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709B1 -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 Google Patents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709B1
KR101857709B1 KR1020170009560A KR20170009560A KR101857709B1 KR 101857709 B1 KR101857709 B1 KR 101857709B1 KR 1020170009560 A KR1020170009560 A KR 1020170009560A KR 20170009560 A KR20170009560 A KR 20170009560A KR 101857709 B1 KR101857709 B1 KR 10185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scrap
punch
head
piercing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주)세원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물산 filed Critical (주)세원물산
Priority to KR102017000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물에 대한 피어싱 가공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가공물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펀치;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Piercing device}
본 발명은,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어싱(piercing)은 구멍이 없는 재료, 즉 플레이트(plate) 타입의 가공물에 펀치(punch)를 때려 박아 구멍을 뚫는 가공 작업이다. 경우에 따라 작은 구멍에 펀치를 압입하여 구멍을 넓히는 가공 역시, 피어싱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피어싱 가공은 피어싱 장치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피어싱 장치는 통상적으로 프레스에 의한 펀치의 가압 방식으로 진행되며,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1359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5-001726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7-00218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0299호 등과 같이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피어싱 가공의 경우, 피어싱 다이 상에 가공물을 로딩시킨 후, 피어싱 다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피어싱 펀치를 가공물로 하강 가압(타발)시켜 가공물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을 취한다.
다시 말해, 피어싱 가공은 금형 상형에 부착되는 피어싱 펀치가 슬라이드 하강에 따라 가공물에 구멍을 뚫고 이후 슬라이드 상승에 따라 피어싱 펀치가 구멍을 빠져나갈 때, 가공물의 스크랩이 바닥으로 추출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초고강도강(590~1470MPa) 또는 핫 스탬핑(Hot Stamping)의 경우, 가공물로서 판재의 인장강도가 높아 타발 시 높은 하중이 필요한데, 특히 인장강도 1470MPa을 갖는 초고강도강 냉연강판의 경우에는 항복강도가 높아 프레스 성형 후 스프링백(Springback)에 의한 형상 변화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백에 의한 형상 변화는 피어싱 가공에서 타발 후 슬라이드 상승 시 피어싱 펀치와 가공물(강판)과의 간섭에 의한 펀치의 편심 또는 하중이 부가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하중이 상대적으로 약한 피어싱 펀치의 용접부에 집중됨에 따라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타빌 작업 후 피어싱된 부분의 버(Burr)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여 하중이 부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1359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5-001726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7-00218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02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공물에 대한 피어싱 가공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가공물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펀치;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은 고분자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은, 링(ring) 형상을 갖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의 제1 경사면에 일정 부분 경사지게 맞물리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에는 다수의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는, 다이 테이블; 상기 다이 테이블 상에 마련되되 상기 피어싱 펀치를 통한 피어싱 가공 시 스크랩(Scrap)이 가공물에서 분리될 수 있게 스크랩 분리공간을 구비하는 피어싱 다이; 및 상기 피어싱 다이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스크랩이 상기 가공물에서 분리되어 낙하되지 않고 상기 피어싱 펀치를 따라 딸려 올라가는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랩 역류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역류 방지부는 상기 스크랩 분리공간에 이웃되게 상기 피어싱 다이의 내벽에 도포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이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가 형상 변형되어 걸림턱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랩 역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피어싱 장치를 통한 피어싱 가공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적용되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펀치 영역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피어싱 장치를 통한 피어싱 가공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장치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 피어싱 펀치(150), 슬라이드(160), 그리고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는 가공물에 대한 피어싱 가공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는 다이 테이블(120), 피어싱 다이(130), 그리고 스크랩 역류 방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6처럼 피어싱 가공 후 발생되는 스크랩이 딸려 올라가는 이른 바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가 적용되면 딸려 올라오는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다이 테이블(120)은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의 외관을 이룬다. 피어싱 가공에 필요한 여러 장치 등이 다이 테이블(120)에 탑재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했다.
