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640B1 -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 Google Patents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640B1
KR101859640B1 KR1020160127735A KR20160127735A KR101859640B1 KR 101859640 B1 KR101859640 B1 KR 101859640B1 KR 1020160127735 A KR1020160127735 A KR 1020160127735A KR 20160127735 A KR20160127735 A KR 20160127735A KR 101859640 B1 KR101859640 B1 KR 10185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disposed
main
ra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497A (ko
Inventor
최원재
최일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2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6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14Preventing incru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는,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향해 관통 형성된 지지홀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일단에 상기 레일부재에 지지되어 회전이동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연장배치되는 롤러프레임; 상기 롤러프레임의 타단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롤러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Roller apparatus and frame clean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프레임 크리너의 센터링(Centering)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롤러(roller)는 원형 단면의 전동체(轉動體)로서 물체를 지지하거나 운반하는 데 이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2962호(2003.06.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크리너의 센터링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는,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향해 관통 형성된 지지홀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일단에 상기 레일부재에 지지되어 회전이동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연장 배치되는 롤러프레임; 상기 롤러프레임의 타단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롤러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는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메인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측 레일부재;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보조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조롤러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보조롤러측 레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롤러측 레일부재는,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일단을 지지가능하며, 상기 보조롤러측 레일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 및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타단을 지지가능하며, 상기 보조롤러측 레일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지지홀들이 양 측단에 각각 관통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된 양 선단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프레임;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프레임 상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지지홀들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 및 제2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프레임 상에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프레임을 절개하여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이동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롤러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홀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외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롤러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메인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는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 측단에 개구를 각각 구비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 배치되는 메인롤러프레임; 일측 선단에 상기 롤러부재가 배치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이동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프레임; 및 상기 이동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크리너는, 코크스오븐의 일측에 배치되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코크스오븐의 내벽에 부착된 이물을 스크래핑 가능한 스크래퍼부재를 구비하는 스크래퍼프레임;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롤러장치; 및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양 측단이 개방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된 양측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프레임; 및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메인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는, 프레임 크리너의 센터링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바, 스프래퍼부재 및 코크스 오븐 내화벽의 마모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프레임 크리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의 (a) 정면도 및 (b)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Y-Y'를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를 일부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Z-Z'를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를 일부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롤러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롤러장치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프레임 크리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입구측 내측벽에는 코크스를 건류하는 동안 발생한 타르 및 카본 등의 이물이 부착되는바, 코크스 건류 완료 후 프레임 크리너(1)를 이용하여 이들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프레임 크리너(1)는 탄화실 내측벽을 스크래핑 가능한 다수의 스크래퍼부재들(3a, 3b)을 구비하며, 이들 스크래퍼부재들(3a, 3b)이 상하, 전후 이동하여 스크래핑 함으로써 탄화실 내측벽에 부착된 이물이 제거된다. 스크래퍼부재들(3a, 3b)은 스크래퍼프레임(3)에 배치되며, 스크래퍼프레임(3)은 코크스 오븐 일측에 배치된 한 쌍의 레일부재(7)를 따라 상하 이동한다. 스크래퍼프레임(3)에는 롤러(5)가 배치되며, 롤러(5)가 레일부재(7)에 지지 회전됨으로써 스크래퍼프레임(3)이 레일부재(7)를 따라 일정한 이동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 크리너(1) 작동시, 스크래퍼프레임(3)이 코크그 오븐의 탄화실 입구에 정확히 대응하도록 위치한 후 탄화실 내부로 진입하여야 하나, 조업 중에는 일정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스크래퍼프레임(3)이 탄화실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스크래퍼프레임(3)과 레일부재(7)를 연결하는 롤러(5)에는 틀어짐이 발생하게 되며, 지속적인 틀어짐 발생에 따라 스크래퍼프레임(3)의 센터링(Centering) 불량이 야기된다.
스프래퍼프레임(3)의 센터링 불량 발생시, 스크래퍼프레임(3)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스크래퍼프레임(3)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일측의 스크래퍼부재(3a, 3b)는 과도한 압력으로 탄화실 내측벽을 가압하게 되며, 스크래퍼부재(3a, 3b) 및 탄화실 내측벽의 조기 마모 및 파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스크래퍼프레임(3)이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타측의 탄화실 내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래퍼프레임(3)의 센터링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롤러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2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의 (a) 정면도 및 (b)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Y-Y'를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를 일부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Z-Z'를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를 일부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장치(10)는 내부에 공간(110)이 형성된 하우징부재(100), 하부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 선단부가 공간(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롤러프레임(200)을 구비한다.
