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047B1 -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 Google Patents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047B1
KR101853047B1 KR1020170110004A KR20170110004A KR101853047B1 KR 101853047 B1 KR101853047 B1 KR 101853047B1 KR 1020170110004 A KR1020170110004 A KR 1020170110004A KR 20170110004 A KR20170110004 A KR 20170110004A KR 101853047 B1 KR101853047 B1 KR 10185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input termin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렬
Original Assignee
한동렬
한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렬, 한시연 filed Critical 한동렬
Priority to KR102017011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47B1/ko
Priority to PCT/KR2017/009516 priority patent/WO20190451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일 기판어셈블리는 일면에 코일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코일패턴 및 연결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기판 및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코일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PATTERN COIL FPCB ASSEMBLY AND FPCB MOLD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인딩 코일 대신 패턴코일을 사용함으로써 생산 수율을 향상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는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손떨림 방지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상물을 촬영하는 과정에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정 기능을 광학 손떨림 보정(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이라고 한다.
광학 손떨림 보정은 카메라 렌즈 주변에 코일(10)과 마그넷을 배치하여 코일(10)과 마그넷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 렌즈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코일의 경우 구리선을 감아서 제작할 수 있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코일(10) 자체의 크기는 아주 작음을 알 수 있다. 구리선 코일은 인간 머리카락의 1/3 굵기로 직경 35~40미크론일 수 있다. 현재 구리선 코일을 감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불량률이 20~30%에 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코일(10) 자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원인을 찾기 어려워 코일(10)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리서 자체도 일정한 두께가 있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에 구리선을 감아서 제작되는 코일(10)을 사용하게 되면 카메라모듈의 소형화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22955호)에서와 같이, 기판 상에 코일패턴을 형성하여 소형화 및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기판에 코일을 형성할 경우 코일과 전극이 겹치지 않도록 전극이 기판 외측에 형성된 패턴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기술에서도 전류가 비아홀(1)로부터 비아홀(10)으로 흐르도록 형성하여 비아홀(1)과 비아홀(10)이 전극을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다만, 선행기술의 경우 상부 코일과 하부 코일이 정해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부 코일과 하부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기력은 일정한 크기로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 전자기력을 증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선행기술에 기재된 상부 패턴 및 하부 패턴 구조로는 별도의 패턴층을 추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기재된 상부 패턴 및 하부 패턴만으로는 전자기력을 높이거나 감소하는 등 전자기력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22955호 (공개일: 2016.10.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패턴과 연결패턴을 직렬과 병렬 구조로 다양하여 결합시켜 기술발전이 수년간 정체되어 있는 패턴코일관련 기술을 발전시켜 원하는 크기의 전자기력을 얻을 수 있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코일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코일패턴 및 연결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기판 및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코일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상기 타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을 통해 상기 제2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출력단 및 상기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는 제3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5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을 통해 상기 제4입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6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1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 및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3입력단과 연결되는 제3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는 제4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4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 및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직성 형상의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5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1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며,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5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3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출력단,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7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6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판의 상기 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병렬 연결되는 적층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기판은 상기 제2기판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4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고 상기 제7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9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8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8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5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입력단,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며, 상기 제9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9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0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2기판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제1기판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입력단, 상기 제7입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3출력단 및 상기 제1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5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7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7입력단 및 상기 제3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입력단, 상기 제8입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3출력단 및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4출력단 및 상기 제1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5출력단 및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6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상기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연속 배치되어 형성되는 패턴코일모듈 및 상기 패턴코일모듈과 함께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는 기판몰딩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패턴코일모듈은 상기 금형의 각 면에 대응되게 상기 패턴 코일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위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는 수년간 기술적 한계에 봉착하여 정체돼 있었던 패턴코일 관련기술을 코일패턴과 연결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어셈블리를 제안하여 코일패턴과 연결패턴의 직렬 및 병렬 구조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함으로써 손떨림 보정 기능이 요구하는 자속밀도(전자기력)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양산용 이형사출이 가능한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여 불량률 극소화와 양산에 의한 제조단가 하락으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코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판몰딩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판몰딩구조물의 패턴코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의 패턴코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는 제1기판(100) 및 제2기판(200)을 포함한다.
