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62B1 - 스티로폼 평판기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평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62B1
KR101856762B1 KR1020170159826A KR20170159826A KR101856762B1 KR 101856762 B1 KR101856762 B1 KR 101856762B1 KR 1020170159826 A KR1020170159826 A KR 1020170159826A KR 20170159826 A KR20170159826 A KR 20170159826A KR 101856762 B1 KR101856762 B1 KR 10185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veyor
styrofoam
pressing unit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훈
신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테크
주식회사 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테크, 주식회사 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 평판기의 스티로폼이 성형되는 챔버의 입구를 막아주는 가압유닛이 사방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가이드바에 지지된 채로 이동하여 가이드바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 챔버를 세워서 고정시키는 한편 타측으로 고정 프레임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챔버의 전방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으로 챔버에서 제조된 스티로폼 평판을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콘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챔버 사이에 챔버의 입구를 막아주는 가압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으로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상부 양쪽 모서리와 돌출부를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과 챔버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바는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돌출부 사이에 콘베이어가 설치되게 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평판기{MANUFACTURING APPARATUS FOR STYROFOAM BLOCK}
본 발명은 판상의 스티로폼을 성형하여 배출시키는 스티로폼 평판기에 관한 것으로, 스티로폼이 성형되는 챔버의 입구를 막아주는 가압유닛이 사방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가이드바에 지지된 채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가압유닛의 안정된 이동과 가이드바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스티로폼 평판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챔버(20)와 고정 프레임(30)을 고정 설치하되 챔버(20)의 입구는 고정 프레임(30) 쪽을 향하게 고정하고, 상기 챔버(20)의 입구를 막거나 개방시키는 가압유닛(40)을 챔버(20)와 고정 프레임(30)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40)은 고정 프레임(30)에 설치된 실린더(31)를 이용하여 전후 이동되게 하고, 상기 챔버(20)의 입구에는 가압유닛(4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하측으로 스티로폼 평판(1)을 측면으로 배출하는 콘베이어(6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40)의 3개 모서리 부위에는 챔버(20)와 고정 프레임(30)에 고정된 가이드바(50)가 끼워지게 하되 스티로폼 평판(1)이 배출되는 쪽으로는 가이드바가 설치되지 않는다.
챔버(20)는 가압유닛(40)을 이동시켜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호퍼(2)에 담긴 스티로폼 원료가 채워진 후에 발포가 이루어져 평판 형태의 스티로폼 평판(1)이 완성되면, 가압유닛(40)을 이동시켜 챔버(20)의 입구를 개방시킨 후 챔버(20)의 배면에 설치된 실린더(21)를 이용하여 스티로폼 평판(1)을 챔버(20)에서 배출시키게 되고, 이때, 배출된 스티로폼 평판(1)은 콘베이어(60)를 타고 측면으로 배출되어 판재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유닛(40)은 실린더(31)에 의해 이동하며 챔버(20)의 입구를 막거나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가압유닛(40)의 부드러운 이동을 위하여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바(50)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스티로폼 평판(1)이 배출되는 쪽으로는 가이드바를 설치할 경우, 콘베이어(60)를 타고 이동하는 스티로폼 평판(1)이 가이드바에 걸려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티로폼 평판(1)이 배출되는 하측으로는 가이드바를 설치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가압유닛(40)은 사방으로 무게중심이 균형이 맞추어진 상태로 이동하지 못하고, 한쪽이 치우쳐 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이드바(50)가 쉽게 마모되고 손상되는 것이었다.
