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30B1 -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30B1
KR101858330B1 KR1020157036628A KR20157036628A KR101858330B1 KR 101858330 B1 KR101858330 B1 KR 101858330B1 KR 1020157036628 A KR1020157036628 A KR 1020157036628A KR 20157036628 A KR20157036628 A KR 20157036628A KR 101858330 B1 KR101858330 B1 KR 10185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command
smart outlet
tim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917A (ko
Inventor
신 리우
유에 리앙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62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it is irrelevant whether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is ac or d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6Plc to applications
    • G05B2219/163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intelligent ho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스위치 제어를 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 또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와 무선 연결되는 제어기기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SMART SOCKE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510048269.1이며, 출원일이 2015년 01월 29일자인 중국특허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콘센트(스마트 소켓)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콘센트는, 통상적으로Wi-FI모듈이 내장되어 스마트폰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기 단속을 원격 제어 가능한 콘센트를 가리킨다. 휴대 전화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콘센트의 타이밍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어느 타이밍시간에, 이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실행(온 또는 오프)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삽입된 전기 장치(예를 들면, 온수기)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와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스마트 콘센트를 스위치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시간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시간이 상기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고, 여기서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스마트 콘센트 또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무선 연결된 제어기기에 저장되어 스위치 제어에 사용되는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 또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무선 연결된 제어기기에 저장되어 스위치 제어를 하는 타이밍명령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획득모듈과;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위치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콘센트를 스위치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시간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하고 현재시간이 상기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콘센트가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콘센트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 또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무선 연결된 제어기기에 저장되어 스위치 제어를 하는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스위치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 제7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제공된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마트 콘센트와 무선 연결된 제어기기를 통하여 타이밍명령을 콘센트에 전송하거나 또는 스마트 콘센트 그 자체로부터 타이밍명령을 획득하여 스위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가 서버에 의뢰하지 않고 서버에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의 고장이 콘센트에 명령전송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고장에 기인하여 서버의 타이밍명령이 콘센트에 도달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상기 콘센트는 무선 제어기기 (예를 들면 라우터) 또는 콘센트 그 자체가 송신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상적으로 ON/OFF(개폐)하여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기재 및 하기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응용시나리오(application scenario)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응용 프로그램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응용 프로그램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스마트 콘센트"는 조작이 간단하고 실용적인 스마트 단품이며, 일반적으로 Wi-Fi 모듈이 내장되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콘센트의 전류 단속(斷續)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선택적인 시나리오 (장면)를 예로 스마트 콘센트의 제어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도 1과 같이 스마트 콘센트(11)에 전기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기밥솥 (12)이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13)의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주택 제어용 APP)를 통해 스마트 콘센트(11)의 전류 단속을 제어(즉,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하여, 전기밥솥(12)을 작동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하여 전기장치의 지능형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휴대 전화의 클라이언트가 콘센트를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3)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타이밍시간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를 위한 타이밍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정보는, 상기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 외에, 예를 들면, 타이밍 ID(Identification: 식별) 등 다른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은 타이밍정보를 예시한다.
Figure 112015126962354-pc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 ID (즉, 타이밍 식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서 타이밍시간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마다 하나의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명령 "온"은 콘센트의 전원의 연결을 표시하고, "오프"는 콘센트의 전원의 단전을 표시하며, 상기 명령에 따라 콘센트의 전류 단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정보는 반드시 표 1에 나타내는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식으로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타이밍정보는 타이밍 ID를 포함하지 않고,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만을 포함 할 수도 있다.
휴대 전화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정보를 설정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타이밍정보를 서버(14)(도 1의 실선 화살표의 경로를 참조)에 업로드하여 서버(14)는 이 타이밍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타이밍정보 중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하면 도 1의 점선 화살표의 경로에 따라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스마트 콘센트(11)(라우터 15를 통해)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4)가 타이밍시간 10:00에 이른 것을 검출하였을 때 스마트 콘센트(11)에 타이밍명령 "오프"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명령의 구체적인 표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바, 예를 들어, "00"으로 "온"을 나타내고, "01"로 "오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스마트 콘센트 (11)가 상기 명령을 수신한 후 콘센트 내부의 프로세서는 이에 따라 전기회로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 오프를 실행한다. 또한, 서버(11)가 타이밍명령을 전송할 때, 명령 이외의 다른 내용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이밍 ID도 타이밍명령과 함께 스마트 콘센트(11)에 전송될 수 있다.