하우징부재(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102), 제2 지지프레임(103). 제1 지지프레임(102)과 제2 지지프레임(103)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제1 지지프레임(102) 및 제2 지지프레임(103)과 함께 공간(110)을 형성하는 하우징프레임(104)을 포함한다. 제1 지지프레임(102)에는 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지지홀(102a)이 관통 형성되며, 제2 지지프레임(103)에는 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하는 제2 지지홀(103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지지홀(102a) 및 제2 지지홀(103a)의 형상 및 크기는 롤러프레임(200)의 단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롤러프레임(200)은 제1 지지홀(102a) 및 제2 지지홀(103a)을 관통하도록 연장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롤러프레임(200)은 제1 지지프레임(102) 및 제2 지지프레임(103)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200)의 양측 선단부에는 롤러부재(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고정프레임(500)은 공간(110) 내에 배치되며, 롤러프레임(200)의 외부에 고정 배치된다. 고정프레임(500)에는 롤러프레임(200)의 단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고정홀(5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프레임(200)은 고정홀(512)에 관통 삽입 됨으로써 고정프레임(5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500)에는 외부로부터 고정홀(512)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5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600)가 체결홀(514)에 체결됨으로써 롤러프레임(200)과 고정프레임(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홀(51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600)의 외주면에 체결홀(51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600)가 체결홀(51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프레임(500)과 롤러프레임(200)이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프레임(104)에는 하우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며, 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하는 이동슬릿(10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00)는 이동슬릿(106)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롤러프레임(200)의 이동시 이동슬릿(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정부재(600)의 위치에 따라 롤러장치(10)의 센터링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슬릿(106) 일측의 하우징프레임(104) 외부면에는 눈금 등의 기준이 도시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600)의 위치가 기준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센터링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롤러프레임(200)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공간(110) 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400)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프레임(200)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탄성부재(400)는 제1 지지프레임(102)에 일단이 지지되고 고정프레임(500)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402) 및 제2 지지프레임(103)에 일단이 지지되고 고정프레임(500)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40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200)이 롤러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탄성부재(402) 및 제2 탄성부재(404)는 각각 신장 및 수축되어 롤러프레임(200)의 센터링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롤러부재(300)는 회전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메인롤러부재(310)와 보조롤러부재(3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롤러부재(310)는 롤러프레임(200)의 길이방향(X-X')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3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조롤러부재(320)는 롤러프레임(200)의 길이방향(X-X') 및 하우징부재(100)의 이동방향(A, Y-Y')과 수직한 방향(Z-Z')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322)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20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메인롤러부재(310)는 롤러프레임(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메인홀(310a)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홀(310a)에 롤러프레임(200)이 관통 삽입됨으로써 메인롤러부재(310)가 롤러프레임(200) 상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메인홀(310a)의 일측에 베어링부재(도시 안함) 등을 더 포함하여 메인롤러부재(310)의 원활한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보조롤러부재(320)는 롤러프레임(200)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롤러프레임(200)의 내부에 보조회전축(32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부재(700)는 하우징부재(100)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대향되는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레일부재(700)는 하우징부재(100)의 이동방향(Y-Y') 및 메인회전축(312)의 축방향(X-X')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0), 하우징부재(100)의 이동방향(Y-Y') 및 보조회전축(322)의 축방향(Z-Z')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보조롤러측 레일부재(720)를 포함한다.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0)는 메인롤러부재(310)의 일단부측 외주면을 지지 가능한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2) 및 메인롤러부재(310)의 타단부측 외주면을 지지 가능한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2) 및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4)는 각각 보조롤러측 레일부재(720)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2) 및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롤러측 레일부재(72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롤러부재(3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2)와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4)는 메인롤러부재(310)의 직경보다 일정 간격(h) 더 큰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부재(310)의 타단부측 외주면이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4)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경우, 메인롤러부재(310)의 일단부측 외주면은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2)로부터 일정 간격(h) 이격되는바,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0)에 의해 메인롤러부재(310)의 회전이 간섭받는 것을 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격(h)은 메인롤러부재(310)의 원활한 회전 및 레일부재(700)로부터 메인롤러부재(310)의 탈락 방지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적정히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메인롤러부재(310)는 메인롤러측 레일부재(710)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하우징부재(10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보조롤러부재(320)는 보조롤러측 레일부재(720)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롤러프레임(200)이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프레임(200)의 쏠림에 의해 롤러부재(300)가 조기 마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장치(10)의 센터링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롤러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롤러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롤러장치(10)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는바,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롤러장치(10)로 대신하며, 이하에서는 변형된 부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프레임(200)은 중심부측의 메인롤러프레임(210) 및 메인롤러프레임(210)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보조롤러프레임(220)을 포함한다. 메인롤러프레임(210)의 내부에는 개구를 구비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이 메인롤러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보조롤러프레임(220)은 일단부가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메인롤러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보조롤러프레임(220)의 일측 선단에는 롤러부재(300)가 배치되고, 타측 선단은 이동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보조롤러프레임(220)은 롤러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공간 내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는 되어 보조롤러프레임(2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완충부재는 유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롤러프레임(220)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롤러프레임(200)은 보조롤러프레임(220)이 메인롤러프레임(21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조롤러프레임(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 가능한 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200)은 메인롤러프레임(210) 및 보조롤러프레임(220)으로 구성되며, 완충부재에 의해 보조롤러프레임(2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바, 스크래핑 작업중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롤러장치(1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롤러장치(10')의 센터링 불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크리너(20)는 앞서 설명한 프레임 크리너(1)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 즉, 스크래퍼부재들(30a, 30b)을 구비하는 스크래퍼프레임(30), 코크스 오븐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700)를 구비하며, 스크래퍼프레임(30)에 연결되어 레일부재(700)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장치(10)를 포함한다. 