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631A -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631A
KR20160123631A KR1020150053909A KR20150053909A KR20160123631A KR 20160123631 A KR20160123631 A KR 20160123631A KR 1020150053909 A KR1020150053909 A KR 1020150053909A KR 20150053909 A KR20150053909 A KR 20150053909A KR 20160123631 A KR20160123631 A KR 2016012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all
data table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주)브릿지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릿지모바일 filed Critical (주)브릿지모바일
Priority to KR102015005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631A/ko
Publication of KR2016012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TO THE CALLING SMARTPHONE}
아래의 설명은 스마트 폰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정보를 스마트 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으로 통신사가 제공하는 3G 또는 LTE 망으로 통화를 할 수 있지만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3G, 4G, LTE 또는 WiFi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저렴한 통화를 하거나 무료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통화는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이거나 발신자와 착신자 모두 동일한 무료 통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폰에서 통화를 발신할 때마다 착신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통신사의 통화망, 저렴한 통화망, 인터넷 무료 통화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화를 발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착신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5953호는 IP 정보 전송에 의한 무료 통화 방법 및 IP 정보 전송에 의한 무료 통화용 휴대 단말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에서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에 통화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서버로부터 착신 단말의 정보를 빠르게 수신해야 한다. 이때,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서버를 통해 신속히 수신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화 연결을 시도할 때마다 발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일반 통화 모드 또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비교하여 통화 연결의 연결 상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1 상황 정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2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3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일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하는 통화 연결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비교하여 통화 연결의 연결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동기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1 상황 정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2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3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일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를 기반으로 착신 단말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함으로써 발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저장해두고 통화 연결을 시도할 때마다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발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일반 통화 모드 또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통화가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과 제1 사용자 단말(110),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과 제2 사용자 단말(140)은 네트워크 망(13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 커넥션들 및 상호 작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망(130)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네트워크 망(13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4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망(130)은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망(130)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을 대상으로 통화 플랫폼 상에서 통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서버(미도시)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화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통화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통화 서비스 환경을 관리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 통화 연결부(213), 판단부(214) 및 제공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른 예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USB 내의 블루투스(Bluetooth), 3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모바일 폰, 혹은 다른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등과 같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 통화 연결부(213), 판단부(214) 및 제공부(215)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부(211)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테이블을 동기화할 수 있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212)는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1 상황 정보,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2 상황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3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화 연결부(213)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판단부(214)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4)는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와 연락처 리스트를 비교하여 통화 연결의 연결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제공부(215)는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215)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일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인터넷 통화 모드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단말(310)(410)이 제2 사용자 단말(320)(42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310)(410)과 제2 사용자 단말 사이(320)(420)의 통화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310)(410)과 제2 사용자 단말(320)(420)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중이며, 제1 사용자 단말(310)(410)을 발신 단말, 제2 사용자 단말(320)(420)을 착신 단말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발신 단말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을 선택함으로써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발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및 발신 단말에서 통화한 통화 기록 리스트도 함께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통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발산 단말이 착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들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테이블은 도 6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데이터 테이블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테이블은 제2 사용자 단말, 착신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했는지 여부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 등을 필드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 1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삭제되지 않음을 저장할 수 있고, 착신 단말 2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삭제되지 않음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착신 단말에 대하여 상태 정보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표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상태 유무를 표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 필드는 네트워크의 상태인 네트워크 불안정, 네트워크 안정 등과 같이 표기할 수 있으며, 단말에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O',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X'와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데이터 테이블은 도 6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드를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을 간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테이블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을 경우, 통화 연결이 종료되었을 경우에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자주 통화하는 착신 단말에 관한 상태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6과 같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보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 1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4와 같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1을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1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통화 서버(430)를 통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 2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휴면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2를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2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통신사 기지국(330)을 통하여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통화가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를 참고하면, 착신 단말은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510) 또는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520)로 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착신 단말은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510)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발신 단말을 저장한 이름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라는 문구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착신 단말은 인터넷 통화 연결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520)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발신 단말을 저장한 이름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라는 문구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화 서버(72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710)과 제2 사용자 단말(730)에 통화 연결을 설립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통화 서버(720)는 제1 사용자 단말(710), 예를 들면, 발신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7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741). 통화 서버(720)는 제2 사용자 단말(730), 예를 들면, 착신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742). 예를 들면, 통화 서버(720)는 제2 사용자 단말(73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통화 서버(720)는 제2 사용자 단말(7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73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743).
제1 사용자 단말(710)이 제2 사용자 단말(730)로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통화 서버(720)는 제1 사용자 단말(710)과 제2 사용자 단말(730)의 통화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744). 통화 서버(720)는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할 수 있다(745). 통화 서버(720)는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결정된 인터넷 통화 모드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746). 만약, 제2 사용자 단말(7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 수단이 인터넷 통화 모드일 경우, 통화 서버(720)는 제2 사용자 단말(730)과 제1 사용자 단말(710)을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7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 수단이 일반 통화 모드일 경우, 통신사 기지국을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730)과 제1 사용자 단말(710)에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810), 메모리(memory)(8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8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840), 전력 회로(850) 및 통신 회로(8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8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8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8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810) 및 메모리(8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8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8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8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8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8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8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8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이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비교하여 통화 연결의 연결 상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1 상황 정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2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3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일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설립하는 통화 연결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또는 일반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통화 연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비교하여 통화 연결의 연결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1 상황 정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2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제3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이 일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통화 모드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53909A 2015-04-16 2015-04-16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3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09A KR20160123631A (ko) 2015-04-16 2015-04-16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09A KR20160123631A (ko) 2015-04-16 2015-04-16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31A true KR20160123631A (ko) 2016-10-26

Family

ID=5725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09A KR20160123631A (ko) 2015-04-16 2015-04-16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6070B (zh) 一种数据库数据迁移方法、装置、终端及系统
EP3846522A1 (en) Mec platform deployment method and device
EP3525417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EP3490304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ccess point and hotspot, and related products
CN108702602B (zh) 分享图像的方法、电子设备及系统
EP3002974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05684520B (zh) 用于建立无线局域网通信连接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20160010236A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163478A1 (en) Method,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updating client configuration in key-value pair database
EP3179750A1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server, sharer client and third-party client
US9961525B2 (en) Communication system
US11134435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method therefor
EP3624546B1 (en) Packet data unit (pdu) se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2346751B (zh) 应用程序的安装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3500194A (ja) 無線リソース制御メッセージの完全性保護
JP2020509622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タイプ検出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11930709A (zh) 数据存储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9313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data communication program
CN113791792A (zh) 应用调用信息的获取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EP2871871B1 (en) Remote socket connection
WO2016165674A1 (zh) 一种终端可信环境运行方法及装置
US10333777B2 (en) Configuring a secure network infrastructure device
KR101658310B1 (ko) 휴대폰 단말장치의 인터넷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소켓서버와 실시간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5412993A (zh) 中继发现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23631A (ko) 연락처 기반으로 착신자의 정보를 발신자 스마트 폰에 동기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