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30B1 - 침구용 커버 - Google Patents

침구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30B1
KR101856730B1 KR1020160001948A KR20160001948A KR101856730B1 KR 101856730 B1 KR101856730 B1 KR 101856730B1 KR 1020160001948 A KR1020160001948 A KR 1020160001948A KR 20160001948 A KR20160001948 A KR 20160001948A KR 101856730 B1 KR101856730 B1 KR 10185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ir
nonwoven fabric
polyurethane adhesive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766A (ko
Inventor
김창복
Original Assignee
(주)이지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켐 filed Critical (주)이지켐
Priority to KR102016000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1Anti-allergen; Anti-m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의 통기도를 조절하여 보온효과 뿐만 아니라 집먼지 진드기와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는 침구용 커버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침구용 커버는 외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보온층은 솜, 면, 깃털, 양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이며, 내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봉제하여 결합된 침구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구용 커버 {BEDCLOTHES COVER}
본 발명은 침구용 커버의 통기도를 조절하여 보온효과 뿐만 아니라 집먼지 진드기와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는 침구용 커버 제조에 관한 것으로,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적층체 사이에 보온층을 게재하여 제조되는 침구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생활하는 실내공간에는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다양한 오염인자들이 존재한다. 습한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이나 곰팡이, 이불이나 소파, 카페트, 침대 매트리스 등에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 및 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는 알레르기, 천식, 피부염, 아토피 및 비염 등 각종 질환의 한 원인으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침구류는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장시간동안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여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노폐물로 인해 집먼지 진드기, 각종 세균, 곰팡이 등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제공된 환경에서 상기 오염인자들은 침구에 자리를 잡고 인체에서 떨어져 나온 비듬, 각질을 먹고 살면서 배설물과 사체를 통해 알레르기, 천식, 피부염, 아토피 및 비염 등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불, 소파, 카페트, 침대 매트리스 등의 침구류는 일반 목화솜이나 화학솜에 일반적인 천으로 커버를 제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집먼지 진드기가 서식하는 환경을 피하기 위해 천연 라텍스로 속감이 만들어진 고가의 침구류를 구입하거나 별도의 집먼지 진드기가 침투할 수 없는 특수 커버를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따로 구입해 번거롭고 힘들게 이불이나 베개나 매트리스를 보자기처럼 둘러싸서 사용하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천연 라텍스 속감 침구라고 하더라도 피부에 닿는 커버에는 집먼지 진드기가 서식하는 환경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문제점 개선 효과가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의 제조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의 침입을 미연에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수면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침구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로서, 상기 외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보온층은 솜, 면, 깃털, 양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이며, 상기 내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침구용 커버는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봉제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필름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무기입자를 혼합하여 연신시킨 통기성 필름이며,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올로 제조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코팅한 접착층이며,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의 재질로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을 열 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투습도 2,000 내지 10,000 g/㎡·24hrs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구는 매트리스, 베게, 이불, 담요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침구용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봉제하여 제조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침구용 커버는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없는 조밀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여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의 침입을 미연에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수면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일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또 다른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일 양태를 적용한 매트리스용 커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일 양태를 들어 설명을 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일 양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또 다른 양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일 양태를 적용한 매트리스용 커버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보온층은 솜, 면, 깃털, 양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이며, 상기 내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침구용 커버는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봉제하여 결합된 침구용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층 및 내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의 조성물 구성이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양태에서 상기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통기성 필름층 일 면에 적층체가 더 적층되는 적층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필름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무기입자를 혼합하여 연신시킨 통기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올레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을 한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필름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190 ℃에서 2.16 ㎏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1 내지 10 g/10min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통기성을 유지하는 용도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필름에 사용하는 무기입자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산화아연, 수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아스베스토분, 제오라이트 및 규산백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 좋으며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입자의 