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384B1 -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384B1
KR101855384B1 KR1020170019142A KR20170019142A KR101855384B1 KR 101855384 B1 KR101855384 B1 KR 101855384B1 KR 1020170019142 A KR1020170019142 A KR 1020170019142A KR 20170019142 A KR20170019142 A KR 20170019142A KR 101855384 B1 KR101855384 B1 KR 10185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wood
plate
thickness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to KR102017001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10D1/005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타의 바디 중 전판에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고 전판의 두께를 종래 기타에 비해 더 두껍게 제작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판, 측판, 및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현악기에 있어서, 적어도 전판이 로스티드 우드(roasted woo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String instrument using roasted w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의 바디 중 전판에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고 전판의 두께를 종래 기타에 비해 더 두껍게 제작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바디, 넥, 헤드로 대략 구성되며, 바디는 다시 전판, 측판, 하판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타의 제작시 사용되는 기타 목재는 일반적으로 함수율이 10 ~ 15%로서 함수율이 높아 기타 전판의 변형이 심하다. 또한, 종래 기타의 도장은 도장 두께가 0.45mm로서 기타의 변형을 방지하기는 하나 칠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소리가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8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72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42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14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56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로스티드 우드를 기타의 전판에 사용하도록 하고, 전판의 두께를 종래의 전판에 비해 더 두껍게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타에 비해 브레싱의 폭을 줄이고 칠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어 기타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풍성하고 조화로운 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판, 측판, 및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현악기에 있어서, 적어도 전판이 로스티드 우드(roasted woo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스티드 우드는 스퍼러스, 마호가니, 샤펠, 로즈우드, 및 홍송 중 어느 하나의 음향목을 사용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로스티드 우드는 음향목의 함수율이 5% 미만이 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로스티드 우드의 전판의 두께는 3.5mm ~ 7mm 사이의 두께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전판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한다.
또한, 현악기는 전판 및 후판이 로스티드 우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은 로스티드 우드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판 및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의 재료가 동일하다.
또한,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의 넓이 또는 폭은 6.5mm ~ 7.7mm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브레싱의 넓이 또는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이 또는 폭을 좁게 한다.
또한, 현악기의 도장은 하도칠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현악기의 도장은 하도칠 및 상도칠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는 0.1mm ~ 0.35mm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한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는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얇게 도장한다.
또한, 측판 및 하판의 도장 두께는 전판의 도장 두께에 상응하도록 도장된다.
또한, 전판의 함수율은 측판의 함수율과 서로 다르다.
또한, 전판과 하판의 함수율은 측판의 함수율과 서로 다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로스팅된 목재를 기 설정된 두께로 좌측 전판과 우측 전판을 따로 제작한 후 좌측 전판과 우측 전판을 접착하여 전판을 제작하는 단계, 로스티드 우드로 제작된 브레싱을 전판에 접착하는 단계, 전판을 형상 가공하는 단계, 제작된 브레싱을 후판에 접착하는 단계, 전판의 형상에 맞는 형상 가공된 측판을 후판에 접착하고, 전판을 접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단계, 및 기타의 바디에 하도 칠을 복수회 실시하거나 또는 하도 칠과 상도 칠을 복수회 실시하고 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판의 두께는 3.5mm ~ 7mm 사이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하도 칠의 두께 또는 하도 칠과 상도 칠의 두께는 0.1 ~ 0.35mm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함수율이 종래 기타에 비해 낮아져 기타의 변형이 줄고, 전 음 영역대에서 풍부한 울림소리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판의 두께가 종래 기타에 비해 두꺼워지기 때문에 나무의 변형이 줄어들고 기타의 음압의 크기가 커지고 전 음역대가 종래 기타의 음역대와 비교하여 플랫(또는 조화로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기타에 비해 칠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소리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칠을 얇게 칠해도 기타의 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도 칠 및 중도 칠을 하지 않아도 함수율이 낮기 때문에 기타의 변형이 없고 소리가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의 바디 중 후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되지 않으면서 기타의 전판의 두께가 2.5mm인 경우의 종래의 기타의 음의 성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되면서 기타의 전판의 두께가 각각 3.5mm, 5mm, 6.5mm인 경우의 본 발명의 기타의 음의 성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현을 켜거나 타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서, 일반적으로 가야금, 거문고,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및 기타(Guitar)가 이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로스티드 우드는 바람직하게는 상판, 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진 현악기에 적용하는 것이 좋으므로 기타(Guitar),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이 구비된 통기타 또는 어쿠스틱 기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판, 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진 모든 현악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10)는 바디(100,body), 넥(200,neck), 헤드(300,head)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는 전판(110), 측판(120), 및 하판(130)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간의 접착에 의해 기타의 바디가 완성된다. 종래의 기타는 전판, 측판, 및 하판을 동일한 재료(즉, 함수율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목재의 함수율을 기준으로 전판의 함수율을 측판 및 하판의 함수율과 달리하거나 또는 전판 및 하판의 함수율을 동일하게 하고 측판과 달리함으로써 기타의 변형을 방지하고 풍부한 기타 음을 생성하도록 한다.