피어싱 다이(130)는 다이 테이블(1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가공물이 놓여 피어싱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피어싱 다이(130)는 다이 테이블(120) 상에 마련되되 피어싱 펀치(150)를 통한 피어싱 가공 시 스크랩(Scrap)이 가공물에서 분리될 수 있게 스크랩 분리공간(131)을 포함한다. 스크랩 분리공간(131)은 피어싱 펀치(150)의 축부(153)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스크랩 분리공간(131)과 피어싱 펀치(150)의 축부(153)의 사이즈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마찰력이 높아질 수 있는데, 특히, 가공물의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스크랩 타발 표면에 버(Burr)가 다량 발생되어 피어싱 펀치(150)의 축부(153)와의 마찰에 의해 스크랩이 가공물에서 분리되어 낙하되지 못하고 역류되는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에 스크랩 역류 방지부(140)가 적용된다.
스크랩 역류 방지부(140)는 피어싱 다이(130)의 내벽에 마련되며, 피어싱 가공 시 스크랩이 가공물에서 분리되어 낙하되지 않고 피어싱 펀치(150)를 따라 딸려 올라가는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랩 역류 방지부(140)는 스크랩 분리공간(131)에 이웃되게 피어싱 다이(130)의 내벽에 도포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로 적용된다.
고무 원액을 해당 위치에 도포해서 건조시킴으로서 일정 두께의 막 형상의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스크랩 역류 현상의 발생을 저지시킨다. 즉 피어싱 가공 시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형상 변형되어 걸림턱(141)을 이루게 됨으로써 스크랩 역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피어싱 펀치(150)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와 상호 작용하여 가공물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어싱 펀치(150)가 승하강되어야 하기 때문에 피어싱 펀치(150)에 승하강 구동수단이 연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했다. 피어싱 펀치(150)는 머리부(151)와 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상에는 슬라이드(160)가 배치된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공물이 초고강도강(590~1470MPa) 또는 핫 스탬핑(Hot Stamping)의 판재인 경우, 그 인장강도가 높아 타발 시 높은 하중이 필요한데, 특히 인장강도 1470MPa을 갖는 초고강도강 냉연강판의 경우에는 항복강도가 높아 프레스 성형 후 스프링백(Springback)에 의한 형상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백에 의한 형상 변화는 피어싱 가공에서 타발 후 슬라이드(160) 상승 시 피어싱 펀치(150)와 가공물(강판)과의 간섭에 의한 피어싱 펀치(150)의 편심 또는 하중이 부가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하중이 상대적으로 약한 피어싱 펀치(150)의 용접부에 집중됨에 따라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에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에서 파손이 발생되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이 떨어져 수시로 장비를 유지보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저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이 담당한다.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은 슬라이드(160)와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사이의 공간부(165)에 배치되며, 피어싱 가공 시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은 링(ring) 형상을 갖는 모듈 바디(171)와, 모듈 바디(171)의 내면에 형성되되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의 제1 경사면(152)에 일정 부분 경사지게 맞물리는 제2 경사면(172)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은 고분자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이 공간부(165)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경사면(152,172)이 경사 맞물림에 따라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을 통해 하중분산이 일어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피어싱 가공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우선, 도 2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도 3처럼 가공물이 스크랩 역류 방지용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110)의 피어싱 다이(130) 상에 로딩된다. 그리고는 도 4처럼 피어싱 펀치(150)가 하강 가압되면서 가공물을 타발시킨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처럼 가공물이 천공되면서 스크랩이 가공물에서 분리된다. 이때, 피어싱 다이(130)의 내벽에 스크랩 역류 방지부(140)로서의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는 수축된다.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되기 때문에 스크랩이 지나가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으며, 구멍에도 변화가 없다.
