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081B1 -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081B1
KR101853081B1 KR1020170062188A KR20170062188A KR101853081B1 KR 101853081 B1 KR101853081 B1 KR 101853081B1 KR 1020170062188 A KR1020170062188 A KR 1020170062188A KR 20170062188 A KR20170062188 A KR 20170062188A KR 101853081 B1 KR101853081 B1 KR 10185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unit
control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Priority to KR102017006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252
    • H04N5/232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 system. The CCTV camera system comprises: camera unit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esignated places to photograph imag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s and the display unit; a smartphone for interlocking with the camera units and the control unit; and quick respond (QR) code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l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signal is designed to be inpu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ile the display unit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such that the control signal is inputted in a more convenient manner.

Description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씨씨티브이 카메라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씨씨티브이 설치 현장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강한 진동 발생의 경우에도 파손을 방지하고 견고한 방수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이물질 오염 시 투시 창 부분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iv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smartphone and a ccive camera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a camera can be controlled through a smart phone, a facility expense or a patrol situation of a manager can be grasped, It is easy to install at the installation site, prevents damage even in the case of strong vibration, has a waterproof structure, has a waterproof structure and is easy to use. This is an invention relating to the improved CCD camera system.

근래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장치들이 개발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신속한 업무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DA, mobile phone, and smart phone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s tools for the quick work of busy modern people.

기존 이동통신장치의 경우 구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이 애초 제조사에 의해 저장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단순히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등의 수동적인 작업만이 가능한 상태였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various programs for driving are initially stored and install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user can only perform manual operations such as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in this state.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장치를 위한 다양한 구동 모듈들이 개발되어 기존 휴대폰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driving modul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beyond the limitations of passive operations that were possible in existing mobile phones.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또는 이외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전기전자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to use data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locked with the smart phone or other than the smart phone have been actively studied.

한편, 씨씨티브이 시스템은 각종 건물 또는 공공의 장소에서 범죄 또는 사고 현장을 촬영하고 감시하는 역할 이외에도 그 설치로 인해 일정 정도 범죄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role of shooting and monitoring crime or accident scene in various buildings or public places, the system has a function to prevent crime to some extent due to its installation.

근래, 도로 또는 공공건물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에도 씨씨티브이 시스템이 설치되고, 이를 방범 또는 주차 단속 등에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In recent years, not only roads or public buildings but also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installed with ccivision systems, which may be used for crime prevention or parking interception.

그런데, 순찰 업무의 경우 경비원이 일정 구역을 직접 순찰하면서 불법 주차 차량을 발견하여 단속하며, 범죄 등의 비상 사태 발생 시에는 이를 경찰서 등의 외부 기관에 알리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patrol service, the security guard patrols a certain area and discovers an illegal parking vehicle. When an emergency such as a crime occurs, it informs an outside agency such as a police station.

상기와 같은 순찰 업무는 그 특성 상 순찰자가 지정된 시간에 순찰 영역을 직접 순찰하는 지의 여부를 감독해야 하며, 순찰자에 의한 불법 주차차량 단속의 경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순찰자가 파악하여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The patrol service as described above should supervise whether or not the patrol patrols the patrol area directly at the designated time, and in case of the illegal parking control by the patrol, the patrol car grasps the parking lot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It is not only troublesome but also requires a lot of manpower.

또한, 불법 주차 또는 도난 차량 단속 등의 경우에 차량의 번호와 리스트 상의 번호를 인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대비하여 단속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llegal parking or stolen vehicle interception, the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n the list must be controlled separately by manpower. Therefore, such an operation is limited in improv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work.

한편, 상기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는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부는 기둥 또는 벽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camera unit included in the ccive system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the camera un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ch as a column or a wall.

그런데,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기둥은 통상적으로 제조공장 단계에서 용접 등의 작업으로 완성된 상태로 이동되며,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However, the column for installing a ccivision camera is usually moved to a completed state by welding or the like at the manufacturing plant stage, and is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an anchor bolt.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공장 단계에서 설치기둥의 제조를 완성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특수한 운반 차량이 요구되고, 설치 현장에서도 크레인 등의 특수 차량이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move the installation post to the installation site in the state that the installation pole is completed in the factory stage, a special transportation vehicle is required and a special vehicle such as a crane is required at the installation site.

또한, 상기 기둥은 설치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설치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lumn i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worksite situation.

하지만, 애초 상기 기둥은 전체가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 현장으로 이동되므로, 설치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 기둥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된다.However, since the pillar is initially moved to the installation site in a state that the entire pillar is fixed by welding, it may become difficult to adjus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illa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situation.

또한, 종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기둥의 경우 지진이 발생되어 강한 횡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기둥 또는 카메라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lumn for installing a conventional camera, if a strong vibration occurs due to an earthquake, the column or the camera may be damaged or deformed.

이러한 점은 결국 카메라의 손상 또는 2차적인 피해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is can eventually lead to camera damage or secondary damage.

그리고, 종래 상기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는 이에 연동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ly,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ccive system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 unit.

