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194B1 - 모듈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194B1
KR101853194B1 KR1020160111800A KR20160111800A KR101853194B1 KR 101853194 B1 KR101853194 B1 KR 101853194B1 KR 1020160111800 A KR1020160111800 A KR 1020160111800A KR 20160111800 A KR20160111800 A KR 20160111800A KR 101853194 B1 KR101853194 B1 KR 10185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source
connection
connec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853A (ko
Inventor
박광우
정광현
김다애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1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1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05B37/0218
    • H05B37/0227
    • H05B37/024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광원부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광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명용 빛을 출력하는 조명 패널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부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 또는 임의의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광원부 또는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광원부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광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명장치 {MODULE TYP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모듈형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광원부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광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Emitting Device)는 GaP, 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의 PN접합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체 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 제조시 반도체 화합물의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파장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LED 하나는 점광원으로 작용하지만, 복수개의 LED가 모이면 선광원이나 면광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LED 기술의 발전으로 단순한 표시 장치에 응용되던 LED의 응용분야도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소정 영역의 파장을 이용하여 의료용은 물론, 식물의 생장촉진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력 소모가 적으면서도 시인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신호등, 차량의 리어 램프, 옥외 광고용 간판으로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점점 확대되어 종래에 알려진 조명장치를 대체하여 가고 있다.
특히, 바 타입의 LED 모듈은 바 타입의 모듈 조합에 의해 무대 및 실내, 외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관조명, 간판 등에 경관 연출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0817호(고안의 명칭: 바 형상의 LED 모듈)에는 일반적인 바 타입의 LED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 타입 LED 모듈은 복수개의 바 타입 LED 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 배치 등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 타입 LED 모듈은 연결되는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LED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개수도 함께 증가하는 문제점과 함께 복수의 LED 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0817호(고안의 명칭: 바 형상의 LED 모듈)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광원부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광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형 조명장치로서, 조명용 빛을 출력하는 조명 패널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부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 또는 임의의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부 또는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부, 제어부 및 센서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 제어부 및 센서부의 연결 방향이 일정 각도 변경되도록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속부는 양측 단부가 일정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진 형상의 접속부 몸체; 상기 접속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한 접속부 제1 커넥터; 및 상기 접속부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속부는 양측 단부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진 접속부 몸체; 상기 접속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한 접속부 제1 커넥터; 및 상기 접속부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내측에 관통공을 형성한 광원부 하우징; 상기 광원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조명 패널부에서 출력되는 빛이 일정 배광 패턴으로 출력되도록 광 경로를 변환하고, 히트싱크와 결합되도록 체결부를 형성한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조명용 빛을 출력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하는 체결부 관통공을 형성한 조명 패널부; 상기 조명 패널부의 양측에 설치한 커넥터; 및 상기 조명 패널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 패널부가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체결홈을 형성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렌즈부 및 조명 패널부가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체결부가 조명 패널부의 체결부 관통공를 관통하여 상기 히트싱크상의 임의의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가 히트싱크와의 결합을 통해 조명 패널부와 히트싱크가 압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다른 배광각 및 배광 패턴을 갖는 렌즈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외부 스위칭 신호 또는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디밍 제어값에 따라 상기 광원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광원부의 연결 개수 설정 정보에 따라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광원부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광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를 다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접속부를 이용한 모듈형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를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100)는 광원부(110)와, 제어부(120)와, 센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110)는 조명용 빛을 출력하는 조명 패널부(113)가 설치된 구성으로서, 광원부 하우징(111)과, 렌즈부(112)와, 조명 패널부(113)와, 제1 커넥터(114)와, 제2 커넥터(114')와, 히트싱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 하우징(111)은 내측에 렌즈부(112), 조명 패널부(113)가 설치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부재로서, 양측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114, 114')가 설치되는 커넥터 삽입부(1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관통공(111a)에 설치되는 렌즈부(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공(111c)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부(112)는 광원부 하우징(111)에 