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623B1 -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 Google Patents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623B1
KR101858623B1 KR1020160164497A KR20160164497A KR101858623B1 KR 101858623 B1 KR101858623 B1 KR 101858623B1 KR 1020160164497 A KR1020160164497 A KR 1020160164497A KR 20160164497 A KR20160164497 A KR 20160164497A KR 101858623 B1 KR101858623 B1 KR 10185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guide
link
perforated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남
Original Assignee
강릉건설(주)
주식회사 경도이앤씨
주식회사경도
정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건설(주), 주식회사 경도이앤씨, 주식회사경도, 정성남 filed Critical 강릉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16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2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specially adapted for placing or removing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02D5/187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the bulkheads or walls being made continuously, e.g. excavating and constructing bulkheads or walls in the same process, without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천공 케이싱에 구비되고 가이드 케이싱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드릴 유닛의 브라켓이 가이드 케이싱의 날개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링크 드릴 유닛의 링크 슬리브가 겹침 구조로 형성되어 차수벽 형성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터파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이다.

Description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DRILLING MACHINE WITH LINK DRILL UNIT AND COLLUMN WALL CONTRUCTING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천공 케이싱에 구비되고 가이드 케이싱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드릴 유닛의 브라켓이 가이드 케이싱의 날개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링크 드릴 유닛의 링크 슬리브가 겹침 구조로 형성되어 차수벽 형성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터파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이라고 하는 것은 지반 굴착 시 굴착면의 붕괴와 지하수 유입 방지를 위해 가시설 토류벽을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으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P(Cast-In-Place Pile)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CIP공법은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홀수공을 1차로 시공한다. 상기 홀수공에 부재인 H-Pile이나 철근망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홀수공에 레미콘을 타설하고 천공 케이싱(15)을 상승시켜 제거한 후 2차로 짝수공을 시공한 후 부재를 삽입한다. 이후, 레미콘을 타설한 후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하여 공사가 완료된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량 CIP공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개량 CIP 공법은 가이드 블록(GB)을 설치한 후 상기 가이드 블록(GB)을 따라 1차로 홀수공을 천공 케이싱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상기 시공된 홀수공의 천공 케이싱에 부자재를 삽입한 후 레미콘을 타설한다. 이후 천공 케이싱을 제거하고 짝수공을 시공하며 이후에는 상술된 바와 유사하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3 공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C-III공법은 첫번째 천공을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시공한 후 가이드 케이싱(GC)을 삽입한다. 상기 천공 케이스(15)를 제거한 후 상기 가이드 케이싱(GC) 일 측에 별도의 천공 케이스(15)를 밀착된 상태로 2번 천공을 시공한다. 상기 2번 천공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GC)을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 개의 천공에 가이드 케이싱(GC)을 설치한다. 이때, 소정의 천공마다 부재인 H-Pile을 설치하고 별도의 천공에는 철근망을 삽입한다. 각 천공에 레미콘을 타설하면서 가이드 케이싱(GC)을 제거하여 공정이 종료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CIP 공법의 경우 설치된 구근(천공된 공간)이 일정 두께로 겹침이 되어야 하나, 인위적으로 모든 부위에서의 간격 유지 및 일정 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어(도 4 및 도 5 참조)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어려워 이를 보강하기 위한 약액 주입 등의 보조 공법이 필요하거나 2열 시공이 필요하여 시공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개량 CIP 공법의 경우 가이드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터파기가 필수적이므로 지표부에 콘크리트 피복이 있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C-3 공법의 경우 먼저 설치된 가이드 케이싱은 천공 케이싱에 대해 이탈될 수 있어서 간격 유지의 구속력이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심도가 깊은 경우 구근 겹침이 부실하여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pile과 같은 부재가 타설된 레미콘에 의해 피복되어 노출되지 못하는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및 이를 위한 천공 장비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394413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59003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6590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52123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04258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공 케이싱에 구비되고 가이드 케이싱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드릴 유닛의 브라켓이 가이드 케이싱의 날개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링크 드릴 유닛의 링크 슬리브가 겹침 구조로 형성되어 차수벽 형성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터파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더욱 편리한 시공이 가능한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공 케이싱(15)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가이드 케이싱(200)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하측 일 부분에 설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인 링크 슬리브(110)와,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중공의 사각형 단면이되 상기 링크 슬리브(110)방향 측면인 제1측면(211)은 원호 형상으로 요홈되고, 반대 방향 측면인 제2측면(212)은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본체(210)와,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120)과 결합하는 날개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상기 제1측면(211)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원 내부에 상기 링크 슬리브(110)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브라켓(120)은 판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링크 슬리브(110)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링크 슬리브(110)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벌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는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 본체(21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측 