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204B1 -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204B1
KR101855204B1 KR1020160109418A KR20160109418A KR101855204B1 KR 101855204 B1 KR101855204 B1 KR 101855204B1 KR 1020160109418 A KR1020160109418 A KR 1020160109418A KR 20160109418 A KR20160109418 A KR 20160109418A KR 101855204 B1 KR101855204 B1 KR 10185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atrol
security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109A (ko
Inventor
김영진
류동호
Original Assignee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3Surveillance related processing done local to th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지영역 내에서 감시카메라와 연결된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통해 감시영역에 침입한 침입자를 감지하며, 감시영역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감시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A integrated sensor module for security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감시시스템이란 공장이나 건물 등에 설치되어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된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그 감시카메라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모니터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모니터를 통하여 각 감시영역들을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공 가격이 낮아짐에 따라 더욱 대중화되었다.
한편, CCTV는 단순히 화상을 전송하는 기능 외에 침입자의 행동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었고, 추가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8303호의 "다목적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감시시스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감시시스템의 경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시영역에 침입한 침입자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감시시스템의 경우, 기 설치된 감시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교체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배선 시공을 새로이 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시영역에 침입한 침입자를 인식할 수 있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된 상기 감시카메라와 영역 내에서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정보를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중계하여 전달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로부터 감지정보를 직접 전달받는 정보 통합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은,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된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 전달선로의 일측과 상기 감시카메라를 연결하는 제1접속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정보 전달선로의 타측 및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전달선로의 타측을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을 특정 순차에 따라 순찰하는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수신하는 순찰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로부터 각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이 연결된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를 중계받는 제1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수신받는 제2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된 별도의 출력장치에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감지정보를 특정 데이터 형식으로 가공처리하는 가공부; 및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 및 상기 가공부를 통해 가공처리된 감지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접속부를 통해 전달된 촬영정보는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수신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전달된 감지정보는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2수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순찰신호 수신부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수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 제어부 각각으로부터 순찰정보를 수신한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은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기반으로 순찰자의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감시영역 중 순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취약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 환경변화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정보를 정보 통합 제어유닛에 전달하고, 연결된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촬영정보를 중계 전달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된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 전달선로의 일측과 상기 감시카메라를 연결하는 제1접속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정보 전달선로의 타측 및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전달선로의 타측을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영역 내에서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수신하는 순찰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접속부를 통해 전달된 촬영정보는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순찰신호 수신부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지영역 내에서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시영역 내에 침입한 침입자를 인식함으로써, 감시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지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소리를 감지하여 위치산출부를 통해 소리의 방향을 산출함으로써, 감지영역 내에서 소리가 발생한 곳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기 설치된 감시시스템의 감시카메라에 연결된 선로에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설치함으로써 감지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 감지, 소리 감지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하여, 기 설치된 감시시스템에 기능 추가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1000)은 감시카메라(100),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 및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1000)의 흐름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면, 감시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는 촬영정보 전달선로(L1)를 따라 제1접속부(260)를 통해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거친다. 그리고 촬영정보 전달선로(L1)를 따라 제2접속부(270)를 거쳐 제1수신부(310)로 전달되어 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정보는 출력부(340)를 통해 외부 출력장치(400)로 전송되어 출력장치(400)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정보는 송신부(360)를 통해 관리서버(500)의 수신부(510)로 송신되어 정보저장부(520)에 저장된다.
여기서,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는 감지정보 전달선로(L3)를 따라 제2접속부(270)를 통해 제2수신부(320)로 전달된다.
그리고 가공부(350)를 통해 특정 데이터 형식으로 가공되고 송신부(360)를 통해 관리서버(500)의 수신부(510)로 송신되어 정보저장부(520)에 저장된다.
추가적으로, 무선통신장치(600)를 소지한 순찰자가 감시카메라(100)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An)을 순찰하게 되면, 무선통신장치(600)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의 순찰신호 수신부(280)가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순찰신호 수신부(280)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제2수신부(320)로 송신한다.
여기서, 순찰정보를 수신한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은 송신부(360)를 통해 관리서버(500)의 수신부(510)로 순찰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된 순찰정보는 정보저장부(520)에 저장된다.
또한, 순찰경로정보 생성부(530)는 정보저장부(5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기반으로 순찰자의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인 순찰경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순찰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취약영역정보 생성부(540)를 통해 취약영역정보가 생성되며, 취약영역정보가 전송부(550)를 통해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600)에 전송된다.
