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436B1 -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 Google Patents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436B1
KR101858436B1 KR1020160059267A KR20160059267A KR101858436B1 KR 101858436 B1 KR101858436 B1 KR 101858436B1 KR 1020160059267 A KR1020160059267 A KR 1020160059267A KR 20160059267 A KR20160059267 A KR 20160059267A KR 101858436 B1 KR101858436 B1 KR 10185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ight adjusting
fastening
pegs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302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피케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피케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피케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6005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4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에 관한 것으로, 낚싯대의 낚싯줄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구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대응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부를 구성한 복수 개의 봉돌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봉돌들의 체결수단과 체결홈부의 체결을 통해 복수 개의 봉돌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무게조절부; 상기 무게조절부에 구성된 봉돌의 중심축에 끼워지는 끼움링과, 상기 끼움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바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홀로 이루어진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회동낚싯바늘;을 포함 구성하여, 상기 낚싯대를 이용한 낚싯줄의 고빼질시, 승강하는 무게조절부에 의해 회동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낚싯바늘에 의한 물고기의 유인 및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The rotating type fishing hooks for sinker}
본 발명은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봉돌 체결을 통해 무게조절부의 크기 및 무게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살의 세기 및 깊이에 맞게 무게조절부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빼질시 승강하는 힘에 의해 회동부의 회동이 연동되게 함으로써 미끼가 죽는다 하더라도 물고기의 입질이 지속적으로 유인되게 하여 낚시를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손맛을 제대로 느끼게 할 수 있으며, 낚싯대의 낚싯줄을 무게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한 후,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낚싯줄의 유동을 이루게 함으로써 무게중심부가 바닥의 틈새에 끼인다 하더라도 손쉽게 빼내어 분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는 첨단에 낚싯줄이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에는 찌가 고무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찌의 아래쪽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납으로 구성된 봉돌이 연결되고, 상기 봉돌의 아래에는 바늘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낚싯줄의 찌와 봉돌의 간격과, 크기 및 무게 등은 낚시터의 물 깊이에 따라서 알맞게 세팅되어야 한다.
그러나, 낚시를 하다 보면 찌를 던지는 위치에 따라서 물의 깊이가 틀려지기 때문에 찌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물 또는 썰물에 의해 물의 깊이 차이가 날 경우에는 봉돌을 깍아 무게를 줄이게 되는데, 이처럼 깍아낸 봉돌의 납은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고안되었으며, 이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939호인 "봉돌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낚시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939호 (2009.08.05.) "봉돌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 이수익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봉돌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낚시대"는 복수개의 봉돌을 봉돌장착매듭고리에 결합시켜 무게조절을 이룰 수는 있었으나, 상기 봉돌장착매듭고리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봉돌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따라 놀기 때문에 플리핑(flipping)이나 피팅(pitching)으로 미끼를 던지는데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소음으로 인해, 주변 물고기가 도망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살아 있는 미끼를 사용할 경우에는 낚싯바늘에 끼워져 있는 미끼가 물속에서 죽는 것에 의해 미끼의 움직임이 둔화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을 유인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물살의 세기 및 깊이에 따라 봉돌을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입질을 유인하여 낚시를 보다 즐겁게 즐길 수 있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봉돌 체결을 통해 무게조절부의 크기 및 무게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살의 세기 및 깊이에 맞게 무게조절부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빼질시 승강하는 힘에 의해 회동부의 회동이 연동되게 함으로써 미끼가 죽는다 하더라도 물고기의 입질이 지속적으로 유인되게 하여 낚시를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손맛을 제대로 느끼게 할 수 있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낚싯줄을 무게조절부를 관통하여 설치한 후,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낚싯줄의 유동을 이루게 함으로써 무게조절부가 바닥의 틈새에 끼인다 하더라도 손쉽게 빼내어 