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31B1 - 식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31B1
KR101855431B1 KR1020150151016A KR20150151016A KR101855431B1 KR 101855431 B1 KR101855431 B1 KR 101855431B1 KR 1020150151016 A KR1020150151016 A KR 1020150151016A KR 20150151016 A KR20150151016 A KR 20150151016A KR 101855431 B1 KR101855431 B1 KR 10185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water
stepped seating
plate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016A (ko
Inventor
설오열
Original Assignee
설오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오열 filed Critical 설오열
Priority to KR102015015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되, 연속 형성된 벽면 중 최하층에 위치한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홀 형태의 공급구가 형성되는 계단식 안착판; 및 공기 또는 상기 집수정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압송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기{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식물을 층별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서 식물이 식재된 위치로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동시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은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컴퓨터나 디지털 TV 등의 전자장치 또는 난방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면서, 건조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고 그로 인한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유해한 건축자재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 속에서 장시간 생활하면서 아토피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밀폐된 실내 공간의 공기와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 마다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겨울철에는 너무 추워서 환기를 게을리하기 쉬우며, 봄에는 황사 등에 대한 염려 및 차량의 배기가스 등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환기를 자주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기정화장치가 많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에 있는 공기를 필터링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어 사용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되는 필터의 청소 및 교체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크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정화와 함께 실내의 습도조절기능까지 동시에 구현하여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에 더하여 심미적인 효과까지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실내 화분이 요청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3824호 (등록, 2010. 02. 16.)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을 층별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위치로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의 생장 촉진, 실내공기 및 실내 적정습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을 층별로 관리 및 각 층에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의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되, 연속 형성된 벽면 중 최하층에 위치한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홀 형태의 공급구가 형성되는 계단식 안착판; 및 공기 또는 상기 집수정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압송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에서 상기 바닥면의 하단에 맞닿아 있는 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상기 집수정의 측면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펜스 플레이트에는 울타리식물이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하도록 그물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에 형성된 공급구를 연통하는 분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을 관통되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와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관통되는 공기 공급배관으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배관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가하는 펌프; 상기 메인배관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펌프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재된 식물에 생장을 촉진 및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것은 물론, 실내 적정습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층에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을 각 층별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한 것으로서,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100)과, 상기 집수정(100)의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에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 계단식 안착판(200)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하여 압송된 공기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집수정(1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판 형상의 하면(110)과, 상기 하면(110)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120)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상기 집수정(100) 및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볼 때, 사각 판 형상, 원 판 형상 및 반원 판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100)은 그 내부 공간에 수용할 물의 양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면(110)과, 상기 측면(120)의 크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은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210)과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220)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벽면(210)과 하나의 바닥면(220)이 하나의 층을 이루며 최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하나의 층을 이루는 벽면(210)과 바닥면(220)은 둘레 및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 중 최하층에 위치하는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홀 형태의 공급구(21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별로 형성된 공급구(210a)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경로와, 최상단에 위치한 벽면(210-1)에 형성된 공급구(210a)로 공급된 물이 벽면(210-1) → 바닥면(220-2) → 바닥면(220-3) → 바닥면(220-4)을 따라 흘러 내려가는 경로가 중첩되지 않고, 공급구(210a)를 통해 물이 역류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에서 상기 바닥면(220)의 하단에 맞닿아 있는 벽면(210)은 상기 바닥면(200)이 끝단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으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 층을 이루는 벽면의 높이는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에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221)와, 상기 트레이(221)의 내부에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된다.
상기 트레이(221)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사전에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221)를 단순히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식물을 심어 가꾸는 화분과 그 기능 및 형태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221)의 높이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221)의 상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로 물이나 공기가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221)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트레이(221)가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층에 벽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집수정의 어느 한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210) 중 상기 집수정(100)의 어느 한 측면과 맞닿은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220)이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210) 중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120)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400)가 설치되고,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에 그물망(500)이 구비된다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221)에 울타리식물을 생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트레이(221)에 담이나 벼랑 등 경사진 곳에서 길게 줄기를 뻗어 자라나는 울타리식물이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에 구비된 그물망(500)에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할 것이다.
또한,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 중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가 위치한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600)과,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의 상단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60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천장 플레이트(7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층을 이루는 벽면은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110)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220)이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유닛(300)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 내부에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부의 공기나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310)과, 상기 메인배관(310)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와 연통되는 분기배관(320)과, 상기 메인배관(3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정(100)의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331) 및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통되는 공기 공급배관(332)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배관(3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급유닛(300)을 통해 물이나 공기를 압송하고, 압송된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인배관(310)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하는 펌프(311)와, 상기 메인배관(310)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331)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312)와, 상기 펌프(311)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31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펌프(311)과 상기 개폐밸브(312)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개폐밸브(312)는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개폐밸브(312)는 예를 들어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개방되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밸브를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개방한 후, 상기 펌프(311)를 온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배관(331) → 상기 메인배관(310) → 상기 분기배관(320) →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압송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개방한 후, 상기 펌프(311)를 온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 → 상기 메인배관(310) → 상기 분기배관(320) →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압송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배관(32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에 다른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다 하더라도 해당 식물의 생육 조건에 맞춰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1)의 내부에서 압송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배관의 내부에는 필터, 거름망, 메쉬망 등과 같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의 내부에서 압송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물 공급배관(331)의 내부에는 필터, 거름망, 메쉬망 등과 같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실내공기를 정화는 물론, 실내 적정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마다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221)가 배치되더라도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의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집수정 110: 하면
120: 측면 200: 계단식 안착판
210: 벽면 210a: 공급구
220: 바닥면 221: 트레이
300: 공급유닛 310: 메인배관
311: 펌프 312: 개폐밸브
320: 분기배관 330: 공급배관
331: 물 공급배관 332: 공기 공급배관
400: 펜스 플레이트 500: 그물망
600: 지지 프레임 700: 천장 플레이트