가압유닛(40)이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동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서 콘베이어(60) 사이로 레일(11)을 설치하고, 가압유닛(4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레일(11)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롤러(41)를 설치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가압유닛(40)의 무게 중심이 정확히 맞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압유닛(40)의 이동시 가이드바(50)의 손상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가압유닛(40)에 스티로폼 평판(1)이 측면으로 배출될 때 걸리지 않도록 가이드바(50)를 설치하지 못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자동화 라인의 콘베이어 연결을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의 높이를 지면에서 300mm 띄워주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 콘베이어(60)의 높이가 500mm의 높이를 확보해 주어야 하며, 상기 콘베이어(60)에 방해받지 않고 가압유닛(40)이 이동하는 한편 스티로폼 평판(1)의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가압유닛(40)의 상부 모서리 부위와 스티로폼 평판(1)이 배출되는 반대 쪽 모서리 부위는 가이드바(50)를 설치할 수 있으나, 스티로폼 평판(1)이 배출되는 쪽의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바를 설치하게 되면, 가이드바가 콘베이어(60)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스티로폼 평판(1)의 배출시 가이드바(50)에 걸리기 때문에 설치가 불가능하여, 3개의 가이드바(50)만 설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압유닛(40)의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바(50)에 편마모가 발생하거나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와 함께 가압유닛(40)이 챔버(20)의 입구를 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215355호(2012.12.18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1-0124169호(2011.11.16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667489호(2016.10.12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425055호(2006.08.23 등록)
본 발명은 스티로폼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3개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가이드바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정확한 이동을 보장할 수 없음은 물론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4개 모서리 부위 모두에 가이드바를 설치하여 가압유닛의 움직임이 정확하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4개의 가이드바를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콘베이어의 높이변화를 주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은 낮추되 콘베이어나 챔버 및 가압유닛의 높이는 낮추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을 콘베이어보다 낮은 쪽으로 돌출시킨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가이드바를 결합시킴으로써 가압유닛의 4 모서리 부위에 대칭적으로 가이드바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스티로폼 평판의 배출에 방해가 되지 않게 가이드바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 챔버를 세워서 고정시키는 한편 타측으로 고정 프레임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챔버의 전방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으로 챔버에서 성형된 스티로폼 평판을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콘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챔버 사이에 챔버의 입구를 막아주는 가압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으로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상부 양쪽 모서리와 하부 양측 돌출부를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과 챔버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바는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돌출부 사이에 콘베이어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압유닛의 4개 모서리에 가이드바를 설치하더라도 하측의 가이드바는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챔버에서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은 콘베이어를 타고 측면으로 배출될 때 가이드바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가압유닛의 상부 양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는 기존과 동일하고, 가압유닛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부를 돌출시킨 후 상기 돌출부에 가이드바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콘베이어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챔버에서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이 콘베이어를 타고 측면으로 배출될 때 가이드바는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되어, 스티로폼 평판의 배출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가압유닛의 좌우 틀어짐 없이 정확한 이동이 보장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바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가압유닛의 4개 모서리 부위에 모두 가이드바를 설치함으로써 가압유닛의 이동시 흔들림 없는 정확한 이동이 보장됨으로써 가이드바의 마모나 손상이 방지되어 가이드바를 교체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것으로, 기존의 스티로폼 평판기에서는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모두 가이드바를 설치하는 경우, 챔버에서 배출되어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스티로폼 평판이 한 쪽 가이드바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을 하측으로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가이드바를 설치함으로써 가압유닛의 이동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에서 가압유닛의 하측에서 무게를 받치는 레일과 롤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기존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챔버의 입구를 닫아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기존 평판기에서 평판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챔버의 입구를 닫아준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평판기의 가압유닛이 챔버의 입구를 막아준 상태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평판기에서 가이드바와 콘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평판기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콘베이어와 가이드바의 요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평판기에서 평판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스티로폼 평판을 제조하는 스티로폼 평판기에 관한 것으로, 챔버에서 성형된 후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이 콘베이어를 타고 측방향으로 배출되게 할 때 스티로폼 평판이 배출되는 쪽에는 가이드바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콘베이어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압유닛의 하부 양측을 돌출시킨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양쪽으로 가이드바를 형성하는 한편 콘베이어는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함으로써 챔버에서 배출된 스티로폼 평판이 콘베이어를 타고 측방향으로 배출될 때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가압유닛의 모서리 4부위에서 모두 가이드바를 설치하게 되어, 가압유닛의 이동시 발생하는 편심으로 인한 문제와 흔들리며 이동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에서 사용되는 콘베이어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되 챔버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챔버에서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이 콘베이어로 배출되는 높이로 챔버를 고정하고, 가압유닛도 상기 챔버의 입구를 막아주는 높이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가압유닛의 하부 양쪽은 하측으로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돌출부를 통하여 고정 프레임과 챔버 사이에 가이드바를 설치하는 한편 돌출부 사이에는 콘베이어를 설치하되 상기 콘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가이드바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챔버에서 배출되어 콘베이어를 타고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은 가이드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챔버에서 배출된 스티로폼 평판이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쪽에는 가압유닛의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바를 설치하지 않고, 3개의 모서리 부위에만 가이드바를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유닛의 4개 모서리 부위에 모두 가이드바를 설치하되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스티로폼 평판이 가이드바의 간섭을 없애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와 동일 구조의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은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스티로폼 평판기(20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높이를 낮추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챔버(20)는 챔버(20)의 입구에서 배출되는 스티로폼 평판(1)이 콘베이어(6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챔버(2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콘베이어(6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높이 변화 없이 사용한다.
