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44B1 -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44B1
KR101857244B1 KR1020170091165A KR20170091165A KR101857244B1 KR 101857244 B1 KR101857244 B1 KR 101857244B1 KR 1020170091165 A KR1020170091165 A KR 1020170091165A KR 20170091165 A KR20170091165 A KR 20170091165A KR 101857244 B1 KR101857244 B1 KR 10185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ock
height
gap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7009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제1금형에 원목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거치홀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성형홀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의 간격으로 절단날을 통과시켜 절단공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이격구동부를 작동시켜 원목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중앙부재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돌출부 및 연결홈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마감부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감부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전도부재가 혼합된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다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상기 연결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재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에 'ㄴ' 모양의 상기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ㄱ'모양의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중앙부재와 저면부재 사이의 간격에 완충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상면부재, 상기 중앙부재 및 상기 저면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저면부재에는 바닥재와 건물의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저면부재에 구비되는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슬래브에 직립되는 승강블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바닥재와 상기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승강구동부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재의 높이가 유지되게 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FLOORING WITH CONTROLING FUNCTION FOR HEIGH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로 절단되는 원목들 사이에 접착역할과 완충역할을 동시에 행하는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복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바닥재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바닥재 또는 길게 형성되는 바닥재의 높이를 동시에 승강시키면서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 시공된 콘크리트면 등을 커버, 장식하고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전체적으로 자연스런 나무 질감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마루 바닥재를 시공하고 있다.
합판 제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원목의 활용도를 높이고, 물성이 우수한 합판 등이 많이 제공되고 있고, 합판은 원목을 가공함에 있어 원목으로부터 각목이나 판재를 직접 절단하지 아니하고, 원목을 둥글게 깎아내어 얇게 형성된 나무 박판을 재단하여 그 결이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방법으로 적층하고, 접착제 등으로 서로의 박판을 고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체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합판은 결을 갖는 나무판재에 비해 일정한 결의 방향이 있지 않아 뒤틀림 등이 거의 없으며, 모든 방향으로 내인성 등이 향상되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된 합판은 그 가공 특성상 나무 본연의 결 등 무늬가 없어 장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합판을 사용하여 마루바닥 등의 바닥재나 기타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를 다시 무늬목 등으로 표면을 장식하고, 그 표면을 수지도료로 코팅 처리하여 내수성 및 긁힘 현상 등에 대하여 내성이 부여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내 마루 바닥재를 제조하는 일례로, 합판의 상면에 무늬목 단판을 요소수지로 접착하여 마루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외관 효과의 향상을 위해 무늬목의 표면을 브러시 등으로 갈아낸 후 착색 및 표면처리로 외관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조 방법은 제조 공법이 복잡하여 결국 제조단가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무늬목의 두께를 원하는 얇은 두께로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내수 및 내열성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무늬목을 사용한 마루 바닥재는 사용 시에 변색, 긁힘, 수분에 의한 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루 바닥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MDF, HDF 또는 합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의 상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적층되며, 표면에 목 무늬, 다양한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엠보가 구비되는 표면층과, 엠보 내에 메움 처리하여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1277호(2014년 07월 2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마루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완충작용을 행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층간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다수 개의 바닥재를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되는 경우에는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 간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마루 바닥재는, 슬래브와 바닥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바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체육관이나 공연장과 같이 바닥면의 높이 조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바닥재를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로 절단되는 원목들 사이에 접착역할과 완충역할을 동시에 행하는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복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바닥재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바닥재 또는 길게 형성되는 바닥재의 높이를 동시에 승강시키면서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제1금형에 원목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거치홀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성형홀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의 간격으로 절단날을 통과시켜 절단공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이격구동부를 작동시켜 원목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중앙부재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돌출부 및 연결홈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마감부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감부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전도부재가 혼합된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다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상기 연결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재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에 'ㄴ' 모양의 상기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ㄱ'모양의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중앙부재와 저면부재 사이의 간격에 완충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상면부재, 상기 중앙부재 및 상기 