일 부분에는 날개부(220)가 구비되지 않아 상기 링크 슬리브(110)가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링크 슬리브(110)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과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은 천공 케이싱(15)의 하측과 링크 슬리브(110) 상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최하측에 구비되는 케이싱 슈(16)과 링크 슬리브(110) 하측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후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결속판(23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판(230)에는 고정구가 설치되기 위한 체결공(24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천공 케이싱(15)은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 사이에는 케이싱 클램프(300)가 구비되어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 클램프(300)는 상기 하부 천공 케이싱(15-2)의 상단에 구비되고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연결되는 중공의 클램프(310)와, 상기 클램프(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커플링(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클램프(310)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와 상기 클램프 본체(311)의 단부가 핀 결합되는 연결판(C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CP)은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311) 일 부분에는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가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하고,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32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결합되며, 상기 커플링(320)의 하측에는 키가 하향 연장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311)에는 상기 키가 안착되는 키 홈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클램프(31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천공 케이싱(15)을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공 장비를 이용하는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으로서,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1번 천공을 시공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상기 1번 천공의 일측에 2번 천공을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상기 1번 천공의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2번 천공의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한 후 상기 2번 천공의 일 측에 다수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가이드 케이싱(200)과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3단계(S130)를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4단계(S140)와, 최종 시공된 천공으로부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가이드 케이싱(200)와 천공사이의 공간을 토양으로 되메움하는 제5단계(S150)와, 특정 가이드 케이싱(200) 내부에 부재를 설치하고 레미콘을 타설하는 제6단계(S160)와,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을 제거하는 제7단계(S170)로 이루어지는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천공 케이싱(15) 설치 시, 인접하는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되, 상기 브라켓(120)이 형성되는 링크 슬리브(110)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 중 날개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까지 하강하며, 상기 천공 케이싱(15) 제거 시,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브라켓(120)이 상기 날개(2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상승하여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6단계(S160)에서, 상기 부재를 가이드 케이싱(200)에 설치할 때, 상기 부재를 가이드 케이싱(200)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 내부에 레미콘 타설 후 가이드 케이싱(200) 제거 시 상기 부재가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차수벽 형성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터파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 중 링크 드릴 유닛을 중심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링크 드릴 유닛과 가이드 케이싱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 8에서 c-c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링크 드릴 유닛과 가이드 케이싱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 8에서 d-d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가이드 케이싱을 설명하는 개념도 및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천공 케이싱과 링크 드릴 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클램프를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비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케이싱(15)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가이드 케이싱(200)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천공 케이싱(15) 내부에는 오거 로드(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거 로드(13) 상에는 로타리 헤드(12)가 설치된다. 상기 로타리 헤드(12)와 천공 케이싱(15)은 리더(11)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링크 드릴 유닛(10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하측 일 부분에 설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인 링크 슬리브(110)와,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중공의 사각형 단면이되 상기 링크 슬리브(110)측 방향 측면인 제1측면(211)은 원호 형상으로 요홈되고, 반대 방향 측면인 제2측면(212)은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본체(210)로 이루어진다.(도 9참조)
즉, 상기 가이드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링크 슬리브(110) 방향 즉 도면상 우측의 제1측면(211)은 원호 형상으로 요홈된다. 또한, 가이드 본체(210)에서 링크 슬리브(110)의 반대 방향 즉, 도면상 좌측인 제2측면(212)은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에는 날개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120)과 결합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 케이싱(15)은 기 설치된 가이드 케이싱(200)에 인접하는 상태로 시공된다. 본 발명의 경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된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가이드 케이싱(200)에 날개에 결합된 상태로 천공 케이싱(15)이 하강하게 되어 정확한 구근 겹침이 가능해 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제1측면(211)은 상술된 바와 같이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제1측면(211)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원(C1) 내부에 상기 링크 슬리브(110)가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되는 천공이 상호 겹침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따로이 후술한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날개(220)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링크 슬리브(110)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링크 슬리브(110)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벌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는 상기 브라켓(120)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인 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 본체(21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날개(220) 내부에 상기 브라켓(120)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측 일 부분에는 날개부(220)가 구비되지 않아 상기 링크 슬리브(110)가 결합되지 않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천공 케이싱(15)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천공 깊이에 맞는 가이드 케이싱(200)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천공 깊이에 따라 조립되는 개수를 증감시키면 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분할된 가이드 케이싱(200)을 결합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결속판(230)을 구비한다. 