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291A -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291A
KR20170064291A KR1020150169885A KR20150169885A KR20170064291A KR 20170064291 A KR20170064291 A KR 20170064291A KR 1020150169885 A KR1020150169885 A KR 1020150169885A KR 20150169885 A KR20150169885 A KR 20150169885A KR 20170064291 A KR20170064291 A KR 2017006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smart
superviso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753B1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에이스
Priority to KR102015016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에서의 근무공정 구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복수의 NFC 태그로의 입력 사항에 해당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의 저장을 각 근무공정 별로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NFC 태그별로 구분된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공장 시설로의 NFC 태그 각각의 부착이 완료된 뒤, 각 NFC 태그에서 요구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업무 수행이 개시됨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슈퍼바이저 업무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제 3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 별 슈퍼바이저 업무 활동 정보인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로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구분된 근무공정과 매칭시켜, 결과 보고서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 상에서 결과 보고서 정보 출력에 따라 외부 전문가의 확인을 통한 각 근무공정 별 평가 조정 정보 생성시, 평가 조정 정보를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슈퍼바이저의 인위적 활동 기반의 정성적 산업안전 관리에서, IT 기반의 자동적인 관리 기반의 정량적인 산업안전 관리로의 변환을 통해 구체적인 실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활용함으로써, 산업안전 관리 예측활동을 통한 산업 재해 감소로, 연간 산업 재해로 인한 보험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산업 재해 발생을 감소시켜, 인명 및 산업 재해 발생에 따른 국가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노사간 신뢰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기업 부담금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Smart system for safety factory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and method for smart safety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의 작업상황을 전문가와 기업의 담당자가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크고 작은 사고들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이런 사건들을 크게 나누면 크게 두 가지인 일반 재해와 산업 재해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산업 재해는 산업안전사고들로 인하여 많은 인명 손해와 함께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고용노동부 발표자료에 의하면 산업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도 지속 증가하여 자연 재해 손실액인 1,721억원(2013년 기준)의 110배에 해당하는 19조원에 달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있다.
경제적인 부분도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 산업 재해자는 연간 9만 여명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9백명 이상이 업무상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고 있다.
이렇게 많은 근로자가 사망하고 있고 19조원이라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새로운 대안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재 예방 역량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 결과, 최근 10년간 산업 재해율은 0.7%대에 정체되어 있고, 사망자 발생률은 OECD 국가 중 최고수준으로 국가 신뢰도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정부 차원에서도 대책이 시급한 현실이다.
종래의 기술 1에 해당하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33646호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산업용 자동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실시간동기화 방법은, 산업용 이더넷을 기저 망으로 구축하고, 여기에 자동화 제어 서버를 구성하고, 각 관리 및 공정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결합한 유무선 통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므로 산업용 이더넷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교환을 통한 무선 센서/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1에 있어서는, 센싱 기반을 위주로 기술적 해결을 시도하나, 모든 것을 전자동으로 관리하는 경우, 오작동의 위험 및 정밀한 위험 탐지가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2에 해당하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03048호의 실시간 산업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산업 리스크 관리 방법은 기업의 운영에 대한 각 공정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리스크 발생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의 리스크 분석자료는 수익창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산업 리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2에 있어서는, 공정별 상태정보를 감지시, 리스크 정보를 단순히 수치화하여 수치에 따라 안전관리를 제시할 뿐이므로, 모든 공정에 대한 상태정보를 설정하고 연산시 시스템 관리 측면에서 불필요하게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며, 공정별 상태정보에 대한 오차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3에 해당하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20291호의 선박 건조용 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선박 건조 공정과 관련하여, 품질 측면, 안전 측면, 일정 측면, 성능 측면, 사업추진 측면에서의 위험항목들의 기본정보들을 등록하여 관리하며, 등록된 위험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발생 영향도와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구분 및 평가하여, 위험항목별 위험순위 및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후, 서버는 이 산출 결과를 근거로, 위험순위 및 위험도가 높은 위험항목부터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각 위험항목에 대하여 계획기간 동안의 위험관리 일정계획을 수립하고, 그 일정계획을 근거로, 일자별 위험 대응활동의 부하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예상부하가 일자별로 평준화되도록 조정한 일일계획을 도출한다. 또한, 도출된 일일계획을 근거로, 기간별, 위험항목별 위험 대응활동을 제시하는 위험 대응계획서의 발행을 관리한다.
