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246B1 -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246B1
KR101855246B1 KR1020160149905A KR20160149905A KR101855246B1 KR 101855246 B1 KR101855246 B1 KR 101855246B1 KR 1020160149905 A KR1020160149905 A KR 1020160149905A KR 20160149905 A KR20160149905 A KR 20160149905A KR 101855246 B1 KR101855246 B1 KR 10185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clamp
loading
machin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일륭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륭기공(주) filed Critical 일륭기공(주)
Priority to KR102016014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8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gear and the road wheels, e.g. on tie-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4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by means of grippers also magnetic or pneumatic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척의 내부에는 소재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출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고정척으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의 인출거리를 제어하여 1차 가공을 마친 소재의 비 가공면을 로딩/언로딩수단에 구비된 클램프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소재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재를 2차 내지 3차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 Tierod processing device }
본 발명은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가공을 마친 환봉 형태의 소재가 인출수단에 의해 고정척 전방으로 인출 시 상기 소재의 인출거리를 스토퍼가 제어하여 로딩/언로딩수단에 구비된 클램프가 1차 가공시 발생 된 버가 쌓인 부분을 파지하지 않고, 버가 쌓이지 않은 부분인 비가공면(2차 가공되는 면)을 정확(수평)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다시 고정척의 척홀에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한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로드 란 랙바와 휠축 사이로 설치 구성되어 조향 휠에서 발생 되는 회전력을 휠축으로 전달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조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이로드가 장착되는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어수단과, 기어수단과 조향축을 연결하는 링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수단은 운전자가 직접 조향 각을 변경시켜 기어수단과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직접 회전시키는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에 결합 되는 스티러링 컬럼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수단의 회전력은 기어수단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 데, 상기 기어수단은 스티어링 컬럼의 끝단에는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바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 기어가 랙바와 맞물리게 결합 되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랙바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휠축과 연결된 링크수단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링크수단은 볼 조인트가 구비된 타이로드를 랙바의 일단에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랙바와 연결된 타이로드의 볼 조인트는 휠축에 연결된 볼 하우징이 구비된 너클암에 결합 된다.
따라서, 타이로드는 랙바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조향휠을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타이로드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부호 10은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테이블(10)의 일면에는 도 1과 같이 제어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10)가 설치된 테이블(10)의 상부면 중앙에는 환봉 형태로 형성된 소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척홀(40)이 구비된 고정척(20)이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 구성된다.
상기 고정척(20)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테이블의 상부면에 회전블럭(30)이 모터(31)에 축설 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블럭(30)의 전면에는 다수의 척홀(40) 이 구비된 고정척(20)이 결합 구성된다.
상기 척홀(40)의 내부에는 고정부(41)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41)에 의해 상기 척홀(40)의 내부로 끼워진 소재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고정척(20) 전방에는 환봉 형태의 소재를 파지하여 고정척(20)에 공급하거나, 그 고정척(20)에 결합 되어 1차 가공(P1)을 마친 소재를 인출시키는 로딩/언로딩수단(50)이 상,하 및 좌,우 및 전,후로 이동되게 설치 구성된다.
상기 소재를 고정척(20)에 공급 또는 인출하는 로딩/언로딩수단(50)은 도 3과 같이 이동블럭(6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60)의 일면인 후면에는 상,하로 180°회전되는 회전실린더(70)가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실린더(70)의 일면에 가이드홈(81)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설치블럭(8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81)에 끼워지는 가이드부(90)가 구비된 한 쌍의 클램프(100)가 결합 구성된다.
이때, 고정척(20)에 형성되는 척홀(40)은 도 1과 같이 4개로 형성되며, 척홀(40)과 대응되게 한 쌍의 클램프(100)가 상,하부에 각각 2개씩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로딩/언로딩수단(50)의 클램프(100)는 도 1과 같이 테이블(10)의 전방에 설치된 소재공급수단(120)으로 인해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소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척(20)으로 공급하고, 상기 고정척(20)에 고정된 상태에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는 클램프(100)에 파지 된 상태에서 고정척(20)으로부터 인출되며 그, 인출된 소재(P1)는 테이블(10) 후방에 설치된 배출컨베어(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테이블(10) 내부에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가공되지 않은 소재를 1차 가공하거나 또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를 2차 가공할 수 있는 바이트가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종래의 타이로드 소재의 가공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소재공급수단(120)으로부터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소재를 로딩/언로딩수단(50)의 클램프(100)가 파지를 한 상태에서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된 가공되지 않은 소재를 고정척(20)에 구비된 척홀(40)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고정척(20)에 구비된 척홀(40)에 가공되지 않은 소재가 결합 되면, 테이블(10)에 설치된 모터(3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가공되지 않은 소재를 바이트(도면 미 도시)가 설치된 테이블(10)의 내부로 회전 이동시켜 소재를 1차 가공한다.