제1기판(100)은 일면(100a)에 코일패턴(150)이 형성되고, 타면에 코일패턴(150) 및 연결패턴(160)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200)은 일면(200a) 및 타면(2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패턴(26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패턴(260) 및 코일패턴(250)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제1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적층으로 결합되며,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의 일면과 타면에 코일패턴(150, 250)과 연결패턴(160, 260)이 어떤 조합으로 형성되는지에 따라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직렬 연결되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직렬 연결되는 제1실시예부터 살펴본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직렬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적층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기력을 증가하기 위하여 제1기판(100) 여러 개를 적층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제2기판(200)의 일면(200a)에는 코일패턴(150,250)이 형성되고, 타면(100b,200b)에는 연결패턴(160,26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의 일면(100a,200a)에 형성된 코일패턴(150,250)은 동일할 수 있으나 타면(100b,200b)에 형성된 연결패턴(160, 260)은 형상이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판(100)은 일면(100a)의 외측에는 코일패턴(150)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I1)이 형성되고, 일면(100a)의 중심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코일패턴(150)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O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패턴(1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일면(100a)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O2)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100)의 타면(100b)에는 제1출력단(O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출력단(O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I2)이 형성되고, 타면(100b)의 외측에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패턴(160)을 통해 제2입력단(I2)과 연결되어 제2입력단(I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출력단(O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00)의 타면(100b)에는 연결패턴(16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2출력단(O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출력단(O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O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출력단(O1)과 제2입력단(I2), 제2출력단(O2)과 제4출력단(O4)은 각각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타면(100b)을 관통하는 비아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입력단(I1)과 제3출력단(O3)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는 있지만 서로 연통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전류는 제1입력단(I1)을 통해 일면(100a)에 형성된 코일패턴(150)을 따라 제1출력단(O1)으로 흐르고, 제1출력단(O1)을 통해 타면(100b)의 제2입력단(I2)으로 흐르며, 다시 제2입력단(I2)을 통해 제3출력단(O3)으로 흐를 수 있다.
이이서, 전류는 제1기판(100)을 통해 제2기판(200)으로 흐르게 된다.
제2기판(200)의 일면(200a)에는 제1기판(100)에 형성된 제3출력단(O3)과 대응되는 위치에, 코일패턴(250)의 일단을 이루는 제3입력단(I3)이 형성되고, 일면(200a)의 중심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코일패턴(250)의 타단을 이루는 제5출력단(O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패턴(2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제1기판(100)의 제4출력단(O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출력단(O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O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는 제5출력단(O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출력단(O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I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패턴(260)을 통해 제4입력단(I4)과 연결되며, 제6출력단(O6)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출력단(O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출력단(O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5출력단(O5)과 제4입력단(I4) 및 제6출력단(O6)과 제7출력단(O7)은 모두 제2기판(200)의 일면(200a)과 타면(200b)을 관통하는 비아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제1기판(100)에서의 전류 흐름을 살펴봤듯이 전류는 제1기판(100)의 일면(100a)에 형성된 제1입력단(I1)을 통해 타면(100b)에 형성된 제2입력단(I2)으로 흐르게 된다.
이어서 전류는 제2입력단(I2)을 통해 제2기판(200)의 일면(200a)에 형성된 제3입력단(I3)으로 흐르고, 코일패턴(250)을 통과한 후 제5출력단(O5)을 통해 타면(200a)에 형성된 제4입력단(I4)으로 흐르게 된다. 전류는 제4입력단(I4)에서 연결패턴(260)으로 흐른 후 제7출력단(O7)으로 흐르게 된다.