종래의 기술 4에 해당하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28875호의 선박 건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은, 과거에 발생한 안전사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현재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안전사고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작업정보와 안전사고 정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현재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작업 포인트를 감지하는 분석부, 그리고 작업 포인트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선박 건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동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3 및 4에 있어서는, 선박 건조에 특정화된 안전관리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 3에 있어서는 발생 영향도와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구분 및 평가하여, 위험순위 및 위험도가 높은 위험항목부터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각 위험항목에 대하여 계획기간 동안의 위험관리 일정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 2와 마찬가지로, 모든 공정에 대한 상태정보를 설정하고 연산시 시스템 관리 측면에서 불필요하게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며, 공정별 상태정보에 대한 오차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 4에 있어서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작업정보와 안전사고 정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현재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작업 포인트를 감지하는 분석부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에 있어서, 공정별 작업 포인트를 감지한다는 측면에 있어서, 구체적인 개별 사안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정부의 노력 및 국민적 관심과 노사의 인식을 충실히 반영하여 기존 산업안전 관리정책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산업용 자동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실시간동기화 방법(INDUSTRIAL AUTOMATIC NETWORK SYSTEM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FOR REALTIME SYNCHRONIZATION USING THE SAME)(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33646호)
2. 실시간 산업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산업 리스크 관리 방법(Real-Time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03048호)
3. 선박 건조용 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RISK MANAGEMENT SYSTEM FOR SHIP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20291호)
4. 선박 건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 in shipbuilding)(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2887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안전 사고를 크게 구분하여 본다는 설비적 측면의 이상 상태인 '불안전한 상태'와 이를 컨트롤하는 근로자의 안전의식 부족에 의한 '불안전한 행동'이 연계되면서 산업안전사고가 발생하는데, 산업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불안전한 상태'와 점검과 근로자들의 '불안전한 행동'의 예방을 위한 관리감독자의 확인점검을 통해서 극복하도록 하기 위한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량적인 산업안전 관리활동이 되도록 하기 위해 산업안전 관리활동의 시간을 확보하여 산업 재해 예방과, 변화하는 기업환경 및 노동 산업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은,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에서의 근무공정 구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복수의 NFC 태그로의 입력 사항에 해당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의 저장을 각 근무공정 별로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NFC 태그별로 구분된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공장 시설로의 NFC 태그 각각의 부착이 완료된 뒤, 각 NFC 태그에서 요구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업무 수행이 개시됨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슈퍼바이저 업무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제 3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 별 슈퍼바이저 업무 활동 정보인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로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구분된 근무공정과 매칭시켜, 결과 보고서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 상에서 결과 보고서 정보 출력에 따라 외부 전문가의 확인을 통한 각 근무공정 별 평가 조정 정보 생성시, 평가 조정 정보를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은, 근로자가 운영하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 근로자를 관리 감독하는 슈퍼바이저가 운영하는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 및 구분된 근무공정의 작업 상황을 전문가와 기업의 담당자가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예방 대책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해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각 근무공정별 작업 순서 및 방식을 포함), 그리고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 를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는,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로 NFC 태그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며, 표준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NFC 태그 전송 방식을 통해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슈퍼바이저의 확인 및 점검이 수반되는 필요 장소인 공장 시설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는, 현장에서 슈퍼바이저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결과를 자체적인 앱(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의 웹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로 전송하여 결과 보고서가 작성된 뒤, 결과 보고서를 빅데이터 형태로 수집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데이터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를 통해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안전 활동을 외부 전문가에 의해 운영되는 외부 전문가 단말로 동시 전송이 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문제점을 재조정하도록 하여, 