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89B1 -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 Google Patents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89B1
KR101859489B1 KR1020160154732A KR20160154732A KR101859489B1 KR 101859489 B1 KR101859489 B1 KR 101859489B1 KR 1020160154732 A KR1020160154732 A KR 1020160154732A KR 20160154732 A KR20160154732 A KR 20160154732A KR 101859489 B1 KR101859489 B1 KR 10185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ter storage
spac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유)칠성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칠성석재 filed Critical (유)칠성석재
Priority to KR10201601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에 있어서, 표지석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표시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화분공간부; 상기 몸체 하단에 구비된 받침부 및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 상단에 유골함이 안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표지석에 화분을 구비하여 외관이 미려한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TOMBSTONE INCLUDED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에 관한 것으로, 표지석에 화분을 구비하여 외관이 미려한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문화 보다는 매장문화가 뿌리 깊게 발달되어 있는 한국의 경우, 매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시신을 안치할 묘지가 필요하므로 좁은 국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과, 사후 묘지를 관리하기가 매우 불편했었던 문제점이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매장문화를 화장문화로 바꾸기 위해 최근에는 정부와 카톨릭 단체 등 많은 종교 단체 및 민간들의 노력이 있었고, 화장의 유익함과 편리함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으로 인하여 납골실이나 납골당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화장된 유골을 안치하는 종래의 납골당의 통상적인 구조는, 먼저 납골당의 전체적인 외관을 석재틀 또는 목재틀로 짜서 일괄적으로 맞춘 다음, 그 내부에 상하 좌우로 다수 개의 유골 수납함이 연달아 형성되도록 개별 유골 수납함들을 구획하고, 이렇게 하나 하나 구획된 유골 수납함을 각각 개인에게 양도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납골당은 첫째로, 납골함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도 유골 수납함 하나 하나를 별도로 분리해 내거나 이를 개별적인 묘비석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종래의 납골당은, 납골당 전체의 외곽을 먼저 만들고 나서 개별 유골 수납함을 만들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공간이 많이 소요되고 건축 자재의 특성이나 기타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적은 면적에 많은 유골을 모실 수 없었고, 별도의 비석을 따로 만들어야 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종래의 납골당은, 유골 안치만을 위한 납골당, 즉 추모의 용도로만 사용되어 혐오시설로만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로, 종래의 납골당은, 전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며, 각 구성들의 연결구조에서 취약한 곳이 있어서 견고하지 못하고, 반영구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로, 종래의 납골당은, 건설비용이나 매입비용이나 유지비용 등이 너무 비싸서 꽃동네 등과 같은 카톨릭 봉사단체나 자원단체에서 생활하시다가 세상을 떠나시면 안장되는 행려사망자나 기타 비영리단체 종사자 등 사정이 어렵거나 연고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사용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표지석에 화분을 구비하여 외관이 미려한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표지석 대에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골함의 안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별도의 구성없이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지석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표시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화분공간부; 상기 몸체 하단에 구비된 받침부 및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 상단에 유골함이 안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일단이 상기 받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화분 공간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비문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분공간부는 상기 몸체의 후면 측으로 다수개의 화분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화분 공간부 하단에 구비된 물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 상단에 거치되어 물을 배수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로 토사를 막아주는 토사방지필터; 상기 필터에서 물 저장부 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 배수공;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끌어올리는 물 펌프; 상기 물 펌프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화분 공간부로 물을 전달하는 물 파이프; 상기 물 파이프 타측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기 및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화분 공간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되, 상기 물저장부의 내측은 상기 화분 공간부 내측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에 물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태를 표시해주는 신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상면과 상기 표시부가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화분공간부 측으로 빛을 내보내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표시부 하단측에 홈으로 형성되는 판 수용부; 및 상기 판 수용부에 삽입 및 출입되는 판을 더 포함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표지석의 상측에 화분이 내재되어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표지석 내에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골함의 안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구성없이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몸체(100), 표시부(200), 화분 공간부(300), 받침부(400), 안착부(500) 및 화분 배수공(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0)는 다각형의 면으로 구성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이나 모양이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므로, 이와 같은 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몸체(100)는 표시부(200), 화분 공간부(300) 및 안착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일단이 상기 받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화분 공간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비문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일단이 받침부(40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화분 공간부(30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몸체 어느 곳에서든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비문은 표시부(200)에 가공하여 글씨를 새기는 방법이 바람직하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표시되는 사진 및 정보 등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화분 공간부(300)은 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화분 공간부(300)는 표시부(200)의 좌우 끝에 내측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화분 공간부(300)의 밑면은 몸체 후면 측으로 더 깊도록 비스듬하게 형설될 수 있다. 화분 공간부(300)는 몸체(100)의 후면 측으로 다수개의 화분 배수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화분 배수공(310)은 화분 공간부(300)에 공급된 물이나 빗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화분 배수공(310)은 다수개의 홀, 다각형 및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400)는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400)는 원, 다각형 및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의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받침부(400)는 몸체(10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미도시)은 몸체(100)와 받침부(400)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안착부(500)는 몸체 내에 구비되어 받침부(400) 상단에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안착부(500)는 받침부(400) 하단에 구비되어 매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안착부(500)는 유골함의 크기보다 일정크기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안착부(500)는 사각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먼저, 설치할 자리의 흙을 파내고, 받침부(400)를 표지석을 설치할 자리에 놓고, 유골함을 안치한 다음, 몸체(100)를 받침부(400)로 올리고, 정면을 제외한 면들을 흙으로 덮는다.
