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105B1 -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105B1
KR101857105B1 KR1020160087359A KR20160087359A KR101857105B1 KR 101857105 B1 KR101857105 B1 KR 101857105B1 KR 1020160087359 A KR1020160087359 A KR 1020160087359A KR 20160087359 A KR20160087359 A KR 20160087359A KR 101857105 B1 KR101857105 B1 KR 10185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power tool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686A (ko
Inventor
이종현
임용국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102016008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1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7166 priority patent/WO201801279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는 특정 전동공구에만 사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단자가 다르게 형성된 전동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전동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배터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이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과 연결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터리삽입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합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결합핀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a compatible adapter for the batterty of the electrically drive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사별로 다르게 형성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전동기를 내장하고 그 회전력을 이용해서 금속이나 목재 등을 가공하는 공구이며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전동공구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되게 된다.
배터리는 전동공구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탈부착이 간단하고 다수의 배터리가 존재하는 경우 충전기에 전동공구에 결합되지 않은 배터리는 충전시켜 교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전동공구의 배터리는 제조사에서 특정 공구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가 서로 호환되지 않아 각 전동공구에 맞는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13517호는 충전식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연결된 모터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바디부 커넥터 커버와, 커넥터 커버와 접속되는 스파이럴 케이블과, 스파이럴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식 배터리 커버 및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동공구로서, 바디부 커넥터 커버와 충전식 배터리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슬라이스 형으로 형성되고, 바디부 커넥터 커버의 상면은 바디부의 전원 공급부와 결합시,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전원공급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충전식 배터리 커버와 충전식 배터리도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끼움부와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동공구와 결합되는 커넥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충전식 배터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식 배터리를 별도로 보관한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배터리의 단자 규격이 다른 경우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고,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에도 전용 충전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1351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단자를 가진 전동공구와 배터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를 일치시켜 제조사에 관계없이 전동공구에 배터리 결합이 가능한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에 내장된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내부 저항 값을 변화시켜 배터리에서 전동공구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충전할 때 단자가 서로 다른 배터리와 충전기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사에 관계없이 충전기에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는 특정 전동공구에만 사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단자가 다르게 형성된 전동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전동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배터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이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과 연결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터리삽입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합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결합핀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상기 하우징의 단자홈과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전동공구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상기 전원공급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동공구의 규격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배터리와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의 충전핀과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상기 제어부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상기 배터리의 보호회로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단자의 저항 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호환다이얼과; 상기 호환다이얼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가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전동공구의 하면에 형성된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동공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상기 결합핀은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의 위치와 일치되면 상기 전원단자에 삽입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전도체와; 상기 전도체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체가 상기 하우징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도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체를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의하면 서로 다른 단자를 가진 전동공구와 배터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를 일치시켜 제조사에 관계없이 전동공구에 배터리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의하면 배터리에 내장된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내부 저항 값을 변화시켜 배터리에서 전동공구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의하면 배터리를 충전할 때 단자가 서로 다른 배터리와 충전기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사에 관계없이 충전기에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배터리와 전동공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전동공구와 결합되는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단자 및 핀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핀이 내부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핀을 가압하는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해 형성된 조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와 충전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사별로 다르게 형성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배터리와 전동공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는 특정 전동공구에만 사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단자가 다르게 형성된 전동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댑터(20)는 전동공구(10)와 배터리(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특정 전동공구(10)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배터리(30)가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전동공구(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어댑터(20)의 하부에는 배터리(30)의 전원단자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댑터(20)의 상부에는 전동공구(10)의 전원공급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단자 또는 핀에 대응하도록 어댑터(20)에 결합핀(도시되지 않음)과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가 동일한 전동공구(10)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30)를 어댑터(20)를 통해 다른 단자가 형성된 전동공구(10)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동공구(10)와 동일한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전동공구(10)용 배터리(30)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어댑터(20)를 통해 배터리(30)를 호환하여 충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30)를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나 전동공구(10)의 단자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어댑터(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전동공구와 결합되는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는 상부는 전동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배터리삽입홈(140)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과,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하우징(100)의 단자홈(120) 내측에 형성되어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접촉단자(200)와, 하우징(100)의 배터리삽입홈(140)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합핀(30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접촉단자(200)와 결합핀(300)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전동공구가 결합되면 전동공구가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공구삽입홈(130)이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 상부 타측에 "┙"자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공구삽입홈(13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은 "┑"자, 상부 타측은 "┍"자 형태로 단차가 발생하게 되며, 전동공구가 공구삽입홈(130)에 삽입되면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에 걸리게 되어 전동공구를 하우징(100)의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리더라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구삽입홈(130)은 하우징(100)의 후면에서부터 전면을 향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전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동공구를 하우징(10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슬라이딩 시켜 결합시키고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배터리삽입홈(140)이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후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가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터리삽입홈(140)은 "T"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00)의 하부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100)의 하부 일측은 "┕"자, 하부 타측은 "┙"로 하우징(100)의 중심방향을 향해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하우징(100)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단차로 하우징(100)에 배터리가 슬라이딩되어 삽입시킬 수 있으며 삽입된 배터리가 하우징(100)의 하부 단차에 걸리게 되어 어댑터와 결합되게 되고 하우징(100)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후면 상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파여져 있는 단자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동공구가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단자홈(120)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단자홈(120)의 내측에는 접촉단자(200)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단자홈(120)에 삽입되면 접촉단자(200)가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접촉되어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접촉단자(200)는 일단이 서로 밀착되어 있고 타단은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400)의 제어회로(410)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체로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인입되면 일단이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의 두께만큼 벌어지면서 탄성력에 의해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의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결합핀(300)은 배터리삽입홈(140)이 형성된 하우징(100)의 하부 후면에서 전면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연결되게 된다.