실제 구현예에서 라우터(15)와 서버(14)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상태의 연결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차단된 경우, 서버의 타이밍명령은 타이밍시간에 스마트 콘센트(11)에 전송될 수 없어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기기의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은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라우터(15)와 서버(14)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스마트 콘센트(11)는 여전히 지정된 시간에 전원오프를 할 수 있기에,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2는 예시적으로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랜(LAN, 로컬 영역 네트워크)을 통해 스마트 콘센트와 연결된 제어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어기기는 예를 들어 라우터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은 단계 201 및 단계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을 검출하였을 때 저장한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시간을 검출하기 전에 본 실시예의 제어기기는 스마트 콘센트를 스위치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시간 및 이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은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의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타이밍정보에 있어서,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하는 기기 ID로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기가 라우터인 경우 라우터에 의해 상기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정보는 서버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서버(14)는 스마트폰(13)에서 보내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한 후 도 1의 점선 화살표의 경로에 따라 타이밍정보를 라우터(15)에 전송하고 라우터(15)는 이 타이밍정보를 저장한다.
제어기기는, 현재시간이 상기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당해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기가 라우터인 경우, 라우터는 시간검출을 실시하고, 시간이 상기 단계 201에 저장한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라우터는 상기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타이밍정보는 상기 도달한 타이밍시간에 대응되는 바인딩 스마트 콘센트의 기기 ID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한다.
단계 202: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기는 랜(LAN)을 통해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가 이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라우터는 타이밍시간 10:00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 타이밍정보에 포함된 기기 ID에 근거하여 랜(LAN)을 통해 기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콘센트 (11)에 명령 "오프"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기는 랜(LAN)을 통해 타이밍명령을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고 이러한 명령 송신 형태에 따르면 명령 전송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킨다. 제어기기가 라우터인 경우를 예로 들면, 라우터와 스마트 콘센트가 무선방식 등의 랜(LAN)을 통해 연결되어, 라우터와 서버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에 고장이 발생하여 서버가 타이밍명령을 스마트 콘센트에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게 되더라도 라우터와 스마트 콘센트 사이의 네트워크가 여전히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기에, 스마트 콘센트의 타이밍 개폐(ON/OFF)를 확보할 수 있어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제어기기에 각각 여러 스마트 콘센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이밍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타이밍시간에 도달 했을 때 제어기기는 이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정보 중의 기기 ID에 근거하여 이 타이밍정보에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확정하고 또한 이 콘센트에 타이밍명령을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기기는 각 바인딩 스마트 콘센트에 각각 상기 타이밍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라우터를 통해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도 3은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스마트 콘센트에 의해 명령 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은 단계 301 및 단계 302를 포함한다.
단계 301: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은 랜(LAN)을 통하여 타이밍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기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기가 라우터인 경우 라우터에 타이밍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스마트 콘센트는 라우터가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전송한 상기 타이밍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302: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는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명령이 "오프"인 경우, 스마트 콘센트 내부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류를 차단한다.
도 4는 다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스마트 콘센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 스마트 콘센트가 획득한 명령은 해당 콘센트 자체에 저장된 것으로서, 다음 단계 401 및 단계 402를 포함한다.
단계 401: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에 저장된 타이밍명령은 콘센트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타이밍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이 타이밍정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타이밍정보는 위의 표 1에 나타내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단계 401에서 스마트 콘센트는 시간 검출을 하여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 타이밍정보 중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고,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을 때 스마트 콘센트는 타이밍정보중의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획득한다.
단계 402: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어기기, 예를 들어 라우터가 랜(LAN)을 통해 스마트 콘센트에 타이밍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스마트 콘센트 자체가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제어를 수행하기에 명령 송신이 서버에 의뢰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고장에 기인하여 서버가 콘센트에 명령을 송신할 수 없게 되더라도 콘센트는 그 자체 또는 라우터로부터 타이밍명령을 얻을 수 있어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세 가지 실시예를 들어 일부 선택적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라우터를 통해 스마트 콘센트에 타이밍명령을 전송하고 스마트 콘센트는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아래와 같이 실시한다.
단계 501: 제어기기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라우터는 서버에서 전송하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을 포함(예를 들어, 표 1의 예) 하며, 저장할 때 타이밍시간과 타이밍명령 사이의 대응관계도 저장한다. 서버의 타이밍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받은 정보이다.