저면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저면부재에는 바닥재와 건물의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저면부재에 구비되는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슬래브에 직립되는 승강블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바닥재와 상기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승강구동부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재의 높이가 유지되게 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블록은, 둘레면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블록; 상기 출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어 걸림홈부와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출몰블록과 상기 승강블록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출몰블록을 상기 승강블록 외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홈부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물의 슬래브에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에 제1나사산 및 제2나사산이 교호로 형성되는 구동축을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나사산에 볼트결합되도록 제1가압블록을 상기 구동축에 설치하고, 상기 제2나사산에 볼트결합되도록 제2가압블록을 상기 구동축에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에 접촉되는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승강블록을 바닥재 저면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 사이의 간격에 안착시키도록 바닥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원목을 패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부재로 절단하여 각각의 부재들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복수 개의 부재를 접착함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제공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복수 개가 연속되게 시공되는 실내에서는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제1금형과 제3금형 사이에 개재되고 원목의 중앙부재를 측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2금형이 구비되므로 바닥재의 중앙부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돌출부 및 연결돌출부에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부를 구비하므로 다수 개의 바닥재를 연속하여 시공할 때에 바닥재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의 바닥면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높이조절부가 동시에 제어되어 바닥재 전체의 높이를 동시에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바닥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의 제2금형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의 절단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방법의 충진 양생 단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높이 조절부의 승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 설치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높이조절부의 승강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의 제2금형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의 절단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제조방법의 충진 양생 단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높이 조절부의 승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높이조절부 설치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높이조절부의 승강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안착홈부(32)가 구비되는 제1금형(30)에 원목부재(10)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1금형(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부재(10)가 통과되는 거치홀부(52)를 구비하는 제2금형(50)을 상승시켜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제2금형(50)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부재(10)가 통과되는 성형홀부(72)를 구비하는 제3금형(70)을 상승시켜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의 간격, 및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의 간격으로 절단와이어(92d, 94d)를 통과시켜 절단공정을 행하는 단계와, 제2금형(5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이격구동부(80)를 작동시켜 원목부재(10)가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중앙부재(16)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돌출부(22) 및 연결홈부(24)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1금형(30), 제2금형(50) 및 제3금형(70)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제2금형(50)으로부터 간격부재(50a)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간격부재(50a)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전도부재(26)가 혼합된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육면체 모양으로 절단된 원목부재(10)를 제1금형(30), 제2금형(50) 및 제3금형(7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에 승강구동부(86)를 작동시켜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이후에, 절단부(90)를 구동시켜 제1절단와이어(92d)가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원목부재(10)를 절단하고, 제2절단와이어(94d)가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원복부재(10)를 절단하여 3층의 원목부재(10)가 상면부재(12), 저면부재(14) 및 중앙부재(16)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제조방법은, 금형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의 금형장치는, 안착홈부(32)가 형성되는 제1금형(30)과, 안착홈부(32)에 대향되는 거치홀부(52)를 구비하고 제1금형(3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금형(50)과, 거치홀부(52)에 대향되는 성형홀부(72)를 구비하고, 제2금형(50)에 안착되는 제3금형(70)과, 성형홀부(72)를 폐쇄하도록 제3금형(70) 상면에 안착되는 마감블록(74)과, 제2금형(50) 또는 제3금형(7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86)와, 제2금형(50)을 제1금형(30) 및 제3금형(7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이격구동부(80)와, 원목부재(10)를 절단하는 절단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착홈부(32), 거치홀부(52) 및 성형홀부(72)에 의해 이루어지는 홀부에 원목부재(10)를 삽입하고, 승강구동부(86)를 작동시켜 제2금형(50) 및 제3금형(70)을 일정량 상승시켜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이후에, 절단부(90)를 구동시켜 원목부재(10)는 상면부재(12), 중앙부재(16) 및 저면부재(14)로 절단시킨 후에 중앙부재(16)를 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연결돌출부(22) 및 연결홈부(24)를 형성한 후에 중앙부재(16)의 상면 및 저면에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켜 완충부재(20)를 형성한다.
절단단계는, 제1금형(30)과 제1승강실린더(86a) 사이에 제1금형(30)의 양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92b)과, 제1가이드레일(92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블록(92a)과, 제1이동블록(92a)에 설치되는 제1모터(92c)와, 한 쌍의 제1모터(92c)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기어부재(96)에 권취되고, 제1금형(30)과 제2금형(7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원목부재(10)를 절단하는 제1절단와이어(92d)를 포함하는 제1절단부(92)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절단단계는, 제1승강실린더(86a)와 제2승강실린더(86b)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94b)과, 제2가이드레일(94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블록(94a)과, 제2이동블록(94a)에 설치되는 제2모터(94c)와, 한 쌍의 제2모터(94c)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기어부재(96)에 권취되고, 제2금형(50)과 제3금형(7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원목부재(10)를 절단하는 제2절단와이어(94d)를 포함한다.