따라서, 상기 씨씨티브이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지향각도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상기 제어부를 조작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ng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included in the cicatvich, the control unit must be operated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러한 점은 결국, 상기 제어부를 통해 카메라부의 지향각도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작업을 어렵게하는 요인이 되고,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작업 역시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As a result, it becomes difficult to adjust the directing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ccive system also becomes troubleso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제어신호 입력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구성되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which are detachable from a control unit, It provides a ccivi camera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씨씨티브이 카메라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mera through the smartphone and improv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surveillance function capable of easily grasping the facility cost or the patrol status of the manager, It provides a ccivi camera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차량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구성되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cive camera system with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and monitoring function, whi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vehicle management through a ccive camera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둥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카메라부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며, 작업자가 설치 기둥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in which a mounting column for mounting a camera uni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but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and can be easily moved It provides a ccivi camera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카메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보다 견고히 설치 대상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cive camera system configured to prevent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a camera unit eve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nd to firmly mount the camera unit on an object to be install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각종 기자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cive camera system configured to accommodate various equipment in a space insid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camera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부 전면에 설치되는 유리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시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sual camera system configur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a camera unit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glass install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mera unit,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과 상기 제어부하우징 사이에는 연결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도 착탈가능한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상기 큐알코드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cive camera system including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nd installed at a plurality of designated location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smartphone interlocked with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plurality of quill code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a vibration damping pad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A display module housing for receiving the display module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ntrol module housing the control module, and a connection housing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housing and the control module housing, The control housing and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display unit housing is detachably hing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display unit housing. The display unit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hous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ousing The display unit hou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using, and in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the smart phon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rientation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an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quall code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martphone when the squall code is photographed by the smartphon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he camera unit is directed to the cue cord to capture an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에는 레이저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레이저광을 상기 큐알코드쪽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camera unit is provided with a laser beam irradiating unit, and when the squeegee cord is photographed by the smartphon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hrough the laser beam irradiating unit toward the quill code.

또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에는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미리 지정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interlocking with the camera unit and the smartphone is installed. When the smartphone is detected as being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mera unit, the camera unit captures an image toward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the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와 함께 차량번호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가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unit and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module. When the camera unit and the smartphone are detected as being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light illuminating the camera unit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ontroller may photograph the image to the camera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light is sensed, transmit the sensed image to the controller, and display the sens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을 상기 설치기둥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설치기둥부재 사이에는 설치커넥터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설치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is accommodated in a camer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unit, and the camera unit housing include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camera unit housing to the installation post member, and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installation post member A mounting connec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connector.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밴드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 + "-shaped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 +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mounting connector, and a ba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ounting conn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구성된다.Preferably,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또한,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패킹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Further, the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via the pack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에 맞닿는 기저부와, 상기 연결부에 맞닿는 상부접촉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cking member may include a base portion cont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 upper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여기서, 상기 상부접촉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의 횡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ateral width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그리고, 상기 상부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 convex portion.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에는 중간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iddl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발포성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formed by compressing a foamable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인접하는 기둥부재들의 기둥체결부 사이에도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mpact absorb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of the adjacent column members.

한편,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는 투시창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는 투시창패킹부재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housing is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and the glass disposed in the viewing window can be installed in the camera housing through a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여기서, 상기 투시창패킹부재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may include a housing contacting portion contacting the camera housing and a glass contacting portion contacting the glass, and the housing contacting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contacting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또한,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contact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ecess.

그리고, 상기 유리접촉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에는 가열수단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An opening is formed in the glass contact portion, and a heating means and an ultrasonic vibration genera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glass.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는 점멸등이 설치될 수 있다.A blinking light may be provided on the camera unit.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하우징 내부에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유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통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구는 상기 유리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n is installed in the camera housing, the glass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ventilation hole may be incli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와, 지중에 매립 배치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의 하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수용부재에는 상기 삽입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기 삽입돌출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된다.Preferably, an installation pillar member for installing the camera portion, and a buried receiving member embedded in the groun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illar member, wherein the installation pilla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ar pillar members Wherein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columnar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embedd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embedded member, Is formed.

그리고, 상기 매립수용부재의 수용홈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mpact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the impact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uried receiving member.

또한, 상기 원기둥형의 기둥부재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재의 기둥체결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기립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 column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band shape is protruded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column member, so that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of the adjacent column members can be mutually engaged and can be er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된다.Preferably,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 입력이 보다 편리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signal input becomes more convenient.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n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the smartphone, and the facility expense or manager patrol situation can be easily grasped.

또한, 관리 대상 건물에 주차하는 차량 파악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it becomes easy to grasp and manage the vehicle parked in the management target building.

또한,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둥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카메라부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며, 작업자가 설치 기둥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st for mounting the camera unit can be assembled in the field,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on the installation pole.

또한,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카메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를 보다 견고히 설치 대상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vib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mera unit eve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nd the camera un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또한,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각종 기자재의 수용이 가능하여 전체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kinds of equipmen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unit, so that a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the entire CCD camera can be configured compactly.