피어싱 가공 직후 피어싱 펀치(150)가 다시 상승될 때는 도 6처럼 수축되었던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140)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걸림턱(141)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자연스러운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턱(141)이 형성되고 걸림턱(141)에 스크랩이 걸리는 형태가 됨에 따라 스크랩의 간섭을 유도하여 스크랩이 피어싱 펀치(150)를 통해 피어싱 다이(130)의 상부로 딸려 올라가는 현상, 즉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와 달리,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이 적용되고 이러한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170)이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와 제1 및 제2 경사면(152,172)으로 경사 맞물림되면서 하중분산을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에 적용되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역시, 피어싱 다이(230)와 피어싱 펀치(15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피어싱 가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피어싱 다이(230)에 스크랩 역류 방지부(240)가 마련되어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랩 역류 방지부(240)는 피어싱 다이(2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부(231)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 걸림부(241)와, 삽입 걸림부(241)와 연결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 몸체(242)와, 스크랩 역류 방지 몸체(242)의 단부에 도포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스크랩 역류 방지부(240)가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343)를 구비하는 별개의 구조물로 적용되고, 스크랩 역류 방지부(240)가 피어싱 다이(230)의 일측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할 경우,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243)가 소진된 때,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역시, 착탈식 스크랩 역류 방지부(3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랩 역류 방지부(340)는 피어싱 다이(3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31)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 걸림부(341)와, 삽입 걸림부(341)와 연결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 몸체(342)와, 스크랩 역류 방지 몸체(342)의 단부에 도포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걸림홈부(331)와 삽입 걸림부(341)가 접하는 부분에는 나사부(331a,3451a)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331a,3451a)는 큰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랩 역류 방지부(34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역시, 피어싱 다이(430)와 피어싱 펀치(45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피어싱 가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피어싱 다이(430)에 스크랩 역류 방지부(440)가 마련되어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위의 구성들 외에도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 알림 유닛(460), 도포 유닛(470), 건조 유닛(480), 그리고 컨트롤러(490)를 포함한다.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는 스크랩 역류 방지부(440)의 두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스크랩 역류 방지부(440)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440)로 적용된다.
알림 유닛(460)은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440)가 해당 위치에서 전부 소진되어 떨어져 나갔거나 혹은 너무 두껍게 도포되거나 하는 등의 오류 발생 시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알림 유닛(460)은 램프나 부저일 수 있다.
도포 유닛(470)은 피어싱 다이(130)에 형성되는 홀(hole, 471)에 마련되며, 스크랩 역류 방지부(44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무 재료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 유닛(480)은 스크랩 역류 방지부(440)에 이웃한 위치의 피어싱 다이(430)에 마련되는 일종의 히터이다. 즉 도포 유닛(470)에 의해 도포되는 고무 재료를 가열해서 공정에서 요구되는 수준으로 건조되게 한다.
컨트롤러(490)는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유닛(460), 도포 유닛(470) 및 건조 유닛(48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440)가 해당 위치에서 전부 소진되어 떨어져 나간 경우, 부저를 통해 이러한 사항을 외부로 알린 후, 도포 유닛(470)을 통해 고무 재료가 해당 위치에 도포되도록 한 다음, 건조 유닛(480)을 통해 고무 재료가 건조되도록 이들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490)는 중앙처리장치(491, CPU), 메모리(4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4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91)는 본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유닛(460), 도포 유닛(470) 및 건조 유닛(48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4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491)와 연결된다. 