이와 같이 표지석의 설치가 완료되면, 화분 공간부(300)에 흙을 넣고 꽃을 심고 물을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물저장부(600), 필터(320), 토사방지필터(330), 물 배수공(610), 물 펌프(620), 물 파이프(630), 물 분사기(640),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저장부(600)는 화분 공간부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물 저장부(600)는 화분 공간부(300)에서 필터(320)로 걸러진 물을 물 펌프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물저장부(600) 내측은 화분 공간부(300) 내측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물저장부(600) 밑면은 몸체(100) 후면측으로 더 깊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물 펌프(6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몸체(100) 후면측에서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320)는 물저장부(600) 상단에 거치되어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 필터(320)는 종선과 횡선이 교착 또는 그물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사방지필터(330)는 필터(320) 상단에 구비되어 물저장부(600)로 토사를 막아줄 수 있다.
물 배수공(610)은 필터(320)에서 물 저장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물 배수공(610)은 물 저장부(600)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저장되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화분 공간부(300)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 펌프(610)는 물 저장부(600)와 연결되어 물 파이프로 물을 끌어올릴 수 있다. 물 펌프(610)는 물 저장부(600) 밑면의 평평한 면에 구비되며 흔히 쓰는 일반펌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저장부(600)의 채워진 물속에서 작동하는 수중펌프일 수 있다.
물 파이프(630)는 일측이 물 펌프(620)에 연결되고 타측이 물 분사기(640)연결될 수 있다. 물 파이프(630)는 물 펌프에 끌어 올려진 물을 화분 공간부(300)로 전달한다.
물 분사기(640)는 물 파이프(630)와 결합하여 공급된 물을 화분 공간부(300)에 분사할 수 있다. 물 분사기(640)는 화분 공간부(300)에 물을 분사하여 꽃에 골고루 물을 줄 수 있다.
타이머(미도시)는 시간을 설정하여 화분 공간부(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저장부(600), 필터(320), 토사방지필터(330), 물 배수공(610), 물 펌프(620), 물 파이프(630), 물 분사기(640), 타이머(미도시)의 구성으로, 화분 공간부(300)에 공급된 물이나 빗물을 저장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물을 공급하여 꽃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수위센서(110), 신호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110)는 물 저장부(600)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110)는 몸체의 정면측으로 형성된 물저장부의 면 하측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물 저장부(600)의 물이 바닥나기 전에 신호부(12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신호부(120)는 수위센서(110)로 정보를 전달받아 물 부족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센서(110), 신호부(120)의 구성으로, 물 저장부(600)의 물을 다 사용하기 전에 부족상태를 나타내 납골당의 관리자가 물 부족상태 시에만 물을 공급함으로써, 꽃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조명부(130), 판 수용부(140), 판(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상기 몸체(100) 상면과 상기 표시부(200)가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표시부(200)와 화분 공간부(300) 측으로 빛을 내보낼 수 있다. 조명부(130)가 빛을 표시부(200)와 화분 공간부(300)로 내보내줌으로써, 야간에도 표시부의 비문과 꽃이 잘보일 수 있고, 시각적으로도 부각시켜 줄 수 있다.
