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792B1 -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792B1
KR101853792B1 KR1020180021616A KR20180021616A KR101853792B1 KR 101853792 B1 KR101853792 B1 KR 101853792B1 KR 1020180021616 A KR1020180021616 A KR 1020180021616A KR 20180021616 A KR20180021616 A KR 20180021616A KR 101853792 B1 KR101853792 B1 KR 10185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module
sewing machine
sew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792B1/ko
Priority to PCT/KR2018/010810 priority patent/WO20190547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봉제 공장에서 상기 봉제 기계 장치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table)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플러그(plug)에 연장되는 전원선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NFC 태그(NFC tag);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독출하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모듈;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모듈에 의해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EXTILE FACTORY}
본 발명은 봉제 공장 운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제 공장 내 설치된 다수 개의 봉제 기계 장치 정보를 원격지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 작업이 이루어지는 의류나 가방 등 봉제 제품은 봉제 제품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을 연속적으로 해당 구성에 대한 재봉 작업을 거치면서 제품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실제 봉제 공장 내부를 살펴보면 작업이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다수열로 배치시킨 후 각 테이블마다 생산하고자 하는 봉제 제품의 각 구성에 대한 봉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설정된 굵기를 가지는 바늘 및 소정 색 및 굵기를 가지는 실이 적용되는 봉제 기계 장치를 설치한 후 해당 구성의 봉제 작업이 해당 테이블을 거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생산하고자 하는 봉제 제품이 달라지거나 일부 봉제 기계 장치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전체 기계장치의 배치 또는 라인을 바꾸면서 공장을 운영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어느 봉제 기계 장치가 고장이 난 것인지 또는 전체 라인을 바꾸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봉제 기계 장치가 제대로 배치되었는지 개별적으로 파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73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제 공장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은, 봉제 공장에서 상기 봉제 기계 장치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table)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플러그(plug)에 연장되는 전원선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NFC 태그(NFC tag);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독출하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모듈;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모듈에 의해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NFC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에 유선 연결되는 외부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은, 상기 작업물에 부착되는 작업물용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작업물 정보를 독출하는 NFC 외부 리더; 상기 유선 연결된 NFC 모듈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NFC 외부 리더에서 독출된 작업물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방법은, NFC 태그(NFC tag)가 봉제 공장에서 봉제 기계 장치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table)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와 대응되는 NFC 모듈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NFC 태그가 상기 NFC 모듈에 장착되면, 상기 NFC 모듈이 상기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해당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독출하는 단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가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NFC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에 유선 연결되는 외부 연결 모듈의 지시 디스플레이가 상기 유선 연결된 NFC 모듈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의 NFC 외부 리더가 작업물에 부착되는 작업물용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작업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의 지시 디스플레이가 상기 NFC 외부 리더에서 독출된 작업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NFC 모듈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테이블 번호와 함께 서버로 무선 전송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서버나 컴퓨터에서 봉제 기계 장치 각각의 고유 번호와 기계 관련 정보 그리고 테이블 번호를 수신하여 테이블마다 어느 봉제 기계 장치가 배치되어 놓여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외부 서버나 컴퓨터, 휴대 단말에서 각 생산 라인에 어느 봉제 기계 장 치들이 배치되어 구성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생산 라인이 자주 변경되거나 봉제 기계 장치의 위치가 바뀌어도 각 장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각 생산 라인의 구성에 대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봉제 공장에 있어서 봉제 기계 장치가 설치 운영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테이블 및 봉제 기계 장치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하나의 테이블에 봉제 기계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NFC 모듈 등의 주요 구성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테이블 및 봉제 기계 장치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하나의 테이블에 봉제 기계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NFC 모듈 등의 주요 구성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이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100)은 콘센트(110), NFC 태그(120), NFC 모듈(130), 무선 통신 모듈(140), 제어 모듈(150), 외부 연결 모듈(160), 서버(170), 모니터부(1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센트(110)는 봉제 공장의 봉제 기계 장치(200)들이 배치되는 테이블(100a)마다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봉제 공장의 테이블(100a)은 생산 라인에 따라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테이블(100a)마다 배치되는 봉제 기계 장치(200)는 각각 생산 라인의 구성에 따라 특정 기능의 봉제 기계 장치(200)들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콘센트(110)는 테이블(100a)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콘센트(110)에는 봉제 기계 장치(200)의 플러그(200a)가 삽입될 수 있다.