승강부재(도시 안함)는 스크래퍼프레임(30)에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롤러장치(10)는 레일부재(7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롤러장치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스크래퍼프레임(30)이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입구와 정확히 대응하지 못한 상태로 코크스 오븐 내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 도 7의 (a)와 같이 하우징부재(100)가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우징부재(10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조롤러부재(320)에 의해 메인롤러부재(310)가 레일부재(7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레일부재(700)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스크래퍼프레임(30)이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입구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부재(400)는 원위치로 회복되며, 그에 따라 롤러장치(10)의 센터링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자는 고정부재(600)의 위치에 따라 센터링 불량 여부를 확인 가능한바, 조속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20: 프레임 크리너 10: 롤러부재 100: 하우징부재
200: 롤러축부재 300: 롤러부재 400: 탄성부재
500: 고정프레임 600: 고정부재 700: 레일부재

Claims (11)

  1.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향해 관통 형성된 지지홀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일단에 상기 레일부재에 지지되어 회전이동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연장 배치되는 롤러프레임; 상기 롤러프레임의 타단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롤러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는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메인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측 레일부재;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보조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조롤러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보조롤러측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롤러측 레일부재는,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일단을 지지가능하며, 상기 보조롤러측 레일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메인롤러측 레일부재; 및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타단을 지지가능하며, 상기 보조롤러측 레일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메인롤러측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5.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지지홀들이 양 측단에 각각 관통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된 양 선단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프레임;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프레임 상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메인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는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지지홀들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 및 제2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프레임 상에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프레임을 절개하여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이동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롤러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홀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외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롤러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롤러장치.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 측단에 개구를 각각 구비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 배치되는 메인롤러프레임;
    일측 선단에 상기 롤러부재가 배치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이동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프레임; 및
    상기 이동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러장치.
  11. 코크스오븐의 일측에 배치되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코크스오븐의 내벽에 부착된 이물을 스크래핑 가능한 스크래퍼부재를 구비하는 스크래퍼프레임;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롤러장치; 및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스크래퍼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양 측단이 개방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된 양측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프레임; 및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메인롤러부재; 및
    상기 메인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보조롤러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KR1020160127735A 2016-10-04 2016-10-04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KR10185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35A KR101859640B1 (ko) 2016-10-04 2016-10-04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35A KR101859640B1 (ko) 2016-10-04 2016-10-04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97A KR20180037497A (ko) 2018-04-12
KR101859640B1 true KR101859640B1 (ko) 2018-05-18

Family

ID=619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35A KR101859640B1 (ko) 2016-10-04 2016-10-04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097A (ja) * 2005-09-09 2008-07-24 シャルカー アイゼンヒュッテ 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コークス炉制御装置
KR101110258B1 (ko) * 2009-09-14 2012-02-16 주식회사 포스코 센터링이 자동 조정되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래퍼의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097A (ja) * 2005-09-09 2008-07-24 シャルカー アイゼンヒュッテ 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コークス炉制御装置
KR101110258B1 (ko) * 2009-09-14 2012-02-16 주식회사 포스코 센터링이 자동 조정되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래퍼의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97A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3729B1 (en) Split bearing cartridge assembly and split housed bearing assembly
CA2802602C (en) Roller for high pressure roller grinder, roller grind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oller for a roller grinder
US8297849B2 (en) Roller bearing
KR101859640B1 (ko)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크리너
KR102143333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US3941328A (en) Support shaft apparatus
CN103836074A (zh) 独立框型隔离环双列角接触圆柱滚子回转支撑轴承
CN211521164U (zh) 一种带有定位导向功能的纺织用纱线架
US2971399A (en) Telescopic protector
JP6316699B2 (ja) 可動間仕切り用吊りランナー装置
KR102406187B1 (ko) 판유리 제조설비용 브러쉬 세척기
US3357073A (en) Curved roll
KR100588299B1 (ko) 폭 조절 기능을 가지는 릴
US2755515A (en) Top roll for drawing frames
KR20150092971A (ko) 베어링 분리장치
US2988407A (en) Support for structure while removing bearing
KR101640128B1 (ko) 회전축의 분해가 용이한 베어링
US20090161999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veneer dryer
CN114054282B (zh) 用于辊涂装置的支撑机构及辊涂装置
CN217897779U (zh) 一种钻井用的套管保护装置
CN212584138U (zh) 一种运行稳定的车用异型轴承外圈
KR20150090551A (ko) 압연기의 진공롤 장치
KR100775490B1 (ko) 스트립 표면 스케일 제거용 워크롤 베어링 블록 지지장치
KR20000012946U (ko) 쵸크의 베어링 교체 및 세척장치
KR100815710B1 (ko) 롤 표면 정도 유지 기능을 가진 안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