Claims (8)

  1. 하면과 상기 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되, 연속 형성된 벽면 중 최하층에 위치한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홀 형태의 공급구가 형성되는 계단식 안착판; 및
    공기 또는 상기 집수정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압송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에서 상기 바닥면의 하단에 맞닿아 있는 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에 형성된 공급구와 연통하는 분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을 관통되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와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관통되는 공기 공급배관으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배관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가하는 펌프;
    상기 메인배관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펌프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상기 집수정의 측면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펜스 플레이트에는 울타리식물이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하도록 그물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1016A 2015-10-29 2015-10-29 식물 재배기 KR10185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ko) 2015-10-29 2015-10-29 식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ko) 2015-10-29 2015-10-29 식물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16A KR20170050016A (ko) 2017-05-11
KR101855431B1 true KR101855431B1 (ko) 2018-05-04

Family

ID=5874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ko) 2015-10-29 2015-10-29 식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187B1 (ko) * 2020-08-21 2023-03-0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이끼 생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1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86B1 (ko)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1650057B1 (ko) 어항과 led 조명을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276699B1 (ko)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KR20120007420A (ko)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855431B1 (ko) 식물 재배기
KR102271415B1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1043699B1 (ko) 물을 주지않는 식물재배기
JP4570676B2 (ja) 緑化装置
JP4399510B1 (ja) つる性植物の定植方法及びつる性植物が定植された栽培槽
KR101658191B1 (ko)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KR102202733B1 (ko) 관상용 식물 토양재배기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KR20140025986A (ko)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2421134B1 (ko) 어항 겸용 수경재배장치
KR20160001316U (ko) 실내외 조경용 식생 장식틀
KR20190140127A (ko) 벽면 정원 설비
JP4332592B1 (ja) 水耕栽培循環システム
JP4226062B1 (ja) 緑化装置
JP4693910B2 (ja) 屋上緑化構造
JP4703665B2 (ja) 緑化装置
KR102577141B1 (ko)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KR102555542B1 (ko) 이끼생육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KR102626532B1 (ko) 수직정원의 스마트가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