중량 40 내지 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통기성 필름 제조 시 통기도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필름을 연신시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올레핀 수지에 무기입자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원판 시트를 성형하게 되고,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션 성형, T-다이에 의한 압출 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원판 시트는 1.2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배로 1축 연신하는 것이 충분한 통기성을 얻고, 연신 중 파단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신과정에 의해 필름 상에 내재된 무기입자로 인하여 그 주위에 기공이 형성됨으로서 통기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필름층은 쉽게 찢어지지 않고, 투습, 방수능력 및 통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량이 10 내지 90 gsm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통기성 필름층은 투습도가 2,000 내지 10,000 g/㎡·24hr인 물성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은 상기 통기성 필름층 일면 또는 상기 부직포층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 성분을 사용하여야만 양 말단의 -OH기로 수분이 흡수되어 확산되면서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수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500,0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접착제가 묻은 곳도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전면으로 코팅하여 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쇄연장제, 촉매 및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는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쇄연장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2,4-펜탄디올, 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등의 지방족 글리콜,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글리콜, 자일릴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 고리를 갖는 글리콜 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쇄연장제로는 전체 고형분의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톨루엔, 자일렌, 사이클로헥사논,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1-메틸-2-피롤리돈,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디클로로메탄 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제조 시 촉매는 폴리우레탄 산업계에서 사용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옥탄산 주석염, 올레산 주석염, 아세트산 주석염 및 라우르산 주석염 등의 카복실산의 주석염 또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등의 디알킬주석디카복실레이트, 3차 아민 및 주석 머캅타이드 등이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코팅방법은 롤코팅, 딥코팅, 플로우 코팅, 그라비아코팅, 슬롯다이코팅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항바이러스성, 투습성, 통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도가 200 내지 3,000 cps/25℃, 평량이 1 내지 10 gsm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부직포층은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으로 제조하는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란 통상의 스펀본드법, 또는 스펀레이스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종의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 스펀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스펀본드법, 또는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부직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량이 10 내지 300 gsm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통기성이 우수한 효과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층과 통기성 필름층을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적층시킴으로써 강도와 동시에 수분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합지 시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접착 강도가 향상되어 장기 사용에도 각 층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도 가짐을 알게 되어 장기 안정적 사용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적층체는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을 열 압착한다. 이 때 상기 열 압착 시 온도는 80 내지 150 ℃로 하여 통기성필름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착 후에도 통기성이 유지되어 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적층체는 투습도 2,000 내지 10,000 g/㎡·24hr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을 합지함으로써 이 후 별도의 통기성을 부여하는 과정이 없이도 수분 또는 물방울은 투과되지 않으나 습기는 통과시키는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 및 보온층을 봉제하여 순차적으로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이 적층되어 결합된 침구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온층은 솜, 면, 깃털, 양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층 및 내층 사이에 배치시킨 후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침구용 커버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고무밴드, 지퍼, 벨크로 및 적층체를 덧대는 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매트리스, 베게, 이불, 담요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침구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이하 특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투습도
KS K0594, 염화칼슘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체는 양변에서 전폭의 1/10 T씩 양끝에서 1 m 이상 떨어진 곳과 양끝에서 50 ㎝이상, 변이 있는 것은 10 ㎝이상 떨어진 곳에서 원형의 시험편 3 편을 채취하여 온도 40 ± 2 ℃, 습도 90 ± 5 %RH 조건의 항온항습장치에 넣고 1 시간 후 시험체를 꺼내 무게 A1(㎎)측정하고, 다시 항온항습장치에 넣고 1 시간 후에 시험체를 꺼내어 무게 A2(㎎) 측정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2) 박리강도
원단을 MD 방향(15 ㎝), CD 방향 spec.으로 자르고 절단된 시료의 한쪽 끝을 인장시험기 상단 그립에 물리고, 나머지 한쪽을 하단 그립에 평평하게 물려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3) 항바이러스 테스트
보호복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ISO 16604:2004 절차 C 박테리오파아지 침투저항성 테스트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class에 대한 실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항바이러스 등급은 바이러스 투과율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최저 Class 1에서 최고 Class 6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등급
class 1 0 kPa에서 5 분동안 유지
class 2 이어서 3.5 kPa/s 속도로 천천히 압력을 올려 5 분동안 1.75 kPa 유지
class 3 이어서 3.5 kPa/s 속도로 천천히 압력을 올려 5 분동안 3.50 kPa 유지
class 4 이어서 3.5 kPa/s 속도로 천천히 압력을 올려 5 분동안 7.00 kPa 유지
class 5 이어서 3.5 kPa/s 속도로 천천히 압력을 올려 5 분동안 14.00 kPa 유지
class 6 이어서 3.5 kPa/s 속도로 천천히 압력을 올려 5 분동안 20.00 kPa 유지
4) 항진드기 테스트
가정집에 제조된 침구용 커버를 30 일간 제공하여 사용하게 한 뒤 10 일 간격으로 침구 내부의 진드기수를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케미칼, HANWHA LDPE 955, MI : 7.5)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함량이 45 중량부가 되는 컴파운드 수지를 제조하여 필름 압출기에서 T-다이 압출 한 후 연신비 2.5 : 1 로 연신시켜 평량 20 gsm의 통기성 필름을 얻었다. 이 통기성 필름의 투습도를 측정한 결과 6,000 g/㎡·24hrs 이었다.