평가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각 NFC 태그별로 저장된 근로자가 수행해야 하는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을 NFC 리더 기능을 활용해 획득하여 출력하여, 근로자가 작업 전 스스로 자율적인 산업안전 관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은, 종래의 슈퍼바이저의 인위적 활동 기반의 정성적 산업안전 관리에서, IT 기반의 자동적인 관리 기반의 정량적인 산업안전 관리로의 변환을 통해 구체적인 실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활용함으로써, 산업안전 관리 예측활동을 통한 산업 재해 감소로, 연간 산업 재해로 인한 보험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은, 산업 재해 발생을 감소시켜, 인명 및 산업 재해 발생에 따른 국가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노사간 신뢰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기업 부담금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중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중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NFC 태그(10),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슈퍼바이저(관리감독자) 스마트 디바이스(30), 네트워크(40),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 외부 전문가 단말(60), 그리고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4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4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 네트워크(40),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 외부 전문가 단말(60) 및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각 기업 또는 업체마다 매우 상이한 작업공정 프로세스가 있지만, 크게 구분하여 생산공정을 구분하면, '입고 공정→제조 공정→검사 공정→출하 공정' 과 같이 4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된 공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다수의 NFC 태그(10)는 예와 같은 4개의 공정의 작업 상황을 전문가와 기업의 담당자가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예방 대책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해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각 근무공정별 작업 순서 및 방식 등을 포함) 등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각 NFC 태그(10)는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NFC 태그 전송 방식을 통해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 및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로 제공하기 위해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를 운영하는 슈퍼바이저의 확인 및 점검이 수반되는 필요 장소인 공장 시설에 각각 부착된다.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를 운영하는 슈퍼바이저(관리감독자)는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를 이용한 각 NFC 태그(10)에 대한 NFC 리더 기능을 이용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정보 및 근무공정 정보를 확인한 뒤,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를 운영하는 근로자에 의한 각 NFC 태그(10)에서 요구하는 작업상황을 수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를 운영하는 슈퍼바이저의 관리 감독의 대상이 되는 근로자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NFC 리더 기능을 활용하여,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공장 시설에 부착된 NFC 태그(10) 별 표준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는 현장에서 슈퍼바이저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결과를 자체적인 앱(어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웹 서비스를 통해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로 전송하여 결과 보고서가 작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과 보고서는 빅데이터 형태로 수집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중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40)와 연결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를 통해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안전 활동을 외부 전문가에 의해 운영되는 외부 전문가 단말(60)로 동시 전송이 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문제점을 재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평가 조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는 각 NFC 태그(10) 별로 저장된 근로자가 수행해야 하는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을 NFC 리더 기능을 활용해 획득하여 출력함으로써, 근로자가 작업 전 스스로 자율적인 산업안전 관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며,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의 일 예로, 유기용제 등 화학물질에 대한 취급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 및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를 중심으로, NFC 태그(10),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 네트워크(40),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 외부 전문가 단말(60) 및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의 작동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중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는 NFC 리더 모듈(31), 영상 입출력부(32), 촬영부(33), 제어 모듈(34), 송수신 모듈(35), 저장부(36), 그리고 음성 입출력부(37)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34)은 안전수칙 제공 수단(34a), 근무공정 제공 수단(34b), 보고서 정보 제공 수단(34c) 및 알람 정보 제공 수단(34d)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34)의 구성을 중심으로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안전수칙 제공 수단(34a)은 각 근무공정 별 NFC 태그(10)에 대한 NFC 리딩(readind)을 통한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슈퍼바이저가 지켜야할 '표준작업 안전수칙'을 리딩하도록 NFC 리더 모듈(31)을 제어한 뒤, 영상 입출력부(32)로 리딩된 표준작업 안전수칙을 출력한다.
근무공정 제공 수단(34b)은 안전수칙 제공 수단(34a)에 의해 출력된 표준작업 안전수칙 외에 각 '근무공정 정보'를 영상 입출력부(32)로의 출력을 수행하며, 슈퍼바이저에 의한 관리 감독에 따라 영상 입출력부(32)로 입력된 '공정 완료 확인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35)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슈퍼바이저는 각 NFC 태그(10)에서 요구하는 근무공정 정보와, 작업 상황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관리 감독에 대한 업무 수행할 수 있다.
