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078B1 -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78B1
KR101858078B1 KR1020180037047A KR20180037047A KR101858078B1 KR 101858078 B1 KR101858078 B1 KR 101858078B1 KR 1020180037047 A KR1020180037047 A KR 1020180037047A KR 20180037047 A KR20180037047 A KR 20180037047A KR 101858078 B1 KR101858078 B1 KR 10185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mps
pres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학무
이인배
탁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다모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다모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8003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sense the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7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against abnormal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2M2001/327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2017/0806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against excessiv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PS 내에 온도 센서를 구비시키고, SMPS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필요시 순차적으로 소비전력을 변화시키는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장치(SMPS)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입력전원 공급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전원 공급부; 출력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출력전원 공급부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주변 온도 감지값을 비교값으로 하고, 이 비교값을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이 큰 경우 조절된 출력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출력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이에, SMPS 내에서의 열 발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SMPS 내에 통신 모듈을 구비시켜 위상각 제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제공함으로 Dimming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power control and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thermal sensor}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 이하 'SMPS'라 통칭하기로 함) 내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온도 센서는 SMPS에서 발생되는 열화 현상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소비전력을 가변 조절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LED의 밝기 안정성 확보와 함께 제품의 높은 수명을 보장하도록 형성되며, 부가적으로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Dimming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PS 라 함은, 입력 교류 전압을 입력 직류 전압(DC-Link 전압)으로 정류하고, 입력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을 갖는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는, 랩탑(Laptop) 컴퓨터의 어댑터(Adapter), 이동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 등, 수많은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는 최대 제한 전류(ILIM)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출력단의 단락이나 과부하 상황에서 메인 스위치로 흐르는 전류(Id)가 최대 제한 전류(ILIM)에 도달하면 메인 스위치를 턴오프 시킴으로써, SMPS의 메인 스위치가 출력단의 과부하 또는 단락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출력단으로 전달되는 최대 파워를 제한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최대 제한 전류(ILIM)는 SMPS설계시, 사용되는 소자의 정격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SMPS의 기술적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420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SMPS의 경우 발열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위 온도 및 부품 고장으로 인한 열 폭주 시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차단시키는 방식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 열 발생 시 순차적으로 소비전력을 변화하여 열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식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첫 번째의 경우 부하단인 LED 램프가 오프되고 이로 인해 사용환경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 번째의 경우 제어회로가 복잡해짐으로써 부품 증가에 따른 비용발생과 고장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비전력이 낮은 SMPS의 경우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내장된 열 보호 기능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열에 대한 제어가 어려우므로 외부의 영향으로 인한 열 폭주시 타 부품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교류선로상에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선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통신선을 가설하기 위해서 비용이 상승하며, 무선을 이용할 경우 설치는 용의하지만 상대적으로 고가의 통신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환경에 대한 제약 조건이 발생한다.
전력선 통신의 경우 별도의 통신망이 없어도 기존 교류선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전기기기에 의한 Noise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일반적인 배선에 사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0760호(2017.08.17.)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3002호(2013.09.24.)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SMPS 내에 온도 센서를 구비시키고, SMPS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필요시 순차적으로 소비전력을 변화시키는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류전원의 위상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기기를 제어하며 통신선 없이 전력선만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됨으로 추가 비용없이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장치(SMPS)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입력전원 공급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전원 공급부; 출력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출력전원 공급부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주변 온도 감지값을 비교값으로 하고, 이 비교값을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이 큰 경우 조절된 출력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출력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전압 검출신호의 위상각 에지 제어 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대입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비교값이 큰 경우 점등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SMPS 내에 온도 센서를 구비시키고, SMPS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필요시 순차적으로 소비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SMPS 내에서의 열 발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에 대한 부품 파손 또는 SMPS의 고장에 대해서 좀 