이어서 수평균 분자량 1,500 g/mol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1,4-부탄디올을 90 : 10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올 성분 및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NCO : OH = 0.8 : 1 당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때, 혼합물은 촉매로 사용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02 중량부 존재하에 고형분이 60 중량%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를 80 ℃에서 1 hrs 교반 후 냉각하면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점도는 2,000 cps/25 ℃이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상기 통기성 필름의 전면에 롤코팅하여 평량 50 gsm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합지 한 후 열 압착하여 추가 합지 한 후, 60 ℃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인장 시험기를 이용한 박리강도가 600 g/inch 이고, KS K0594,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5,000 g/㎡·24hrs 이었다.
[실시예 1] 침구용 커버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210 * 230 cm의 규격으로 재단하고 겹이불을 만들 듯 네 측면 모서리를 봉제기로 봉제하되, 일 측면은 창구멍이 형성되도록 일부 미봉제로 처리하였다. 두께 2 내지 9 cm의 솜을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 크기에 맞춘 후, 재단하여 봉제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 겉감과 함께 뒤집어 외층 및 내층 사이에 솜을 충진하였다. 솜을 충진한 후 원단의 미봉제면을 봉제하여 침구용 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침구용 커버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침구용 커버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210 * 230 cm의 규격으로 재단하고 외층 및 내층을 각각 적층체 2겹으로 겹이불을 만들 듯 네 측면 모서리를 봉제기로 봉제하되, 일 측면은 창구멍이 형성되도록 일부 미봉제로 처리하였다. 두께 2 내지 9 cm의 솜을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 크기에 맞춘 후, 재단하여 봉제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 겉감과 함께 뒤집어 외층 및 내층 사이에 솜을 충진했다. 솜을 충진한 후 원단의 미봉제면을 봉제하여 침구용 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침구용 커버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매트리스용 커버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160 * 210 cm의 규격으로 재단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봉제기로 봉제하고 상부와 하부 양 측면 하단부에 고무밴드를 넣어 매트리스용 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매트리스용 커버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가 아닌 일반 면원단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침구용 커버를 제조하고, 제조한 침구용 커버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가 아닌 방수원단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침구용 커버를 제조하고, 제조한 침구용 커버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바이러스 항진드기
10일 경과 20일 경과 30일 경과
비교예 1 Class 1 평균30마리/㎡ 평균70마리/㎡ 평균100마리/㎡
비교예 2 Class 4 평균0마리/㎡ 평균10마리/㎡ 평균40마리/㎡
실시예 1 Class 6 평균0마리/㎡ 평균0마리/㎡ 평균0마리/㎡
실시예 2 Class 6 평균0마리/㎡ 평균0마리/㎡ 평균0마리/㎡
실시예 3 Class 6 평균0마리/㎡ 평균0마리/㎡ 평균0마리/㎡
상기 표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항바이러스 테스트 결과를 보면 비교예 1의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차단효과가 없었다.(Class 1) 반면 비교예 2의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일정기간 바이러스에 대한 차단능을 보유하고 있었다.(Class 4) 본 발명에서 제조한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최고등급으로 바이러스 차단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Class 6)
상기 표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항진드기 테스트 결과를 보면 진드기가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 공극사이로 침투가 용이하여 진드기 개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통기성을 갖는 적층체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 의 경우 진드기가 침투할 수 없는 조밀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진드기의 침투가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3과 같이 형태를 변형하여 제조 후에도 항바이러스 및 항진드기 특성을 확인해 보았을 때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통기성 필름 11 :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12 : 부직포 13 : 보온 충진재
14 : 고무밴드 15 : 메트리스커버 원단의 단면

Claims (5)

  1.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커버로서,
    상기 외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보온층은 솜, 면, 깃털, 양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이며,
    상기 내층은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올로 제조된 점도 200 내지 3,000 cps/25℃인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평량 1 내지 10 gsm으로 롤코팅하여 통기성 필름층 또는 부직포층 일면에 전면코팅한 접착층이며,