본 발명은 챔버(20)의 하부를 돌출시켜 높이를 낮춘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시키되 챔버(20)의 입구와 콘베이어(60)에 대한 높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티로폼 평판기(200)를 사용하더라도 기존 공장에 설치된 콘베이어와 재단기를 자동화 라인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0)의 높이를 낮추어 챔버(20)를 고정시키되 챔버(20)의 입구 높이는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한편 콘베이어(60)도 기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한다.
상기 챔버(20)의 전방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베이스 프레임(10)에는 고정 프레임(3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30)과 챔버(20) 사이에 가압유닛(40)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40)은 전후로 이동하며 챔버(20)의 입구를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가압유닛(40)은 하부 양쪽으로 돌출부(45)(46)를 돌출시키되 상기 돌출부(45)(46)는 콘베이어(6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형성되며, 콘베이어(60)는 상기 돌출부(45)(4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45)(46)와 가압유닛(40)의 상부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여 가이드바(50)(51)가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바(50)(51)는 일측이 고정 프레임(3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챔버(20)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고정된다.
가압유닛(40)은 베어링 수단에 의해 가이드바(50)(51)에 끼워지게 되므로, 가압유닛(40)은 가이드바(50)(51)를 타고 고정 프레임(30)에 설치된 실린더(31)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가압유닛(40)은 챔버(20)의 입구를 막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가압유닛(40)의 돌출부(45)(46) 사이에 콘베이어(60)를 설치하되 상기 콘베이어(60)보다 낮은 위치에 가이드바(50)(51)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60)에는 챔버(20)에서 성형된 스티로폼 평판(1)이 올려져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콘베이어(60)는 기존 콘베이어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어느 공장에 설치하더라도 기존 자동화 라인과 연계되어 자동 라인 구성에 하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스티로폼 평판기(200)에서, 고정 프레임(30)에 설치된 실린더(31)로 가압유닛(40)을 이동시켜 챔버(20)의 입구를 막아준 상태에서 호퍼(2)의 원료를 챔버(20)로 이동시켜 챔버(20)의 내부 공간에서 스티로폼 평판(1)을 성형하고, 가압유닛(40)을 후퇴시켜 챔버(20)의 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챔버(20)의 배면에 설치된 실린더(21)로 스티로폼 평판(1)을 밀어내면 스티로폼 평판(1)은 콘베이어(60)에 올려진 상태로 콘베이어(60)를 타고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티로폼 평판기(200)의 측면으로 빠져나온 후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콘베이어를 타고 판재 성형장치 등으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챔버(20)에서 스티로폼 평판(1)을 형성하고, 이를 배출시켜 콘베이어(60)를 타고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챔버(20)의 입구는 가압유닛(40)으로 막아주거나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가압유닛(40)은 가이드바(50)(51)에 끼워진 채로 이동하는 것은 기존의 스티로폼 평판기(100)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스티로폼 평판기(200)에서는 기존의 3개로 사용한 가이드바(50)를 4개의 가이드바(50)(51)로 사용하여 가압유닛(40)의 이동에 따른 가이드바(50)(5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가압유닛(40)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부(45)(46)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45)(46)에 가이드바(50)(51)를 끼워주는 한편 콘베이어(60)는 돌출부(45)(46)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콘베이어(60)보다 낮은 높이에 가이드바(60)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콘베이어(60)를 타고 스티로폼 평판(1)이 이동할 때 가이드바(51)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콘베이어(60)의 높이를 낮추지 않고, 베이스 프레임(10)은 낮추되 챔버(20)와 가압유닛(40)은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가압유닛(40)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부(45)(46)를 형성한 후 가이드바(50)(51)를 끼울 수 있음은 물론 스티로폼 평판(1)은 콘베이어(60)를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바(51)에 닿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유닛(40)의 4모서리에서 대칭적으로 가이드바(50)(51)가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3개의 가이드바(50)가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안정적으로 가압유닛(40)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가이드바(50)(51)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바(50)(51)의 교체나 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기존의 스티로폼 평판기(100)는 가압유닛(40)의 무게를 받치지 위하여 레일(11)과 롤러(41)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4개의 가이드바(50)(51)를 모서리에 설치하는 경우, 레일(11)과 롤러(41)를 설치하지 않고도 가압롤러(40)의 무게중심을 잡고 균형있는 이동이 가능하다.
