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180B1 -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180B1
KR101857180B1 KR1020170137356A KR20170137356A KR101857180B1 KR 101857180 B1 KR101857180 B1 KR 101857180B1 KR 1020170137356 A KR1020170137356 A KR 1020170137356A KR 20170137356 A KR20170137356 A KR 20170137356A KR 101857180 B1 KR101857180 B1 KR 10185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el
stopper
reel stopper
locker
guid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중 김
Original Assignee
삼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용접용 와이어(wire)가 감긴 와이어릴(wire reel)이 허브(hu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는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대에 제1절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에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허브캡;
상기 가이드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로킹홈;
상기 로킹홈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로커가 임의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커 위쪽에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릴 스토퍼;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가 방향전환하여 상기 제1절개부 또는 제2절개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커가 상기 로킹홈에 로킹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a stopper for welding wire reel}
본 명세서는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접용 와이어(wire)가 감긴 와이어릴(wire reel)이 허브(hu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용접기는 선박을 건조 또는 수리하는 조선소 또는 중공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전원 공급장치와 가스통, 용접 토치, 연결케이블 및 와이어 피더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와이어피더(wire feeder)는 와이어를 피용접물에 공급하여 금속전극의 역할을 하게 되고, 동시에 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전원 공급장치와 가스통으로부터 전력과 이산화탄소 가스를 용접 토치로 공급하여 와이어와 피용접물이 함께 용융되어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어 피더(공개특허공보 제2001-0009468호)는,
허브 단부에 허브캡이 결합되고, 허브캡에는 허브 외경에 결합된 용접 와이어가 감긴 용접용 와이어릴이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에 의해 허브로부터 용접용 와이어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stopper)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의 스토퍼는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 인해 스토퍼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고, 스토퍼가 하강될 경우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은 어려움없이 쉽게 회동될 수 있다. 즉 스토퍼의 잠금이 쉽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허브 외경에 결합된 용접용 와이어릴이 허브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09468호에 와이어 피더가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허브 단부에 결합되어 허브로부터 와이어릴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로킹이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 등으로 인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구조 간단화로 인해 이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스토퍼의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이 확실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대에 제1절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에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허브캡;
상기 가이드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로킹홈;
상기 로킹홈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로커가 임의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커 위쪽에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릴 스토퍼;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가 방향전환하여 상기 제1절개부 또는 제2절개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커가 상기 로킹홈에 로킹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허브 단부에 결합되어 허브로부터 와이어릴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로킹이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 등으로 인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구조 간단화로 인해 스토퍼의 로킹 및 언로킹이 확실하게 작동되므로 허브로부터 와이어릴 이탈로 인한 2차 안전사고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에서, 스토퍼 회동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에서, 스토퍼의 로킹 해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b,c)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에서, 스토퍼의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논슬립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는
일측에 나사부(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대(11)에 제1절개부(12)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12)에 연통되는 제2절개부(13)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허브캡(hub cap)(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대(11)의 제2절개부(13) 내측면에는 로킹홈(15)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킹홈(15)에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되는 로커(16)(locker)와 상기 로커(16) 위쪽에 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17)(slot) 및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를 갖는 와이어릴 스토퍼(18)(wire reel stopper)가 구성되며, 상기 로커(16)는 상기 슬롯(17)과 상기 손잡이(21) 상이에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는,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19a)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대(11)의 나사공(2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대(11)에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18)가 방향전환하여 제1절개부(12) 또는 제2절개부(1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18)를 가이드대(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19)(일 예로서, L-렌찌 볼트가 사용될 수 있음)와;