이때 결합핀(300)은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제어회로(410)의 하부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게 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제어회로(410)를 통해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 접촉단자(20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에 형성된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는 결합되는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어야 하고, 배터리와 결합되는 결합핀(300) 또한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다른 규격으로 된 전동공구와 배터리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는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일치시키고, 결합핀(300)은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일치되도록 하여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단자(200)는 배터리와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의 충전핀(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와 규격이 다르게 형성된 전동공구용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는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의 충전핀(도시되지 않음)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를 더 포함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와 호환이 안 되는 전동공구용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동공구가 삽입되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전동공구의 하면에 형성된 홈으로 돌출되어 전동공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장치(110)는 하우징(100)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거나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탈착버튼(111)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고정장치(110)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우징(100)의 후면에서 전동공구가 삽입되면 전동공구가 고정장치(110)의 후면을 밀면서 고정장치(110)의 전면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되게 된다.
전동공구 하부면에 형성된 홈(도시되지 않음)과 일치되면 고정장치(110)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100) 상부로 돌출되어 전동공구가 하우징(100)의 후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전동공구를 하우징(100)에서 분리시킬 때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탈착버튼(111)을 가압함으로써 탈착버튼(111)이 고정장치(110)의 전면을 회전시켜 고정장치(11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전동공구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삽입홈(140) 상부에는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4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센서(420)는 배터리의 과부화를 막고 배터리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어부(400)가 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배터리의 상부에 밀착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온도센서(420)에 의해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접촉단자(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배터리의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접촉단자(200)에 전력을 공급시켜 전동공구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단자 및 핀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하우징(100)의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는 전동공구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전동공구의 규격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핀(300)은 배터리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배터리의 규격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규격이 서로 다른 전동공구와 배터리에 맞춰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가 형성되는 경우 해당 규격에 맞는 전동공구와 배터리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접촉단자(200)와 결합핀(300)을 복수 개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어댑터로 여러 개의 전동공구와 배터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여러 규격을 가진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단자홈(120)과 접촉단자(200)를 복수 개로 형성시킴으로써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복수 개로 형성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접촉단자(200)에 삽입되게 되며 다양한 규격을 가진 전동공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합핀(300) 또한 여러 규격을 가진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결합핀(300)은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없는 부위의 결합핀(300)은 배터리에 의해 하우징(100) 내측으로 밀려 삽입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가진 배터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핀이 내부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핀을 가압하는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결합핀(300)은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와 일치되면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전도체(310)와, 전도체(310)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00) 내부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전도체(310)가 하우징(10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이송대(320)와, 이송대(320)와 결합되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어 전도체(31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도체(310)를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체(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체(310)는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체(3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도체(310)의 일측은 하우징(100)의 하부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하우징(100)에 형성된 핀삽입홈(150)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도체(310)의 타측 일면과 타면에는 전도체(3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환봉형태의 이송대(3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대(32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이송홈(151)에 의해 하우징(100)의 후면과 전면으로 전도체(310)를 구속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전도체(310)의 양면에 결합된 이송대(32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이송홈(151)을 따라 전도체(310)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전도체(310)의 타측이 핀삽입홈(15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도체(3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도체(310)가 하우징(100)의 핀삽입홈(15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송홈(151)에는 이송대(320)에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체(330)의 일측은 이송대(320)와 결합되고 타측은 이송홈(151)에 결합되게 된다.