함수율을 달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로스티드 우드(roasted wood)를 사용한다. 즉, 로스티드 우드는 음향목을 굽는 등 목재의 수분을 악기 울림에 좋게 만든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음향목은 대략적으로 스퍼러스, 마호가니, 샤펠, 로즈우드, 또는 홍송(sed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음향목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음향목의 종류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음향목의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음향목의 함수율이 5% 미만으로 되도록 굽거나(roast, 또는 열 건조) 또는 자연 건조하여 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 내고, 로스티드 우드를 기타의 전판(110) 또는 전판(110)/후판(130)에 제작에 사용한다. 함수율은 5%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일반 악기용 목재는 함수율이 대략 10 ~ 15% 사이 값을 가짐을 가만하면 이보다 함수율이 낮게 음향목의 수분기를 제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타 목재에 사용되는 함수율보다 더 낮은 함수율을 보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10)는 기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명홀을 통해 나오는 기타의 울림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타는 함수율이 10 ~ 15% 정도의 값을 가지면서 기타의 전판, 하판, 및 측판에 동일한 함수율이 적용된 음향목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스티드 우드는 바람직하게는 함수율이 5% 미만이며, 제작된 로스티드 우드는 전판 및 후판, 바람직하게는 전판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타는 종래의 기타와 달리 측판(120)을 기준으로 측판(120)과 상판(110)의 함수율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측판과 상판(110)/하판(130)의 함수율이 서로 다르다. 즉, 일예로서 측판(120)은 종래의 함수율(10~15%)이 적용된 음향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110)은 5% 미만의 함수율이 적용된 로스티드 우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측판(120)은 종래의 함수율(10~15%)이 적용된 음향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110) 및 하판(130)은 5% 미만의 함수율이 적용된 로스티드 우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타는 전판이나 또는 전판 및 하판에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여 기타(10)를 제작할 수 있다. 다만, 함수율이 5% 미만인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되는 로스티드 우드(전판 또는 하판)의 두께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준으로 맞춰야 종래의 기타에 비해 서로 다른 기타 음을 나타낼 수 있다(일예로서 일반 기타와 본원기타의 비교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6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판(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함수율이 대략 5% 미만인 로스티드 우드(이하에서는 로스티드 우드로 함)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후판(130)도 로스티드 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된 전판(110)의 두께는 대략 3.5mm ~ 7mm 사이 값을 가진다. 즉, 종래의 기타의 전판의 두께는 대략 2.5 ~ 3mm 사이 값을 가지는데 반해 본 발명의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된 전판(110)의 두께는 대략 3.5mm ~ 7mm 사이 값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판의 두께는 종래 기타의 전판의 두께에 비해 더욱 두껍게 제작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로스티드 우드를 적용하여 기타를 제작하는 것만으로 기타 음의 차별성을 극대화시킬 수 없으며, 로스티드 우드를 적용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두께를 유지하여야 종래 기타 음에 비해 음의 차별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만약, 후판(130)에도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전판(110)의 내용을 갈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판(120)은 로스티드 우드를 적용하지 않고 종래의 기타의 측판과 동일한 음향목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이때, 측판(120)의 두께는 2.7mm ~ 3mm 사이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스티드 우드 및 전판의 두께를 본 발명과 같이 적용한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타의 음과 차별성이 현저해진다. 