상기 체결부재(19)의 헤드부(19a)와 상기 로커(16)의 배면 사이에 설치하여상기 로커(16)가 상기 로킹홈(15)에 초기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18)를 가이드대(11)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0)(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a)에서와 같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 표면에 논슬립용 너얼링(22)(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체결부재(19)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제1절개부(12) 또는 제2절개부(13)를 따라 이동시킬 경우 논슬립용 너얼링(22)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 표면에 논슬립용 엠보싱(23)가 형성될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체결부재(19)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제1절개부(12) 또는 제2절개부(13)를 따라 이동시킬 경우 논슬립용 엠보싱(23)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서와 같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에 논슬립용 웨이브(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릴 스토퍼(18)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체결부재(19)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제1절개부(12) 또는 제2절개부(13)를 따라 이동시킬 경우 논슬립용 웨이브(24)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6은 와셔이고, A는 용접용 와이어(b)가 감기고 허브(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릴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용접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피더(도면부호 미 표기)를 이루는 허브(c) 외주연에 와이어릴(A)을 결합한 후, 허브(c)의 나사공(a)에 이와 대응되게 허브캡(14)에 형성된 나사부(10)를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허브캡(14)에 형성된 가이드대(11)에 체결부재(19)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릴 스토퍼(18)에 의해 와이어릴(A)이 허브(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릴 스토퍼(18)의 길이(L)가 허브(c)의 외경(d)보다 크게 되므로(L 〉d), 와이어릴 스토퍼(18)가 가이드대(11)의 제1절개부(12)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때, 로커(16)가 가이드대(11)의 제2절개부(13)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로킹홈(15)과 결합하여 로킹결합상태(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와이어릴 스토퍼(18)와, 도 4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로 유지되고, 와이어릴(A)이 와이어릴 스토퍼(18)에 의해 허브(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0)가 체결부재(19)의 헤드부(19a)에 지지된 상태에서 로커(16)의 배면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커(16)는 상기 가이드(11)의 제2절개부(13)의 로킹홈(15) 내부에서 초기상태의 로킹결합을 유지하게 되는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는 외부 충격 또는 로킹결합상태에서 흔들림이 가해질 경우에도 허브캡(14)에 대한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킹은 해제되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허브(c)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릴(A)로부터 풀려나가는 와이어(b)를 피용접물의 용접부위에 공급시키고, 가스통(미 도시됨)으로부터 토출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용접토치로 공급하여 피용접물을 와이어와 함께 용융시켜 용접할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 가스 및 와이어에 의해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와이어릴(A)에 감긴 와이어(b)가 소진되어 와이어릴(A)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즉, 와이어릴 스토퍼(18)의 하단에 형성된 손잡이(21)를 파지하여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이때 탄성부재(20)는 압축력을 받게 됨), 와이어릴 스토퍼(18)에 형성된 로커(16)가 비로소 가이드대(11) 내측면에 형성된 로킹홈(15)으로부터 이탈된다(도 4의 두 번째 도면 참조). 즉, 탄성부재(20)의 탄성 및 로킹결합력을 초과하는 외력으로서 손잡이에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만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킹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1)를 파지할 경우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18a)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허브캡(14)의 가이드대(11)에 대한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킹이 해제된다.
도 4의 세 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로킹이 해제된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이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와이어릴 스토퍼(18)는 슬롯(17)에 의해 가이드대(11)의 제2절개부(1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되며, 슬롯(17)의 상단이 체결부재(19)에 걸릴 경우 와이어릴 스토퍼(18)는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된다.
도 2b 및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이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체결부재(19)를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와이어릴 스토퍼(18)의 상면이 가이드대(11)의 제2절개부(13)의 개구부(13a) 상단에 밀착되므로 와이어릴 스토퍼(18)는 수평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릴 스토퍼(18)를 이의 손잡이(21)를 파지하여 가이드대(11)의 제2절개부(13)를 따라 허브캡(14)쪽으로 밀어넣을 경우, 슬롯(17)의 우측단(로커(16)에 가까운 쪽을 말함)이 체결부재(19)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고, 와이어릴 스토퍼(18)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와이어릴 스토퍼(18)의 양단이 허브캡(14) 외경 안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와이어릴(A)을 허브(c) 외주연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와이어릴 스토퍼(18)의 간섭을 받지않게 된다.