설치되어 입사면(112a)을 통해 조명 패널부(113)에서 입력되는 빛이 일정 배광 패턴으로 출력되도록 광 경로를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 또는 배광 패턴이 광축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편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비축 렌즈 또는 편축 렌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비축 렌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렌즈부(112)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미리 설정된 배광각 및 배광분포 이외에 다른 배광각 및 배광 패턴을 갖는 렌즈로 변경 설치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배광각 및 배광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12)는 양측 단부에 광원부 하우징(111)의 내측에서 설치된 회전공(111c)과 결합하는 회전축(112b)와, 히트싱크(115)와 결합하는 체결부(1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12b)은 렌즈부(112)와 상기 렌즈부(112)를 통해 결합되는 조명 패널부(113) 및 히트싱크(115)가 회전공(111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렌즈부(112)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2c)는 렌즈부(112)의 측면 양측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112)가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히트싱크(115)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12c)는 상기 렌즈부(112)가 히트싱크(115)와의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과정에서 조명 패널부(113)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조명 패널부(113)와 히트싱크(115)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조명 패널부(113)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싱크(115)로 더욱 쉽게 전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명 패널부(113)는 렌즈부(112)를 통해 조명용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인쇄회로기판상에 다수의 LED 모듈(113a)이 일정 패턴으로 설치되고, 상기 렌즈부(112)의 체결부(112c)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 관통공(113b)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 관통공(113b)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천공되어 렌즈부(112)의 체결부(112c)가 체결부 관통공(113b)를 관통하여 히트싱크(115)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조명 패널부(113)가 상기 히트싱크(115) 상의 일정 위치에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커넥터(114)는 광원부 하우징(111)의 일측에 설치되고, 조명 패널부(113)와 케이블(114a)을 통해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면에는 복수의 광원부 전극(114b)이 설치되어 제어부(120) 또는 센서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원 및 동작 제어 신호 등이 조명 패널부(113)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커넥터(114')는 광원부 하우징(111)의 타측에 설치되고, 조명 패널부(113)와 케이블(114a)을 통해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웃한 광원부(110')의 제1 커넥터 또는 센서부(130)의 커넥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원 및 동작 제어 신호 등이 상기 이웃한 광원부(110') 및 센서부(1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트싱크(115)는 조명 패널부(113)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 패널부(113)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로 이루어지며, 방열 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히트싱크(115)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115a)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115)는 상면에는 렌즈부(112)의 체결부(112c)와 결합하는 체결홈(115b)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12c)와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렌즈부(112)가 히트싱크(115)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광원부(110)와 센서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제어부 커넥터(121)가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10) 및 센서부(13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스위치(미도시)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온/오프 신호, 디밍 제어신호, 광원부 개수 설정 신호 등의 외부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센서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광원부(110)의 온/오프 제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디밍 제어값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가 온/오프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스위치(미도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광원부(110')의 연결 개수 설정 정보를 분석하여 전원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센서부(130)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131)와, 일측에 광원부(110) 또는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도록센서부 제1 커넥터(13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광원부(110)가 접속되도록 센서부 제2 커넥터(133)가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10) 및 제어부(12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20)에 설치되어 광원부(110) 및 센서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SMPS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되는 광량에 따라 복수의 광원부(110, 110')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광원부(110, 110')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와 접속되도록 연결함으로써, 조명장치(100)를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체 감지가 요구되는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센서부(130)를 상기 광원부(110) 또는 제어부(120)와 직렬 연결함으로써, 쉽게 조명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의 연결 방향이 일정 각도 변경되도록 접속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명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접속부 몸체(151)가 일정 각도로 고정된 형상의 접속부(150)로서, 양측 단부가 일정 각도(예를 들면, 90도)를 유지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의 접속부 몸체(151)와, 상기 접속부 몸체(15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상기 접속부 몸체(15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에는 복수의 접속부 전극(152a)이 설치되어 광원부(110), 제어부(120) 또는 센서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원 및 동작 제어 신호 등이 조명 패널부(113)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속부 제2 커넥터(153)의 내측에는 광원부(110) 또는 센서부(130) 등과 연결되면,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의 접속부 전극(15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속부 전극(미도시)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 몸체(151)가 형성하는 각도를 90도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0도, 45도 60도 등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b)는 접속부 몸체(151a)가 양측 단부의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가변형상의 접속부(150a)로서, 양측 단부 플렉서블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 접속부 몸체(151a)와, 상기 접속부 몸체(151a)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상기 접속부 몸체(15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 몸체(151a)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연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부 몸체(151a)를 주름관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방향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접속부(150, 150a)를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상기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의 연결 방향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며, 광원부(110)의 연결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배광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명장치 110, 110' : 광원부