물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판(110)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기타 음이 도출될 수 있으며, 도 3(종래 기타 음의 성질)에 비해 도 4 내지 도 6(본 발명의 기타 음의 성질)의 기타 음의 성질이 달라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에서 x축의 단위는 [Hz]로서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x축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저음영역(왼쪽 영역), 중음영역(가운데 영역), 고음영역(오른쪽 영역)으로 영역을 대략 구분할 수 있고, y축은 dB(SPL)로서 음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타의 음의 성질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비해 저음 영역과 고음 영역의 음압의 크기가 낮고, 중음 영역의 음압 크기 대비 저음 영역과 고음 영역의 음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다. 즉, 도 3의 종래 기타의 음의 성질은 중음 영역대의 음압의 크기와 저음 영역 및 고음 영역의 음압의 크기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음압 크기의 차이가 크다. 이에 비해 로스티드 우드에 의해 전판이 제작된 경우, 전판의 두께에 따라(도 4 내지 도 6 참조) 중음 영역대의 음압의 크기와 저음 영역 및 고음 영역의 음압의 크기를 비교하면 도 3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압 크기의 차이가 점차 줄어듦을 알 수 있다.
도 4는 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110)의 두께가 3.5mm인 경우의 일예로서(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의 두께가 얇을 경우) 저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32 ~ 63Hz에서 음압의 크기와 고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4k ~ 16kHz에서의 음압의 크기가 도 3에 비해 올라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타의 음의 성질(도 3 참조)과 비교하면 저음과 고음이 좋아짐을 알 수 있다.
도 5는 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110)의 두께가 5mm인 경우의 일예로서(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의 두께가 도 4에 비해 좀 더 두꺼워진 경우) 저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32 ~ 63Hz에서 음압의 크기와 고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4k ~ 16kHz에서의 음압의 크기가 도 4에 비해 올라감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음 영역대에서도 도 4에 비해 음압의 크기가 조금 커짐과 동시에 좀 더 플랫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도 6은 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110)의 두께가 6.5mm인 경우의 일예로서(로스티드 우드로 만들어진 전판의 두께가 도 5에 비해 좀 더 두꺼워진 경우) 저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32 ~ 63Hz에서 음압의 크기와 고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4k ~ 16kHz에서의 음압의 크기가 도 5에 비해 올라감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저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63 ~ 125Hz에서 음압의 크기와 중고음 영역대를 나타내는 2 ~ 4kHz에서 음압의 크기가 올라가면서 중저음 영역대 및 중고음 영역대가 보다 고르게(플랫하게) 분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중음 영역대에서도 도 4 및 도 5에 비해 음압의 크기가 조금 커짐과 동시에 좀 더 플랫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기타의 소리는 음압의 크기가 전 대역에 걸쳐 플랫하게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좋은 소리를 내는 기준이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두께별 기타의 음의 성질을 종합해보면 전판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전체적으로 음압의 크기가 커지고, 중저음 영역대와 중고음 영역대의 소리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튀지 않고 균형 있는 소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면서 전판의 두께가 두껴워질수록 좋은 소리를 낸다.