보고서 정보 제공 수단(34c)은 각 NFC 태그(10)에서 요구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과 매칭되는 근로자의 작업상황이 각 근로공정 별로 완료됨을 슈퍼바이저의 확인에 따라, 각 근로공정에 대한 영상 입출력부(32)로의 촬영 명령 수신시, 촬영부(33)를 통한 근로공장 현장 주변을 사진 촬영하여 사진 촬영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로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모듈(35)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보고서 정보 제공 수단(34c)은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에 의해 사진 촬영 정보를 이용한 구분된 각 근무공정 별 결과 보고서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60)로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한다.
알람 정보 제공 수단(34d)은 네트워크(40)를 통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53)로의 액세스를 통한 각 구분된 근무공정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 근무공정을 확인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근무공정에 대한 사진 촬영 정보의 네트워크(40)를 통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로의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네트워크(40)를 통해 담당 근로자가 운영하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로의 알람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거나, 슈퍼바이저에 의한 근무공정에 대한 관리 감독 소홀을 대기하기 위해 슈퍼바이저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입출력부(37)로의 음성 알람 메시지 또는 영상 입출력부(32)로의 영상 알람 메시지 출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알람 정보 제공 수단(34d)은 슈퍼바이저의 판단에 따라 주어진 시간 안에 근로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근무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입출력부(32)를 통한 알람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40)를 통해 담당 근로자가 운영하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20)로의 알람 메시지 전송하도록 송수신 모듈(35)을 제어한다.
한편, 알람 정보 제공 수단(34d)은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에 의한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에 대한 각 NFC 태그(10)에 대한 NFC 리딩 기반의 위치 정보 수집을 통해, 슈퍼바이저의 결근 또는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53)로의 액세스를 통해 안전 보건 관리조직도상에서 지정된 위임자가 운용하는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로 네트워크(40)를 통해 대체 근무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 모듈(35)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중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는 송수신부(51), 제어부(52), 그리고 데이터베이스(DB, 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52)는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관리 모듈(52a), 결과 보고서 제공 모듈(52b), 평가 조정 정보 수집 모듈(52c) 및 위임자 전달 모듈(52d)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2)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관리 모듈(52a)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에서의 근무공정 구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하며, NFC 태그(10)로의 입력 사항에 해당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53)로의 저장을 각 근무공정 별로 수행한다.
결과 보고서 제공 모듈(52b)은 각 NFC 태그(10)에서 요구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와 매칭되는 작업 상황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업무 수행 결과에 해당하는 '공정 완료 확인 정보' 및/또는 '사진 촬영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한다.
결과 보고서 제공 모듈(52b)은 슈퍼바이저 업무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촬영 정보 및 공정 완료 확인 정보를 수집한 뒤, 복수의 근무공정 순서대로 근무공정 별로 매칭시켜, 결과 보고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6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한다.
평가 조정 정보 수집 모듈(52c)은 결과 보고서 제공 모듈(52b)에 의해 생성된 결과 보고서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6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한다.
평가 조정 정보 수집 모듈(52c)은 외부 전문가 단말(60) 상에서 결과 보고서 출력에 따라 외부 전문가의 확인을 통한 각 근무공정 별 평가 조정 정보 생성 완료시, 평가 조정 정보를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한다.
한편, 평가 조정 정보 수집 모듈(52c)은 평가 조정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슈퍼바이저(관리감독자) 스마트 디바이스(30) 및/또는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함으로써, 슈퍼바이저 또는 위임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임자 전달 모듈(52d)은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로부터의 네트워크(40)를 통한 슈퍼바이저의 결근 또는 업무를 수행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각 근무공정 별로 '공정 완료 확인 정보' 및 '사진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베이스(53)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대체를 위한 안전 보건 관리조직도상에서 지정된 위임자에 의해 운용되는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70)의 단말번호를 추출한 뒤, 네트워크(40)를 통해 대체 근무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임자 전달 모듈(52d)은 슈퍼바이저가 결근 또는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안전보건관리조직도상의 위임자에게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관리 감독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에서의 근무공정 구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하며, NFC 태그(10)로의 입력 사항에 해당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53)로의 저장을 각 근무공정 별로 수행한다(S110).