이어서, 제7출력단(O7)을 통해 제6출력단(O6)으로 흐른 후 최종적으로 제2출력단(O2)을 통해 음극 전원(-)으로 흘러 순환회로를 이루게 되며, 이 때,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은 직렬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실제 제품에 적용될 경우를 고려하여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이 모두 제1기판(100)의 일면(100a)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즉, 실제 제품에 적용될 경우 제1기판(100)이나 제2기판(200) 중 어느 하나는 제품에 결합되므로 제품에 부착된 면에 전원을 연결하는 것에 비해 외부에 노출된 면에 전원을 연결하는 것이 작업이 더 용이하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제2기판(200)이 제품에 부착될 경우를 예로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이 모두 제1기판(100)의 일면(100a)에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제1기판(100)이 제품에 부착될 경우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이 모두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 연결되더라도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의 연결은 변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기판(100)가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적층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기력을 증가하기 위하여 제1기판(100) 여러 개를 적층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일면(100a,200a)에는 코일패턴(150,250)이 타면(100b,200b)에는 연결패턴(160,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는 코일패턴(150,250)가 연결패턴(160,260)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판(100)의 일면(100a) 외측에는 코일패턴(150)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I1)이 형성되고, 일면(100a)의 중심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코일패턴(150)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O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면(100a)의 외측에는 코일패턴(1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O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00)의 타면(100b)에는 일면(100a)에 형성된 제1입력단(I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입력단(I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I2)이 형성되고, 제1출력단(O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출력단(O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I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100)의 타면(100b)에는 일면(100a)에 형성된 제2출력단(O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출력단(O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패턴(160)에 의하여 제3입력단(I3)과 연결되는 제3출력단(O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는 제1기판(100)의 일면(100a)에 형성된 제1입력단(I1)을 통해 코일패턴(150)으로 흐르고, 코일패턴(150)의 제1출력단(O1)을 통해 타면(100b)의 제3입력단(I3)으로 흘러 연결패턴(160)을 통과한 후 제3출력단(O3)으로 흐를 수 있다.
이 때, 제3출력단(O3)과 제2출력단(O2)이 비아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류는 제2출력단(O2)으로 흘러 음극 전원(-)으로 흐를 수 있다.
이어서, 제2기판(200)의 일면(200a) 외측에는 제1기판(100)에 형성된 제2입력단(I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I4)이 형성되고, 일면(200a)의 중심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코일패턴(250)의 타단을 이루며 의하여 제4입력단(I4)과 연결되는 제4출력단(O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200)의 일면(200a)의 외측에는 코일패턴(2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1기판(100)의 제3출력단(O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O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는 제4출력단(O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출력단(O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I5)이 형성되고, 제5출력단(O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출력단(O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패턴(260)에 의하여 제5입력단(I5)과 연결되는 제6출력단(O6)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200)에서의 전류 흐름은 제1기판(100)에서의 전류 흐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즉, 양극 전원(+)은 제1기판(100)의 제2입력단(I2)을 통해 제2기판(200)의 제4입력단(I4)에 연결되고, 음극 전원(-)은 제1기판(100)의 제2출력단(O2)과 제3출력단(O3)을 통해 제2기판(200)의 제5출력단(O5) 및 제6출력단(O6)과 연결되므로,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1기판(100)가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타면(100b)에 모두 코일패턴(150)이 형성되고, 제2기판(200)의 일면(200a)과 타면(200b)에 모두 연결패턴(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 외에 적층기판(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판(200)은 제1기판(100)과 적층기판(350)이 병렬 연결되도록 연결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판(100)의 일면(100a) 외측에는 코일패턴(150)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I1)이 형성되고, 일면(100a)의 중심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코일패턴(150)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O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패턴(1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일면(100a)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O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기판(100)의 타면(100b)에는 코일패턴(150)의 일단을 이루며, 제1입력단(I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입력단(I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I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코일패턴(150)의 타단을 이루며, 제1출력단(O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출력단(O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출력단(O3)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패턴(15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일면(100a)에 형성된 제2출력단(O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출력단(O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O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류는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타면(100b)의 제1입력단(I1)과 제2입력단(I2)을 통해 일면(100a)과 타면(100b)에 형성된 패턴코일(150)로 흐르게 되며,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으로 흐르게 되어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타면(100b)에 형성된 패턴코일(150)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이 모두 기판의 중심에 형성되기 때문에 음극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패턴코일(150)과 단락이 발생하거나 전자기력의 세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으로 흐르는 전류를 기판의 외측으로 흐르게 하는 연결패턴(260)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연결패턴(260)은 제2기판(2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기판(200)의 일면(200a)에는 제1기판(100)의 제2입력단(I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입력단(I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I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00)의 제3출력단(O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출력단(O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O5)이 형성되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패턴(260)에 의하여 제5출력단(O5)과 연결되고 