1차 가공이 완료되면,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31)로 인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는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외주면을 클램프(100)가 파지한 상태에서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고정척(2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클램프(100)가 파지하여 고정척(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도 4의 (a), (b)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도 4의 (a)와 같이 바이트(도면 미 도시)의 작동으로 인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도 2와 같이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회전 이동되면,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클램프(100)가 구비된 로딩/언로딩수단(50)은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의 (a)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비 가공면을 파지 한다.
상기 클램프(100)가 비 가공면을 파지한 파지를 한 후에 로딩/언로딩수단(50)은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척(20)에 구비된 척홀(40)로부터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분리한다.
그리고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고정척(20)으로부터 분리되면 로딩/언로딩수단(50)에 구비된 회전실린더(7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180° 회전되면서 클램프(100)에 파지 된 가공되지 않은 소재를 다시 1차 가공이 마친 소재(P1)가 빠진 자리인 고정척(20)의 척홀(40)에 결합하여 가공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의 문제점은 로딩/언로딩수단(50)의 클램프(100)는 도 3과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후 버가 쌓인 소재(P1)의 비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클램프(100)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도 5와 같이 수평 하게 파지못하고 경사지게 파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고정척(20)에 결합 된 가공 되지 않은 소재의 선단을 구 모양으로 1차 가공을 하는 도중에 발생 되는 버는 1차 가공된 면의 후단인 도 3과 같이 비 가공면으로 쌓이게 되는 것이다.
버가 쌓인 비 가공면을 도 4의 (a)와 같이 클램프(100)가 파지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100)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경사지게 파지하므로, 도 4의 (b)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척홀(40)로부터 인출하는 도중에 소재(P1)의 외주면은 척홀(40)과의 마찰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로 인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는 도 5의 (a)와 같이 클램프(100)에 경사지게 결합 되기 때문에 2차 가공을 위해 고정척(20)의 척홀(40)에 도 5의 (b)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2차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경사지게 클램프(100)에 파지된 소재(P1)를 상기 클램프(100)로부터 분리한 후에 작업자는 일일이 수 작업으로 버를 제거하고, 그 버가 제거된 소재(P1)를 다시 클램프(100)에 파지시켜 고정척(20)의 척홀(40)에 결합해야 하므로, 타이로드 소재의 생산 가공단계가 복잡해져 타이로드의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타이로드 생산 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척의 척홀 내부에는 인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고정척 전방으로 인출되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의 인출 거리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로딩/언로딩수단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에 구비된 클램프는 버가 쌓이지 않은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척으로부터 분리된 1차 가공 소재를 다시 바로 고정척에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할 수 있어 타이로드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타이로드 제작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클램프는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2차 가공면이 고정척의 척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클램프에 구비된 파지홈에는 압력 스위치를 설치하여 압력 스위치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 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클램프에 파지된 소재는 다시 고정척의 척홀 내부로 끼워져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타이로드 소재 가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테이블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척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재를 고정척에 공급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클램프가 구비된 로딩/언로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에 있어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를 고정척 전방으로 밀어내는 인출수단을 척홀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수단의 작동에 의해 척홀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로딩/언로딩수단에 구성하여, 클램프가 소재의 가공되지 않은 비 가공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소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척의 척홀 내부에는 인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고정척 전방으로 인출되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의 인출 거리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로딩/언로딩수단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에 구비된 클램프는 버가 쌓이지 않은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척으로부터 분리된 1차 가공 소재를 다시 바로 고정척에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할 수 있어 타이로드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타이로드 제작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출수단과 스토퍼에 의해 고정척으로부터 인출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를 다시 그 고정척에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타이로드 소재를 1차 가공하는 가공장치와 2차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별도로 