또한, 카메라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부 전면에 설치되는 유리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infiltrated into the camera uni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glas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mera unit, and to capture clearer images.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과 큐알코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부에 겹쳐 포개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매립수용부재가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개폐부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투시창에 설치되는 투시창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카메라부의 투시창에 설치되는 유리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ci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and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martphone and a Qial code included in the ccivision camera system,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ystem,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unit in a superimposed state over the control uni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illar member for mounting the camera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dfill member coupled with the installation post member,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t member and the landfill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unit included in the system,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un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amera unit,
10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moun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amera unit,
11 is a sectional view of a packing member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installed in a sight window,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amera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 glass installed in a sight window of the camera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과 큐알코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부에 겹쳐 포개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매립수용부재가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개폐부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투시창에 설치되는 투시창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카메라부의 투시창에 설치되는 유리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a smartphone and a cue-code included in the ccive camera system,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illar member for mounting the camera unit,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unit included in the system,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installed in the camera unit. FIG. FIG. 10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oun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amera unit,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de window packing member installed in a sight window, 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amera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 Fig. 2 is a front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 glass to be installed; Fig.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00)와,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30)와, 상기 카메라부(10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와, 상기 카메라부(100) 및 제어부(200)와 연동되는 스마트폰(300)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과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사이에는 연결하우징(220)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과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220)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도 착탈가능한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카메라부(100)를 상기 큐알코드(400)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ccive camer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00 installed at a plurality of designated locations for capturing an image,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00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30, a smartphone 300 interlocked with the camera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A vibration damping pad portion 232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display por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portion 230 and the control portion 200 is provided, And a display unit housing 230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230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ntrol unit housing 210 that houses the control unit 200.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and the control unit housing 230, (Not shown) The connection housing 220 and the connection housing 220 are hing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housing 220 and the display housing 230 are also detachable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can be hing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so that the display unit 230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housing 22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using 220 and inpu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230, The camera angle of the camera unit 100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10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smartphone 300. When the user captures the quill code 400 with the smartphone 300, The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code to the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code 400 is transmitted, (400),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ler (200)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상기 카메라부(100)는 2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부(100)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00 may be installed at two or more points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ler 210. The camera unit 100 may includ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회로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어부하우징(210)에는 각종 입출력단자들이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2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230. Various input and output terminals ar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for receiving the control circuits.

상기 카메라부(100)는 와이파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200)에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연동된다.The camera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rough a Wi-Fi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isplay unit 230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200.

상기 제어부(200)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차량번호인식모듈과 광 감지를 위한 영상처리알고리즘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memory unit, in which a car number recognition module, which is a program for recognizing the car number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00, and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optical sensing are stored , And the vehicle number can be recogniz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00).

상기 스마트폰(300)과 상기 제어부(200)는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인 앱을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메라조작부(310, 32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 또는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smartphone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rough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a smartphone and are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100 through the camera operation units 310 and 32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300. [ ) Or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capturing the quail code 400 through the smartphone 300, the controller 200 automatically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ail code 400 to the controller 200.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큐알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러한 식별을 위해 상기 큐알코드 주변에 식별을 위한 숫자, 문자 등을 표시하거나,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상기 큐알코드 자체를 촬영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ail code 400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quail code. For identification of the quail code, numbers, characters, and the like for identification are displayed around the quail code. Alternatively, The code itself can also be photographed and identified.

그리하여, 순찰자는 스마트폰(300)을 휴대하고 큐알코드가 배치된 지점에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여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300) 소지자가 상기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지점을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us, the patrol carries the smartphone 300, captures the quill code 400 at the point where the quail code is placed,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controller 200 so that the owner of the smartphone 300 can receive the quail cod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ight source 400 passes through the attachment point.

상기 큐알코드(400) 대신 알에프아이디 테그 또는 비콘 단말기 등이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An RFID tag or a beacon terminal may be used to interoperate with the smartphone instead of the quail code 400.

그리하여, 경비 담당자의 순찰 지점에 부착되는 상기 큐알코드를 스마트폰(300)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전송하게 하거나 또는 알에프아이디 테그 등을 지나감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경비 담당자가 순찰지점을 지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by photographing the quill code attached to the patrol point of the security officer by the smart phone 300 and transmitting the image or by passing the RF ID tag, By checking,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guard person passes the patrol point.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의 전면(110)에는 레이저광조사부(105)와 점멸등(103)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a laser beam irradiating unit 105 and a flasher 103 are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110 of the camera unit.

그리하여, 상기 레이저광조사부(105)를 통해 인체에 무해한 약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경우,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순찰자 또는 상기 제어부(200) 조작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향하는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controlling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unit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by irradiating a weak laser beam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laser light irradiation unit 105, Or the operator of the control unit 200 can visually confirm the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100.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 조절 시 타켓 목표 또는 방향을 보다 정확히 조준한 상태에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us, the focal distance can be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target or direction of the target is more accurately aimed when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unit 100 is adjusted.

또한,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점멸등(103)을 강하게 점멸시킴으로써, 카메라부가 작동 중임을 환기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blinker lamp 103 is blinked strongly,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ind the camera unit is in operation.

그리하여, 예를 들어 응급한 범죄 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레이저광조사부(105)를 통해 상황 발생 지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상기 점멸등(103)을 강하게 점멸시킴으로써 위협감을 줄 수 있다.Thus,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crime occurs, laser light is irradiated to a situation occurrence point through the laser light irradiating unit 105, and the blinker 103 is strongly flashed to give a threat.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상기 큐알코드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Further, when capturing the quill code 400 with the smartphone 300,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o the quill code through the laser light irradiation unit.