상기 결속판(23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240)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 케이싱(200)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하고 결속판이 맞닿도록 한 후 체결공(240)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구를 설치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단 일부는 날개가 형성되지 않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날개(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상부(도 8에서 위치1)에서 결합되는 천공 케이싱(15)의 링크 슬리브(110)는 상기 날개(220)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천공 케이싱(15)이 일정 길이 하강하면(도 8에서 위치2)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에는 날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링크 슬리브(110)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천공 케이싱(15) 하강 시, 상기 브라켓(120)이 날개(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하므로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천공 케이싱(15)이 일정 깊이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날개(220)에 걸림되어 상승이 방해받을 우려가 있다. 상기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천공 케이싱(15) 상승 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브라켓(120)이 상기 날개(220)와 결합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승한다. 이때, 상기 천공 케이싱(15)이 날개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과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은 천공 케이싱(15)의 하측과 링크 슬리브(110) 상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최하측에 구비되는 케이싱 슈(16)과 링크 슬리브(110) 하측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천공 케이싱(15)과 케이싱 슈(16) 사이에 링크 슬리브(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공 케이싱(15)과 링크 슬리브(110) 사이에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이 구비되고, 케이싱 슈(16)와 천공 케이싱(15)사이에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 슬리브(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인 링크 슬리브 본체(111)와 상기 링크 슬리브 본체(111)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의 경우도 중공의 원통 형상인 상부 커플링 본체(131)와 상기 상부 커플링 본체(131)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나사부에 의해 상기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과 링크 슬리브(110)가 결합된다.
유사하게, 상기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의 경우도 중공의 원통 형상인 하부 커플링 본체(141)와 상기 하부 커플링 본체(141)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 슈(16) 역시 내측 또는 외측에 나사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나사부에 의해 상기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 상부와 링크 슬리브(110) 하부가 결합되고,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 하부와 케이싱 슈(1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천공 케이싱(15) 역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으로 분할되어 천공 케이싱(15)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 사이에는 케이싱 클램프(300)가 구비되어 천공 장비의 러더(11,도 7참조, 이하 동일함)에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싱 클램프(300)는 상기 하부 천공 케이싱(15-2)의 상단에 구비되고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연결되는 중공의 클램프(310)와, 상기 클램프(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커플링(3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프(310)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와 상기 클램프 본체(311)의 단부가 핀 결합되는 연결판(CP)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CP)은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311) 일 부분에는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가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한다.
즉, 상기 클램프 본체(311)의 양 단은 상기 연결판(CP)에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 본체(311) 중 일 측에는 유압 잭 등과 같은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클램프 본체(311)를 당기거나 혹은 밀게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가 상호 근접되거나 혹은 멀어지게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311)의 일측단는 연결판(CP)에 형성된 힌지(CP-1)에 의해 핀(P)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나사산(TH1)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320)에 나사산(TH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320)의 하측에는 키(320k)가 하향 연장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311)에는 상기 키가 안착되는 키 홈(311k)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플링(320)이 클램프(310)에 장착되면 상기 커플링(320)의 키(320k)가 클램프(310)의 키 홈(311k)에 걸림되어 상기 커플링(320)은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천공 케이싱(15-1)을 커플링(320)에 대해 회전하여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커플링(320)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1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천공 케이싱(15)을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천공 장비의 높이를 줄이고 장비의 전도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공 장치를 이용하여 주열식 별체를 축조하는 공법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1번 천공(H1)을 시공하는 제1단계(S110)를 수행한다.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천공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후, 도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하는 제2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후, 도 1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상기 1번 천공(H1)의 일측에 2번 천공(H2)을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상기 1번 천공(H1)의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는 제3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때, 천공 케이싱(15)은 상기 브라켓(120)이 날개(220)에 결합된 상태로 하강하므로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다.