각각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소재를 1차 가공 및 2차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클램프는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2차 가공면이 고정척의 척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클램프에 구비된 파지홈의 내벽에는 제어부와 연결되게 압력 스위치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압력 스위치에 의해 제어부는 클램프에 파지 된 가공되지 않은 소재 또는 가공된 소재가 수평 하게 파지되거나 경사지게 파지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지게 클램프에 파지된 소재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타이로드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로딩/언로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클램프가 1차 가공된 소재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딩/언로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프가 1차 가공된 소재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테이블(10)에 설치되는 제어부(110)와, 테이블(1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척(20)과,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재를 고정척(20)에 공급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클램프(270)가 구비된 로딩/언로딩수단(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타이로드 가공장치에 있어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를 고정척(20) 전방으로 밀어내는 인출수단(250)을 척홀(40)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수단(250)의 작동에 의해 척홀(40)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20)를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성하여, 클램프(270)가 소재의 가공되지 않은 비 가공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척홀(40)의 내부에 인출수단(250)을 설치하고, 인출수단(250)에 의해 인출되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인출 거리는 제한하는 스토퍼(220)를 상기 로딩/언로딩수단(200)의 하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클램프(270)가 버가 쌓이지 않은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출수단(250)은 도 8과 같이 척홀(40)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실린더로드(261)가 구비된 실린더(2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인출수단(250)은 실린더(260) 이외에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인출수단(250)을 통해 고정척(20) 전방으로 이동되는 1차 가공 소재(P1)의 인출거리를 제한하여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클램프(270)가 1차 가공 소재(P1)의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수평 하게 파지할 수 있게 스토퍼(220)를 도 7과 같이 로딩/언로딩수단(200)의 하단에 설치한다.
상기 스토퍼(220)는 도 7과 같이 이동블럭(60)의 하단에 설치판(230)을 설치하고, 설치판(230)의 전면에는 클램프(270)에 구비된 파지홈(271)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도록 축(231)을 너트(233)로 고정 결합하며, 축(231)의 외주면에 스프링(232)을 설치한다.
그리고, 축(231)의 끝단에는 고정척(20)으로부터 인출된 1차 가공된 소재(P1)가 접촉되는 스토퍼부(240)를 설치한다.
따라서, 인출수단(250)의 작동에 의해 고정척(2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1차 가공된 소재(P1)는 도 8의 (b)와 같이 스토퍼(220)에 구비된 스토퍼부(240)의 일면과 접촉되면서 1차 가공된 소재(P1)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고, 그 제한된 1차 가공 소재(P1)의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클램프(270)가 파지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270)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수평 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1차 가공된 소재(P1)를 다시 고정척(20)의 척홀(40) 내부에 끼워 결합하여 2차 가공을 마친 소재(P2)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클램프(270)의 파지홈(271)의 내벽에는 압력스위치(280)를 제어부(110)와 연결되게 설치한다.
상기 파지홈(271)의 내벽에 도 9와 같이 압력스위치(280)를 제어부(110)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므로, 상기 압력스위치(280)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파지한 클렘프(270)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측정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압력스위치(280)에서 측정한 신호에 따라 클램프(270)에 파지된 제1차 가공소재(P1)의 파지 상태인 수평하게 파지 된 상태 및 경사지게 파지 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경사지게 클램프(270)에 파지되면 제어부(110)는 도면에 미 도시 되었지만 테이블(10)에 설치된 경보기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경보음이 발생 되도록 하기 때문에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가 오 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도 8의 (a)와 같이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회전 이동되면, 척홀(40)의 내부에 설치된 인출수단(250)의 실린더(26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척홀(40) 내부에 고정 결합 된 1차 가공된 소재를 고정척(2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출수단(250)의 작동에 의해 척홀(40) 내부에 결합 된 1차 가공소재가 고정척(20) 전방으로 탄력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척홀(40) 내부에는 인출바가 구비된 리턴스프링(262)을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따라서, 인출수단(250)의 실린더(260)가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척홀(40) 내부에서 고정척(20) 전방으로 이동시 실린더로드(261)의 끝단은 인출바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인출바가 리턴스프링(262)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고정척(20) 전방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리턴스프링(262)의 탄성력을 전달받은 인출바는 고정척(20) 전방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면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후단을 가압하기 때문에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는 척홀(40) 내부에서 전방으로 튀어나오듯이 빠지면서 스토퍼(220)에 구비된 스토퍼부(240)의 일면에 접촉된다.
