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070B1 -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70B1
KR101858070B1 KR1020170171640A KR20170171640A KR101858070B1 KR 101858070 B1 KR101858070 B1 KR 101858070B1 KR 1020170171640 A KR1020170171640 A KR 1020170171640A KR 20170171640 A KR20170171640 A KR 20170171640A KR 101858070 B1 KR101858070 B1 KR 10185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unit
column
packet data
picture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권
최호진
이선민
Original Assignee
오픈스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스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스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동영상의 끊기거나 깨짐없이 포맷을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본 수신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하는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및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하는 다중타겟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P VIDEO NETWORK ENCODING OF MULTI-FORMAT/MULTI-TARG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동영상의 포맷을 변환할 때 수신지에서 화면 끊기거나 깨짐이 없이 전환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 다른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이 많아서 기존에는 단말기에 저장한 후 이를 재생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나, 지금은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받고 이를 단말에서 재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동영상을 네트워크로 전송함에 있어서, 최종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동일한 동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단말기에서 요청할 경우, 복수의 타겟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다중포맷-다중타겟(MULTI-FORMAT/MULTI-TARGET)'이라고 칭하겠다.
상기 다중포맷-다중타겟에서 네트워크 전송환경의 한계로 인해 어느 한 타겟에게 전송하던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 패킷에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적은 전송량의 다른 포맷으로 전환하여 수신지의 화면이 끊기거나 깨짐없이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29235호, (2013.03.22)
본 명세서는 동영상의 끊기거나 깨짐없이 포맷을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본 수신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하는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및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하는 다중타겟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는,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동영상 인코딩부는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진 전송 제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는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할 때,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원본 수신부,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및 다중타겟 전송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으로서, (a) 상기 원본 수신부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되는 단계; 및 (d)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동영상 인코딩부가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게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진 전송 제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e)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할 때,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f)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컴퓨터에서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패킷에 손실이 발생할 때 동영상의 끊기거나 깨짐없이 포맷을 전환하여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지와 연결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전송 제어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제어 테이블이 변화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는 원본 수신부(110),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120),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 및 다중타겟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본 수신부(110)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원본 동영상 데이터는 HDMI 또는 SDI와 같은 외부 단자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등과 같이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는 동영상 패킷에 손실이 발생할 때 동영상의 끊기거나 깨짐없이 포맷을 전환하여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명세서의 효과는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다운받아 저장하는 버퍼링 시스템 하에서는 큰 이점이 없으나, 스포츠 중계와 같이 실시간으로 원본 동영상이 생성되고 이를 중계하는 환경에서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원본 수신부(110)는 HDMI 또는 SDI이며,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이다. 그러나 상기 예시는 일부에 불과하며, 상기 예시에 의해 본 명세서의 기술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120)는 상기 원본 수신부(110)로부터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참조번호 120 내에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참조번호 'E1, E2, E3, E4,...En'로 표현하였다. 각각의 동영상 인코딩부는 서로 다른 동영상 포맷으로 원본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다중 코어(core)에 의한 병렬 처리 또는 하나의 코어(core)에서 다른 포맷으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해 쓰레드(Thread)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쓰레드가 본 명세서에 따른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가 됨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동영상 인코딩부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다른 포맷으로 인코딩함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란,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가 수신지로 동영상 데이터를 보내는 전송 단위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속성에 따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지와 연결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지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지 즉, 복수의 타겟 IP는 각각의 단말기에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 포맷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는 해당 타겟의 IP 주소 및 요청한 동영상의 포맷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요청한 동영상의 포맷에 해당하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저장된 타겟의 IP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P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수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동영상 인코딩부는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동영상 비트 스트림 데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는 원본 동영상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동영상 비트 스트림 데이터는 추후 수신지에서 디코딩(decoding)되어 동영상 프레임으로 재 구성된다.