판 수용부(140)는 표시부(200) 하단측에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 수용부(140)는 판(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되게 형성된다. 판 수용부(140)의 내측으로 양 옆면에 결합돌기(미도시) 또는 결합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판(150)은 판 수용부(140)에 삽입 및 출입될 수 있다. 판(140)의 양 옆면에는 판 수용부(140)와 대응되도록 결합홈(미도시) 또는 결합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판(150)은 판 수용부(140)에서 삽입 및 출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은 가이드 받침대, 가이드, 지지대, 꽃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받침대는 화분 공간부(300)의 내측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받침대는 화분공간부(30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 형상 또는 바둑판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다수개로 가이드 받침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받침대와 연결되어 지지대와 결합하여 기울어짐을 방지 할 수 있다.
지지대는 가이드에 각각 설치되어 하단부가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꽃 받침대는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꽃을 받칠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꽃을 지지대에 인접하게 심어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사나 노끈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햇빛이 있는 쪽으로만 자라나고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몸체
110: 수위센서
120: 신호부
130: 조명부
140: 판수용부
150: 판
200: 표시부
300: 화분 공간부
310: 화분 배수공
320: 필터
330: 토사방지필터
400: 받침부
500: 안착부
600: 물저장부
610: 물 배수공
620: 물 펌프
630: 물 파이프
640: 물 분사기

Claims (7)

  1.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에 있어서,
    표지석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표시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화분공간부;
    상기 몸체 하단에 구비된 받침부 및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 상단에 유골함이 안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화분 공간부 하단에 구비된 물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 상단에 거치되어 물을 배수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로 토사를 막아주는 토사방지필터;
    상기 필터에서 물 저장부 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 배수공;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끌어올리는 물 펌프;
    상기 물 펌프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화분 공간부로 물을 전달하는 물 파이프;
    상기 물 파이프 타측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기 및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화분 공간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되,
    상기 물저장부의 내측은 상기 화분 공간부 내측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부는,
    밑면이 상기 몸체 후면측으로 더 깊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 후면측에 평평한 면을 포함하여,
    상기 밑면의 평평한 면에 상기 물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단이 상기 받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화분 공간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비문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물저장부에 물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태를 표시해주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상면과 상기 표시부가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화분공간부 측으로 빛을 내보내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표시부 하단측에 홈으로 형성되는 판 수용부; 및
    상기 판 수용부에 삽입 및 출입되는 판을 더 포함하는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KR1020160154732A 2016-11-21 2016-11-21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KR10185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32A KR101859489B1 (ko) 2016-11-21 2016-11-21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32A KR101859489B1 (ko) 2016-11-21 2016-11-21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89B1 true KR101859489B1 (ko) 2018-05-18

Family

ID=6245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32A KR101859489B1 (ko) 2016-11-21 2016-11-21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04A (ko) 2021-04-15 2022-10-24 김상우 인조 표지석 및 그 인조 표지석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829B2 (ja) * 1990-09-13 2000-03-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自熔製錬精鉱バーナー用重油バーナー
KR100725029B1 (ko) *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KR100997907B1 (ko) * 2010-09-20 2010-12-07 김채윤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829B2 (ja) * 1990-09-13 2000-03-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自熔製錬精鉱バーナー用重油バーナー
KR100725029B1 (ko) *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KR100997907B1 (ko) * 2010-09-20 2010-12-07 김채윤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04A (ko) 2021-04-15 2022-10-24 김상우 인조 표지석 및 그 인조 표지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89B1 (ko) 화분을 겸비한 표지석
US20220372721A1 (en) Marine tiles, pods, tank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80244994A1 (en) Monumen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6285180A (zh) 一种青山树葬的方法
KR101510956B1 (ko) 벽걸이 화분프레임
Pilarczyk et al. Factors Determining the Ways for Shaping the Landscapes of Municipal Cemeteries in Szczecin: Proposals of Changes in the Shaping of Municipal Cemeteries
CN212507677U (zh) 一种绿色建筑公墓祭祀堂
CN105143577A (zh) 按家族单位提供的家系牌位保管所
EP2620568A1 (en) Tombstone fitted with means for keeping live plants
US20060123714A1 (en) Headstone assembly and method for lawn crypt
CN202645115U (zh) 楼塔碑万国公墓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CN207553728U (zh) 一种新颖的立体葬
KR100975430B1 (ko) 토담 휀스
CN205840482U (zh) 一种3d云花坛墓葬
JP3154472U (ja) 墓地構造
CN101230760A (zh) 绿色生态公墓园的墓地及殡葬方法
JP2569671Y2 (ja) フェンス
US20110285153A1 (en) Earthen vase, method for use and forming tool
Gough 'Planting'Memory: The Challenge of Remembering the Past on the Somme, Gallipoli and in Melbourne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CN204826851U (zh) 草坪式墓葬结构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CN205849169U (zh) 一种室内装潢装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