상기 소재(P1)가 스토퍼부(240)에 접촉되면,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클램프(27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 8의 (b)와 같이 1차 가공 소재(P1)의 비 가공면 인 버가 쌓이지 않은 2차 가공면을 파지한 후에 로딩/언로딩수단(200)은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도 8의 (c)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 가공된 소재((P1)를 고정척(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다.
즉, 인출수단(250)에 의해 척홀(40)로부터 인출되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는 스토퍼(220)에 구비된 스토퍼부(240)의 일면에 접촉되면서 작업자가 지정한 길이만큼 상기 척홀(40)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1차 가공을 마친 상기 소재(P1)를 파지하는 클램프(100)는 종래 기술에 도시된 도 3과 같이 1차 가공면의 바로 후단에 있는 버가 쌓인 부분을 파지하지않고, 도 7과 같이 버가 쌓이지 않는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므로, 상기 클램프(270)는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수평 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하게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클램프(270)에 파지 되면, 로딩/언로딩수단(20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척홀(40) 내부로 다시 결합한다.
즉,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인출된 그 척홀(40)로 내부로 다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가 다시 척홀(40)에 결합 되면, 모터(31)는 고정척(20)을 180°회전시켜 테이블(10)의 내부에 구비된 바이트(도면 미 도시)가 2차 가공면을 가공하고, 그 가공을 마친 2차 가공된 소재(P2)는 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시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회전 이동된다.
테이블(10)의 상부면으로 이동된 2차 가공을 마친 소재(P2)는 인출수단(250)에 의해 척홀(40)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클램프(270)는 도 8의 (d)와 같이 2차 가공을 마친 소재(P2)를 파지 한후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차 가공된 소재(P2)를 고정척(20)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척홀(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인출수단(250)과 상기 인출수단(250)에 의해 고정척(20) 전방으로 인출되는 1차 가공 소재(P1)의 인출 길이를 제어하는 스토퍼(220)에 의해 로딩/언로딩수단(50)에 구비된 클램프(270)는 1차 가공 소재(P1)의 비 가공면인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270)는 수평한 상태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파지할 수 있으며, 그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를 다시 고정척(20)에 구비된 척홀(40) 내부로 끼워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할 수 있으므로, 타이로드 소재의 가공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스토퍼(220)와 인출수단(250)에 의해 버가 쌓인 비 가공면을 클램프(270)가 파지하지 않고, 도 8의 (b)와 같이 버가 쌓이지 않은 2차 가공면을 클램프(270)가 파지하므로, 상기 클램프(270)는 1차 가공 소재(P1)를 수평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그 수평 하게 파지 된 상태로 클램프(270)에 결합 된 1차 가공 소재(P1)를 다시 동일한 고정척(20)의 척홀(40)에 끼워 결합하여 2차 가공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1차 가공을 마친 소재(P1)의 버를 제거하지 않아도,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스토퍼(220)와 고정척(20)에 결합 된 1차 가공된 소재(P1)를 인출하는 인출수단(250)으로 인해 버가 쌓이지 않은 2차 가공면을 클램프(270)가 파지를 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270)에 파지되는 1차 가공 소재(P1)는 도 7과 같이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시 고정척(20)의 척홀(40) 내부에 끼워 2차 가공을 할 수 있어 타이로드 가공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수 작업으로 버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타이로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270)는 2차 가공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척홀(40)의 내부로 1차 가공된 소재(P1)를 결합 시 2차 가공면이 척홀(40)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파지홈(271)에 설치된 압력스위치(280)는 클램프(270)에 파지 된 1차 가공된 소재(P1)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보내고, 그 제어부(110)는 압력스위치(280)로부터 유입된 측정된 압력에 따라 1차 가공된 소재(P1)가 클램프(270)에 수평하게 파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로딩/언로딩수단(200)이 고정척(20) 전방으로 이동을 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1차 가공 소재(P1)가 수평하게 클램프(270)에 파지 되면, 압력스위치의 양측은 50 이라는 압력 수치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로딩/언로딩수단(200)으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클램프(270)에 파지 된 1차 가공된 소재(P1)를 다시 도 8의 (d)와 같이 고정척(20)의 척홀(40) 내부로 끼워져 2차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1차 가공 소재(P1)가 기울어지게 클램프(270)에 파지 되면, 압력스위치의 양측은 서로 다른 값인 38과 12의 측정 수치를 제어부(110)로 공급하고, 그 제어부(110)는 테이블(110)에 구비된 경보기(도면 미 도시)를 통해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자가 굳이 클램프(270)에 파지 된 1차 가공된 소재(P1)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 테이블, 20: 고정척,