이후,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번 천공의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한 후 상기 2번 천공의 일 측에 다수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가이드 케이싱(200)과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3단계(S130)를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한다.
이후,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시공된 천공으로부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가이드 케이싱(200)와 천공사이의 공간을 토양(S)으로 되메움하는 제5단계(S150)를 수행한다. 즉, 모든 천공에서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가이드 케이싱(200)과 천공 사이 공간을 토양(S)을 되메움하는 것이다.
이후,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가이드 케이싱(200) 내부에 H-Pile등의 부재(SH)를 설치하고 레미콘을 타설하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한다. 상기 부재(S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천공 중 특정 천공에 설치된 가이드 케이싱(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을 제거하는 제7단계(S170)를 수행하여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단계(S120) 내지 제4단계(S140)에서, 상기 천공 케이싱(15) 설치 시, 인접하는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되, 상기 브라켓(120)이 형성되는 링크 슬리브(110)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 중 날개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까지 하강한다.
이후, 상기 천공 케이싱(15) 제거 시,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브라켓(120)이 상기 날개(2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상승한다. 이에 의해 상기 천공 케이싱(15) 상승 시 상기 브라켓(120)이 날개(22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상승이 가능하여 원활한 천공 케이싱(15) 제거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단계(S160)에서, 상기 부재(SH)를 가이드 케이싱(200)에 설치할 때, 상기 부재(SH)를 가이드 케이싱(200)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 내부에 레미콘 타설 후 가이드 케이싱(200) 제거 시 상기 부재(SH)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의 겹침이 부실하거나 형성된 구근이 일직선에 있지 못하고 이탈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부재(SH)가 콘크리트에 의해 피복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링크 드릴 유닛 110 : 링크 슬리브
120 : 브라켓 130 : 상부 슬리브 커플링
140 : 하부 슬리브 커플링 200 : 가이드 케이싱
210 : 가이드 본체 220 : 날개

Claims (11)

  1. 천공 케이싱에 구비되고 가이드 케이싱에 결합되는 링크 드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드릴 유닛의 브라켓이 가이드 케이싱의 날개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링크 드릴 유닛의 링크 슬리브가 겹침 구조로 형성되어 차수벽 형성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견고한 차수벽 형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터파기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에 결합되는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하측 일 부분에 설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인 링크 슬리브(110)와,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중공의 사각형 단면이되 상기 링크 슬리브(110)방향 측면인 제1측면(211)은 원호 형상으로 요홈되고, 반대 방향 측면인 제2측면(212)은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본체(210)와,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120)과 결합하는 날개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상기 제1측면(211)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원 내부에 상기 링크 슬리브(110)가 포함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브라켓(120)은 판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링크 슬리브(110)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본체(121)는 링크 슬리브(110)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벌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는 상기 가이드 본체(210)의 제1측면(211)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 본체(21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측 일 부분에는 날개부(220)가 구비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공 케이싱(15) 설치 시,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220)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상기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되, 상기 브라켓(120)이 형성되는 링크 슬리브(110)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 중 날개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까지 하강하며,
    상기 천공 케이싱(15) 제거 시,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링크 슬리브(110)의 브라켓(120)이 상기 날개(2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상승하여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은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후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결속판(23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판(230)에는 고정구가 설치되기 위한 체결공(240)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 드릴 유닛(100)은 링크 슬리브(110)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과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슬리브 커플링(130)은 천공 케이싱(15)의 하측과 링크 슬리브(110) 상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슬리브 커플링(140)은 상기 천공 케이싱(15)의 최하측에 구비되는 케이싱 슈(16)과 링크 슬리브(110) 하측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천공 케이싱(15)은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하부 천공 케이싱(15-2) 사이에는 케이싱 클램프(300)가 구비되어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 클램프(300)는 상기 하부 천공 케이싱(15-2)의 상단에 구비되고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연결되는 중공의 클램프(310)와, 상기 클램프(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커플링(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310)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와 상기 클램프 본체(311)의 단부가 핀 결합되는 연결판(C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CP)은 천공 장비의 러더(11)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311) 일 부분에는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1)가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하고,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의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32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천공 케이싱(15-1)과 결합되며,