기타 자체의 현이 내는 소리는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기타의 바디 부분이 공명통의 역할을 하여 소리를 증폭시키게 된다. 이때, 기타에서는 브레싱의 다양한 배치를 통해 저음의 진동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브레싱은 전판(또는 상판)에 접착 또는 부착되는 부챗살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부챗살은 전판의 다양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챗살의 형상(또는 모양)이나 설계 방법은 종래 기타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기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부챗살의 폭을 일정한 수치 범위 내로 한정하며 더 나아가 부챗살을 전판과 동일하게 로스티드 우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로스티드 우드로 브레싱을 사용할 경우에는(따라서 전판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됨) 즉, 전판과 같은 목재의 성질과 함수율을 갖춘 재료를 브레싱으로 사용하게 되면 소리가 특별히 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전판의 재질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소리 성향을 로스티드 우드의 소리에 가깝게 해준다),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사운드(도 4 내지 도 6 참조)를 보여준다(부챗살을 전판과 다른 성질의 목재(즉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를 사용했을 때에는 중음 영역대에서 좌우(저음 영역대와 고음 영역대)로 음압의 크기가 크게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브래싱은 기타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기타 소리의 울림을 방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브레싱의 폭은 일정 수치 범위내에서 작을수록 좋다. 한편, 종래 기타는 전판의 함수율이 높아(10 ~ 15%) 목재의 수축/이완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브레싱의 폭을 8 ~ 9mm로 제작하여 전판에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함수율이 높은 종래 기타의 변형을 방지하기는 하나 동시에 소리의 울림을 방해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함수율 5% 미만의 낮은 함수율을 가지면서 종래 기타에 비해 전판의 두께가 더 두꺼운 로스티드 우드를 전판에 사용하여 기타를 제작하면 수축 이완에 의한 기타의 변형률이 현저히 낮아지게 됨으로써 브레싱의 폭을 6.5 ~ 7.5mm로 제작하여 전판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타의 브레싱 폭보다 그 폭을 줄일 수 있어 기타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동시에 소리의 울림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브레싱(또는 부챗살)의 설계 방법 및 제작 방법은 본 발명에서 참고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브래싱은 종래 기타의 브레싱에 비해 그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로스티드 우드와 기 설정된 범위의 전판의 두께에 의해 제작된 기타는 종래 기타에 비해 기타의 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싱의 폭을 기존대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의 도장(칠)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판의 두께가 2.5mm ~ 3mm 정도로 제작되는 종래 기타의 경우에는 전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칠의 두께를 하도 칠 0.08mm, 중도 칠 0.22mm, 상도 칠 0.15mm 정도로 전체적으로 대략 0.45mm 두께가 되도록 비교적 두껍게 칠하게 된다. 이렇게 두꺼운 칠을 하면 기타의 내구성(변형)은 보완되지만 소리의 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로스티드 우드 및 전판의 두께로 기타를 제작하면 기타의 변형률을 이미 현저히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중도 칠을 하지 않거나(하도 칠 및 상도 칠만 함) 바람직하게는 하도 칠만함으로써(중도 칠 및 상도 칠 생략) 칠의 두께를 대략 0.1mm ~ 0.35mm 사이 값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3mm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타에 비해 칠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타의 변형률을 최소화하면서 소리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즉, 소리의 울림이 칠이 두꺼운 종래 기타에 비해 더 좋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로스팅된 음향목은 함수율이 종래 기타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습도에 의한 변화가 적고 따라서 중도 칠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도 칠 및 상도 칠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칠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기타의 울림이 종래 기타에 비해 더욱 좋아진다. 더 나아가, 로스티드 우드의 전판의 두께를 6mm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하여 기타를 제작할 경우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하도 칠의 경우 락카피니쉬 또는 오일피니쉬의 도장 방법을 이용하여 칠의 두께를 0.1mm 이하로 할 수 있다. 락카피니쉬 또는 오일피니쉬의 칠의 두께가 일반적인 하도 칠의 두께에 비해 더욱 얇아지기 때문에 더욱 풍성한 기타 울림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도 칠, 중도 칠, 및 상도 칠의 방법 및 칠 재료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을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간략하게 칠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도 칠은 목재와 중도 칠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며 목재 내에 잠재돼 있는 미세한 수분을 차단시킨다. 중도 칠은 목재의 눈 메를 메워주며 컬러 칠을 하기 위한 베이스 역활을 한다. 또한, 중도 칠을 함으로써 목재의 수축을 방지하기도 한다. 중도 칠 후에 도드라진 부분을 연마하고 중도 칠할 때 기타의 색을 넣는 컬러 칠이 까지지 않도록 상도 칠을 한다. 또한, 상도 칠은 투명성을 증대시켜서 칼라가 잘 보이게 한다.