상기 식별 정보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수신지에 따라 서로 다른 사양으로 변환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동영상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통해 어느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인지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동영상 비트 스트림 데이터의 프레임 속성에 대한 정보이다. 동영상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종료는 IDR-프레임(또는, 'I-프레임'), P-프레임, B-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IDR-프레임은 다른 프레임 정보가 필요 없어, 프레임 데이터를 받은 즉시 디코더가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P-프레임 및 B-프레임은 독자적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없고, 그 앞의 IDR-프레임으로부터 자신의 프레임에 이르는 모든 프레임 정보가 있어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정보는 해당 프레임이 IDR-프레임(또는, 'I-프레임'), P-프레임 또는 B-프레임에 해당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진 전송 제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전송 제어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전송 제어 테이블은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 따르면, T1 수신지에게는 E1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T2 수신지에게는 E2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것이며, T3 및 T4 수신지에게는 E3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것이다. 다만, T4 수신지에게는 현재 E3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E4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전송 제어 테이블에 따라 복수의 수신지에게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지 T1으로 보낸 데이터 패킷에서 손실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해 보겠다. T1에서는 패킷 손실 발생 사실을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에게 통보하여, 이를 통해 T1 수신지에게는 E1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E2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로 전환되어야 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할 때,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통해 보다 쉽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제어 테이블이 변화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먼저 참조하면, 패킷 손실이 발생하기 전 T1 수신지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이다. T1 수신지에게는 E1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패킷 손실 또는 수신지 단말의 요청 등 어떠한 원인에 의해 E1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E2 동영상 인코딩부가 인코딩한 동영상 패킷 데이터로 전환할 필요가 생긴 것을 가정하겠다.
이때, 도 4의 (b)처럼,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전송 제어 테이블의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Yes)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인 'E2'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E2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도 4의 (c)처럼,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i)상기 E2의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T1에 전송하고, ii)상기 'E2' 기재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No)를 표시한다.
만약,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요청이 발생한 즉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전환한다면, 수신지에서는 P-프레임 또는 B-프레임을 받을 수 있다. P-프레임 또는 B-프레임은 IDR-프레임 없이 화면 전체를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신지의 영상이 순간적으로 깨지거나 끊길 수 밖에 없다.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동영상 인코딩부의 전환요청이 들어와도 변경될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생성한 IDR-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동영상 인코딩부 전환을 통해 수신지의 화면 끊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는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가 더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에 대한 설명만 추가적으로 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는 수신지 단말의 요청에 의해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지 단말의 요청은 특정 동영상 인코딩 포맷으로 변환 요청이거나, 현재 수신한 동영상 인코딩 포맷을 기준으로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 요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는 수신지의 패킷 손실에 대한 정보(손실패킷량 또는 손실패킷비율)가 미리 설정된 변환 기준 이상일 때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할 수 있다. 즉, 현재 통신망의 환경상 손실되는 패킷의 양이 기준 양보다 많은 경우라서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 변환 기준은 장치 제조자, 사용자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있으며, 사용 중에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에 따라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는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에게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하도록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가 전송 제어 테이블에 정보를 변경하여 동영상 인코딩부를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는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에게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하도록 제어 명령을 출력할 때, 변환 대상 동영상 인코딩부에게 IDR-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수신측의 영상 끊기거나 깨짐없이 동영상 인코딩 포맷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IDR-프레임이 전송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동영상 인코딩부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빠르게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생성한 IDR-프레임을 수신지에게 전송해줄 수 있는지 여부가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10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영상 인코딩부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에 마침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에서 생성한 IDR-프레임이 있다면 빠른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우연에 의한 효과이며 기술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는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에게 동영상 인코딩부를 변환하도록 제어 명령을 출력할 때, 변환 대상 동영상 인코딩부에게 IDR-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른 동영상 인코딩부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를 이용한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상기 원본 수신부(110)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20에서,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30에서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가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 S40에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가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0 내지 S40은 도 6과 동일하며, S40 단계 이후 S50 내지 S80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된 S50 내지 S80을 중심으로 추가설명 하겠다.
단계 S50에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전송 제어 테이블 상에서 제3란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하지 않다면, 단계 S20으로 이행하여 단계 S20 내지 S40을 반복 실행한다. 반면, 만약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하다면, 단계 S60으로 이행한다.