    상기 적층체는 투습도 5,000 내지 10,000 g/㎡·24hrs 이고,
    상기 침구용 커버는 외층, 보온층 및 내층을 봉제하여 결합된 침구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필름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무기입자를 혼합하여 연신시킨 통기성 필름이며,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의 재질로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침구용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통기성 필름층,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층 및 부직포층을 열 압착하여 제조되는 침구용 커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는 매트리스, 베게, 이불, 담요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침구용 커버.

KR1020160001948A 2016-01-07 2016-01-07 침구용 커버 KR10185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48A KR101856730B1 (ko) 2016-01-07 2016-01-07 침구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48A KR101856730B1 (ko) 2016-01-07 2016-01-07 침구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66A KR20170082766A (ko) 2017-07-17
KR101856730B1 true KR101856730B1 (ko) 2018-05-11

Family

ID=5944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48A KR101856730B1 (ko) 2016-01-07 2016-01-07 침구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46B1 (ko) 2019-05-13 2019-10-07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0275B1 (ko) 2020-02-10 2021-05-07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1522A (ko) 2020-02-10 2021-08-19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472B1 (ko) * 2017-07-21 2019-05-13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장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보온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60B1 (ko) * 2009-01-29 2010-08-16 김대식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침구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60B1 (ko) * 2009-01-29 2010-08-16 김대식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침구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46B1 (ko) 2019-05-13 2019-10-07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0275B1 (ko) 2020-02-10 2021-05-07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1522A (ko) 2020-02-10 2021-08-19 김동길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66A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730B1 (ko) 침구용 커버
ES2376596T3 (es) Tela de nanofibras de barrera contra el paso de los alérgenos.
US10065392B2 (en) Stitched multi-layer fabric
CN1273667C (zh) 耐用、舒适、透气的过敏原阻挡织物
EP1106115A1 (en) Disposable,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mattress cove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KR101724038B1 (ko) 바이러스 차단용 라미네이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보호복
CN1251628C (zh) 吸附和解吸附装置
CN111516339A (zh) 一种医用防护服专用的防水透气面料及制备方法
CN113997667B (zh) 一种棉被及其制备方法
EP1264684A1 (en) Mois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multilayer structures with enhanced moisture vapour perme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articles comprising said structures
EP2431168B1 (en) Covering material
KR101806475B1 (ko) 3d 메쉬원단을 이용한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1106114A1 (en) Disposable,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mattress cov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increased stability
US20040146717A1 (en)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multilayer structures with enhanced moisture vapour perme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articles comprising said structures
CN209552578U (zh) 一种抗菌软席
JP2002013076A (ja) 結露防止性に優れた透湿防水布帛
JP2002067205A (ja) 結露防止性に優れた透湿防水性積層布帛
CN104983231A (zh) 一种健康环保生物质丝瓜海绵婴儿床垫及其加工方法
CN219556798U (zh) 一种热熔透气椰棕乳胶床垫
JP2005042062A (ja) 防水フィルムおよび透湿性防水布帛
CN219727455U (zh) 一种高透气高透湿面料
CN213664554U (zh) 一种安全无害的防螨床垫
US9028944B2 (en) Stitched multi-layer fabric
CN109892906A (zh) 一种天然山棕棕丝床垫及其制作方法
CN114714694A (zh) 一种防水透气手术衣材料及其制备方法和手术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