분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낚싯줄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구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대응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부를 구성한 복수 개의 봉돌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봉돌들의 체결수단과 체결홈부의 체결을 통해 복수 개의 봉돌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무게조절부; 상기 무게조절부에 구성된 봉돌의 중심축에 끼워지는 끼움링과, 상기 끼움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바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홀로 이루어진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회동낚싯바늘;을 포함 구성하여, 상기 낚싯대를 이용한 낚싯줄의 고빼질시, 승강하는 무게조절부에 의해 회동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낚싯바늘에 의한 물고기의 유인 및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이용하면, 복수 개의 봉돌 체결을 통해 무게조절부의 크기 및 무게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살의 세기 및 깊이에 맞게 무게조절부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빼질시 승강하는 힘에 의해 회동부의 회동이 연동되게 할 수 있어 미끼가 죽는다 하더라도 물고기의 입질이 지속적으로 유인되게 하여 낚시를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손맛을 제대로 느끼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낚싯줄을 무게조절부를 관통하여 설치한 후,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낚싯줄의 유동을 이룰 수 있어 무게조절부가 바닥의 틈새에 끼인다 하더라도 손쉽게 빼내어 분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봉돌을 연결하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봉돌을 연결하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를 이용한 낚시를 할 때에 무게 추의 역할을 봉돌에 관한 것으로, 낚싯대의 낚싯줄(1)이 연결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축(13)과, 상기 중심축(13)에 구성되는 체결수단(15)과, 상기 체결수단(15)에 대응되도록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7)를 구성한 복수 개의 봉돌(19)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봉돌(19)들의 체결수단(15)과 체결홈부(17)의 체결을 통해 복수 개의 봉돌(19)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무게조절부(10);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봉돌(19)의 중심축(13)에 끼워지는 끼움링(21)과, 상기 끼움링(2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23)와, 상기 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바(23)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날개(25)와, 상기 회전날개(25)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홀(27)로 이루어진 회동부(20); 상기 회동부(20)의 결합홀(27)에 결합되는 회동낚싯바늘(30);을 포함 구성하여, 상기 낚싯대를 이용한 낚싯줄(1)의 고빼질시, 승강하는 무게조절부(10)에 의해 회동부(20)가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낚싯바늘(30)에 의한 물고기의 유인 및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무게조절부(10)와, 회동부(20)와, 회동낚싯바늘(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무게조절부(10)는 낚시대의 낚싯줄(1)에 연결설치되어 무게조절을 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봉돌(19)이 다수로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봉돌(19)은 낚싯대의 낚싯줄(1)이 연결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에는 돌출형성되어 회동부(20)가 끼워지는 중심축(13)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중심축(13)에는 복수 개의 봉돌(19)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5)이 구성되는데, 상기 체결수단(15)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15)은 봉돌(19)의 용이한 체결을 위하여 중심축(13)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체결돌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15)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3)의 내주에 형성되는 암나사(15a)와, 수나사(15b)와 체결홈(15c)을 형성하여 일측이 상기 암나사(15a)에 결합되는 무드볼트(15d)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봉돌(19)을 서로 체결할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체결수단(15)이 암나사(15a)와 무드볼트(15d)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상기 무드볼트(15d)를 상하 위치에 관계없이 암나사(15a)에 용이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15c)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체결홈(15c)은 공지된 통상의 육각홈과 같은 다각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부(17)가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체결홈부(17)는 수나사로 형성되는 체결돌부 또는, 수나사(15b)와 체결홈(15c)을 형성한 무드볼트(15d)에 대응되도록 암나사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봉돌(19)을 상하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봉돌(19)의 구성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봉돌(19)을 상하방향으로 나사결합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봉돌(19)들의 사이에는 중심축(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a)이 구성되어 상기 공간(10a)에 회동부(20)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봉돌(19)은 무게 조절 및 크기 조절을 위하여 다양한 크기와 무게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낚시꾼은 물살의 세기 및 깊이에 따라 그에 맞는 봉돌(19)들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꾼은 조건에 맞는 무게조절부(10)를 손쉽게 만들어 낚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봉돌(19)을 