    상기 커플링(320)의 하측에는 키가 하향 연장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311)에는 상기 키가 안착되는 키 홈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1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천공 케이싱(15)을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하는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9. 제1항에 기재된 천공 장비를 이용하는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으로서,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1번 천공을 시공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상기 1번 천공의 일측에 2번 천공을 천공 케이싱(15)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상기 1번 천공의 가이드 케이싱(200)의 날개에 상기 천공 케이싱(15)에 구비되는 링크 드릴 유닛(100)의 브라켓(120)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2번 천공의 천공 케이싱(15) 내부에 가이드 케이싱(200)을 삽입한 후 상기 2번 천공의 일 측에 다수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가이드 케이싱(200)과 천공 케이싱(15)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3단계(S130)를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4단계(S140)와,
    최종 시공된 천공으로부터 천공 케이싱(15)을 제거한 후 가이드 케이싱(200)와 천공사이의 공간을 토양으로 되메움하는 제5단계(S150)와,
    특정 가이드 케이싱(200) 내부에 부재를 설치하고 레미콘을 타설하는 제6단계(S160)와,
    상기 가이드 케이싱(200)을 제거하는 제7단계(S170)로 이루어지는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64497A 2016-12-05 2016-12-05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KR10185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97A KR101858623B1 (ko) 2016-12-05 2016-12-05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97A KR101858623B1 (ko) 2016-12-05 2016-12-05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623B1 true KR101858623B1 (ko) 2018-05-24

Family

ID=6229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97A KR101858623B1 (ko) 2016-12-05 2016-12-05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609A (zh) * 2018-08-29 2018-12-07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软硬不均卵砾漂石地层地下连续墙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266A (ja) * 2002-07-17 2004-02-19 Fudo Constr Co Ltd ジョイント式ケーシング装置
KR100801266B1 (ko) * 2007-01-02 2008-02-04 이동정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지반굴착기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차수벽 시공방법
KR100850028B1 (ko) * 2007-05-02 2008-08-04 이재석 현장 타설 말뚝용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 타설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266A (ja) * 2002-07-17 2004-02-19 Fudo Constr Co Ltd ジョイント式ケーシング装置
KR100801266B1 (ko) * 2007-01-02 2008-02-04 이동정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지반굴착기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차수벽 시공방법
KR100850028B1 (ko) * 2007-05-02 2008-08-04 이재석 현장 타설 말뚝용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 타설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609A (zh) * 2018-08-29 2018-12-07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软硬不均卵砾漂石地层地下连续墙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5138A (ja) 山留め壁の施工方法およびアースオーガー装置
KR101559962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644498B1 (ko) 마이크로파일 보강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보강공법
KR101637435B1 (ko) 더블오거 지반개량 장치,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 및 수평지지력 증대 말뚝시공 공법
KR101858623B1 (ko) 링크 드릴 유닛이 구비된 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벽체 축조 공법
KR20170100322A (ko) 후열 억지 말뚝과 타이 앵커의 제거 가능한 2열 자립식 흙막이 가설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71118B1 (ko) 무용접 케이싱 커플러를 적용한 다단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는 파일 두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JP2010255212A (ja) 拡底バケット、ケーシング、及び拡底杭の構築方法
KR101658572B1 (ko) 지상연장부재의 제거를 이용한 지열교환 파이프의 시공방법
KR101124704B1 (ko) 연속벽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
KR100691890B1 (ko) 엄지말뚝 매립형 말뚝 유닛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주열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AU2016100200A4 (en) Improved caisson emplacement system and method
KR102019908B1 (ko) 연속벽 형성 가이드
KR101992651B1 (ko) 착탈식 보조항을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KR101499341B1 (ko) 할로우 바를 이용한 소구경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724286B1 (ko) 열교환용 이중관 복합 파일을 갖는 지중열교환 구조체
JP2000290994A (ja) 柱列状連続孔の削孔方法とインナーケーシング
KR101702180B1 (ko) 차수기능의 분리형 선단슈를 이용한 비배토 현장타설말뚝 시공 공법
KR101420685B1 (ko) 나선형 파일
KR20130113004A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
JP6152274B2 (ja) 拡底バケット
KR101699938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 벽체 시공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2256698B1 (ko) 주열식 겹천공용 양방향 가이드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CN210288369U (zh) 一种管桩的头部加固装置
KR102595597B1 (ko) 다기능 확공비트를 이용한 두부가 보강된 무용접 강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