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629B1 -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629B1
KR101854629B1 KR1020160153537A KR20160153537A KR101854629B1 KR 101854629 B1 KR101854629 B1 KR 101854629B1 KR 1020160153537 A KR1020160153537 A KR 1020160153537A KR 20160153537 A KR20160153537 A KR 20160153537A KR 101854629 B1 KR101854629 B1 KR 10185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late
name plate
guid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석 김
만 석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상사
Priority to KR102016015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1)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10) 내의 대응하는 표시 대상부품(20)에 대한 명칭 또는 용도 등 각종 인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판상의 표시부(3); 상기 표시부(3)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3)를 상기 배전반(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5); 및 상기 배전반(10) 내에 상기 표시 대상부품(2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표시 대상부품(20)에 대한 상기 착탈부(5)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배전반 내에 설치된 각각의 표시 대상부품의 인지정보가 변경된 때, 인지정보가 기록된 네임 플레이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대체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네임 플레이트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Name Plate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부에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동일한 형태의 각종 부품 들 각각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들 부품에 대한 인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란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에 설치하여 전로를 개폐하거나 전력을 분배하는 등 각종 전기기기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장비로서, 전선 인입구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과전류가 발생한 때 전력을 차단하는 등을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배전반은 특히, 공사 현장 등에서 옥외에 임시로 가설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 1에 101로 도시된 옥외 분전반(등록실용 제20-0403356호)에서와 같이, 예컨대 동일한 형태의 3상 차단기(103)가 반복하여 설치되므로, 각각의 차단기(103)가 어떤 장비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지를 육안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분, 파악할 수 없고, 특히 분전반(101)이 토목, 건축현장에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차단기(103)에 연결되는 부하장비가 수시로 변경되므로, 차단기(103)만으로는 더욱 연결 부하장비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예컨대, 최근에 차단기(103)의 전면에 차단기(103)와 연결된 부하장비의 이름을 수기로 기록하거나 이름이 기록된 견출지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아예 배선으로부터 감전사고를 방지하거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보호판상에 부하장비별 이름을 수기로 기록하거나, 이름이 기록된 명판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견출지나 명판을 부착하여 표기하는 방법은 차단기별 부하장비의 구분이 가능하여 부하장비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어느 정도 줄일 수는 있으나, 이는 통상 토목, 건축현장이 바뀔 때마다 사용하던 배전반을 옮겨 와 재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각각의 차단기(103)에 연결되는 부하장비가 변경될 때마다 이미 기록되어 있는 기부착된 견출지나 명판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새로운 견출지나 명판을 부착하여 표기를 행하여야 하므로, 표기가 번거롭고, 불분명하게 되며, 지저분해질 뿐 아니라, 분전반의 성능이나 미관마저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0335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전반 내부에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용량이 크고 작은 동일한 형태의 수많은 차단기별로 각각 부하장비의 인식정보를 구분 표시하는 네임플레이트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부착하고, 원하는 차단기 위치로 좌, 우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후 정지위치에서 위치변동이 임의로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 내의 대응하는 표시 대상부품에 대한 명칭 또는 용도 등 각종 인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판상의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배전반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배전반 내에 상기 표시 대상부품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표시 대상부품에 대한 상기 착탈부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표시부의 배면 모서리에 단면 ㄱ자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끼움홈의 탄력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감전방지판 모서리에 원터치 방식으로 스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감전방지판 배면에 상기 감전방지판의 모서리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연장된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과 대응하도록 상기 착탈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탈부가 상기 감전방지판에 결합될 때, 상기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레일에 원터치로 결합되는 안내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에 따르면, 예컨대 차단스위치와 같이 배전반 