제1이동블록(92a)과 제2이동블록(94a)에는, 제1가이드레일(92b)과 제2가이드레일(94b)에 설치되는 랙부재(97)에 기어연결되는 피니언(98)이 설치되고, 제1모터(92c) 및 제2모터(94c)의 동력은 기어부재(96)에 전달됨과 동시에 피니언(98)에 전달되어 제1이동블록(92a) 및 제2이동블록(94a)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속도로 이동되면서 원목부재(10)를 절단하게 된다.
또한, 제2금형(50)의 상면 및 저면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되는 간격부재(50a)가 구비되므로 제1금형(50)과 제2금형(7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때에는 거치홀부(52)의 저면으로부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부재(50a)가 제1금형(30)과 제2금형(5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게 된다.
간격부재(50a) 일측에는 우레탄발포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관이 삽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므로 상면부재(12), 중앙부재(16) 및 저면부재(14) 사이에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켜 완충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홀부에 의해 금형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에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200메시 이하의 굵기로 형성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재와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재의 열전도율이 높아지게 되면 난방작동을 행할 때에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열에너지가 공급되면, 전도부재(26)의 작용에 의해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보다 용이하게 전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20)를 이루는 우레탄발포수지는, 팽창되어 경화될 때에 내부에 다수 개의 기공(28)이 형성되므로 바닥재의 성면에 충격이 전달될 때에 기공(28)이 압축되면서 완충작동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제2금형(50)은, 제1금형(30)의 상면에 안착되고, 'ㄴ' 모양으로 굴곡되는 제1블록(58a)과, 제1블록(58a)과 인접하게 배치되면 중앙부에 거치홀부(52)가 형성되도록 'ㄱ' 모양으로 굴곡되는 제2블록(58b)을 포함한다.
제1블록(58a)과 제2블록(58b)은 각각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이격구동부(80)가 연결되고, 이격구동부(80)는, 제1블록(58a)의 경사면(54)에 연결되는 제1이격실린더(82)와, 제2블록(58b)의 경사면(54)에 연결되는 제2이격실린더(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이격실린더(82) 및 제2이격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1블록(58a)과 제2블록(58b)의 양단부가 밀착되면서 중앙부에 직사각 모양의 거치홀부(52)가 형성된다.
제1블록(58a)과 제2블록(58b)의 양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이격실린더(82)로부터 로드가 돌출됨과 동시에 제2이격실린더(84)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제1블록(58a)과 제2블록(58b)의 양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금형(50) 전체가 제1금형(30) 및 제3금형(7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안착홈부(32) 및 성형홀부(72)와 거치홀부(52)가 이격된다.
제2금형(50)이 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우레탄발포수지가 충진되는 작업 공간 중앙부 2개의 측면에 연결돌출부(22)를 성형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완충부재(20)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결홈부(24)가 형성된다.
제2금형(50)의 경사면(54)에는 제1이격실린더(82) 및 제2이격실린더(84)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연결되는 슬라이딩홀부(54a)가 형성되므로 제1승강실린더(86a)에 의해 제2금형(50)이 승강될 때에 제1이격실린더(82) 및 제2이격실린더(84)의 로드가 제2금형(5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바닥재는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에 'ㄴ' 모양의 연결돌출부(22)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ㄱ'모양의 연결홈부(24)가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연결홈부(24)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재의 연결홈부(24)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상면부재(12)와 중앙부재(16) 사이의 간격, 및 중앙부재(16)와 저면부재(14) 사이의 간격에 완충부재(20)가 개재되어 상면부재(12), 중앙부재(16) 및 저면부재(14)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바닥재(11)는, 긴 패널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바닥재(11)가 연속되게 배치되어 나무재질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시공된다.
이때, 작업자는 바닥재(11)의 저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100)를 조작하여 건물의 슬래브와 바닥재(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수 개의 높이조절부(10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긴 패널 모양의 바닥재(11) 저면에 설치되므로 다수 개의 높이조절부(100)를 조작하여 긴 패널 모양의 바닥재(1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승강구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높이조절부(10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수 개의 높이조절부(100)를 각각 조작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한 번의 조작에 의해 다수 개의 높이조절부(100)가 동시에 동일한 길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바닥재(11)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부(100)는, 저면부재에 구비되는 설치홀부(110)와, 설치홀부(110)에 삽입되고, 슬래브에 직립되는 승강블록(130)과, 슬래브에 설치되고, 승강블록(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바닥재(11)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구동부(170)와, 승강구동부(170)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승강구동부(170)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재(11)의 높이가 유지되게 하는 구속부(180)를 포함한다.