그리하여,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순찰자는 상기 큐알코드(400)로 조사된 레이저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100)가 올바르게 작동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patrol owner having the smartphone 300 can visually confirm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quill code 400, thereby confirming whether the camera unit 100 is operating properly.

또는,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스마트폰(300)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같이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예를 들어 반경 30 미터 이내와 같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Alternatively, the camera unit 100 and the smartphone 300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for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mart phone is pre-designated The camera unit 100 captures an image toward a position where the quill code 400 is attached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200 so that the display unit 230 ).

이때, 상기 큐알코드(400)는 상기 카메라부(10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quill cord 400 is attached at a position near the camera unit 100.

그리하여, 순찰자가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지 않더라도, 상기 카메라부(100)가 설치된 지점을 지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순찰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배치된 지점 또는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지점을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us, even if the patrol photographer does not photograph the quill code 400 through the smartphone 300, when the patrol passer passes the point where the camera unit 100 is installed, the quill code 400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atrol passes through the spot where the camera unit 100 is placed or the spot where the squelch code 400 is attached.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스마트폰(300)이 예를 들어 30 미터와 같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10분 이내와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100)가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camera unit 100 and the smartphone 300 are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30 mete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10 minutes, The camera unit 100 may be directed to a position where the light is sensed when light illuminating the display unit 100 is sensed.

상기와 같이 카메라부(100)가 향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unit 100 is oriented as described above and display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

그리하여, 예를 들어 순찰자가 미등록 차량 번호판을 발견하는 경우에는,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플레쉬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추고, 이때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강한 빛이 감지되면, 상기 빛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Thus, for example, when the patrol finds an unregistered license plate, the flash unit of the smart phone owned by the patrol illuminates the camera unit 100, and at this time, When the light is detected, the image is captured by adjusting the directing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detected.

상기와 같이 강한 빛이 감지되는 쪽으로 카메라부(100)의 지향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광을 감지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이 상기 제어부(200)에 저장된다.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sensing light is stored in the controller 200 to change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unit 100 toward the side where strong light i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그리하여, 순찰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설치된 영역에서 스마트폰의 플레쉬 또는 일반 플레쉬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춰 카메라부(100)의 촬영 영역을 차량의 번호판으로 유도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in the area where the camera unit 100 is installed, the patroller illuminates the camera unit 100 using flash or general flash of a smartphone, guides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unit 100 to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촬영된 차량 번호판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번호판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다.The license plate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0 and recognized by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module.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의 메모리부 내에 미리 저장된 등록 차량번호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표시하거나, 상기 점멸등(103)을 점멸시킴으로써 미등록 차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If the registered vehicle number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gistered vehicle number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of the controller 200, the fa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or the non-registered vehicle is displayed by blinking the blinker 103 .

그리하여, 순찰자는 차량들이 주차된 현장에서 즉시 미등록 차량 여부를 파악하여 이동주차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Thus, the patrolman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unregistered vehicle at the parked spot and attach the moving parking sticker.

또는, 범죄 상황 발생의 경우에도 순찰자는 일반 플레쉬 또는 스마트폰의 플레쉬를 상기 카메라부(100)로 비춰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도를 소정의 위치로 유도하여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상황에 대한 채증을 도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case of a crime situation, the patrol may guide a flash of a general flash or a smart phone to the camera unit 100 to guide the camera unit 10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You can also plan your studies.

한편,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엘시디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조작부(234)를 터치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지향각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3, the display unit 230 may be a touch screen type LCD display panel, and may be operated by touching an operation unit 234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And adjusts a focusing angle and a focal length of the camera included in the unit 100.

종래, 씨씨티브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경우, 상기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별도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상기 제어부(200)를 조작하여 카메라의 지향각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civision,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separately configured, the control unit 200 is operated to view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

그런데, 이러한 경우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조작자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며 카메라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해야 하므로, 조작에 익숙을 요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must b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operator, the angle of view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must be adjusted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의 상부에 결합 구성함으로써, 조작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상기 조작부(234)를 통해 직관적으로 카메라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되므로, 카메라부의 조작이 용이해진다.The display unit 2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200 while the display unit 230 is configured in a touch screen manner so that the operator can view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The directing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are intuitively adjusted through the lens unit 234,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is facilitated.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housing 230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23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that houses the control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olded or installed upright.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과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사이에는 연결하우징(220)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과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상호 힌지(224)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220)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도 착탈 가능한 힌지(222) 결합되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a connection housing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and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and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and the connection housing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224, The connection housing 220 and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are also coupled to a detachable hinge 222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면을 덮거나,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다.4,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may be covered by rotating the display unit 230 relative to the connection housing 220, or may be formed on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Can be installed standing up.

또한,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하우징(210) 상면을 덮도록 포개지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Also, when the display unit 230 is over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unit 230 is interrupted.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하우징(210) 상면에 기립 설치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display unit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the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230.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200) 상부에 결합 구성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기립 설치되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30)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상기 제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30) 간의 연동을 위한 별도 설치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unit 2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23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olded, A separate installation work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controller 200 and the display unit 230 is not required.

또한, 영상을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기립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30)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 필요시에만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0, which is configured by a touch screen method, can be installed upright and used only when the user directly intends to directly check the image. Thus,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display unit 230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230 only.