NFC 태그(120)는 봉제 기계 장치(200)의 전원선(200b)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NFC 태그(120)에는 해당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번호는 봉제 기계 장치(200)의 기계 고유 번호로서, 기계의 종류, 기계 관리 이름, 기계 도입 연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계 관련 정보는 기계의 작업 정보 및 기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제 기계 장치(200)에 구비된 기계 고장 정보, 날짜, 수리 지시, 사용하는지 사용 안하는지 여부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70)는 각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장이나 유지/보수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NFC 태그(120)의 정보에 의해 특정 테이블(100a)에 배치된 봉제 기계 장치(200)가 어느 봉제 기계 장치(200)인지에 대해 인식 가능하다.
NFC 모듈(130)은 테이블(100a)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콘센트(110)와 마찬가지로 테이블(100a)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NFC 모듈(130)은 NFC 태그(120)에 미리 저장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독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C 모듈(130)은 각각의 NFC 태그(12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형 구조에 의해 하나의 테이블(100a)에 여러 대의 봉제 기계 장치(200)가 배치된 경우에도 각 봉제 기계 장치(200)를 순서대로 인식할 수 있고, 통신 거리에 따른 인식 오류도 방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0)은 테이블(100a) 상에 각각 구비되며 NFC 모듈(130)에 의해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서버(170)로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0)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NFC 모듈(130)과 무선 통신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50)은 무선 통신 모듈(140)이 테이블(100a)의 테이블 번호뿐만 아니라 생산 국가, 생산 지역, 공장 이름, 공장 번호, 공장 층수, 생산 라인 번호, 생산 라인에서의 순서 정보 등의 정보를 고유 정보 및 기계 관련 정보와 함께 서버(17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서버(170)는 각 봉제 기계 장치(200)의 생산 라인과 그 위치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외부 연결 모듈(160)은 NFC 모듈(130) 및 무선 통신 모듈(140)과 USB 방식 등의 유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외부 연결 모듈(160)은 지시 디스플레이(161), NFC 외부 리더(1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연결 모듈(160)은 NFC 모듈(130)이나 무선 통신 모듈(140)을 통해서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유 정보, 기계 관련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지시 디스플레이(161)를 통해 표시하여 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NFC 외부 리더(162)는 NFC 모듈(130)에 의한 NFC 태그(120) 독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성이 될 수 있다. NFC 리더(162)에 의해 독출되는 정보들 역시 지시 디스플레이(16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부(180)는 봉제공장에 구비되는 별도의 전광판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 폰, PC, 미니 PC 등에 구현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모니터부(180)에서 봉제기계장치(200)를 생산 라인의 변경에 따라 재배치를 하는 경우 재배치 해야할 봉제기계장치(200)들을 표식부(181)별로 색상이나 표식을 달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배치할 봉제기계장치(200)의 현재 위치와 해당 봉제기계장치(200)가 재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대응시켜 표식함으로써, 재배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서버(170)는 무선 통신 모듈(140)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70)는 테이블(100a)의 테이블 번호뿐만 아니라 생산 국가, 생산 지역, 공장 이름, 공장 번호, 공장 층수, 생산 라인 번호, 생산 라인에서의 순서 정보 등의 정보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7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200)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마다 일열로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서 하나의 생산 라인을 이루도록 테이블(100a)이 세팅되고 생산 제품에 따른 봉제 기계 장치(200)들이 테이블(100a)마다 설치될 것이다.