다시 말해, 순찰자는 순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감시영역에 관한 정보인 취약영역정보를 관리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취약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1000)의 구성요소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An)에 각 영역(An)별로 설치되어 해당 영역(An)을 촬영하여 촬영정보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An)에 각 영역(An)별로 설치된 감시카메라(100)와 영역(An) 내에서 연결되어 해당 영역(An) 내 환경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은 화재센서(210), 인체감지센서(2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230), 위치산출부(240), 제어부(250), 제1접속부(260), 제2접속부(270) 및 순찰신호 수신부(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재센서(210)는 감시카메라(100)가 설치된 해당 영역(An)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한다.
그리고, 화재센서(210)는 불꽃 감지 센서, CO센서 등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된다.
또한, 인체감지센서(220)는 감시카메라(100)가 설치된 해당 영역(An)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인체감지센서(220)는 PIR센서(Passive InfraRed Sensor)와 같이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230)은 감시카메라(100)가 설치된 해당 영역(An) 내 소리를 감지한다.
또한, 위치산출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화재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화재정보, 인체감지센서(220)를 통해 감지된 인체의 움직임 정보 및 위치산출부(240)를 통해 생성된 소리의 방향 정보가 포함된 감지정보를 하술될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접속부(260)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 내부에 설치된 촬영정보 전달선로(L1) 및 전원 전달선로(L2)의 일측과 감시카메라(100)를 연결한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는 촬영정보 전달선로(L1)를 따라 제1접속부(260)를 통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감시카메라(100)는 전원 전달선로(L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제2접속부(270)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제어부(250)와 연결되는 감지정보 전달선로(L3)의 타측 및 촬영정보 전달선로(L1) 및 전원전달선로(L2)의 타측을 정보 통합제어유닛(300)과 연결한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로부터 제1접속부(260)를 통해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로 전달된 촬영정보는 촬영정보 전달선로(L1)를 이동하여 제2접속부(270)를 통해 하술될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의 제1수신부(3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부(250)로부터 감지정보 전달선로(L3)를 이동하여 전달된 감지정보는 제2접속부(270)를 통해 하술될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의 제2수신부(320)로 전달된다.
여기서, 순찰신호 수신부(2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00)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An)을 특정 순차에 따라 순찰하는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600)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수신한다.
부가적으로, 제어부(250)는 순찰신호 수신부(280)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제2수신부(320)로 송신한다.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은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00)로부터 생성된 촬영정보를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중계하여 전달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로부터 생성된 감지정보를 직접 전달받는다.
그리고, 정보 통합제어유닛(300)은 제1수신부(310), 제2수신부(320), 메모리(330), 출력부(340), 가공부(350) 및 송신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로부터 각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이 연결된 감시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를 중계받는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는 촬영정보 전달선로(L1)를 이동하여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거쳐 제1수신부(3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2수신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순찰정보를 수신받는다.
또한,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는 제2접속부(270)를 거쳐 감지정보 전달선로(L3)를 이동하여 제2수신부(320)로 전송된다.
여기서, 메모리(330)는 제1수신부(310)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출력부(340)는 제1수신부(310)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정보 통합제어유닛(300)과 연결된 별도의 출력장치(400)에 출력시킨다.
여기서, 가공부(350)는 제2수신부(320)를 통해 수신받은 감지정보를 특정 데이터 형식으로 가공처리한다.
예를 들어, 가공부(350)는 제2수신부(320)를 통해 수신받은 감지정보를 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가공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360)는 제1수신부(310)를 통해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로부터 중계받은 촬영정보, 가공부(350)를 통해 가공처리된 감지정보 및 제2수신부(320)를 통해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관리서버(500)에 송신한다.
관리서버(500)는 수신부(510), 정보저장부(520), 순찰경로정보 생성부(530), 취약영역정보 생성부(540) 및 전송부(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부(510)는 송신부(360)로부터 송신된 촬영정보, 가공처리된 감지정보 및 순찰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정보저장부(52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된 촬영정보, 가공처리된 감지정보 및 순찰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순찰경로정보 생성부(530)는 정보저장부(5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기반으로 순찰자의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인 순찰경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취약영역정보 생성부(540)는 정보저장부(520)에 기 저장된 전체 감시영역(An)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순찰경로정보 생성부(530)를 통해 생성된 순찰경로정보와 비교하여 전체 감시영역(An) 중 순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취약 영역에 관한 정보인 취약영역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송부(550)는 취약영역정보 생성부(540)를 통해 생성된 취약영역정보를 순찰자가 소지한 하술될 무선통신장치(600)에 전송한다.
무선통신장치(600)는 전송부(550)로부터 취약영역정보를 수신하며, 순찰신호 수신부(280)가 수신가능한 순찰신호를 발산한다.