통상적으로, 씨씨티브이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은 상기 제어부(200) 내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영상을 사람이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한 영상의 확인이 요구되는 때에 디스플레이부(230)를 기립 설치하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시 디스플레이부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Generally,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amera of a ccive is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the controller 200, and there is no need for a person to directly check the imag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firmation is required, the display unit 230 can be installed uprightly so that the image can be checked. As a resul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t all times.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communication module.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터치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함으로써,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us, a touch signal for the display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reby adjusting a directivity angle and a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분리 휴대한 상태에서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via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230 is detached and carried.

또한, 상기 카메라부(100)에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면서 카메라부(10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that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in the camera unit 10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amera unit 100 is malfunctioning by adjusting the directing angle of the camera unit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 및 카메라부(100)에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가 위치하는 지점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프레이부(230)를 분리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by installing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in the display unit 230,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camera unit 100, not only the location where the control unit 200 is located but also the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230 is detached The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at a remote position.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이상 여부 확인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만을 휴대하면 족하므로, 확인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carry only the display unit 230 to check whether the camera unit 100 is abnormal. Therefore, the checking operation becomes very convenien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상기 연결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housing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using 220 so that the display unit 23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housing 220 while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ousing 220. [ A signal can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200 by touching.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에 기립시킨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조작하거나, 필요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분리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230 can be operated while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stands up on the control unit housing 210 or the display unit 230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unit 230 and carried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의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설치된다.A vibration damping pad portion 232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display portion of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의 재질로서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vibration damping pad portion 232, polyurethane, silicon,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00) 상으로 포개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housing 230 is superimposed on the control housing 200 by the vibration damping pad portion 232,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display portion, It can be buffer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이 분리되어 이용되는 경우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작용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일종의 손잡이로서의 테두리 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housing 230 is used separately, the vibration damping pad portion 232 can be used as a kind of a rim as a kind of handle, while buffering an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portion.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카메라부(100)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설치기둥부재(150)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152)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156)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5, the installation pillar member 150 for installing the camera unit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ylindrical pillar members 152, and a cylindrical pillar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56 are formed to project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도 6 에 도시되는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에는 상기 삽입돌출부(156)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62)들이 상기 삽입돌출부(156)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된다.6, receiving recesses 162 for receiv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156 are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rotrusions 156.

상기 원기둥형 기둥부재들(152)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154)가 상기 기둥부재(15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재(152)의 기둥체결부(154)들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column fastening portion 154 formed in an annular band shape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lumn member 152 in the columnar column members 152, The fastening portions 154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by bolts and nuts.

그리하여, 상기 기둥부재(152)들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둥체결부(154)가 안전띠를 거치시키기 위한 돌출부로서의 역할과 함께 사다리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기둥체결부(154)를 밟기에 용이해져,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올라 작업하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Thus, when the mating of the pillar members 152 is completed, the pillar fastening portion 154 serves as a protrusion for mounting the safety belt and functions as a ladder. Therefor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pillar fastening portion 154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operator who climbs up the installation pillar member 150.

여기서, 인접하는 기둥부재(152)들의 기둥체결부(154) 사이에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155)가 배치된 상태로 결합된다.Here, between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154 of adjacent pillar members 152, the impact absorbing members 155 formed by compressing the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are coupled and disposed.

또한,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수용홈(162) 내부에도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68)가 배치된다.An absorbing member 168 for absorbing impact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62 of the buried receiving member 160 by compressing the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수용홈(162)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최하단에 배치되는 기둥부재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상기 삽입돌출부(156)를 상기 수용홈(162)의 임의 위치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162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ried receiving member 16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reely rotates the column member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so that the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156 And can be inserted at any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62.

여기서,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하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68)가 형성되어, 상기 매립수용부재(160)를 지중에 매립하는 경우, 지중으로부터 용이하게 인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 cylindrical protrusion 16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ried storage member 160 so that the buried storage member 160 can not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ground when the buried storage member 160 is buried in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최하단의 기둥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최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설치보(159) 및 그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By rotating the lowermost column memb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beam 159 connected to the uppermost end and the camera unit 100 provided thereon are directed.

또한, 상기 기둥체결부(154)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155)와 함께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수용홈(162) 내부에도 충격흡수부재(168)가 배치됨으로써, 지진 발생과 같은 강한 횡진동 작용의 경우에도, 상기 매립수용부재(160)가 지중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둥부재(152) 및 카메라부(100)로 충격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68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162 of the buried member 160 together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5 disposed between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15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ried supporting member 160 from being drawn out from the ground even in the case of a strong lateral vibration and to prevent the shock and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illar member 152 and the camera unit 100.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고장 및 상기 기둥부재(152) 파손에 의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damage due to the failure of the camera unit 100 and the damage of the column member 152.

한편, 도 8 내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110)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0)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0)을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8 to 10, the camera unit 100 is accommodated in the camera unit housing 110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unit, and the camera unit housing 110 is housed in the camera unit housing 110 ) To the mounting pillar member (150).

상기 연결부(120)의 내부 공간에는 격벽(1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20)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다.A partition wall 122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part 120 to divide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part 120 into a plurality of areas.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2)은 "+"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기 연결부(120) 내부는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다.As shown in FIG. 8, the barrier ribs 122 may have a "+" -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is divided into four spaces.