내부에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동일한 형태의 각종 표시 대상부품 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예컨대 감전방지판과 같은 부재를 통해 네임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이 네임 플레이트 상에 표시 대상부품과 관련된 각종 인지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각각의 표시 대상부품을 육안으로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표시 대상부품의 인지정보가 변경된 때 즉, 표시 대상부품에 연결되는 장비가 변경된 때, 네임 플레이트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대체 및 위치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대상부품의 인지정보 변경에도 쉽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안내레일과 안내홈의 결합에 의해 안내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감전방지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네임 플레이트를 감전방지판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전방지판에 대한 네임 플레이트의 결합력을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가 적용된 배전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네임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네임 플레이트의 결합방식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네임 플레이트는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표시부(3), 착탈부(5), 및 안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표시부(3)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 즉, 표시 대상부품(20)들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차단스위치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취하면서 반복 설치되어 외형 만으로는 구분이 곤란한 부품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는 표시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이웃한 부품이나 네임 플레이트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정도의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이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3)는 대응하는 표시 대상부품(20)에 관한 명칭 또는 용도 등 다양한 인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판상으로 되어 있을 때는 문자나 기호 또는 상징 그림을 직접 기재하거나 문자나 기호 또는 상징 그림을 기재한 견출지(40) 등을 테입 형태로 붙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3)는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지정보를 기재하는 대신, 대상부품(20)을 상징하는 입체적인 모양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착탈부(5)는 위와 같은 표시부(3)를 배전반(10) 내에서 표시 대상부품(20)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와 일체로 되어 끼움홈(11)을 형성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탈부(5)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네임 플레이트(1)를 배전반(10)의 감전방지판(30)에 설치하는 경우, 감전방지판(30) 모서리(3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표시부(3)의 배면 모서리에 단면 ㄱ자 모양으로 돌출됨으로써, 표시부(3) 배면과의 사이에 끼움홈(11)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탈부(5)는 끼움홈(11)의 탄력에 의해 도 4에 (A)로 도시된 것처럼 감전방지판(30)의 하단 모서리(31)에 원터치 방식으로 스냅 결합되거나, (B)로 도시된 것처럼 하단 모서리(31)의 양단에서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부(7)는 네임 플레이트(1)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감전방지판(30)의 하단 모서리(31)와 나란하게 따라서, 배전반(10) 내에 횡으로 설치된 표시 대상부품(2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위 착탈부(5)와 표시부(3), 더 나아가 네임 플레이트(1)가 표시 대상부품(20)을 따라 나란하게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안내부(7)는 다시 안내레일(71)과 안내홈(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안내레일(7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감전방지판(30)의 배면(33)에 감전방지판(30) 모서리(31)와 인접하도록 모서리(31)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바, 착탈부(5)를 걸 수 있도록 배면(33)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볼록하게 돌출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73)은 위와 같은 안내레일(71)과 대응하는 단면 형태를 갖도록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부(5) 말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바, 착탈부(5)가 도 5와 같이 감전방지판(30)에 결합될 때, 착탈부(5)의 탄력에 의해 안내레일(71) 위에 스냅 결합된다.
따라서, 안내레일(71)과 안내홈(73)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감전방지판(30)의 모서리(31)를 따른 네임 플레이트(1)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감전방지판(30)로의 착탈부(5) 결합력을 높인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네임 플레이트(1)로 표시 대상부품(20)의 각종 인지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시부(3)의 전면에 표시 대상부품(20)을 설명하는 문자나 기호 또는 상징 그림 등의 인지정보를 도 4에 (A)로 도시된 것처럼 직접 표시하거나, 도 4에 (B)로 도시된 것처럼 간접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인지정보를 간접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인지정보를 표시한 견출지(40) 등을 표시부(3) 전면에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해서, 인지정보의 표시가 완료되면, 예컨대, 도 4 (A)와 같이 착탈부(5) 끼움홈(11)을 감전방지판(30) 모서리(31) 밑에서 스냅식으로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네임 플레이트(1)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부(7)가 결합되면서, 모서리(3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감전방지판(30)에 결합된다. 