10 : 베이스 프레임 20 : 챔버
30 : 고정 프레임 40 : 가압유닛
50,51 : 가이드바 60 : 콘베이어
100 :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 200 : 본 발명 스티로폼 평판기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챔버(20)를 세워서 고정시키는 한편 타측으로 고정 프레임(30)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챔버(20)의 전방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챔버(20)에서 성형된 스티로폼 평판(1)을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콘베이어(6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30)과 챔버(20) 사이에 챔버(20)의 입구를 막아주는 가압유닛(40)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유닛(40)의 하부 양쪽으로 콘베이어(60)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는 돌출부(45)(46)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유닛(40)의 상부 양쪽 모서리와 하부 양측 돌출부(45)(46)를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30)과 챔버(20)에 고정되는 가이드바(50)(51)를 설치하고,
    상기 콘베이어(60)는 가압유닛(40)의 돌출부(45)(46) 사이에 설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평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콘베이어(60)의 높이는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에서 사용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베이스 프레임(10)의 높이를 낮춘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기존 스티로폼 평판기(100)에서의 챔버(20)와 가압유닛(40)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평판기.
  3.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유닛(40)의 돌출부(45)(46) 사이에 설치된 콘베이어(60)는 가압유닛(4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음과 동시에 챔버(20)에서 배출된 스티로폼 평판(1)이 올려지게 되고, 상기 콘베이어(60)를 타고 이동하는 스티로폼 평판(1)은 가압유닛(40)의 돌출부(45)(46)에 끼워진 가이드바(50)(51)와 접촉되지 않은 채로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평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챔버(20)의 배면에는 스티로폼 평판(1)을 밀어내는 실린더(21)가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30)에는 가이드바(50)(51)를 타고 이동하는 가압유닛(4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31)가 설치되며, 상기 챔버(20)에는 호퍼(2)에서 원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평판기.
KR1020170159826A 2017-11-28 2017-11-28 스티로폼 평판기 KR10185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26A KR101856762B1 (ko) 2017-11-28 2017-11-28 스티로폼 평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26A KR101856762B1 (ko) 2017-11-28 2017-11-28 스티로폼 평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762B1 true KR101856762B1 (ko) 2018-05-15

Family

ID=6218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26A KR101856762B1 (ko) 2017-11-28 2017-11-28 스티로폼 평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55Y1 (ko) 2006-03-03 2006-09-01 이강선 스티로폼 성형장치
KR101215355B1 (ko) 2011-06-10 2012-12-26 (주) 성훈테크 발포폴리스티렌 성형장치
KR101667489B1 (ko) 2015-06-12 2016-10-28 정병국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마스터프레임 및 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마스터프레임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55Y1 (ko) 2006-03-03 2006-09-01 이강선 스티로폼 성형장치
KR101215355B1 (ko) 2011-06-10 2012-12-26 (주) 성훈테크 발포폴리스티렌 성형장치
KR101667489B1 (ko) 2015-06-12 2016-10-28 정병국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마스터프레임 및 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마스터프레임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762B1 (ko) 스티로폼 평판기
MXPA05001572A (es) Rodillo inclinable.
CN108002074A (zh) 一种塑料板抓取输送机构的工作方法
KR20130049299A (ko) 에지밴딩기용 뒤판홈 가공장치
CN113634311A (zh) 一种陶瓷辊压设备
US20040182518A1 (en) Device for assembly of insulating glass sheets with an interior filled with a heavy gas
CN107520945A (zh) 用于压制陶瓷制品的压实装置
KR101630010B1 (ko) 칩 수거 장치
CN219520862U (zh) 一种自动定位入料的金属板材激光切割机
CN112139425A (zh) 具有螺杆自动调整锁定机构的冷镦成型机
KR102277726B1 (ko) 프레스용 제품 적재 자동화 장비
KR101654880B1 (ko) 벨트컨베이어용 유입수 제거장치
KR101407135B1 (ko)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20160036428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CN213140504U (zh) 一种布料机用挡料装置
CN109967370B (zh) 一种色选机用提升机
KR101853200B1 (ko) 자동 위치정렬 지그가 구비된 사출물 사상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20120008904A (ko) 목재패널의 투입 및 배출측 받침테이블을 갖는 에지밴딩기
CN209407263U (zh) 一种易拉盖基本盖冲压设备的片料输送机构
CN104843505A (zh) 一种电子管座的上料机
IT201900000334A1 (it) Macchina a giostra per il trattamento di contenitori.
KR101432094B1 (ko) 요철 타입 패널 절곡 장치
CN216368134U (zh) 一种陶瓷辊压设备
KR20070090631A (ko)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