상기와 같이 마련된 공간들에 전력 변환을 위한 어댑터, 제어회로, 각종 부자재들을 구분 수납함으로써,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상기와 같은 어댑터 등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By separately storing adapters, control circuits, and various auxiliary materials for power conversion in the space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adapter or the like in the installation pillar member 150.

그리하여, 카메라부(100) 설치를 위한 전체 구성이 보다 컴팩트해지고, 제조 공장 단계에서 상기 연결부(120) 내의 공간에 각종 부자재들을 수납한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설치 현장에서는 즉시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the entire structure for mounting the camera unit 100 becomes more compact, and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are housed in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unit 120 at the manufacturing factory stage, have.

또한, 상기 연결부(120) 내부에 상기와 같은 격벽(122)을 형성함으로써, 각종 부자재를 수납하는 상기 연결부(120)의 파괴강도를 상승시키고, 강한 횡진동 발생의 경우에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partition wall 122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accommodating various kinds of subsidiary materials and to prevent deformation even in the case of occurrence of strong lateral vibration .

상기와 같이 네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126)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ide portions of the connection portion partitioned into four spaces a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26)에는 그 테두리 부분을 따라 패킹부재(124)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120)의 측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126)와 연결부몸체간의 틈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packing member 124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so tha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moisture penetrat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and the connecting body. .

한편,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설치커넥터(130)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13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20.

이때,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130)에는 "+" 형상의 오목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8)가 상기 오목부(13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9)와 상기 설치커넥터(130)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32)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게 된다.At this time, a " + "-shaped projection 12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20, and a" + "-shaped concave part 134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connector 130, The plate 129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plate 13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tallation connector 130 are coupled by bolts and nut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art 134.

통상적으로는 상기 설치커넥터(130) 없이,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9)에 형성되는 체결개구(129-1)에 볼트를 체결하여, 특정 구조물에 상기 연결부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전체 카메라부(100)의 무게를 지지하는 요소는 상기 체결개구(129-1)에 결합되는 볼트들 뿐이며, 카메라부가 일종의 자유단 상태로 거치된다.A bolt is fastened to a fastening opening 129-1 formed in a plate 129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art 120 without the mounting connector 130 so that the connecting part is coupled to a specific structure In this case, the only element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entire camera unit 100 is the bolts coupled to the fastening opening 129-1, and the camera unit is mounted in a free-standing state.

따라서, 지진 등이 발생하여 강한 횡진동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지지력으로써 카메라부를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설치구조물로부터 카메라부가 분리되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Therefore, when a strong horizontal vibration is generated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the camera unit may not be supported by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and the camera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structure.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29, 132)들 간의 볼트와 너트 결합에 부가하여, 상기 돌출부(128)와 오목부(134) 간의 구조적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20)와 설치커넥터(130) 간의 기구적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olt-nut connection between the plates 129 and 132, the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the protrusion 128 and the recess 134 is utilized, so that the mechanism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mounting connector 130 The bonding force can be increas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커넥터(130)에 밴드클램프(140) 등과 같은 강력한 체결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설치 대상 구조물에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a strong fastening tool such as a band clamp 1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connector 130,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tructure.

도 9 는 상기 설치커넥터(130)의 후단부에 밴드클램프(140)가 결합된 예이고, 도 10 은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와 설치커넥터(130)의 하부에 상기 밴드클램프(140) 결합 공간을 형성하여 체결한 상태의 예이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nd clamp 14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lower part of the installation connector 130. FIG. In which a space is formed and fastened.

그리하여, 각종 회로부품 및 부자재들이 수용되는 상기 연결부(120)에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치커넥터(130)에 강력한 체결력을 가하여 결합할 수 있다.Thus, a strong fasten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mounting connector 130 without applying any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in which the various circuit components and the subsidiary materials are accommodated.

한편,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26)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패킹부재(124)는 상기 개폐부재(126)에 맞닿는 기저부(124-1)와, 상기 연결부(120)에 맞닿는 상부접촉부(124-3) 및 상기 기저부(124-1)와 상부접촉부(124-3)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124-2)를 포함한다.11, the packing member 124 disposed at the rim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includes a base portion 124-1 cont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124-2 connecting the base portion 124-1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124-1)의 횡방향 폭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124)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The lateral width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base portion 124-1 so that the end face of the packing member 124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s a whole.

여기서,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표면에는 요철부(124-4)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124)의 표면 높이는 상기 상부접촉부(124-3)가 접촉되는 연결부(120)의 표면과 억지끼움이 될 정도로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is provided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124-4 so that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124 is greater than the surface height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contacting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And is formed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insert.

상기 패킹부재(124)가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킹부재(124)의 상부접촉부(124-3)가 연결부(120)의 표면과 억지끼움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억지끼움 과정에서 상기 패킹부재(124)에 작용되는 힘이 과다할 경우에는, 상기 패킹부재(124)가 상기 개폐부재(126)의 안착홈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of the packing member 124 must be forcedly fitted to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in order for the packing member 124 to exhibit the effect of preventing moisture infiltration. The packing member 124 may be disengaged from the seating groov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26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packing member 124 is excessive.