단계 502: 제어기기는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타이밍정보 중의 타이밍명령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라우터는 현재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 예를 들어 10:00에 도달했을 때 라우터는 저장한 타이밍정보에서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 예를 들어 "오프"를 획득한다. 또한 라우터는 타이밍정보 중의 바인딩 스마트 콘센트의 기기 ID를 획득하여, 이 타이밍정보가 어느 스마트 콘센트와 바인딩 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03: 제어기기는 타이밍명령을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라우터는 타이밍정보에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의 기기 ID에 따라, 검출된 타이밍명령 "오프"를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고, 상기 타이밍정보가 복수의 스마트 콘센트를 바인딩했을 경우, 라우터는 이에 따라 각 스마트 콘센트에 각각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한다. 송신할 때 타이밍명령은 스마트 콘센트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 ID형식으로 전송되며, 예를 들어, "01"로 타이밍명령 "오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어기기는 랜(LAN)을 통하여 타이밍명령을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며 예를 들어, 무선형식으로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504: 스마트 콘센트는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가 수신한 명령이 "오프"인 경우, 콘센트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스마트 콘센트는 그 자체가 타이밍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스마트 콘센트 그 자체에 의해 시간을 검출하며 타이밍시간에 도달하면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 도 6은 스마트 콘센트의 구성 블록도이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통신 모듈(61), 프로세서(62) 및 메모리(63)를 포함하고, 또한 전기회로구성(6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회로구성(64)은 릴레이 회로일 수 있다. 메모리(63)에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논리 명령이 저장되고, 프로세서(62)는 그 논리 명령을 실행하여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61)은 wifi 모듈일 수 있고, 서버에서 전송하는 타이밍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시간 및 이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이 포함되며 표 1과 유사한 형태이다. 스마트 콘센트의 프로세서(62)는 통신 모듈 (61)에서 얻은 타이밍정보를 메모리(63)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을 때 프로세서(62)는 메모리(63)에서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또한 그 명령에 따라 전기회로구성(64)을 제어하여 전류 단속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에 따라 릴레이 접점간의 폐합을 제어하여 콘센트의 전류도통을 달성한다. 여기서, 프로세서(62)는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을 프로세서 자체의 시간검출에 의하여 얻는다.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이 검출되면 메모리에서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거나 혹은 다른 타이밍 모듈에 의해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을 검출 후 프로세서에 통보한다.
이러한 스마트 콘센트 자체에 의해 시간 검출 및 명령 제어를 하는 형태는 상기 라우터에서 명령을 전송하는 형태 또는 서버에서 명령을 전송하는 형태에 비해 네트워크에 대한 의뢰성이 더욱 낮아지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콘센트 자체가 지정된 시간에 타이밍명령에 따라 스위치 제어를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콘센트 자체에 의한 제어방식에 있어서 시간에 대한 파악을 보다 정확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스마트 콘센트의 타이밍 설정을 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마다 서버나 라우터 등의 기기와 시간 동기화를 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시간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콘센트가 수신한 타이밍명령은 복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서버, 라우터 및 스마트 콘센트 모두에 타이밍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이 3개의 기기는 모두 시간 검출 및 타이밍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기기 모두에 타이밍정보를 저장하고 타이밍 제어가 가능한 형태에 따르면,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그 중 하나의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콘센트는 그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한편 타이밍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태에서, 스마트 콘센트는 복수 개의 동일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이밍시간 10시에 도달했을 때 서버는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을 검출하고 콘센트에 명령을 보내고 라우터도 마찬가지로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을 검출하고 콘센트에 명령을 송신하게 되고, 또한 콘센트도 그 자체에서 명령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실제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명령을 1회만 실행하면 되고, 다른 동일한 명령은 무시한다. 즉, 동일 명령을 반복하여 실행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콘센트 및 라우터 두 장치에 타이밍정보를 저장하여 타이밍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콘센트가 복수의 동일한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법은 동일 명령의 1회만의 실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버, 라우터 및 스마트 콘센트의 세 기기 모두에 타이밍정보가 저장된 경우를 예로할 때,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 701~ 707를 포함한다.