따라서, 허브(c)로부터 와이어릴(A)을 분리시킨 후 와이어(b)가 감긴 새로운 와이어릴(A)을 허브(c)에 교체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용접용 와이어(b)가 감긴 와이어릴(A)을 허브(c)에 결합시키되, 허브(c)에 결합되는 허브캡(1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와이어릴 스토퍼(18)를 탄성지지한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는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이 와이어릴 스토퍼(18)에 가해질 경우, 허브캡(14)의 가이드대(11)에 형성된 로킹홈(15)에 로킹된 와이어릴 스토퍼(18)의 로커(16)의 로킹이 유지됨에 따라 허브(c)로부터 와이어릴(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나사부
11; 가이드대
12; 제1절개부
13; 제2절개부
14; 허브캡(hub cap)
15; 로킹홈
16; 로커
17; 슬롯(slot)
18; 와이어릴 스토퍼
19; 체결부재
20; 탄성부재
21; 손잡이
22; 논슬립용 너얼링
23; 논슬립용 엠보싱
24; 논슬립용 웨이브
25; 나사공

Claims (4)

  1.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대에 제1절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에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허브캡;
    상기 가이드대의 제2절개부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로킹홈;
    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슬롯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로커를 구비하는 와이어릴 스토퍼;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대에 고정하되,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가 방향전환하여 상기 제1절개부 또는 제2절개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로커의 배면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로커가 상기 로킹홈에 초기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대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의 손잡이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용 너얼링(knurling);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의 손잡이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용 엠보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 스토퍼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논슬립용 웨이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KR1020170137356A 2017-10-23 2017-10-23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KR101857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56A KR101857180B1 (ko) 2017-10-23 2017-10-23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56A KR101857180B1 (ko) 2017-10-23 2017-10-23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180B1 true KR101857180B1 (ko) 2018-05-14

Family

ID=621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356A KR101857180B1 (ko) 2017-10-23 2017-10-23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1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59U (ko) * 2012-09-18 2014-03-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판계 작업용 지렛대
KR101426476B1 (ko) * 2012-10-05 2014-08-05 주식회사 한토 와이어피더의 와이어릴 스토퍼 장치
KR20150001316A (ko) * 2013-06-27 2015-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피더 스풀 이탈방지장치
KR101583299B1 (ko) * 2014-07-21 2016-01-07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용접전극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59U (ko) * 2012-09-18 2014-03-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판계 작업용 지렛대
KR101426476B1 (ko) * 2012-10-05 2014-08-05 주식회사 한토 와이어피더의 와이어릴 스토퍼 장치
KR20150001316A (ko) * 2013-06-27 2015-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피더 스풀 이탈방지장치
KR101583299B1 (ko) * 2014-07-21 2016-01-07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용접전극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968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巻き掛け操作具、ストレッチフィルム巻き掛け装置、ストレッチフィルム
US4889320A (en) Apparatus for detachably clamping, tensioning and securing ropes, cables, wires, belts or the like
US5067845A (en) Clamp-hub
KR101857180B1 (ko) 용접용 와이어릴 이탈방지장치
US6349575B1 (en) Cable lock system
US20190084138A1 (en) Auxiliary device for electric nail gun header structure
US20100031485A1 (en) Hand Tool For Engaging A Push-Lock Fitting
JP4795703B2 (ja) 吊り具
CA2977398C (en) Adjustable length robotic cable fitting
US20220402722A1 (en) Despoolers
JP2007276024A (ja)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US2598119A (en) Chuck wrench ejector
US11279600B1 (en) Switching assembly for rope-pulling equipment
JP5770226B2 (ja)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6488324B2 (ja) 接地用具
JPH0137209Y2 (ko)
JP4829493B2 (ja) 張線器
KR101921464B1 (ko) 부품 분리 장치
JP6888858B1 (ja) トンス装置
KR102543100B1 (ko) 스크류드라이버용 치구
KR200488930Y1 (ko) 용접기용 소켓단자
US4190928A (en) Apparatus for the emergency pulling of small cables on motorcycles, boats and other small machinery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KR200283409Y1 (ko) 압연롤의 줄걸이용 리프팅핀 고정장치
JP7264682B2 (ja) 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のトロリ線引き止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