일반적으로 기타 제작시 풍성한 소리를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기타의 변형 방지를 포기하고 중도 칠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소리는 좋지만 기타의 수축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문제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함수율이 5% 미만인 로스티드 우드로 기타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분에 의해 기타가 수축될 확률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중도 칠을 하지 않아도(또는 중도 칠 및 상도 칠을 하지 않아도) 수축에 의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없으며, 중도 칠의 생략에 의해 칠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어 더욱더 좋은 소리 울림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타(10)는 바람직하게는 전판(110)이 로스티드 우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에는 측판(120) 및 하판(130)은 로스티드 우드가 아닌 음향목이 사용될 수 있다. 기타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전판이 가장 심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타 도장의 경우에 전판(110)의 도장 기준에 따라 측판(120) 및 하판(130)을 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판(110)에 하도 칠만 하는 경우 측판(120) 및 하판(130)도 하도 칠만 하게 되고, 전판(110)에 하도 칠 및 상도 칠을 하는 경우 측판(120) 및 하판(130)도 하도 칠 및 상도 칠을 한다. 또한, 측판(120) 및 하판(130)의 칠의 두께도 전판(110)의 칠의 두께와 되도록 동일하게 한다.
<로스티드 우드의 제작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로스티드 우드는 함수율이 바람직하게는 5% 미만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로스팅 작업을 할 음향목을 블록형태(두께 대략 35mm)로 1차 가공하여 강목 형태로 제작한다. 가공된 블록 목재를 열 가마에 넣어서 대략 3일간(70시간 ~ 126시간 정도 내에서), 130도 이상의 열을 가한다.
3일간 열을 가하는 중간마다 일정량의 수분을 분사하여 기타에 공급해 준다. 또한, 기타 색의 온도와 나무색상의 변화에 따라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를 변경하며 조절한다. 이때, 함수율 측정기로 측정하여 원하는 함수율이 나오면 합격으로 판정하고, 나뭇결이 틀어지거나 크랙이 발생한 경우 또는 함수율이 원하는 값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 불량으로 판단한다.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기타의 제작 방법>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를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로스팅된 목재를 각각 5mm 두께(전판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치 범위내에서 채택될 수 있다)로 좌측 전판과 우측 전판을 따로 제작하여 2개의 판(좌측 전판과 우측 전판)을 접착 한다. 이때, 좌측 전판과 우측 전판은 도 1에서 기타의 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작된 브레싱을 전판에 접착한다. 이때, 브레싱은 로스티드 우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레싱의 폭은 6.5 ~ 7.5mm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다음으로, 원하는 기타의 바디 형상에 맞도록 전판 바디 형태(Dreadnought(D body)/Orchestra Model(OM body)/Grand Auditorium(GA body)/Jumbo body/Parlor body) 바디 중 택1)를 형상을 가공한다. 이때, 선택된 전판의 바디 형태와 맞는 측판의 외형을 프레스로 압축하여 모양을 낸다. 측판의 외형 가공은 전판 바디 형태 가공전에 미리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 음향목을 이용하여 제작된 브레싱을 후판에 접착한다. 이때, 후판에도 로스티드 우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로스티드 우드가 적용된 브레싱이 후판에 접착된다.
다음으로, 제작된 측판을 후판에 접착하고, 전판을 접착한다.