단계 701: 서버는 타이밍정보를 라우터 및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한 타이밍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 그 자체가 이 타이밍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서버는 이 타이밍정보를 라우터 및 스마트 콘센트에 전송하여 라우터 및 타이밍 콘센트도 각각 상기 타이밍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3개 기기에 저장된 타이밍정보는 동일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타이밍정보는 타이밍 ID를 포함하며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정보는 타이밍 ID와 타이밍시간 및 타이밍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삼자사이에 대응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서버측에 복수의 스마트 콘센트의 타이밍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타이밍정보 중에 이 타이밍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기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 ID는 서버가 타이밍명령 및 타이밍시간에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702: 스마트 콘센트는 수신 한 타이밍정보 중의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는 새로운 타이밍정보를 받을 적마다 타이밍정보중의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하고,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는 여전히 유효한, 즉, 아직 실행되지 않은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할 때 이러한 타이밍 ID는 타이밍 ID 목록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하기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다.
Figure 112015126962354-pct00002
이와 같이, 스마트 콘센트에는 두 부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그중 일 부분은 표 1에 표시한 것과 유사한 타이밍정보이며, 다른 부분은 표 2와 유사한 타이밍 ID 목록이다. 여기서, 표 1의 타이밍정보는 콘센트가 타이밍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표 2의 타이밍 ID는 콘센트가 수신한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유효한지 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명령을 실행하고 그 다음은 단계 703을 참조한다.
단계 703: 스마트 콘센트는 라우터에서 송신한 타이밍명령 및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수신한다.
그 중, 스마트 콘센트, 라우터 및 서버 모두에 동일한 타이밍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각 기기는 모두 타이밍명령을 전송하기 때문에 3개의 기기가 동시에 타이밍명령을 송신하거나 또는 획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는 콘센트가 시간상에서 명령을 각각 수신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복수 명령을 동시에 수신한 경우에도 콘센트는 하나씩 판단하여 처리한다. 스마트 콘센트가 먼저 라우터에서 전송한 타이밍명령을 수신하고 또한 대응되는 타이밍 ID를 지니고 있는 경우, 기기 ID 등의 기타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표 1의 타이밍 ID 00000001에 대응하는 명령을 예로하는 경우, 콘센트가 수신한 타이밍 ID는 00000001이다.
단계 704: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가 수신한 타이밍 ID가 00000001인 경우, 콘센트는 해당 ID가 표 2의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해당 ID가 여전히 타이밍 ID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ID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이 아직 실행되지 않고 여전히 유효함을 표시하며 스마트 콘센트는 계속 단계 705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ID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이 이미 실행된 것을 표시하며, 상기 명령을 무시한다.
단계 705: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또한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서 삭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가 타이밍 ID 00000001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실행한 후 이 ID를 표 2의 타이밍 ID 목록에서 삭제한다. 즉 타이밍 ID 목록에는 아직 실행되지 않은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 만 저장된다.
단계 706: 스마트 콘센트는 서버에서 전송한 타이밍명령 및 이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수신한다.
이 단계는 스마트 콘센트가 그 후에 서버에서 송신하는 타이밍명령 및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받은 경우를 가상한 것이고, 상기 라우터에서 전송한 정보와 동일한 타이밍 ID 00000001를 수신한 경우이다. 선택적으로 스마트 콘센트가 서버 및 라우터에서 송신한 타이밍명령 및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에도 콘센트는 각각 판단하고 처리해야 하며, 예를 들어, 우선 상기 단계 703 ~ 705에 따라 라우터의 명령을 처리하고, 단계 706 및 707에 따라 서버의 명령을 처리한다.
단계 707: 스마트 콘센트는 타이밍 ID가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을 무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콘센트는 단계 704에 따라,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705에서 콘센트가 명령을 실행한 후 이미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목록에서 삭제했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콘센트는 타이밍 ID 00000001이 타이밍 ID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콘센트는 해당 ID에 대응하는 명령이 이미 실행된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 명령을 무시하고 실행하지 않는다.
도 8은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라우터 등의 제어기기에 설치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장치는 명령획득모듈(81), 명령송신모듈(82)을 구비하고, 여기서,
명령획득모듈(81)은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이 검출되었을 때 저장된 타이밍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한다.