또한, 서버(170)에서는 각 생산 라인에 어떠한 봉제 기계 장치(200)들이 배치되어 구성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생산 라인이 자주 변경되거나 봉제 기계 장치(200)의 위치가 바뀌어도 각 장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각 생산 라인의 구성에 대해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임의의 생산 라인을 따라서 봉제 제품을 생산 중 제조하고자 하는 옷이나 신 등에도 작업물용 NFC 태그(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물용 NFC 태그(미도시)가 생산중인 옷이나 신에 부착되면 작업자는 작업물의 이동 정보를 추적할 수도 있게 된다.
작업물용 NFC 태크(미도시)를 외부 연결 모듈(160)의 NFC 외부 리더(162)에 접촉시키면, 작업물 전용 NFC 모듈(미도시)이 해당 작업물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150)이 이를 서버(17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70)는 작업물 정보에 의해 해당 작업물이 어느 테이블(100a)의 어느 생산 라인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 실시간 확인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공장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NFC 태그(120)가 봉제 공장에서 봉제 기계 장치(200)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100a)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110)와 대응되는 NFC 모듈(130)에 장착된다(S101).
다음으로, NFC 태그(120)는 NFC 모듈(130)에 장착되면, NFC 모듈(130)이 NFC 태그(120)에 미리 저장된 해당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독출한다(S102).
다음으로,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140)이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서버(170)로 무선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서버(170)가 무선 통신 모듈(140)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200)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200)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S104).
다음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NFC 모듈(130) 및 무선 통신 모듈(140)에 유선 연결되는 외부 연결 모듈(160)의 지시 디스플레이(161)가 유선 연결된 NFC 모듈(130)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S105).
다음으로, 외부 연결 모듈(160)의 NFC 외부 리더(162)가 작업물에 부착되는 작업물용 NFC 태그(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작업물 정보를 독출한다(S106).
다음으로, 외부 연결 모듈(160)의 지시 디스플레이(161)가 NFC 외부 리더(162)에서 독출된 작업물 정보를 표시한다(S10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a: 테이블
110: 콘센트
120: NFC 태그
130: NFC 모듈
140: 무선 통신 모듈
150: 제어 모듈
160: 외부 연결 모듈
161: 지시 디스플레이
162: NFC 외부 리더
170: 서버
180: 모니터부
181: 표식부
200: 봉제 기계 장치
200a: 플러그
200b: 전원선

Claims (10)

  1. 봉제 공장에서 봉제 기계 장치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table)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플러그(plug)에 연장되는 전원선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NFC 태그(NFC tag);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독출하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모듈;
    상기 테이블 상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NFC 모듈에 의해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상기 봉제 기계 장치를 생산 라인의 변경에 따라 재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상기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생산 라인의 변경에 따른 상기 봉제 기계 장치를 재배치해야 할 경우, 재배치 해야할 봉제 기계 장치를 현재 위치와 재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테이블의 테이블 번호, 생산 국가, 생산 지역, 공장 이름, 공장 번호, 공장 층수, 생산 라인 번호 및 생산 라인에서의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NFC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에 유선 연결되는 외부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은,
    작업물에 부착되는 작업물용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작업물 정보를 독출하는 NFC 외부 리더;
    상기 유선 연결된 NFC 모듈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NFC 외부 리더에서 독출된 작업물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6. NFC 태그(NFC tag)가 봉제 공장에서 봉제 기계 장치를 각각 배치하기 위해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되는 테이블(table) 상에 각각 구비되는 콘센트와 대응되는 NFC 모듈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NFC 태그가 상기 NFC 모듈에 장착되면, 상기 NFC 모듈이 상기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해당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독출하는 단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봉제 기계 장치의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봉제 기계 장치의 배치 상태 및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봉제 기계 장치를 생산 라인의 변경에 따라 재배치하도록 제어해야 할 경우, 모니터부가 재배치 해야할 봉제 기계 장치를 현재 위치와 재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제 공장 운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의 테이블 번호, 생산 국가, 생산 지역, 공장 이름, 공장 번호, 공장 층수, 생산 라인 번호 및 생산 라인에서의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NFC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에 유선 연결되는 외부 연결 모듈의 지시 디스플레이가 상기 유선 연결된 NFC 모듈에서 독출된 고유 번호 및 기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의 NFC 외부 리더가 작업물에 부착되는 작업물용 NFC 태그에 미리 저장된 작업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모듈의 지시 디스플레이가 상기 NFC 외부 리더에서 독출된 작업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공장 운영 방법.