바닥재(11)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설치홀부(110)가 형성되고, 설치홀부(110)의 내벽에는 걸림홈부(112)가 형성되어 승강블록(130)이 설치홀부(110)에 삽입되면 승강블록(13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부재(137)가 걸림홈부(112)에 걸림결합되면서 바닥재(11)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승강블록(130)이 돌출되게 배치된다.
승강블록(130)은, 둘레면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132)과, 제1경사면(132)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블록(134)과, 출몰블록(134)에 구비되고, 설치홀부(110)에 삽입되어 걸림홈부(112)와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137)와, 출몰블록(134)과 승강블록(130) 사이에 개재되고, 출몰블록(134)을 승강블록(130) 외측으로 돌출시켜 후크부재(137)와 걸림홈부(112)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1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승강블록(130)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132)을 구비하는 역사리꼴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설치홀부(110)에 삽입될 수 있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다.
육면체의 하부 측벽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에는 힌지부(136)에 의해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출몰블록(134)이 설치되며, 출몰블록(134)의 상단에는 걸림홈부(112)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137)가 형성된다.
출몰블록(134)의 배면과 승강블록(130)의 홈부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38)가 개재되어 출몰블록(134)을 승강블록(130)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작업자가 출몰블록(134)을 승강블록(130)의 홈부 내측으로 가압하여 삽입시킨 후에 승강블록(130)의 상단부를 설치홀부(110)에 삽입하면 제1탄성부재(138)의 복원력에 의해 출몰블록(134)이 승강블록(13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걸림홈부(112)에 걸림결합된다.
출몰블록(134)과 승강블록(130)의 홈부 사이에는 출몰블록(134)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스토퍼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블록(130)에는 출몰블록(134)이 승강블록(130)의 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해제부(150)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해제부(150)를 조작하면 출몰블록(134) 및 후크부재(137)가 승강블록(130)의 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승강블록(130)의 상단부를 설치홀부(110)에 쉽게 삽입하여 걸림결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150)는, 승강블록(130)의 홈부 내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승강블록(130)의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통로부(152)와, 출몰블록(134)의 배면에 연결되어 통로부(152)를 따라 연장되고, 통로부(152)를 따라 승강블록(13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제와이어(154)와, 해제와이어(154)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15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156)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다수 개의 출몰블록(134) 배면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해제와이어(154)가 통로부(152)를 따라 당겨지게 되므로 출몰블록(134)이 승강블록(130)의 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탄성부재(138)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승강블록(130)의 상단부를 설치홀부(110)에 삽입한 후에 레버부재(156)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138)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출몰블록(134)을 승강블록(130)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후크부재(137)가 걸림홈부(112)에 걸림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재(11)의 저면에 승강블록(130)을 설치한 후에 건물의 슬래브에 승강구동부(170)를 설치하고, 승강구동부(170)에 승강블록(130)을 안착시키면 작업자가 승강구동부(170)를 조작하면서 승강블록(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바닥재(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승강구동부(170)는, 건물 슬래브에 다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1나사산(172a)과 제2나사산(172b)이 서로 교호로 형성되는 구동축(172)과, 제1나사산(172a)에 볼트결합되도록 구동축(172)에 설치되는 제1가압블록(174)과, 제1가압블록(174)과 대향되도록 제2나사산(172b)에 볼트결합되어 구동축(172)에 설치되는 제1가압블록(174)과, 승강블록(130)의 제1경사면(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고,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에 구비되는 제2경사면(177)과, 다수개의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이 슬래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슬래브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178)을 포함한다.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은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지는 제1나사산(172a)과 제2나사산(172b)에 볼트결합되므로 구동축(172)이 회전될 때에 가이드레일(178)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되는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은 가이드레일(178)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직선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은,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나사산(172a) 및 제2나사산(172b)에 볼트결합되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구동축(17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은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반대로, 구동축(17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은 서로 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은 서로 대향되는 면에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제2경사면(177)이 형성되므로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에 승강블록(130)을 안착시킨 후에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 승강블록(130)이 제2경사면(177)을 따라 하강하면서 바닥재(1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승강블록(130)에 설치되는 힌지부(136)는, 제1경사면(132)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제2경사면(177)을 따라 회전되며 승강블록(13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11)의 시공방법은, 건물의 슬래브에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178)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가이드레일(178) 사이의 간격에 제1나사산(172a) 및 제2나사산(172b)이 교호로 형성되는 구동축(172)을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제1나사산(172a)에 볼트결합되도록 제1가압블록(174)을 구동축(172)에 설치하고, 제2나사산(172b)에 볼트결합되도록 제2가압블록(176)을 구동축(172)에 설치하는 단계와,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177)에 접촉되는 제1경사면(132)을 구비하는 승강블록(130)을 바닥재(11) 저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승강블록(130)이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에 안착시키도록 바닥재(11)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구동축(172)을 회전시키면서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재(11)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1)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건물의 슬래브에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178)을 이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가이드레일(178) 사이의 간격에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이 제1나사산(172a) 및 제2나사산(172b)에 볼트결합된 조립체를 안착시켜 다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구동축(172)을 회전 가능하게 슬래브에 고정시킨다.