명령송신모듈(82)은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9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스마트 콘센트에 설치되어 스마트 콘센트가 본 실시예의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도 6의 스마트 콘센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논리명령일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각 유닛이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이미 관련방법의 실시예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장치는 명령수신모듈(91) 및 전류제어모듈(92)을 구비하고, 여기서
명령수신모듈(91)은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로컬로 저장되거나 랜(LAN)을 통해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제어기기에 저장되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이 모듈을 통하여 스마트 콘센트의 통신모듈이 수신한 타이밍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류제어모듈(92)은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0은 다른 하나의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의 구성을 예시하고 이 장치는 도 9에 도시한 구조 이외에, 정보수신모듈(93)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정보수신모듈(93)은 타이밍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시간,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 및 타이밍 ID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며,
또한 명령수신모듈(91)은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얻으려할 때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류제어모듈(92)은,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상기 타이밍 ID가 저장되어 있으면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서 삭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 제어모듈(82)에 의해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메모리의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명령수신모듈(91)은 시간검출유닛(911) 및 명령획득유닛(912)을 구비할 수도 있고, 여기서
시간검출유닛(911)은 현재시간이 저장한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명령획득유닛(912)은 상기 타이밍정보 중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기(1000)는 라우터이며, 처리유닛(10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처리유닛(1022)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32)로 대표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한다. 메모리 (103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각각의 명령 세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022)은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하며, 즉,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했음이 검출된 경우 저장한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며,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라우터(1000)는 장치(10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원 유닛(1026), 장치(10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0) 및 입력/출력(I/O)인터페이스(1058)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0)는 메모리(1032)에 저장된 운영시스템(OS),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이에 유사한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를 포함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명령어를 포함한 메모리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임의의 어느 한 실시예가 제공한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9)

  1.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가 저장한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는 단계와,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기는 라우터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스위치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전송하기 전에,
    복수의 스마트 콘센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정보 중의 기기 ID에 근거하여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각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정보는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ID는 상기 타이밍 ID가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6. 스마트 콘센트가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은 로컬에 저장되거나 랜(LAN)을 통해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제어기기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콘센트가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기는 라우터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타이밍정보는, 상기 타이밍명령 및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시간이 상기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할 때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도 획득하며,
    상기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기 전에 타이밍시간,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 및 타이밍 ID를 포함하는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며,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상기 타이밍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9.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저장한 타이밍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획득모듈 - 상기 타이밍정보는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함 - 과,
    랜(LAN)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명령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송신모듈을 포함하는
    라우터.
  10.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수신모듈 - 상기 타이밍명령은 로컬로 저장되거나 랜(LAN)을 통해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제어기기에 저장됨 - 과,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류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기는 라우터인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신모듈은,
    현재시간이 저장된 타이밍정보 중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시간검출유닛과,
    상기 타이밍정보 중의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획득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타이밍시간,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 및 타이밍 ID를 포함하는 타이밍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정보수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수신모듈은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전류제어모듈은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상기 타이밍 ID가 저장되어 있을 때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서 삭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장치.
  13.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시간이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와, 상기 타이밍시간과,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명령을 포함하여 저장된 타이밍정보를 획득하고, 랜을 통해 상기 바인딩된 스마트 콘센트에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제어하여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라우터.
  14. 삭제
  15.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은 로컬로 저장되거나 랜(LAN)을 통해 상기 타이밍명령을 송신하는 제어기기에 저장되며,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기는 라우터인
    스마트 콘센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명령이 스마트 콘센트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는 타이밍시간 및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밍명령을 포함하는 타이밍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타이밍정보의 타이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타이밍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밍명령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콘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타이밍정보는 타이밍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타이밍 ID를 저장하는 타이밍 ID 라이브러리가 또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명령을 획득할 때,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도 획득하고, 상기 타이밍 ID가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 상기 타이밍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타이밍명령에 따라 전류 단속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밍명령에 대응하는 타이밍 ID를 타이밍 ID 라이브러리에서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콘센트.