단계 S60에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70에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130)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70에서는 앞선 단계 S20 내지 S40이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될 수 있다. 즉, 큐(Queue) 상에서 자신의 쓰레드 처리 시점에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IDR-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다른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기존대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되었을 때, 단계 S80에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140)는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마치고 단계 S20으로 이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가 단계 S50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에서 상기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150)가 상기 변환 대상 동영상 인코딩부에게 IDR-프레임 생성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컴퓨터에서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110 : 원본 수신부
120 : 동영상 인코딩부
130 :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140 : 다중타겟 전송부
150 : 동영상 인코딩 포맷 변환여부 판단부

Claims (11)

  1.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본 수신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하는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및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하는 다중타겟 전송부;를 포함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로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진 전송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할 때,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는,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속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동영상 인코딩부는,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동영상 비트 스트림 데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4. 삭제
  5. 삭제
  6. 원본 수신부,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 및 다중타겟 전송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는, 동영상 패킷 데이터의 수신지 정보(이하 '제1란'), 동영상 인코딩부의 식별 정보(이하 '제2란'),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여부 정보(이하 '제3란') 및 변환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이하 '제4란')를 가진 전송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며,
    (a) 상기 원본 수신부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사양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 상기 복수의 동영상 인코딩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정렬되는 단계;
    (d)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패킷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지로 전송하는 단계;
    (e)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이 필요할 때,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제3란에 동영상 인코딩부 변환 필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4란에 변환될 동영상 인코딩부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f) 상기 다중타겟 전송부가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로부터 상기 제4란에 표시된 동영상 인코딩부가 생성한 동영상 패킷 중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수신할 때, i)상기 IDR-프레임을 포함한 동영상 패킷을 상기 제1란에 기재된 목적지에 전송하고, ii)상기 제4란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란에 옮겨 적고, iii)상기 제3란은 변환 필요없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속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동영상 인코딩부가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사양에 따라 변환한 동영상 비트 스트림 데이터,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패킷 데이터 정렬부에게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컴퓨터에서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171640A 2017-12-13 2017-12-13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185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40A KR101858070B1 (ko) 2017-12-13 2017-12-13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40A KR101858070B1 (ko) 2017-12-13 2017-12-13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070B1 true KR101858070B1 (ko) 2018-05-15

Family

ID=6218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40A KR101858070B1 (ko) 2017-12-13 2017-12-13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454A (ja) * 1991-12-24 2000-01-28 General Instr Corp Of Delaware 多重チャネル画像圧縮システム用の統計的マルチプレクサ
KR20100125950A (ko) * 2009-05-22 2010-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다중 영상압축 장치 및 방법
KR101127170B1 (ko) * 2011-06-01 2012-03-20 (주)아이엔씨이앤지 방송 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전송 라우터
KR101259449B1 (ko) * 2012-01-03 2013-04-29 국방과학연구소 고속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454A (ja) * 1991-12-24 2000-01-28 General Instr Corp Of Delaware 多重チャネル画像圧縮システム用の統計的マルチプレクサ
KR20100125950A (ko) * 2009-05-22 2010-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다중 영상압축 장치 및 방법
KR101127170B1 (ko) * 2011-06-01 2012-03-20 (주)아이엔씨이앤지 방송 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전송 라우터
KR101259449B1 (ko) * 2012-01-03 2013-04-29 국방과학연구소 고속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848B2 (en) Video play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6238318B2 (ja) ビデオランダムアクセスを簡素化する制約及びユニットタイプ
KR1018104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비디오 스트리밍
CA2965484C (en) Adaptive bitrate streaming latency reduction
TWI571113B (zh) 視訊位元流中之隨機存取
US2019018428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video frames from a video stream to a display and corresponding apparatus
JP2019195203A (ja) 従属ランダムアクセスポイントピクチャ
KR20170065568A (ko) 샘플 메타데이터와 미디어 샘플들의 결합
US20200296470A1 (en) Video playback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382809B2 (en) Method and decoder for decoding a video bitstream using information in an SEI message
US2014029408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6311508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とその送信側装置及び受信側装置
US1001539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2995596B (zh) 全景视频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2147107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転送方法
KR101858070B1 (ko) 다중포맷-다중타겟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US20210400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playing video content
WO2016032383A1 (en)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US20050068976A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JP5672320B2 (ja) デコーダ装置
US1130394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9100106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30154977A (ko) 스택화 속성들을 갖는 프리롤들, 미드롤들 및 엔드롤들을 지원하는 mpeg dash를 위한 보조 mpd들
JP2012039247A (ja) 映像音声再生装置、および映像音声再生方法
JP2010141585A (ja) 画像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