탄성체(330)는 하우징(100)에 배터리가 삽입될 때 전도체(310)의 정면에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없는 경우 배터리에 밀려 전도체(310)가 핀삽입홈(150) 내부로 삽입되면 이송대(3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고 배터리가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체(330)가 복원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송대(320)를 가압하여 전도체(310)가 핀삽입홈(150) 외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전도체(310)가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때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지 못하고 핀삽입홈(15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송홈(151)의 바닥면에는 가압돌기(152)를 형성시켜 전도체(310)가 이송홈(151) 내부로 삽입될 때 이송대(320)가 가압돌기(152)에 걸리게 하여 전도체(310)가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압돌기(152)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체(310)에 의해 이송대(320)가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돌기(152)에 걸리게 되어 전도체(310)가 핀삽입홈(150)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어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도체(310)의 전면에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도체(310)는 배터리에 의해 가압되어 핀삽입홈(150) 내부로 삽입되므로 이송대(320)가 가압돌기(152)에 걸리더라도 배터리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돌기(152)를 넘어 이송홈(151) 내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즉, 가압돌기(152)는 전도체(310)가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힘보다 더 큰 힘이 발생하는 경우 이송대(320)가 가압돌기(152)를 넘어갈 수 있도록 높이를 한정시켜 한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해 형성된 조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다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제어부(400)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배터리의 보호회로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접촉단자(200)의 저항 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저항과,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호환다이얼(440)과, 호환다이얼(440)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4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으로 구성되는 배터리는 보호회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공구의 저항 값이 보호회로에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규격이 서로 다른 배터리와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의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 범위에 전동공구의 저항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도 3의 제어회로(410)에 저항 값을 바꿀 수 있도록 가변저항이 형성되게 되며 하우징(100) 후면에 저항 값을 변화시키는 호환다이얼(440)을 통해 배터리의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 범위에 맞도록 도 3의 제어회로(410)의 저항 값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호환다이얼(440)을 통해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수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배터리의 보호회로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저항 값을 변화시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호환다이얼(440)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4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441)를 통해 표시되는 저항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규격에 따라 저항 값을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규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저항 값으로 바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호환스위치(430)와, 호환스위치(43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호환스위치(430) 상부에 형성되는 표시등(431)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환스위치(430)는 도 3의 제어회로(410)에 구성된 복수 개의 저항(도시되지 않음)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켜 저항 값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호환스위치(430)의 온, 오프에 따라 도 3의 제어회로(410)의 저항 값을 배터리의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 범위 내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호환스위치(430)가 작동되면 특정 배터리의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 범위에 맞도록 도 3의 제어회로(410)의 저항 값이 변화되도록 미리 설정시켜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따라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환스위치(43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로 이루어진 표시등(431)이 각각의 호환스위치(430)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호환스위치(430)가 작동되면 해당 호환스위치(430)의 상부에 형성된 표시등(431)이 점등되어 작동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와 충전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는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접촉단자(200)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접촉단자(200)가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면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자접촉등(450)과,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도 4의 결합핀(300)과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며 도 4의 결합핀(300)이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면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핀접촉등(4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접촉등(450)과 핀접촉등(460)은 LED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드, 그린, 블루 색상으로 불빛을 점등시킬 수 있어 불빛의 색상에 따라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제어부(400)는 접촉단자(200)와 도 4의 결합핀(300)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도 4의 결합핀(300)이 삽입되거나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 접촉단자(200)에 삽입되면 삽입된 부위에 흐르는 전류량이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단자접촉등(450)과 핀접촉등(46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이 공급되고 접촉단자(200)와 도 4의 결합핀(300)에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지 않은 초기 상태의 전류량을 제어부(400)에 저장되고, 접촉단자(200)와 도 4의 결합핀(300)에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과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 상태의 전류량이 제어부(400)에 저장된다.
제어부(400)는 접촉단자(200)가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거나 도 4의 결합핀(300)이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 경우 전류량을 측정하여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한 결합된 상태의 전류량과 비교함으로써 접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단자접촉등(450)과 핀접촉등(460)을 점등시키게 되는데 측정된 전류가 미리 저장한 결합된 상태의 전류량의 범위 내에 존재하면 블루, 전류량의 범위를 초과하나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면 그린,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레드로 출력시켜 사용자가 접촉불량이 발생한 접촉단자(200) 또는 도 4의 결합핀(3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초기 상태의 전류량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단자(200)와 도 4의 결합핀(300)이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도시되지 않음)이나 배터리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초기 상태의 전류량과 동일한 전류 값이 측정되므로 단자접촉등(450) 또는 핀접촉등(460)을 점등하지 않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전동공구 외에 다른 외부기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출력단자(470)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출력단자(470)는 USB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USB 규격에 맞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에 레귤레이터가 형성되어 있어 전압을 변경하여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출력단자(470)를 통해 휴대폰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거나 전동공구를 사용할 때 보조역할을 할 수 있도록 랜턴이 외부출력단자(470)에 