KR1020180021616A 2017-09-18 2018-02-23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53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6A KR101853792B1 (ko) 2018-02-23 2018-02-23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8/010810 WO2019054788A1 (ko) 2017-09-18 2018-09-14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6A KR101853792B1 (ko) 2018-02-23 2018-02-23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792B1 true KR101853792B1 (ko) 2018-05-03

Family

ID=6224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16A KR101853792B1 (ko) 2017-09-18 2018-02-23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6187B2 (en) 2018-12-28 2021-08-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lexible assembly system for variable reconfiguration, and method of reconfiguring production lin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934A (ja) * 2003-12-05 2005-06-23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54501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100927337B1 (ko) * 2009-07-01 2009-11-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JP2010057720A (ja) * 2008-09-04 2010-03-18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システム
KR20130007405A (ko) * 2011-06-30 2013-01-18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 디자인 생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4835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27383A (ko) * 2014-08-29 2016-03-10 (주)한국플랜트관리 Nfc 기반의 산업시설물 측정 장치 운용 및 관리 시스템
KR20170064291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네오에이스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934A (ja) * 2003-12-05 2005-06-23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54501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JP2010057720A (ja) * 2008-09-04 2010-03-18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システム
KR100927337B1 (ko) * 2009-07-01 2009-11-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KR20130007405A (ko) * 2011-06-30 2013-01-18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 디자인 생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4835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27383A (ko) * 2014-08-29 2016-03-10 (주)한국플랜트관리 Nfc 기반의 산업시설물 측정 장치 운용 및 관리 시스템
KR20170064291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네오에이스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6187B2 (en) 2018-12-28 2021-08-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lexible assembly system for variable reconfiguration, and method of reconfiguring production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7988B (zh) 一种用于发动机在线装配控制的mes系统
CN106233827B (zh) 管理装置
DE102017123609A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inbetriebnahme einer prozessleit-hardware
CN206842898U (zh) 起重机控制系统和起重机系统
CN104094176B (zh) 用于容器处理机的操作系统、操作装置和分离的附加屏
JP2021047877A (ja) 閉ループ構成における認証および追従可能性
CN107531440A (zh) 操作纺织机的工作站的方法和操作设备
US9905089B2 (en) Physical layer system with support for multiple active work orders and/or multiple active technicians
KR101853792B1 (ko)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EP3460495B9 (de) Prüfmodul für einen prüftisch und verfahren zum ausbilden eines prüftisches
JP6533105B2 (ja) 製造設備の配置図を簡単に作成できる稼働管理システム
JP2017205944A (ja)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CN116593894A (zh) 一种自动化测试方法、系统及自动化测试柜
KR101907401B1 (ko)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US1107860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pinning machine or winder
US6658311B1 (e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press line
CN103529769B (zh) 便于产品的装配的系统及其中所采用的设备
CN102032944A (zh) 照光平面上分布式复数点照度检测系统
WO2019054788A1 (ko)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11853045B2 (en) Installation support apparatus, installation support system, and installation support program
CN201812195U (zh) 工业现场生产库区钢卷移动采集处理装置
EP3700293A1 (en) Display apparatus, operation assist system and operation assist method
KR102482387B1 (ko) 정보 표시기 및 그를 포함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606130B1 (ko) 배선 안내시스템
CN107378511A (zh) 加工机械及加工机械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