단계(S110) 이후,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는 단계(S110)에 따라 NFC 태그(10) 별로 구분된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공장 시설로의 NFC 태그(10) 각각의 부착이 완료된 뒤(S120), 각 NFC 태그(10)에서 요구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업무 수행이 개시됨을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의 운영자로부터 입력 또는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다(S130).
단계(S130) 이후,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는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슈퍼바이저 업무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140).
단계(S140) 이후,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30)는 각 근무공정 별 슈퍼바이저 업무 활동 정보인 사진 촬영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로의 전송을 실시간 수행한다(S150).
단계(S150) 이후,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는 사진 촬영 정보를 이용한 단계(S110)에서 구분된 근무공정과 매칭시켜, 결과 보고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60)로의 전송을 수행한다(S160).
단계(S160) 이후,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50)는 외부 전문가 단말(60) 상에서 결과 보고서 정보 출력에 따라 외부 전문가의 확인을 통한 각 근무공정 별 평가 조정 정보 생성시, 평가 조정 정보를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한다(S17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NFC 태그
20 :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
30 :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
31 : NFC 리더 모듈
32 : 영상 입출력부
33 : 촬영부
34 : 제어 모듈
34a : 안전수칙 제공 수단
34b : 근무공정 제공 수단
34c : 보고서 정보 제공 수단
34d : 알람 정보 제공 수단
35 : 송수신 모듈
36 : 저장부
37 : 음성 입출력부
40 : 네트워크
50 :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
51 : 송수신부
52 : 제어부
52a :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관리 모듈
52b : 결과 보고서 제공 모듈
52c : 평가 조정 정보 수집 모듈
52d : 위임자 전달 모듈
53 : 데이터베이스(DB)
60 : 외부 전문가 단말
70 : 위임자 스마트 디바이스

Claims (5)

  1.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에서의 근무공정 구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복수의 NFC 태그로의 입력 사항에 해당하는 각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의 저장을 각 근무공정 별로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NFC 태그 별로 구분된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공장 시설로의 NFC 태그 각각의 부착이 완료된 뒤, 각 NFC 태그에서 요구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작업 상황 또는 자동 설비의 작동 상황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업무 수행이 개시됨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과 매칭되는 슈퍼바이저 업무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제 3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 근무공정 별 슈퍼바이저 업무 활동 정보인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로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사진 촬영 정보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구분된 근무공정과 매칭시켜, 결과 보고서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전문가 단말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가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 상에서 결과 보고서 정보 출력에 따라 외부 전문가의 확인을 통한 각 근무공정 별 평가 조정 정보 생성시, 평가 조정 정보를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2. 근로자가 운영하는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
    근로자를 관리 감독하는 슈퍼바이저가 운영하는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 및
    구분된 근무공정의 작업 상황을 전문가와 기업의 담당자가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예방 대책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해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표준작업 안전수칙 및 근무공정 정보(각 근무공정별 작업 순서 및 방식을 포함), 그리고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 를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는, 구분된 근무공정에 부합되는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로 NFC 태그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며, 표준작업 안전수칙 정보를 NFC 태그 전송 방식을 통해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슈퍼바이저의 확인 및 점검이 수반되는 필요 장소인 공장 시설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는,
    현장에서 슈퍼바이저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결과를 자체적인 앱(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의 웹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로 전송하여 결과 보고서가 작성된 뒤, 결과 보고서를 빅데이터 형태로 수집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데이터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슈퍼바이저 스마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스마트 안전 공정 서버를 통해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안전 활동을 외부 전문가에 의해 운영되는 외부 전문가 단말로 동시 전송이 되어 산업안전 관리 활동의 문제점을 재조정하도록 하여, 평가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각 NFC 태그별로 저장된 근로자가 수행해야 하는 '근로자 작업 안전수칙'을 NFC 리더 기능을 활용해 획득하여 출력하여, 근로자가 작업 전 스스로 자율적인 산업안전 관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KR1020150169885A 2015-12-01 2015-12-01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KR10175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85A KR101754753B1 (ko) 2015-12-01 2015-12-01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85A KR101754753B1 (ko) 2015-12-01 2015-12-01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91A true KR20170064291A (ko) 2017-06-09