  1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19. 제 18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36628A 2015-01-29 2015-10-28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58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48269.1 2015-01-29
CN201510048269.1A CN104678851B (zh) 2015-01-29 2015-01-29 智能插座开关控制方法和装置
PCT/CN2015/093070 WO2016119494A1 (zh) 2015-01-29 2015-10-28 智能插座开关控制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917A KR20160103917A (ko) 2016-09-02
KR101858330B1 true KR101858330B1 (ko) 2018-05-15

Family

ID=5331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628A KR101858330B1 (ko) 2015-01-29 2015-10-28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52089B2 (ko)
EP (1) EP3051776B1 (ko)
JP (1) JP6352451B2 (ko)
KR (1) KR101858330B1 (ko)
CN (1) CN104678851B (ko)
BR (1) BR112016006211B1 (ko)
MX (1) MX354263B (ko)
RU (1) RU2644817C2 (ko)
WO (1) WO2016119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43B1 (ko) * 2013-12-20 2020-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CN104248846B (zh)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4678851B (zh) 2015-01-29 2018-03-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插座开关控制方法和装置
CN104932276B (zh) * 2015-05-27 2018-09-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家庭智能电源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116769B (zh) * 2015-07-10 2018-07-06 宁波智轩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控的无线开关系统及其控制、绑定方法
CN105116770A (zh) * 2015-07-13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插座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7042195A1 (de) * 2015-09-10 2017-03-16 BSH Hausgeräte GmbH System und kommunikationsmodul zur steuerung eines haushaltsgerätes
CN105357262B (zh) * 2015-09-29 2019-07-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5611563A (zh) * 2015-12-22 2016-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源的自动控制方法及装置
CN106357721B (zh) * 2016-08-11 2020-03-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时方法及装置
CN106647316A (zh) * 2017-02-24 2017-05-10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255788B (zh) * 2017-04-18 2021-02-02 广东浪潮大数据研究有限公司 一种电源开断电冲击的测试方法、系统及智能插座
CN107222552A (zh) * 2017-06-26 2017-09-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插座与智能终端的交互方法及系统
KR101950432B1 (ko) * 2017-08-04 2019-02-20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CN107689903A (zh) * 2017-08-17 2018-02-13 深圳市艾特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09976842B (zh) * 2017-12-28 2022-02-01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定时控制的方法、装置及介质
CN109164694B (zh) * 2018-08-27 2020-03-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预约方法及装置
CN110597205B (zh) * 2019-09-16 2023-02-03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插排的控制方法、装置、处理器及智能插排
CN110850737A (zh) * 2019-11-12 2020-02-28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排插及定时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33457B2 (en) 2019-11-27 2022-12-20 Aob Products Company Smart home and security system
KR102474411B1 (ko) * 2022-02-15 2022-12-07 씽스케어주식회사 스마트 플러그와 그 제어 방법 및 그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N115065724A (zh) * 2022-05-23 2022-09-16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保定供电分公司 一种非侵入式负荷监测终端与主站之间的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9577A1 (en) * 2010-11-17 2012-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Power Sockets, Boards, and Plugs
US20120331156A1 (en) * 2011-06-21 2012-12-27 Colpitts Cameron Wireless control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JP2013198269A (ja) 2012-03-19 2013-09-30 Daiwa House Industry Co Ltd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供給方法
US20140088780A1 (en) * 2012-09-26 2014-03-27 Hongxia Chen Automatic local electric management system
WO2014117861A1 (en) * 2013-02-01 2014-08-07 Telecom Italia S.P.A. Automatic system for controlling appliances
CN104201515A (zh) 2014-06-23 2014-12-10 杜建超 一种远程智能插座
JP2015005856A (ja)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Pluto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0142B1 (it) * 1999-08-20 2002-02-11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Dispositivo, sistema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i una utenzaelettrica domestica, in particolare un elettrodomestico.