111 : 광원부 하우징 111a : 관통공
111b : 커넥터 삽입부 111c : 회전공
112 : 렌즈부 112a : 입사면
112b : 회전축 112c : 체결부
113 : 조명 패널부 113a : LED 모듈
113b : 체결부 관통공 114 : 제1 커넥터
114' : 제2 커넥터 114a : 케이블
114b : 광원부 전극 115 : 히트싱크
115a : 방열핀 115b : 체결홈
120 : 제어부 121 : 제어부 커넥터
130 : 센서부 131 : PIR 센서
132 : 센서부 제1 커넥터 133 : 센서부 제2 커넥터
134 : 센서부 전극 140 : 전원 공급부
150, 150a : 접속부 151, 151a : 접속부 몸체
152 : 접속부 제1 커넥터 152a : 접속부 전극
153 : 접속부 제2 커넥터

Claims (11)

  1. 내측에 관통공(111a)을 형성한 광원부 하우징(111)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111)에 설치되어 조명 패널부(113)에서 출력되는 빛이 일정 배광 패턴으로 출력되도록 광 경로를 변환하고, 히트싱크(115)와 결합되도록 체결부(112c)를 형성한 렌즈부(112)와, 상기 렌즈부(112)를 통해 조명용 빛을 출력하고, 상기 체결부(112c)가 관통하는 체결부 관통공(113b)을 형성한 조명 패널부(113)와, 상기 조명 패널부(113)의 양측에 설치한 커넥터(114, 114')와, 상기 조명 패널부(113)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 패널부(113)가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112c)와 결합하는 체결홈(115b)을 형성한 히트싱크(115)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110); 및
    상기 광원부(11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부(130)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 또는 임의의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부(110) 또는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센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10), 제어부(120) 및 센서부(130)의 연결 방향이 일정 각도 변경되도록 접속하는 접속부(150, 15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50)는 양측 단부가 일정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진 형상의 접속부 몸체(151);
    상기 접속부 몸체(151)의 일측에 형성한 접속부 제1 커넥터(152); 및
    상기 접속부 몸체(15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50a)는 양측 단부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진 접속부 몸체(151a);
    상기 접속부 몸체(151a)의 일측에 형성한 접속부 제1 커넥터(152); 및
    상기 접속부 몸체(151a)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제1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 제2 커넥터(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10)는 렌즈부(112) 및 조명 패널부(113)가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12)는 체결부(112c)가 조명 패널부(113)의 체결부 관통공(113b)를 관통하여 상기 히트싱크(115)상의 임의의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112)가 히트싱크(115)와의 결합을 통해 조명 패널부(113)와 히트싱크(115)가 압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12)는 다른 배광각 및 배광 패턴을 갖는 렌즈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외부 스위칭 신호 또는 센서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디밍 제어값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광원부(110)의 연결 개수 설정 정보에 따라 전원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장치.
KR1020160111800A 2016-08-31 2016-08-31 모듈형 조명장치 KR10185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00A KR101853194B1 (ko) 2016-08-31 2016-08-31 모듈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00A KR101853194B1 (ko) 2016-08-31 2016-08-31 모듈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53A KR20180024853A (ko) 2018-03-08
KR101853194B1 true KR101853194B1 (ko) 2018-04-30

Family

ID=6172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800A KR101853194B1 (ko) 2016-08-31 2016-08-31 모듈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9036A1 (de) * 2019-10-14 2021-04-21 LMT Leuchten + Metall Technik GmbH Modulare tunnelbeleuchtungseinrichtung
KR102520807B1 (ko) 2021-06-08 2023-04-12 (주)루멘룩스 모듈형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62B1 (ko) * 2015-05-29 2015-11-05 소홍철 자석 고정형 충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62B1 (ko) * 2015-05-29 2015-11-05 소홍철 자석 고정형 충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53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469B (zh) 具有电子可调整光束分布的固态照明设备
US11092321B2 (en) Chip-on-board modula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448816B2 (ja) 調節可能な光源モジュールを有する照明器具
EP2444717B1 (en) Automatically adjusting task light
CA2859395C (en) High intensity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 assembly
EP3215785B1 (en) Lighting techniques utilizing solid-state lamps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US20130322082A1 (en) Modular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fixtures
US20130088152A1 (en) Dimming apparatus for solid state lighting fixtures
EP1876389A1 (en) Lighting system for a display apparatus
US6762689B2 (en) Universal traffic signal display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3006478C (en) Modular lighting apparatus
US11793176B2 (en) Arc modular ligh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11014317A (ja) 照明体及び照明装置
US9157590B2 (en) Base carrier, light source carrier and system comprising a base carrier and a light source carrier
KR101853194B1 (ko) 모듈형 조명장치
US11873968B2 (en) Light fixture with multiple outputs
CN102155701A (zh) 暗装式led光源
US7559669B2 (en) Coin shaped light-emitting device and coin shaped spotlight comprising same
JP2006313271A5 (ko)
US8646941B1 (e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4456174B (zh) 具有电子可调光束分布的固态光源
KR100613665B1 (ko) 통신제어가 가능한 간판 및 경관 구조물용 조명장치
TWM429033U (en) Modulized street lamp
CN213420765U (zh) 一种自带光控制装置的轨道射灯
JP2014154419A (ja) 発光ユニット、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