그래서, 무선통신장치(600)를 소지한 순찰자가 각 감시영역(An)을 순찰하게 되면, 무선통신장치(600)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순찰신호 수신부(280)가 수신하여, 제어부(250)를 통해 순찰정보가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An)에 각 영역(An)별로 설치된 감시카메라(100)와 영역(An) 내에서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통해 감지영역 내에서 인체감지센서(220)를 통해 감지영역(An)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시영역(An) 내에 침입한 침입자를 인식함으로써, 감시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통해 감지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230)을 통해 소리를 감지하여 위치산출부(240)를 통해 소리의 방향을 산출함으로써, 감시자가 감지영역(An) 내에서 소리가 발생한 곳을 확인할 수 있어, 감시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치된 감시시스템의 감시카메라(100)에 연결된 선로에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200)을 설치함으로써 감지영역(An) 내 인체의 움직임 감지, 소리 감지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하여, 기 설치된 감시시스템의 업그레이드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0 :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100 : 감시카메라
200 :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210 : 화재센서
220 : 인체감지센서
230 : 마이크로폰
240 : 위치산출부
250 : 제어부
260 : 제1접속부
270 : 제2접속부
280 : 순찰신호 수신부
300 : 정보 통합제어유닛
310 : 제1수신부
320 : 제2수신부
330 : 메모리
340 : 출력부
350 : 가공부
360 : 송신부
400 : 출력장치
500 : 관리서버
510 : 수신부
520 : 정보저장부
530 : 순찰경로정보 생성부
540 : 취약영역정보 생성부
550 : 전송부
600 : 무선통신장치
L1 : 촬영정보 전달선로
L2 : 전원 전달선로
L3 : 감지정보 전달선로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된 상기 감시카메라와 영역 내에서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정보를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중계하여 전달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로부터 감지정보를 직접 전달받는 정보 통합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은,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된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 전달선로의 일측과 상기 감시카메라를 연결하는 제1접속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정보 전달선로의 타측 및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전달선로의 타측을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을 특정 순차에 따라 순찰하는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수신하는 순찰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로부터 각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이 연결된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촬영정보를 중계받는 제1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수신받는 제2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된 별도의 출력장치에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감지정보를 특정 데이터 형식으로 가공처리하는 가공부; 및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중계받은 촬영정보 및 상기 가공부를 통해 가공처리된 감지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접속부를 통해 전달된 촬영정보는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수신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전달된 감지정보는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2수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순찰신호 수신부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수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 제어부 각각으로부터 순찰정보를 수신한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은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찰정보를 기반으로 순찰자의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순찰 경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감시영역 중 순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취약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역에 각 영역별로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 환경변화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정보를 정보 통합 제어유닛에 전달하고, 연결된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촬영정보를 중계 전달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영역 내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된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 전달선로의 일측과 상기 감시카메라를 연결하는 제1접속부;
    상기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정보 전달선로의 타측 및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 및 전원전달선로의 타측을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과 연결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영역 내에서 순찰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순찰신호를 수신하는 순찰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접속부를 통해 전달된 촬영정보는 상기 촬영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화재센서,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산출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전달선로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통해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순찰신호 수신부로의 순찰신호 수신여부에 관한 순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통합제어유닛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7. 삭제
  8. 삭제
KR1020160109418A 2016-08-26 2016-08-26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185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18A KR101855204B1 (ko) 2016-08-26 2016-08-26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18A KR101855204B1 (ko) 2016-08-26 2016-08-26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09A KR20180024109A (ko) 2018-03-08
KR101855204B1 true KR101855204B1 (ko) 2018-05-10

Family

ID=6172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18A KR101855204B1 (ko) 2016-08-26 2016-08-26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2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7B1 (ko) 2007-10-19 2009-01-13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381924B1 (ko) * 2013-05-20 2014-04-07 공주석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7B1 (ko) 2007-10-19 2009-01-13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381924B1 (ko) * 2013-05-20 2014-04-07 공주석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09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42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JP7162412B2 (ja) 検知認識システム
JP2009295140A (ja) 侵入者検知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403223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0405B1 (ko) 도어벨 장치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20124785A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5426B1 (ko) 센서 위치 추적 팬 틸트 네트워크 감시카메라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20220048200A (ko) 울타리 감지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5502B1 (ko) 무인비행체와 연동되는 스마트 펜스
US20220070414A1 (en) System For Generating Drone Video Feed Overlays Based On Property Monitoring System Data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0825403B1 (ko) 보안 시스템
KR20220129250A (ko) Ai기반의 드론과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무인 방범 시스템
KR101855204B1 (ko) 보안용 통합 센싱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20150035108A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 및 방범 시스템
EP3906666A1 (en) A method of using a machine-readable code for instructing camera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objects
US10965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 television into a connected-home monitoring system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US20160321892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detector and camera outputs
JP2008165289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