더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LED를 OFF하지 않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LED 램프의 고장 또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바, 이는 사용상 불안감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를 컨트롤하기 위해여 별도의 보호회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비용절감 및 사용으로 인한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회로 특성상 보호회로가 전원회로 내부(1차측 또는 2차측 구분 없이 적용)에 쉽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SMPS에 사용되는 어떠한 회로와 관련 없이 저비용으로 모든 회로에 적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SMPS 1차측에 적용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SMPS 2차측에 적용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위상각이 제어되어 전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교류전원으로 디지털 데이터가 실린 출력전원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출력전원 파형 및 출력전원 파형으로부터 추출된 디밍제어데이터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밍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1차측 전류 제한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2차측 전류 제한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전원공급장치는 SMPS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SMPS 1차측에 적용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SMPS 2차측에 적용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위상각이 제어되어 전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교류전원으로 디지털 데이터가 실린 출력전원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출력전원 파형 및 출력전원 파형으로부터 추출된 디밍제어데이터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입력전원 공급부(100)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전원 공급부(200)와, 출력전원 공급부(200)에 연결되어, 출력전원 공급부(200)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온도 센서(300)와, 주변 온도 감지값을 비교값으로 하고, 이 비교값을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이 큰 경우 조절된 출력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출력전원 조절부(400)와, 비교값이 큰 경우 점등되는 발광부(500)와,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전압 검출신호의 위상각 에지 제어 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대입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제공부(6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온도 센서(30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를 공급하고, 온도 센서(30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이면 공급되던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를 차단시키는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 공급부와,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 공급부의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에 의해 냉각되는 열전소자를 더 포함한다. 즉, 열전소자는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에 의해 냉각 기능을 수행하고 SMPS 내부를 냉각시켜 올라가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렇게 SMPS 내부의 온도가 낮아져서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기능 절환용 전류 공급부는 열전소자로 공급되고 있는 전류를 차단시켜 열전소자의 냉각기능의 수행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 센서(300)는 온도 설정이 자유로우며, 내부 회로는 저항값이 무한대인 오픈타입(Open type) 또는 제로(Zero)에 가까운 크로스 타입(Cross type)으로 설정가능하다.
출력전원 공급부(200)는 1차측, 2차측으로 이루어진 트랜스포머이며, 출력전원 조절부(400)는 출력전원 공급부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구비된다.
출력전원 조절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감지부(410), 발광제어회로부(420), 기준전압 공급회로부(430)로 이루어진다.
전압감지부(410)는 온도 센서(300)의 양단 전압을 감지한다.
발광제어회로부(420)는 전압감지부(410)의 출력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발광부(500)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기준전압 공급회로부(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c전압이 인가되면 발광제어회로부(420)의 (+) 단자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기준전압 공급회로부(430)에서 공급되는 기준전압은 2.5v이다.
데이터 제공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으로부터 영전압을 검출하여 영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전압 검출부(610)와, 영전압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디밍제어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해 위상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20)와, 위상각 제어신호에 응하여 교류 전원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전력선을 통해 LED 조명시스템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위상각 제어부(630)로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620)는 영전압 검출부(610)에 의해 검출된 영전압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디밍제어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위상각 제어신호를 위상각 제어부(630)로 출력하면 위상각 제어부(6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각 제어신호에 응하여 교류 전원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전력선을 통해 송출한다.
그러면 LED 조명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수신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각이 제어된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위상각 제어시 발생하는 제로크로스 신호 폭의 변화를 읽어들여 데이터 "0" 또는 "1"로 변환시켜 디밍제어신호를 생성시키고, LED 조명시스템은 디밍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도 센서를 이용한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SMPS에 LED 램프라는 부하가 연결되어 있고, LED 램프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SMPS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온도 센서(300)는 SMPS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기 시작한다.
온도 센서(300)는 열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특성값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면, 출력전원 조절부(400)의 전압 감지부(400)의 저항(R2, R3)들은 온도 센서(300)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전압은 발광제어회로부(420)의 (-) 단자와 출력(1번 핀) 사이에 연결된 저항(R4)에 의해 증폭되어 발광제어회로부(420)로 공급된다.
이때 저항(R2, R3)들은 SMPS 내부의 부품 고장으로 인하여 과도한 전류가 비교부(42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SMPS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온도 센서(300)에 의해 열 감지 값이 상승하고 전기적 특성값도 커지게 되며 전압감지부(410)의 출력전압도 커지게 되고, 발광제어회로부(420)를 통해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어 점등된다. 이렇게 SMPS가 동작 중에 열이 발생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온도 센서(300)의 작동을 알리는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하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출력레벨을 낮추어 공급되어지도록 한다.