KR101754753B1 KR101754753B1 (ko) 2017-07-19

Family

ID=5922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85A KR101754753B1 (ko) 2015-12-01 2015-12-01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5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792B1 (ko) * 2018-02-23 2018-05-03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5315A (ko) 2017-07-06 2019-01-16 에코트로닉스(주) 스마트 센서로 획득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2285A (ko) 2017-07-26 2019-02-11 주식회사비엠테크 고전압배선선로의 자기장을 이용한 무전원공급장치를 통한 스마트공장 운영시스템
KR101957982B1 (ko) * 2017-10-13 2019-03-14 주식회사 포스코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WO2019054788A1 (ko) * 2017-09-18 2019-03-21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7979A (ko) 2017-12-08 2019-06-18 (주)코러싱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관리 시스템
KR20200021686A (ko) 2018-08-21 2020-03-02 유재성 운영인력 전용 헬스 테스트룸 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KR20200072178A (ko)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동적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CN113627897A (zh) * 2021-08-23 2021-11-0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现场作业人员安全的管控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KR20230076196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테스트원 스마트 공장 제조 공정 인공지능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55A (ko)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15A (ko) 2017-07-06 2019-01-16 에코트로닉스(주) 스마트 센서로 획득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2285A (ko) 2017-07-26 2019-02-11 주식회사비엠테크 고전압배선선로의 자기장을 이용한 무전원공급장치를 통한 스마트공장 운영시스템
WO2019054788A1 (ko) * 2017-09-18 2019-03-21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982B1 (ko) * 2017-10-13 2019-03-14 주식회사 포스코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KR20190067979A (ko) 2017-12-08 2019-06-18 (주)코러싱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관리 시스템
KR101853792B1 (ko) * 2018-02-23 2018-05-03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봉제 공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1686A (ko) 2018-08-21 2020-03-02 유재성 운영인력 전용 헬스 테스트룸 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KR20200072178A (ko)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동적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CN113627897A (zh) * 2021-08-23 2021-11-0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现场作业人员安全的管控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CN113627897B (zh) * 2021-08-23 2024-03-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现场作业人员安全的管控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KR20230076196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테스트원 스마트 공장 제조 공정 인공지능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753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753B1 (ko)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US10021138B2 (en) Policy/rule engine, multi-compliance framework and risk remediation
US10019677B2 (en) Active policy enforcement
US8769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sk visualization and remediation
US11228892B2 (en) Situational awareness systems and methods
EP36624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dustrial equipment system
CN106100931B (zh) 一种汽车厂智能维修保养系统
US201102159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ata of personnel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Parry-Jones et al. Crisis management for biobanks
EP315685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gebäudes
US20180130339A1 (en) System & methods for critical infrastructure automation
Sapori et al. A quantitative approach to risk management in critical infrastructures
US2015018689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latime inpsection of remote facility
CN110586485B (zh) 基于rfid技术的机场行李应急分拣方法及系统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KR20170086584A (ko) 시설 관리 시스템
CN202956626U (zh) 用于监控多个机床的机器状态的系统
Lai et al. Development of 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based risk assessment tool for information security
WO2020170807A1 (ja) アラーム制御装置及びアラーム制御方法
Tarigan et al. Operational risk analysis of network Operation Center Division pt. IO
Mouline Nine steps to improved critical event management
Bardin et al. Taking vision 20/20 to new heights
US20220107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emptive shutdown of utilities, facilities or systems in smart cities
KR102445328B1 (ko) 반도체 설비 시공 현장의 안전 감시 정보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