즉, 상기 패킹부재(124)에 지나치게 큰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126)와 상기 패킹부재(124)간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상기 패킹부재(124)가 소정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at is,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cking member 124,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and the packing member 124 is released, and the packing member 124 is releas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

그러므로, 상기 패킹부재(124)의 상부접촉부(124-3)에 상기와 같이 요철부(124-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126)를 상기 연결부재(120)에 결합할 때,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분이 상기 연결부재(120)의 표면에 부딪혀 다소 변형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패킹부재(124)에 작용되는 전체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0 by forming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24-4 on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of the packing member 124 as described above, Th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is slightly deformed by colliding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so that the total force acting on the packing member 124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상부접촉부(124-3)와 중간연결부(124-2) 및 기저부(124-1) 모두에 오목부(124-5, 124-6, 124-7)를 형성한다.Also, recesses 124-5, 124-6, and 124-7 are formed in both the upper contact portion 124-3,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124-2, and the base portion 124-1.

상기 패킹부재(124)가 상기 개폐부재(126)를 통해 상기 연결부(120)의 측부에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오목부(124-5, 124-6, 124-7) 내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Air is present in the recesses 124-5, 124-6, and 124-7 when the packing member 124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

이러한 공기는 상기 개폐부재(126)와 연결부(120)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120) 내부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is air prevents the water permeat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120 by the capillary force.

즉, 상기 오목부(124-5, 124-6, 124-7)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패킹부재(124)와 연결부(120) 또는 개폐부재(126)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력으로 인해 스며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러한 점은 결국 모세관력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연결부(12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air existing in the concave portions 124-5, 124-6, and 124-7 may flow due to the capillary force generated by the space between the packing member 12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6 So that the capillary force prevents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onnection part 120. [0064]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는 투시창(102)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102)는 투시창패킹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camera housing 115 is provided with a see-through window 102, and the glass 102 disposed in the see-through window is installed in the camera housing 115 via a see-through packing member 104.

상기 투시창패킹부재(104)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104-1)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104-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오목부(104-3)가 형성된다.The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104 includes a housing contact portion 104-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mera housing 115 and a glass contact portion 104-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and the housing contact portion 104-1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104-2 are formed with the concave portion 104-3.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요철부(104-5)가 형성된다.The housing contact portion 104-1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104-2 are provided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104-5.

그리하여, 상기 요철부(104-5)와 상기 오목부(104-3) 내에 형성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투시창패킹부재(104)를 통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us, the external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mera housing 115 by the pressure of the air formed 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04-5 and the concave portion 104-3, Thereby preventing infiltration into the apparatus.

또한,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를 연결하는 연결부에서도,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과 유리(102)를 대면하는 표면에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115 facing the glass housing 102 i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contacting portion 104-1 and the glass contacting portion 104-2 .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외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구(104-7)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104-3) 내로 유입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contact portion 104-1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104-2 are formed with an opening 104-7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so that moisture flowing into the recess 104-3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도 13 와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102)에는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102-2)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108)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에 팬(117)이 설치될 수 있다. 13 and 14, the glass 102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102-2 such as a hot wire and an ultrasonic vibration generating means 108, (117)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유리(102) 부근의 상부에는 분사노즐(107)이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설치되는 빗물저장탱크(119)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유리(102)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 injection nozzle 107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near the glass 102 so that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119 installed in the camera housing 115 can be injected into the glass 102 .

상기 빗물저장탱크(119) 내부에는 빗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19)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119)에 의해 여과된 빗물은 빗물공급관(118-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7)로 공급되어, 상기 유리(102)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A filter 119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rainwater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119.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filter 119 passes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pipe 118-1 to the injection nozzle 107, To be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glass (102).

그리하여, 타이머에 의해 소정의 시간 주기별로 상기 분사노즐(107)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리(102)가 이물질로 오염되어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07 every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a timer, so that the glass 102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a foreign substance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또한, 상기 유리(10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세한 직경의 통기구(102-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lass 102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102-1 having a small diamet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통기구(102-1)는 유리의 폭(t)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리(102)에 부딪히는 빗방울이 상기 통기구(102-1)를 통해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로 침입되지 못하게 구성된다.The air vents 102-1 ar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dth t of the glass and are direct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so that raindrops hitting the glass 102 pass through the vents 102-1, So as not to enter the inside of the sub-housing 115.

상기 통기구(102-1)들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리(102)에서 수평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만 형성된다.The vents 102-1 are form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102, which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하여, 상기 분사노즐(107)을 통해 유리표면에 물이 분사된 이후에는 상기 팬(117)을 강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통기구(102-1)로 공기를 유동시켜 유리(102)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us, after the water i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glas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07, the fan 117 is actuated strongly to flow air to the air vent 102 - 1, Can be removed.