이후에,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11) 저면에 설치홀부(110)를 성형한 후에 승강블록(130)을 설치홀부(110)에 삽입하고, 승강블록(130)이 제1가압블록(174) 및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에 안착되게 바닥재(11)를 안착시킨다.
이후에, 승강구동부(170)를 조작하여 승강블록(130) 및 바닥재(11)를 승강시키면서 바닥재(11)의 높이를 결정하여 시공하고, 바닥재(11)의 높이가 결정되면 구속부(18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172)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바닥재(11)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구속부(180)는, 구동축(172)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축(182)과, 연장축(18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구동축(172)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연장축(182)을 구동축(172) 내측 방향으로 당기는 제2탄성부재(184)와, 연장축(182)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외벽에 편심되게 손잡이부(186a)가 설치되는 사각패널 모양의 구속패널(186)과, 구속패널(186)이 삽입되는 홀부에 사각패널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다수 개의 구속홈부(188a)가 구비되어 슬래브에 고정되는 지지패널(188)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동축(172)을 회전시킬 때에 손잡이부(186a)를 잡고 축 방향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184)가 압축되면서 연장축(182)이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속패널(186)이 지지패널(188) 외측으로 이격되어 분리되므로 작업자가 손잡이부(186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구동축(17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축(172)을 회전시키면서 승강블록(130) 및 바닥재(11)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작업자가 손잡이부(186a)를 놓으면 제2탄성부재(184)의 복원력에 의해 연장축(182)이 구동축(172) 내부로 삽입되면서 구속패널(186)이 지지패널(188)의 홀부에 삽입되고, 구속패널(186)의 모서리가 지지패널(188)의 구속홈부(188a)에 삽입되면서 구속패널(186), 연장축(182) 및 구동축(172)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가압블록(174)과 제2가압블록(176) 사이에 개재되는 승강블록(130)의 높이도 가변되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복수 개로 절단되는 원목들 사이에 접착역할과 완충역할을 동시에 행하는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복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바닥재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바닥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바닥재 또는 길게 형성되는 바닥재의 높이를 동시에 승강시키면서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원목부재 12 : 상면부재
14 : 저면부재 16 : 중앙부재
20 : 완충부재 22 : 연결돌출부
24 : 연결홈부 26 : 전도부재
28 : 기공 30 : 제1금형
32 : 안착홈부 50 : 제2금형
52 : 거치홀부 52a : 고정편
54 : 경사면 54a : 슬라이딩홀부
58a : 제1블록 58b : 제2블록
70 : 제3금형 72 : 성형홀부
74 : 마감블록 76 : 제3블록
78 : 제4블록 80 : 이격구동부
82 : 제1이격실린더 84 : 제2이격실린더
86 : 승강구동부 86a : 제1승강실린더
86b : 제1승강실린더 86b : 제2승강실린더
90 : 절단부 92 : 제1절단부
92a : 제1이동블록 92b : 제1가이드레일
92c : 제1모터 92d : 제1절단와이어
94 : 제2절단자 94a : 제2이동블록
94b : 제2가이드레일 94c : 제2모터
94d : 제2절단와이어 100 : 높이조절부
110 : 설치홀부 130 : 승강블록
150 : 해제부 170 : 승강구동부
180 : 구속부

Claims (3)

  1.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제1금형에 원목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거치홀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성형홀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의 간격으로 절단날을 통과시켜 절단공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이격구동부를 작동시켜 원목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중앙부재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돌출부 및 연결홈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마감부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감부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전도부재가 혼합된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다수 개의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상기 연결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바닥재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에 'ㄴ' 모양의 상기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ㄱ'모양의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중앙부재와 저면부재 사이의 간격에 완충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상면부재, 상기 중앙부재 및 상기 저면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저면부재에는 바닥재와 건물의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저면부재에 구비되는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슬래브에 직립되는 승강블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바닥재와 상기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승강구동부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재의 높이가 유지되게 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블록은,
    둘레면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블록;
    상기 출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어 걸림홈부와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출몰블록과 상기 승강블록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출몰블록을 상기 승강블록 외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홈부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2. 삭제