메모리(4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4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4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4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90)는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유닛(460), 도포 유닛(470) 및 건조 유닛(48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490)가 역류 방지부 감지기(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유닛(460), 도포 유닛(470) 및 건조 유닛(48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4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4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 펀치 영역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피어싱 장치에도 머리부(151)와 축부(153)를 구비하는 피어싱 펀치(150)와,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영역에 결합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570)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570)은 링(ring) 형상을 갖는 모듈 바디(571)와, 모듈 바디(571)의 내면에 형성되되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의 제1 경사면(152)에 일정 부분 경사지게 맞물리는 제2 경사면(5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570)을 이루는 제2 경사면(572)에는 다수의 단턱부(573)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단턱부(573)에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가 지지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사이즈가 상이한 피어싱 펀치(미도시)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피어싱 펀치(150)의 머리부(151)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15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120 : 다이 테이블
130 : 피어싱 다이 131 : 스크랩 분리공간
140 : 스크랩 역류 방지부 141 : 걸림턱
150 : 피어싱 펀치 151 : 머리부
152 : 제1 경사면 153 : 축부
160 : 슬라이드 165 : 공간부
170 :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 171 : 모듈 바디
172 : 제2 경사면

Claims (5)

  1. 가공물에 대한 피어싱 가공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가공물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펀치;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는,
    다이 테이블;
    상기 다이 테이블 상에 마련되되 상기 피어싱 펀치를 통한 피어싱 가공 시 스크랩(Scrap)이 가공물에서 분리될 수 있게 스크랩 분리공간을 구비하는 피어싱 다이; 및
    상기 피어싱 다이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스크랩이 상기 가공물에서 분리되어 낙하되지 않고 상기 피어싱 펀치를 따라 딸려 올라가는 스크랩 역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랩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랩 역류 방지부는 상기 스크랩 분리공간에 이웃되게 상기 피어싱 다이의 내벽에 도포되는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이며,
    상기 피어싱 가공 시 상기 스크랩 역류 방지용 고무재가 형상 변형되어 걸림턱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랩 역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은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은,
    링(ring) 형상을 갖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의 제1 경사면에 일정 부분 경사지게 맞물리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에는 다수의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09560A 2017-01-20 2017-01-20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KR10185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60A KR101857709B1 (ko) 2017-01-20 2017-01-20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60A KR101857709B1 (ko) 2017-01-20 2017-01-20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709B1 true KR101857709B1 (ko) 2018-05-14

Family

ID=6218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560A KR101857709B1 (ko) 2017-01-20 2017-01-20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21Y1 (ko) * 2005-02-23 2005-05-10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프레스용 펀치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21Y1 (ko) * 2005-02-23 2005-05-10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프레스용 펀치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23B1 (ko) 프레스 금형장치
US7000446B2 (en) Stamping press having four in one guide pin assembly
US9789529B2 (en) Stamping slug retention recess and method
CN204700163U (zh) 一种自动挡料冲孔落料级进模
KR101857710B1 (ko) 스크랩 역류 방지용 피어싱 다이 어셈블리
KR101857709B1 (ko) 피어싱 펀치의 머리부 파손 방지모듈을 구비하는 피어싱 장치
KR20150102366A (ko) 프레스 금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단 방법
EP2209571B1 (en) Gas-operated integrated punching device with plate presser
US9233407B2 (en) Multipunch with axial retainer for securing multiple dies or strippers
KR20140114591A (ko) 프레스 금형
CN106001238A (zh) 一种自动定位冲料模
KR102446928B1 (ko) 이차 전지용 케이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761568B1 (ko) 초고강도강 성형용 금형 주물구조
CN202079639U (zh) 分步冲裁的台阶式多冲头冲裁模具
CN204584006U (zh) 带凸缘筒形件底面大孔冲模
US11638947B2 (en) Mold for press brake
KR20170140046A (ko) 천공작업 예방장치 및 시스템
CN214442252U (zh) 一种高寿命五金产品冲孔装置
KR20180135539A (ko) 사각 파이프 피어싱 금형
CN103846339A (zh) 一种冲压模具
JP2008080350A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そ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並びに薄板金属の孔明け方法
CN206028492U (zh) 一种离合器压盖窗口压角模
CN218891073U (zh) 一种冲孔机
KR101473620B1 (ko) 프레스압이 반감되도록 패턴이 형성된 콤펙트한 박판금형
KR100369182B1 (ko) 피어싱 프레스 장치의 스크랩 취출용 다이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