30: 회전블럭, 31: 모터,
40: 척홀, 41: 고정부,
50: 로딩/언로딩수단, 60: 이동블럭,
70: 회전실린더, 80: 설치블럭,
81: 가이드홈, 90: 가이드부,
100: 클램프, 110: 제어부,
120: 소재공급수단, 140: 배출컨베어,
200: 로딩/언로딩수단, 210: 설치판,
220: 스토퍼, 230: 설치판,
231: 축, 232; 스프링,
233: 너트, 240: 스토퍼부,
250: 인출수단, 260: 실린더,
261: 실린더로드, 262: 리턴스프링,
270: 클램프, 271: 파지홈,
280: 압력스위치,

Claims (4)

  1. 테이블(10)에 설치되는 제어부(110)와, 테이블(1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척(20)과,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재를 고정척(20)에 공급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클램프(270)가 구비된 로딩/언로딩수단(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에 있어서,
    1차 가공을 마친 소재를 고정척(20) 전방으로 밀어내는 인출수단(250)을 척홀(40)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수단(250)의 작동에 의해 척홀(40)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20)를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성하여, 클램프(270)가 소재의 가공되지 않은 비 가공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토퍼(220)는, 클램프(270) 전단에 위치하도록 로딩/언로딩수단(200)에 구비된 이동블럭(60) 하단에 설치판(230)을 설치하고,
    스프링(232)이 외주면에 설치된 축(231)을 설치판(230)에 관통되게 너트(233)로 고정 결합하며,
    인출수단(250)에 의해 척홀(40)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의 전단이 접촉되는 스토퍼부(240)을 축(231) 후단에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250)은,
    척홀(40)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실린더로드(261)가 구비된 실린더(2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클램프(270) 일면에 소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271)을 형성하고,
    파지홈(271)의 내측면에 압력스위치(280)를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KR1020160149905A 2016-11-11 2016-11-11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KR101855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05A KR101855246B1 (ko) 2016-11-11 2016-11-11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05A KR101855246B1 (ko) 2016-11-11 2016-11-11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246B1 true KR101855246B1 (ko) 2018-05-09

Family

ID=6220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05A KR101855246B1 (ko) 2016-11-11 2016-11-11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2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96B1 (ko) * 2006-04-25 2007-06-14 (주)마이키 공작기계용 공작물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96B1 (ko) * 2006-04-25 2007-06-14 (주)마이키 공작기계용 공작물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6685B2 (ja) 被加工物の把持方法及び被加工物の心出し装置
US10195706B2 (en) Object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object to receiving part, machine tool, robot,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 to receiving part
CN108983697B (zh) 数值控制装置和机床的控制方法
JP2005047002A (ja) センタリングマシン
KR101577461B1 (ko) 자동 선반의 소재 조임력 조절장치
KR101275473B1 (ko) 공작기계용 소재 그립장치
CN211028811U (zh) 一种液压油缸自动组对夹具
JP2004142076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位相決め方法と、その装置
JP2009072842A (ja) 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KR101855246B1 (ko) 타이로드 소재 가공 장치
JP4628890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のパレット交換機構
JP6600194B2 (ja) チャック装置
US20220314332A1 (en) Machine tool and control device for machine tool
JPH0451922Y2 (ko)
JP5279013B2 (ja) 長尺ワーク加工用旋盤
KR101747087B1 (ko) Cnc공작기계용 가공물 자동공급장치
JP7015149B2 (ja) チャック装置
CN111015224A (zh) 一种铣切设备及铣切方法
CN219336892U (zh) 一种锥度长圆孔加工实训夹具装置
JP2701706B2 (ja) 対向2軸旋盤のカットオフ方法
KR101741986B1 (ko) Cnc공작기계용 가공물 자동공급장치
JP2011056633A (ja) 旋盤でのワーク把持方法及びワーク把持装置
TW201408427A (zh) 加工系統及利用加工系統加工短尺寸棒狀工件的方法
CN219901289U (zh) 车用台阶轴弹性过渡套装夹自动上料装置
KR20030028300A (ko) 공작물 클램프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