깍아내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자원을 절감할 수 있음과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낚싯줄(1)이 무게조절부(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무게조절부(10)의 일부가 바닥의 틈새 또는 암반 사이에 끼었을 때에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각각의 봉돌(19)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19a)이 더 포함 구성되게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15)이 중심축(13) 내주에 형성되는 암나사(15a)와, 일측이 상기 암나사(15a)에 나사결합되는 무드볼트(15d)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상기 무드볼트(15d)의 내부에 상, 하부에 각각 구성된 체결홈(15c)을 상하로 관통시키는 연통홀(15e)을 관통홀(19a)에 대응되게 더 포함 구성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낚싯대의 낚싯줄(1)이 관통홀(19a)을 통해 무게조절부(10)의 봉돌(19)들을 모두 관통하게 한 후, 상기 무게조절부(10)의 하측으로 돌출된 낚시줄의 끝단에 고리(3)를 연결설치하는 것으로 낚싯줄(1)과 무게조절부(10)의 연결설치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고리(3)의 하측에는 통상의 낚싯바늘(5)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조절부(10)가 암반 사이에 끼었을 때에 낚싯대를 이용한 고빼질을 하게 되면, 낚싯줄(1)이 무게조절부(10)에 형성된 관통홀(19a) 또는, 관통홀(19a)과 연통홀(15e)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무게조절부(10)를 상측방향으로 툭툭 치게 되므로, 암반 사이에 끼거나 바닥 틈새에 낀 무게조절부(1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무게조절부(10)의 분실 방지는 물론, 자연환경 훼손 없이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낚싯줄(1)이 무게조절부(10)의 관통홀(19a) 또는, 관통홀(19a)과 연통홀(15e)을 관통하도록 연결설치될 때에도, 복수 개의 봉돌(19)이 체결수단(15)과 체결홈부(17)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견고히 체결되어 있으므로, 봉돌(19)들이 서로 간에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소음 발생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회동부(20)는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봉돌(19)의 중심축(13)에 끼워지도록 봉돌(19)과 봉돌(19) 사이의 공간(10a)에 위치됨으로써 낚싯대를 이용한 고빼질시 회동작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봉돌(19)의 중심축(13)에 끼워지는 끼움링(21)과, 상기 끼움링(2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간(10a)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23)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23)는 그 끝단이 무게중심부(10)에 구성된 봉돌(19)의 몸체(11)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연장바(23)의 끝단에는 회전날개(25)가 일체로 구성되어 낚싯대를 이용한 고빼질시 상기 회동부(2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날개(25)에는 회동낚싯바늘(3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27)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25)는 선풍기의 날개와 같이 비틀어져 형성되는 것을 통해 고빼질에 의한 무게조절부(10)의 승강작동시 회동부(20)의 회동작동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날개(25)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회전날개(25)의 형상이나 크기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회동낚싯바늘(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20)의 결합홀(27)에 결합됨으로써 회동부(20)의 회동작동에 연동하는 구성으로, 물고기를 유인 및 낚는 작용을 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동낚싯바늘(30)에는 개폐되는 걸림구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회동낚싯바늘(30)을 결합홀(27)에 용이하게 탈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돌(19)의 중심축(13)에 회동부(20)의 끼움링(21)을 끼워 넣은 다음, 상기 봉돌(19)의 체결수단(15)과 인접하는 봉돌(19)의 체결홈부(17)를 직접 나사결합하거나, 무드볼트(15d)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상하로 체결되는 봉돌(19)의 사이 공간(10a)에 회동부(20)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봉돌(19)을 상하방향으로 체결하여 원하는 크기와 무게를 가지도록 무게조절부(10)를 조립하게 되면, 각각의 봉돌(10)들의 사이 공간에는 회동부(20)가 위치되어 상기 회동부(20)가 상하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낚시꾼은 회동낚싯바늘(30)을 회동부(20)의 회전날개(25)에 구성된 결합홀(27)에 결합하는 것으로, 회동낚싯바늘(30)을 등 간격으로 배치구성할 수 있으며, 낚싯줄(1)을 무게조절부(10)의 관통홀(19a)을 통과시켜 연결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50)의 설치를 조립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조립설치한 다음에는, 낚싯바늘(5) 및 회동낚싯바늘(30)에 미끼를 각각 끼운 후, 플리핑(flipping)이나 피팅(pitching)으로 미끼를 던져 낚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봉돌(19)이 나사결합을 통해 견고히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미끼를 멀리 보내는 것이 어렵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주변 물고기가 도망가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낚시꾼은 고빼질을 통해 낚시를 즐겁게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시꾼이 고빼질을 하게 되면, 낚싯줄(1)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무게조절부(10)가 승강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봉돌(19)과 봉돌(19) 사이의 공간(10a)에는 중심축(13)에 끼워지는 회동부(20)가 위치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의 저항에 따라 회전날개(25)가 중심축(13)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연동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날개(25)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낚싯바늘(30)이 회전하는 작동이 연동되어진다.