  3. (a) 건물의 슬래브에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에 제1나사산 및 제2나사산이 교호로 형성되는 구동축을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나사산에 볼트결합되도록 제1가압블록을 상기 구동축에 설치하고, 상기 제2나사산에 볼트결합되도록 제2가압블록을 상기 구동축에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에 접촉되는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승강블록을 바닥재 저면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 사이의 간격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바닥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가압블록과 상기 제2가압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는,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제1금형에 원목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거치홀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 상면에 안착되고 원목이 통과되는 성형홀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금형과 상기 제3금형 사이의 간격으로 절단날을 통과시켜 절단공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형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이격구동부를 작동시켜 원목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중앙부재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돌출부 및 연결홈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마감부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감부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전도부재가 혼합된 우레탄발포수지를 충진시키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다수 개의 상기 바닥재가 연속되게 시공될 때에 상기 연결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바닥재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직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에 'ㄴ' 모양의 상기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ㄱ'모양의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중앙부재와 저면부재 사이의 간격에 완충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상면부재, 상기 중앙부재 및 상기 저면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저면부재에는 상기 바닥재와 건물의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저면부재에 구비되는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슬래브에 직립되는 상기 승강블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상기 바닥재와 상기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승강구동부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바닥재의 높이가 유지되게 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블록은,
    둘레면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블록;
    상기 출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어 걸림홈부와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출몰블록과 상기 승강블록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출몰블록을 상기 승강블록 외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홈부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0170091165A 2017-07-18 2017-07-18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65A KR101857244B1 (ko) 2017-07-18 2017-07-18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65A KR101857244B1 (ko) 2017-07-18 2017-07-18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44B1 true KR101857244B1 (ko) 2018-05-11

Family

ID=6218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65A KR101857244B1 (ko) 2017-07-18 2017-07-18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2707B (zh) * 2020-11-03 2021-07-01 惠亞工程股份有限公司 用於製作高架地板的模具及製作高架地板的方法
KR102576184B1 (ko) * 2023-01-26 2023-09-08 동양철관 주식회사 각형 강관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518B1 (ko) * 2016-11-30 2017-05-22 송치승 원목을 이용하는 바닥재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518B1 (ko) * 2016-11-30 2017-05-22 송치승 원목을 이용하는 바닥재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2707B (zh) * 2020-11-03 2021-07-01 惠亞工程股份有限公司 用於製作高架地板的模具及製作高架地板的方法
KR102576184B1 (ko) * 2023-01-26 2023-09-08 동양철관 주식회사 각형 강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068B2 (en) Mobile partitioning wall
DK2744657T3 (en) Elastic multi-layer floor panel and reinforced PVC core
KR10185724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US9657512B2 (en) Reverse molded plant-on panel component,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decorating a door therewith
JP3180065B2 (ja) 床材及びこの床材を用いた床張り施工方法
KR101165107B1 (ko) 세미 현가식 마루
US8011165B2 (en) Composite assembly with saturated bonding mass and process of reinforced attachment
EP3686372A1 (e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nels
US20100115870A1 (en) Break-away multi-purpose flooring transition
EP1898025B9 (de) Paneel mit Trittschall- und mit Raumschall-Dämmung, Belag aus Paneelen, schallmindernde Beschicht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orrichtung hierzu
EP2895667A1 (en) Panel
WO2009085684A1 (en) Dual-edge irregular bevel-cut system and method
WO2020161609A1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68469A1 (en) Underlay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BE1020576A3 (nl)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US7426806B2 (en) Reverse molded panel, method of manufacture, and door manufactured therefrom
KR101738518B1 (ko) 원목을 이용하는 바닥재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
DE102010018452A1 (de) Flächige Bauteile zur Herstellung eines Belags sowie Bela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lags
KR10142975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737101B1 (ko)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KR101985517B1 (ko)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KR101793210B1 (ko) 합판을 이용하는 바닥재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
KR101744948B1 (ko) 건축물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EP1038661A1 (en) Underfloor foil, method for realizing such underfloor foil, and device applying such method
JP7122626B2 (ja) 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