다음으로, 접착이 완료된 기타의 바디(100)에 하도 칠을 한다. 하도 칠은 수회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매회 칠이 된 바디를 열 건조실에 넣어 열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열 건조실의 온도는 대략 50 ~ 70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때, 매 칠을 한 후에 열 건조시키는 이유는 목재가 높은 열 때문에 열을 받아들이면서 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하도 칠이 된 바디를 열 건조 후에 센딩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하도 칠의 흡수 상태를 체크해 보고 흡수가 잘 안된 곳은 하도 칠을 다시 해서 열 건조 후에 센딩 작업을 한다.
다음으로, 상도 칠을 한 후 열 건조시킨다. 상도 칠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또는 수회 실시할 수도 있다. 상도 칠의 흡수 상태가 우수한 기타에 한해서 추가적으로 상도 칠을 1 ~ 2회 더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기타
100 : 바디
110 : 전판
120 : 측판
130 : 후판
200 : 넥(neck)
300 : 헤드(head)

Claims (16)

  1. 전판, 측판, 및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현악기에 있어서,
    적어도 전판이 로스티드 우드(roasted wood)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스티드 우드의 전판의 두께는 3.5mm ~ 7mm 사이의 두께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전판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하며,
    상기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은 로스티드 우드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판 및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의 재료가 동일하며,
    상기 전판에 부착되는 브레싱의 폭은 6.5mm ~ 7.7mm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브레싱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을 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티드 우드는 스퍼러스, 마호가니, 샤펠, 로즈우드, 및 홍송 중 어느 하나의 음향목을 사용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티드 우드는 상기 음향목의 함수율이 5% 미만이 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는,
    전판 및 후판이 로스티드 우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도장은 하도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도장은 하도칠 및 상도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는 0.1mm ~ 0.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한 상기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는 로스티드 우드를 사용하지 않은 현악기의 도장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얇게 도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및 하판의 도장 두께는 상기 전판의 도장 두께에 상응하도록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의 함수율은 측판의 함수율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과 하판의 함수율은 측판의 함수율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019142A 2017-02-13 2017-02-13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KR10185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42A KR101855384B1 (ko) 2017-02-13 2017-02-13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42A KR101855384B1 (ko) 2017-02-13 2017-02-13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384B1 true KR101855384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42A KR101855384B1 (ko) 2017-02-13 2017-02-13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3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506A (ja) * 2001-09-30 2003-04-09 Tatsuya Kondo 木材およびその木材を用いた自然楽器
JP2007534018A (ja) * 2004-04-20 2007-11-22 フェルナンデス,ホアン メンドゥイニャ 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用サウンドボー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506A (ja) * 2001-09-30 2003-04-09 Tatsuya Kondo 木材およびその木材を用いた自然楽器
JP2007534018A (ja) * 2004-04-20 2007-11-22 フェルナンデス,ホアン メンドゥイニャ 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用サウンドボ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7552A (en) Soundboards and stringed instruments
US7151210B2 (en) Solid body acoustic guitar
JP3658547B2 (ja) 弦楽器トップ部材
US4903567A (en) Guitar with dual sound chambers
KR101855384B1 (ko)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한 현악기 및 로스티드 우드를 이용하여 기타의 바디를 제작하는 방법
US9406285B2 (en)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method of manufacturing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and stringed instrument
CN103794197A (zh) 整木挖筝制作工艺
JP2688648B2 (ja) 弦楽器
US9412344B2 (en) Stringed instrument apparatus and methods
EP138457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ood elements for musical instruments, wood elements for musical instruments obtained thereby, and musical instrument therewith
US20050211052A1 (en) Guitar having a metal plate insert
US9373309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inlaid fret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05766B2 (en) Acoustic guitar assembly
US1747307A (en) Sounding board
US4916995A (en) Electrical guitar
US20200111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posite Sound Board
US6759581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US7498497B2 (en) Body structure of stringed instrument
US3515024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body construction and finish
US6420638B2 (en) Guitar nec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50059551A1 (en) Construction Of Soundboard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
CN106169291A (zh) 一种弦乐器及其制作方法
CN107471384A (zh) 一种弦乐器的加丝板材及其加工方法
US20030106409A1 (en)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50107435A1 (en)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method of manufacturing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and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