US6741442B1 (en) * 2000-10-13 2004-05-25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181360B1 (en) * 2004-01-30 2007-02-20 Spirent Communica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test plans for communication devices
ITTO20090214A1 (it) * 2009-03-20 2010-09-21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alimentazione per l'accensione da remoto di apparecchi elettrici
CN201707570U (zh) 2010-06-17 2011-01-12 杭州宏暾电子技术有限公司 智能插座远程控制系统
CN103782479B (zh) * 2011-08-31 2016-04-20 株式会社东芝 电源忘关检测装置、电源忘关检测方法及检测系统
CN103178410A (zh) * 2011-12-26 2013-06-26 弈天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智能插座及智能插座控制设备
US9329650B2 (en) * 2012-03-14 2016-05-03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Customer-centric demand side management for utilities
CN202678646U (zh) 2012-06-27 2013-01-16 台州学院 一种智能插座
US10498623B2 (en) * 2012-06-27 2019-12-03 Ubiquit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sensor data using a sensor-interfacing device
CN202917747U (zh) * 2012-08-19 2013-05-01 夏骏 一种远程遥控多路可编程定时开关插座
CN102856741B (zh) * 2012-09-08 2015-05-06 陕西理工学院 多通道远程遥控开关插座
RU130098U1 (ru) * 2012-09-10 2013-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раво Моторс" Система "умный дом" с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адаптивным входом/выходом
CN102882077B (zh) * 2012-10-10 2016-05-11 北京国电通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用电设备供电开关的方法及智能插座
CN203324759U (zh) 2013-04-23 2013-12-04 深圳先进技术研究院 基于无线手持终端的用电设备控制系统
US9509763B2 (en) * 2013-05-24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actions for a decentralized system of learning devices
CN103401102B (zh) * 2013-08-06 2016-05-11 深圳市北电仪表有限公司 智能电源插座及控制系统
CN103699079A (zh) 2013-12-16 2014-04-02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通过移动终端定时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
CN103914967B (zh) * 2014-01-25 2017-01-04 温州众合拉链有限公司 智能排插、智能排插控制系统及方法
US9781245B2 (en) * 2014-03-03 2017-10-03 AVI-On Labs, LLC Networking systems, protoco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s
CN203859339U (zh) * 2014-05-21 2014-10-01 黄河科技学院 一种智能插座控制终端
CN104158031A (zh) * 2014-08-06 2014-11-19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ZigBee网络的无线插座
CN104678851B (zh) 2015-01-29 2018-03-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插座开关控制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9577A1 (en) * 2010-11-17 2012-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Power Sockets, Boards, and Plugs
US20120331156A1 (en) * 2011-06-21 2012-12-27 Colpitts Cameron Wireless control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JP2013198269A (ja) 2012-03-19 2013-09-30 Daiwa House Industry Co Ltd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供給方法
US20140088780A1 (en) * 2012-09-26 2014-03-27 Hongxia Chen Automatic local electric management system
WO2014117861A1 (en) * 2013-02-01 2014-08-07 Telecom Italia S.P.A. Automatic system for controlling appliances
JP2015005856A (ja)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Pluto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CN104201515A (zh) 2014-06-23 2014-12-10 杜建超 一种远程智能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1548A (es) 2016-10-06
CN104678851B (zh) 2018-03-16
US10452089B2 (en) 2019-10-22
JP6352451B2 (ja) 2018-07-04
EP3051776A1 (en) 2016-08-03
KR20160103917A (ko) 2016-09-02
EP3051776B1 (en) 2017-09-13
CN104678851A (zh) 2015-06-03
WO2016119494A1 (zh) 2016-08-04
BR112016006211A2 (pt) 2017-08-01
MX354263B (es) 2018-02-20
BR112016006211B1 (pt) 2022-10-18
RU2644817C2 (ru) 2018-02-14
JP2017510242A (ja) 2017-04-06
US20160224043A1 (en) 2016-08-04
RU2016110980A (ru)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330B1 (ko) 스마트 콘센트의 스위치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U2018203123B2 (en) A configuration connection device
CN105119946A (zh) 一种自动切换网络的智能家电控制装置及其方法
EP3496434A1 (en)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CN104540091A (zh) 基于蓝牙设备的自动配对系统及其自动配对方法
CN106231616B (zh) 一种配置无线中继的方法及无线路由器
CN111194535A (zh) 主节点、辅助节点以及在其中执行的方法
CN107820289B (zh) 一种wifi网络切换方法、装置、终端和介质
US20160202676A1 (en) Apparatus controller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US10708775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by using WPS, and mobile Wi-Fi device
US20160044562A1 (en) Method of switching connection to femtocell and wifi ap in sdn
CN105072148B (zh) 与终端建立连接的方法及装置
WO2018019058A1 (zh) 一种无线接入点切换方法、装置及终端
KR20230138009A (ko) 통신 경로의 전환 방법, 장치 및 단말
CN105512019B (zh) 获取移动终端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CN107113556B (zh) Small Cell与M2M系统融合的网络架构以及相关方法和相关设备
JP2018032997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制御方法
CN107205282B (zh) 一种无线连接的状态控制方法、装置和设备
JP2017076856A (ja) ホームゲートウェイ、家電連携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16212A (zh) 一种基于ios平台能够自动获得系统状态的方法
WO2024033139A1 (en) Joint radio link failure (rlf) detection for l1/l2 inter-cell mobility
CN112188593A (zh) 无线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2995981A (zh) 网络连接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123631A (ko)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6945A (ja) 無線接続方法及び家電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