(출력 전류제한 기능)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출력 전류 제한 기능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1차측 전류 제한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2차측 전류 제한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먼저 도 8를 참조하여 1차측 전류 제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AC 전원이 SMPS에 인가되면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 BD1)를 통하여 정류된 전압이 트랜스포머(Transformer, T1)에 공급이 되는데, 평활용 캐패시터인 C4의 용량이 낮으므로 맥류성에 가까운 전압이 트랜스포머(T1)에 공급이 된다.
그리고 저항(R2,R3)을 통하여 PWM IC(U1)의 VCC단에 전원이 공급되면 2차측 출력에 전압이 송출되면서 SMPS가 동작된다. SMPS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트랜스포머(T1)의 보조 권선에 전압이 유기되면 저항(R9, R10) 사이의 전압이 PWM IC(U1)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PWM IC(U1)로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출력에서 소비되는 전류는 전류 제어용 저항(R7)으로 인하여 전류 제어가 되며, 저항(R7)의 저항값이 작을수록 더 많은 양의 전류가 출력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저항(R8)과 Normal-cross 성능을 가진 온도 센서(Thermal Sensor)를 저항(R7) 양단에 병렬로 연결하여 최대 부하로 동작하도록 저항값을 설정한다.
부품의 열 발생으로 인하여 온도 센서(Thermal Sensor)가 동작이 되어 Open 상태로 저항값이 무한대로 되면 저항(R7) 양단의 저항값이 커지기 때문에 2차측 전류가 낮아지면서 입력 전력이 떨어지게 된다.
열 발생이 줄어들게 되어 온도 센서(Thermal Sensor)가 다시 cross가 되면 입력 소비 전력은 원상 복구된다.
즉,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차측 전류 제한을 하게 되고,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차측 전류 제한을 하게 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2차측 전류 제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최소 80W 이상의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제품에 주로 사용하며 전압 및 전류 제어에 대한 신호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U3)에 의해서 1차측 PWM IC에 신호를 전달한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 U1)에서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7)를 통하여 정류되며, 정류된 전압은 전해 캐패시터(C24, C25)로 인하여 전압이 평활되어 DC 전압이 생성된다.
이때 부하에서 발생된 전류는 저항(R22) 양단을 통하여 흐르게 되며, 전류량이 많을수록 저항(R22) 양단 전압차는 많이 벌어지게 된다.
저항(R22) 양단에 온도 센서(Thermal Sensor)와 저항(R23)을 연결하여 최대부하가 되도록 저항값을 설정하며, 부품의 열 발생으로 인하여 온도 센서(Thermal Sensor)가 동작이 되어 Open 상태로 저항값이 무한대로 되면 저항(R22) 양단의 저항값이 높아지므로 저항 양단의 전압은 낮아진다.
저항(R22) 양단의 전압은 가변저항(VR1)과 저항(R29)를 통하여 오피앰프(Op-Amp, U5)의 2번 pin으로 전압이 공급되며, 2번과 3번 pin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1번 pin의 전압이 제어되며, 제어된 전압이 다이오드(D9)와 저항(R30)을 통하여 (photo coupler, U3)에 공급이 되면서 1차측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저항(R28) 및 커패시터(C28)는 오피앰프(U5)의 1번 PIN으로 공급되는 전압에 대한 보상(compensation}용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출력 전압은 저항(R33, R34) 값에 의하여 출력 전압이 결정되며 5번과 6번 PIN에서 감지된 전압이 7번 PIN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전압은 다이오드(D10) 및 저항(R30)을 통하여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U3)에 공급이 되면서 1차측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저항(R32) 및 커패시터(C29)는 동일하게 7번 PIN으로 공급되는 전압에 대한 보상(compensation)용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LED 램프 디밍제어 시스템)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LED 램프 디밍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에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을 채용된 시켜 최저비용으로 디밍 제어 및 어드레스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현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PLC는 교류전원의 영전압 검출부에 인접한 위상각을 제어하여 단방향 Digital Data를 발생 시키는 통신 Solution 으로써 Dimming 제어 및 Address 설정이 가능 하고 전력선을 이용한 전송 방식이다.