따라서, 회동낚싯바늘(30)에 걸려 있는 미끼가 죽었거나, 인조미끼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회동하는 회동낚싯바늘(30)에 의해 주변의 물고기를 쉽게 유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가는 물고기의 몸통이나 아가리가 회동낚싯바늘(30)에 걸리게 할 수 있어 낚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낚시를 즐기는 도중에는 무게조절부(10)가 암반 사이에 끼거나 바닥의 틈새에 끼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낚싯대를 이용한 고빼질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관통홀(19a)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낚싯줄(1)로 하여금 무게조절부(10)를 상측방향으로 튕기게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분실위험이나 자연환경 훼손 없이 낚시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1 : 낚싯줄 3 : 고리 5 : 낚싯바늘
10 : 무게조절부 10a : 공간 11 : 몸체 13 : 중심축 15 : 체결수단 15a : 암나사 15b : 수나사 15c : 체결홈 15d : 무드볼트 15e : 연통홀 17 : 체결홈부 19 : 봉돌 19a : 관통홀
20 : 회동부 21 : 끼움링 23 : 연장바 25 : 회전날개 27 : 결합홀
30 : 회동낚싯바늘
50 :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Claims (6)

  1. 낚싯대의 낚싯줄(1)이 연결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축(13)과, 상기 중심축(13)에 구성되는 체결수단(15)과, 상기 체결수단(15)에 대응되도록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7)와 낚시줄(1)이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19a)이 형성된 복수 개의 봉돌(19)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봉돌(19)들의 체결수단(15)과 체결홈부(17)의 체결을 통해 복수 개의 봉돌(19)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무게조절부(10);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봉돌(19)의 중심축(13)에 끼워지는 끼움링(21)과, 상기 끼움링(2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23)와, 상기 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바(23)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날개(25)와, 상기 회전날개(25)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홀(27)로 이루어진 회동부(20);
    상기 회동부(20)의 결합홀(27)에 결합되는 회동낚싯바늘(30);
    상기 낚싯대의 낚싯줄(1)이 무게조절부(10)의 봉돌(19)들을 모두 관통한 후, 상기 무게조절부(10)의 하부에 고리(3)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낚싯대를 이용한 낚싯줄(1)의 고빼질시, 승강하는 무게조절부(10)에 의해 회동부(20)가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낚싯바늘(30)에 의한 물고기의 유인 및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19)의 체결수단(15)은 중심축(13)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체결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홈부(17)는 암나사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봉돌(19)을 상하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19)의 체결수단(15)은 중심축(13)의 내주에 형성되는 암나사(15a)와, 수나사(15b)와 체결홈(15c)을 형성하여 일측이 상기 암나사(15a)에 결합되는 무드볼트(15d)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홈부(17)는 체결수단(15)에 구성된 무드볼트(15d)의 타측이 결합되는 암나사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봉돌(19)을 상하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부(10)에 구성된 각각의 봉돌(19)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19a)이 더 포함 구성되고,
    상기 무드볼트(15d)의 내부에는 체결홈(15c)을 상하로 관통하는 연통홀(15e)이 더 포함 구성되어,
    상기 낚싯대의 낚싯줄(1)이 무게조절부(10)의 봉돌(19)들을 모두 관통한 후, 상기 무게조절부(10)의 하부에 고리(3)로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20)의 회전날개(25)는 경사를 형성하여 연장바(2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KR1020160059267A 2016-05-16 2016-05-16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KR10185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267A KR101858436B1 (ko) 2016-05-16 2016-05-16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267A KR101858436B1 (ko) 2016-05-16 2016-05-16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02A KR20170129302A (ko) 2017-11-27
KR101858436B1 true KR101858436B1 (ko) 2018-05-17

Family

ID=6081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267A KR101858436B1 (ko) 2016-05-16 2016-05-16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72B1 (ko) * 2019-01-09 2019-10-24 임태규 낚시바늘 결합구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03Y1 (ko) * 2021-03-05 2021-10-25 김안식 낚시용 봉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746B2 (ja) * 1992-11-18 2000-04-0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電気回路装置
KR200202752Y1 (ko) * 2000-05-09 2000-11-15 임성환 루어 낚시용 스피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746B2 (ja) * 1992-11-18 2000-04-0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電気回路装置
KR200202752Y1 (ko) * 2000-05-09 2000-11-15 임성환 루어 낚시용 스피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72B1 (ko) * 2019-01-09 2019-10-24 임태규 낚시바늘 결합구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02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0497A1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20080115402A1 (en) Fish Decoy and Lure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8991094B2 (en) Fishing lur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CN209135184U (zh) 一种自动钓鱼器具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KR101858436B1 (ko)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20180153147A1 (en) Fishing lure
US20110197492A1 (en) Fish Attracting and Trolling Lure
US6574907B1 (en) Retractable hooking mechanism for fishing lures and the like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9349244A (zh) 触发式钓鱼器
AU2012363397B2 (en) Surface lure
US20170020117A1 (en) Fishing lure with a scooped head and angled body
US20160205910A1 (en) Fish Lure Device
US20150223437A1 (en) Fishing lure
KR20210152712A (ko) 무게 조절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US20200187471A1 (en) Oscillating standup jig
JP2002125551A (ja) 回転ハゲ掛け針
RU2229804C2 (ru) Рыболовная приманка "турбомушка"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