또한, 겨울철에는 상기 가열수단(102-2)을 통해 열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리(102)의 표면의 서리를 제거하거나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winter, by supplying heat through the heating means 102-2, the surface of the glass 10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rosted or frozen.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카메라부
150: 설치기둥부재
200: 제어부
230: 디스플레이부
300: 스마트폰
400: 큐알코드
100:
150:
200:
230:
300: Smartphone
400: Qial Code

Claims (24)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과 상기 제어부하우징 사이에는 연결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도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상기 큐알코드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에는 레이저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레이저광을 상기 큐알코드쪽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에는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미리 지정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at a plurality of designated places for capturing an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and the display unit;
A smart phone interlocked with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jail cod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A vibration damping pad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s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control unit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housing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housing and the control unit housing. The control unit housing and the connection housing are hinged to each other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display housing are also hing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y housing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hous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housing or stand upright on the control housing,
The display unit hou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using and in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rientation angle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martphon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martphon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tu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to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amera unit is provided with a laser light irradiat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to the quill code through the laser light irradiating unit when photographing the quill code with the smart phone,
When the smartphone is detected as being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mera unit, the camera unit captures an image toward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5]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와 함께 차량번호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가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unit and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module,
When a light illuminating the camera unit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unit and the smartphone are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mage is taken toward the camera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light is sensed, And displays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by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을 설치기둥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설치커넥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mera unit is accommodated in a camer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unit,
Wherein the camera housing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camera housing to the mounting post member,
And an installation connector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밴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 shaped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installation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 -shaped concave portion,
And a band member is coupled to the mounting connector.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of the camera system are improv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패킹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coupled to a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via a packing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에 맞닿는 기저부와,
상기 연결부에 맞닿는 상부접촉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접촉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의 횡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cking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abut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 upper contact portion abutt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The lateral width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base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are formed with concave portions, where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are improv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are improv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에는 중간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middl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는 투시창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는 투시창패킹부재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mera housing is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Wherein the glass disposed in the viewing window is installed in the camera housing through a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패킹부재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viewing window packing member
A housing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camera housing,
And a glass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lass,
Wherein the housing contact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are formed with concave portions, where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are improv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housing contact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are form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contact portion and the glass contact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촉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에는 가열수단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opening is formed in the glass contact portion,
Wherein the glass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and an ultrasonic vibration generating mean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점멸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flashing lamp is installed on the camera unit.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of the camera system are improv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 내부에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유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통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구는 상기 유리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A fan is installed inside the camera housing,
The glass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와;
지중에 매립 배치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의 하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수용부재에는 상기 삽입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기 삽입돌출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An installation pillar member for installing the camera unit;
And a buried receiving member that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is receiv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column member,
Wherein the installation post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umnar post members,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column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end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Wherein the embedment receiving member is formed with a number of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insertion projection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rojection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수용부재의 수용홈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impac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uried receiving memb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의 기둥체결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column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band shape protrudes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column member,
And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of the adjacent cylindrical column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tand up in the height direction, where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are improve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들의 기둥체결부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an impact absorb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of the adjacent columnar pillar member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는 발포성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lumn fastening portions is formed by compressing a foama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in the camera unit.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monitoring function are impro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62188A 2017-05-19 2017-05-19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KR101853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88A KR101853081B1 (en) 2017-05-19 2017-05-19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88A KR101853081B1 (en) 2017-05-19 2017-05-19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81B1 true KR101853081B1 (en) 2018-04-27

Family

ID=6208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88A KR101853081B1 (en) 2017-05-19 2017-05-19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0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017Y1 (en) 2004-11-15 2005-03-1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Base for fixing post on ground
JP2006050474A (en) 2004-08-09 2006-02-16 Kaiyo Sogo Kaihatsu Kk Monitoring camera apparatus
KR101207464B1 (en)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Parking management system coupled with smart phones using qr code
KR101372398B1 (en)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level detecting using quick response cod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474A (en) 2004-08-09 2006-02-16 Kaiyo Sogo Kaihatsu Kk Monitoring camera apparatus
KR200376017Y1 (en) 2004-11-15 2005-03-1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Base for fixing post on ground
KR101207464B1 (en)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Parking management system coupled with smart phones using qr code
KR101372398B1 (en)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level detecting using quick response cod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613B1 (en) Vehicle number plate recognition system for on-vehicles type
KR100768820B1 (en) In-car type illegal vehicles detection system while driv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8042398A1 (en) A traffic safety device
KR10162557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or exit of vehicle using searching images of vehicles bottom and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CN109461283A (en) Intelligent residential district security protection system
KR102499410B1 (en) Smart alarm system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thereof
JP2021501408A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parking in no-parking areas
KR2019014272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llegal vehicle
KR20220122227A (en) A mobile safety box fo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KR101037658B1 (en) Electric equipment
RU142292U1 (en) MOBILE PHOTO VIDEO FIXING EVENT
CN102637033B (en) Control system for safety inspection of vehicle bottom
KR101844760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nvenience for use
KR101853081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DE102006041363A1 (en) Column e.g. emergency call column, for use in e.g. building, has microphone and loudspeaker provided in side surface of housing, and storage battery and solar plant integrated into column to operate column in energy-self sustained manner
KR101905406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KR101905404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and convenience for use
KR101877736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having improved patrol watching function
US20140292527A1 (en) Remote lighting and security system
KR101390179B1 (en) A two-way system for crackdown on illegal parking/stop and crime prevention and a two-way method thereof
US7301457B2 (en) Security system and perimeter beam tower
KR102227288B1 (en) parking imaging guidance management, emergency bell and security integrated system
JPH11272965A (en) Image monitoring system
KR102487228B1 (en) Wireless mobile monitoring equipment
KR102410061B1 (en) Security light system having a fuction of automatic notifying of emergency si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