또는 도 4 (B)와 같이 착탈부(5) 끼움홈(11)을 감전방지판(30) 측면에서 모서리(31)를 따라 밀어 넣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네임 플레이트(1)는 안내홈(73)이 안내레일(71)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끼워짐으로써,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모서리(3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감전방지판(30)에 결합된다. 다만, 도 4 (B)의 방식으로 네임 플레이트(1)를 결합하기 위해 이미 결합된 네임 플레이트(1)를 빼내야 한다면, 도 4 (A)의 방식으로 네임 플레이트(1)를 결합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렇게 해서, 표시 대상부품(20)과 대응하는 감전방지판(30) 상의 위치에 빠짐없이 네임 플레이트(1)가 결합되면, 네임 플레이트 설치 작업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3)에 표시된 문자 등 각종 인지정보를 통해 해당 표시 대상부품(20)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이후에도 표시 대상부품(20)의 상태 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네임 플레이트(1)를 교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1 : 네임 플레이트 3 : 표시부
5 : 착탈부 7 : 안내부
10 : 배전반 11 : 끼움홈
20 : 대상부품 30 : 감전방지판
31 : 모서리 33 : 배면
40 : 견출지 71 : 안내레일
73 : 안내홈

Claims (3)

  1. 배전반(10) 내의 대응하는 표시 대상부품(20)에 대한 명칭 또는 용도 등 각종 인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판상의 표시부(3);
    상기 표시부(3)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3)를 상기 배전반(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5); 및
    상기 배전반(10) 내에 상기 표시 대상부품(2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표시 대상부품(20)에 대한 상기 착탈부(5)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부(5)는 상기 표시부(3)의 배면 모서리에 단면 ㄱ자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끼움홈(1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끼움홈(11)의 탄력에 의해 상기 배전반(10)의 감전방지판(30) 모서리(31)에 원터치 방식으로 스냅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7)는,
    상기 감전방지판(30) 배면에 상기 감전방지판(30)의 모서리(31)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연장된 안내레일(71); 및
    상기 안내레일(71)과 대응하도록 상기 착탈부(5)에 형성되어, 상기 착탈부(5)가 상기 감전방지판(30)에 결합될 때, 상기 안내레일(7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레일(71)에 원터치로 결합되는 안내홈(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KR1020160153537A 2016-11-17 2016-11-17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KR10185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37A KR101854629B1 (ko) 2016-11-17 2016-11-17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37A KR101854629B1 (ko) 2016-11-17 2016-11-17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629B1 true KR101854629B1 (ko) 2018-05-04

Family

ID=6219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537A KR101854629B1 (ko) 2016-11-17 2016-11-17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6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699B2 (ja) 1996-03-29 2006-08-30 未来工業株式会社 管・ケーブルの表示プレート
KR101297487B1 (ko) 2013-04-22 2013-08-1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KR101558521B1 (ko) 2015-01-14 2015-11-20 신동균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699B2 (ja) 1996-03-29 2006-08-30 未来工業株式会社 管・ケーブルの表示プレート
KR101297487B1 (ko) 2013-04-22 2013-08-1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KR101558521B1 (ko) 2015-01-14 2015-11-20 신동균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5131A2 (en) Attachment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EP2001036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omprising processing unit with data visualization means
DE50109169D1 (de) Bedienblende für ein elektrogerät
KR101854629B1 (ko) 배전반용 네임 플레이트
CA2839211A1 (en) Electrical box having sight window and mounting assembly
US9373948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s
EP2383852B1 (de)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US20150060133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placement instructions
JP5852201B1 (ja) 感電保護構造及び方法
JP5155799B2 (ja) 多極回路遮断器
KR101445110B1 (ko) 절연커버가 구비된 축소형 분전반
CN104466695B (zh) 一种配电箱内开关的固定装置
JP2015156291A (ja) 配線用遮断器の接続相表示装置
KR200474694Y1 (ko) 병렬 연결이 용이한 소형전기전자기구
CN207517623U (zh) 卡接安装式断路器
CN110767077A (zh) 35kV双母线双分段接线结构的检修看板
KR101633090B1 (ko) 케이블 설명탭이 구비된 배선닥트
CN212812221U (zh) 一种电气控制设备的控制面板以及电气控制设备
KR101580446B1 (ko) 마운팅 플레이트 상의 특히 보호 회로를 위한 스타­델타 와이어링
KR200411052Y1 (ko) 옥내용 분전반
CN104006947A (zh) 一种用于显示器的检测装置及显示器
CN220873437U (zh) 开关装置及电子设备
KR20190016563A (ko) 보드 장치
CN209948490U (zh) 一种配电箱
CN210804996U (zh) 35kV双母线双分段接线结构的检修看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