筋叠合现浇轻质楼板及楼板拼缝结构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KR20020015520A (ko) 교량용 교각 설치공법
CN105729622A (zh) 一种混凝土空心方桩生产工艺
KR101842038B1 (ko) 입체 문양을 갖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용 영구 거푸집 세그먼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입체 문양을 갖는 콘크리트 기둥 시공 방법
KR101759212B1 (ko) 블록 제작용 몰드
KR100495739B1 (ko) 건물기둥의 축조방법과 축조구조
CN214942395U (zh) 一种变截面柱的模板体系
CN214739843U (zh) 一种基于倒模法的现浇混凝土施工结构
CN219404695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结构l形立柱成型组合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