결합되어 작업환경에 빛을 조사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 후면에는 어댑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급속충전단자(48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급속충전단자(480)는 하우징(100)에 결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자로 전동공구를 분리시킨 후 충전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와는 달리 전동공구가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이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급속충전단자(480)를 통해 별도의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급속충전단자(48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레귤레이터를 통해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도시되지 않음)와 전압을 일치시키고 배터리에 전류를 2배로 공급함으로써 급속충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400)는 두 개의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증대한 후 일정하게 유지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속도를 증대 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의하면 서로 다른 단자를 가진 전동공구와 배터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를 일치시켜 제조사에 관계없이 전동공구에 배터리 결합이 가능하고, 배터리에 내장된 보호회로에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내부 저항 값을 변화시켜 배터리에서 전동공구로 전력이 공급되고, 배터리를 충전할 때 단자가 서로 다른 배터리와 충전기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사에 관계없이 충전기에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동공구 20 : 어댑터
30 : 배터리 100 : 하우징
110 : 고정장치 111 : 탈착버튼
120 : 단자홈 130 : 공구삽입홈
140 : 배터리삽입홈 150 : 핀삽입홈
151 : 이송홈 152 : 가압돌기
200 : 접촉단자 300 : 결합핀
310 : 전도체 320 : 이송대
330 : 탄성체 400 : 제어부
410 : 제어회로 420 : 온도센서
430 : 호환스위치 431 : 표시등
440 : 호환다이얼 441 : 디스플레이
450 : 단자접촉등 460 : 핀접촉등
470 : 외부출력단자 480 : 급속충전단자

Claims (6)

  1. 특정 전동공구에만 사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단자가 다르게 형성된 전동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전동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배터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이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의 전원공급핀과 연결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터리삽입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합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결합핀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상기 배터리의 보호회로의 저항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단자의 저항 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 후면에 형성되는 호환다이얼과;
    상기 호환다이얼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저항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켜 저항 값을 규격에 따라 설정된 값으로 변화시키는 호환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외부기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출력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상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급속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자홈과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전동공구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상기 전원공급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동공구의 규격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배터리와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용 배터리 충전기의 충전핀과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가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전동공구의 하면에 형성된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동공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의 위치와 일치되면 상기 전원단자에 삽입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전도체와;
    상기 전도체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체가 상기 하우징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도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체를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KR1020160087359A 2016-07-11 2016-07-11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KR101857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59A KR101857105B1 (ko) 2016-07-11 2016-07-11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PCT/KR2017/007166 WO2018012795A1 (ko) 2016-07-11 2017-07-05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59A KR101857105B1 (ko) 2016-07-11 2016-07-11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86A KR20180006686A (ko) 2018-01-19
KR101857105B1 true KR101857105B1 (ko) 2018-05-11

Family

ID=6095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359A KR101857105B1 (ko) 2016-07-11 2016-07-11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7105B1 (ko)
WO (1) WO2018012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655B (zh) * 2018-02-07 2024-01-05 凌容新能源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多功能转换器
CN110912240A (zh) * 2019-12-12 2020-03-24 常州格力博有限公司 一种适配器以及电动工具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99B1 (ko) * 2012-08-22 2012-12-12 주식회사 개운테크노 배터리 충전장치
JP2014525841A (ja) * 2011-07-24 2014-10-02 株式会社マキタ 動力工具システムとその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867A (ja) * 2000-04-21 2001-10-30 Makita Corp 電動工具用アダプタ
JP4399409B2 (ja) * 2005-10-12 2010-01-13 リョービ株式会社 バッテリ式電動工具
JP2014036521A (ja) *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アダプタ及び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5841A (ja) * 2011-07-24 2014-10-02 株式会社マキタ 動力工具システムとそのアダプタ
KR101209699B1 (ko) * 2012-08-22 2012-12-12 주식회사 개운테크노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795A1 (ko) 2018-01-18
KR20180006686A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940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EP3113912B1 (en) Improvements to portable power supply
EP3051658A1 (en) Battery pack & power tool system
US8508188B2 (en) Universal charge module
US7863857B2 (en) Cordless power tool battery and charging system therefore
WO2015095043A1 (en) Rechargeable clip-on light with male usb connector
EP2959212A1 (en) Portable light chargeable from different sources
US20060087281A1 (en) Battery charger
EP3202012B1 (en)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US10431992B2 (en)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CN107579583B (zh) 多功能便携式电源充电器
KR101857105B1 (ko)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어댑터
US20210273474A1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cks for power tools and charg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20100090645A1 (en) Composite charging cradle for rechargeable battery
US6639382B1 (en) Mobile phone charger with automatic light
EP2506341A2 (en) Improved interchangeable rechargeable battery system
CA3038137A1 (en)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battery packs
US11721989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US20050189905A1 (en) Portable battery charging device
US20140370743A1 (en) External Power Supply
CN107565630B (zh) 一种usb充电插口的控制方法及其充电插口
KR102223233B1 (ko)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블루투스 어댑터
EP1906470A2 (en) Cordless power tool battery and charging system therefore
TWM488793U (zh) 具有無線充電功能的電池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