데이터 제공부(도 1의 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입력의 영전압을 영전압 검출부(도 4의 610)를 통해 검출하고, 이 영전압의 위상각의 에지를 위상각 제어부(도 4의 620)를 통해 제어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영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선압의 위상각이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디밍신호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디밍신호를 정전류 LED 구동회로로 출력하여 LED가 점등 또는 멸등되도록 한다.
PLC 통신 시스템이 채용된 LED 램프 디밍제어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실 서버에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PLC 제어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PLC 제어기에 다수개의 LED 램프가 시리얼로 연결되어 있거나, 다수개의 LED 램프가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된 LED 램프군이 하나의 PLC 제어기에 다수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관제실 서버는 디밍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의 영전압을 검출하고, 영전압에서 위상각을 제어하여 디밍 제어 데이터를 교류전원에 실어서 PLC 제어기로 출력한다. 그러면 PLC 제어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받고 있는 교류전원의 영전압을 검출하고 위상각이 제어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위상각이 제어된 경우 "1"로 읽어들이고, 위상각이 제어되어 있는 않은 경우 "0"로 읽어들여서 디밍제어데이터를 생성시켜 LED 램프의 점등, 멸등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PLC 제어기는 본 발명이 적용된 SMPS에 연계되어 동작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력전원 공급부
200 : 출력전원 공급부
300 : 온도 센서
400 : 출력전원 조절부
410 : 전압감지부
420 : 발광제어회로부
430 : 기준전압 공급회로부
500 : 발광부
600 : 데이터 제공부

Claims (3)

  1. 전원공급장치(SMPS)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입력전원 공급부;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전원 공급부; 상기 출력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전원 공급부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주변온도 감지값을 비교값으로 하고, 이 비교값을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값이 큰 경우 조절된 출력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출력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전압 검출신호의 위상각 에지 제어 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대입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값이 큰 경우 점등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KR1020180037047A 2018-03-30 2018-03-30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KR10185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47A KR101858078B1 (ko) 2018-03-30 2018-03-30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47A KR101858078B1 (ko) 2018-03-30 2018-03-30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078B1 true KR101858078B1 (ko) 2018-05-15

Family

ID=6218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47A KR101858078B1 (ko) 2018-03-30 2018-03-30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00B1 (ko) * 2021-03-19 2022-01-11 (주)유니룩스 위상제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00B1 (ko) * 2021-03-19 2022-01-11 (주)유니룩스 위상제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시스템
WO2022197131A1 (ko) * 2021-03-19 2022-09-22 주식회사 유니룩스 위상제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199B1 (ko) 엘이디 조명기구의 엘이디 부하 비정상상태 발생시 엘이디 보호장치
US8502461B2 (en) Driving circuit and control circuit
JP6155027B2 (ja) 照明装置
US94669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tive overvoltage protection of PFC bulk capacitors in power supplies
US7821800B2 (en) Power adapter for providing output power limiting and load-dependent voltage regulation
US20160261202A1 (en) Isolated dc/dc converter, feedback circuit thereof,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adap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636241B1 (ko) 능동적 로드 검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스위칭방법
KR100942308B1 (ko) Led 가로등 파워서플라이 회로
EP1081838B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circuit, and power supply unit
JP5288446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その電力制御方法
TWI726482B (zh) 具有過溫度保護補償的電源轉換器
CN101373925B (zh) 供电装置
JP5709736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858078B1 (ko)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US20150131335A1 (en) Power supply circuit, electronic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CN101083433A (zh) 开关电源装置
KR101058655B1 (ko) 적응형 전원 공급기, 스마트 led 모듈 및 그를 위한 led 모듈 시험장치
CN111525514B (zh) 具有过温度保护补偿的电源转换器
KR101169738B1 (ko) 조명 시스템을 위한 전기 안전 기능이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
JP2010029010A (ja) 電子機器の電力計測システム
JPH10225126A (ja) 電源装置
JP6205869B2 (ja) Led点灯装置及びled照明器具
KR102518713B1 (ko) Led 모듈의 상태변화에 적응하여 구동하는 모듈화된 led 조명기기
KR102490634B1 (ko) 과열방지 기능 및 디밍시 역률보정 기능을 갖는 led 램프용 컨버터 회로
KR20010047574A (ko) 인버터 히트펌프의 전력소자 보호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