제4출력단(O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O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O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5출력단(O5)과 제7출력단(O7)은 제2기판(200)의 중심에 형성되는 반면 제6출력단(O6)과 제8출력단(O8)은 제2기판(200)의 외측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1기판(100)의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은 제2기판(200)의 제5출력단(O5)과 제7출력단(O7)을 거쳐 연결패턴(260)을 통해 제6출력단(O6)과 제8출력단(O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6출력단(O6)과 제8출력단(O8)는 제4출력단(O4) 및 제2출력단(O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100)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이 제1기판(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출력단(O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음극 전원(-)이 제1기판(100)의 외측에 연결되어 실제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품에 적용될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전자기력의 세기에 따라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 외에 적층기판(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적층기판(350)이 제1기판(10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2기판(200) 상에 적층기판(350)이 결합되면 제2기판(200)가 적층기판(350)이 연결되도록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도 연결패턴(26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층기판(350)은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2기판(200) 및 제1기판(100)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층기판(350)은 제2기판(200)을 마주하는 일면(350a)에는 코일패턴(360)의 일단을 이루며 제4입력단(I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4입력단(I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I5)이 형성되며, 일면(350a)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코일패턴(360)의 타단을 이루고 제7출력단(O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9출력단(O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층기판(350)의 일면(350a)에는 코일패턴(36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8출력단(O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8출력단(O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출력단(O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층기판(350)의 타면(350b)에는 코일패턴(360)의 일단을 이루며, 제5입력단(I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입력단(I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입력단(I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코일패턴(360)의 타단을 이루며, 제9출력단(O9)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9출력단(O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0출력단(O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패턴(36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11출력단(O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1출력단(O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출력단(O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기판(100)의 일면(100a)과 타면(100b)에 각각 형성된 패턴코일(150)이 서로 병렬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적층기판(350) 역시 일면(350a)과 타면(350b)에 각각 형성된 패턴코일(360)이 서로 병렬 연결되며, 적층기판(350)과 제1기판(100) 역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기판(200)은 제1기판(100)과 적층기판(350)의 중심에 형성된 제1출력단(O1)과 제3출력단(O3), 제9출력단(O9)과 제10출력단(O10)을 각각 제1기판(100)과 적층기판(350)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 모두 제1기판(100), 제2기판(200) 및 적층기판(350)의 외측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는 제1기판(100)가 제2기판(200)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3실시예와 유사하며, 제3실시예의 경우 제2기판(200)의 일면(200a)과 타면(200b)에 각각 연결패턴(260)이 형성되어 제1기판(100) 및 적층기판(350)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기판(200)과 제1기판(100) 및 제2기판(200)과 적층기판(350) 사이에는 접착기능의 절연층이 별도로 형성되거나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는 전체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절연층을 도포하여 형성하였으나 절연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 사이에 보조기판(300)을 추가가 구비하였다.
또한, 제2기판(200)과 적층기판(350) 사이의 절연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제2기판(200)의 타면(200b)에는 연결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적층기판(350)이 제2패턴(200)의 일면(200a)에 형성된 연결패턴(260)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조기판(300)은 제1기판(100)의 타면(100b)과 제2기판(200)의 일면(20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판(300)은 제1기판(100)을 향하는 일면(300a)에는 제1기판(100)의 제2입력단(I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입력단(I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입력단(I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7입력단(I7)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제3출력단(O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출력단(O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3출력단(O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3출력단(O13)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제4출력단(O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4출력단(O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5출력단(O1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기판(300)의 타면(300b)에는 제7입력단(I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7입력단(I7) 및 제3입력단(I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입력단(I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8입력단(I8)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제13출력단(O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3출력단(O13) 및 제5출력단(O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4출력단(O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4출력단(O14)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제15출력단(O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5출력단(O15) 및 제6출력단(O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6출력단(O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기판(300)의 일면(300a)과 타면(300b)에 각각 형성된 제7입력단(I7)과 제8입력단(I8), 제13출력단(O13)과 제14출력단(O14), 제15출력단(O15)과 제16출력단(O16)은 각각 비아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적층으로 병렬 연결하여 제품에 적합한 전자기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판 사이의 절연효과를 높여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기판몰딩구조물
이어서, 앞서 설명한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이용한 기폰몰딩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몰딩구조물은 패턴코일모듈(A)과 금형(4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코일모듈(A)은 하나 이상의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연속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는 앞서 설명한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연속 배치되어 패턴코일모듈(A)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는 크기가 작을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패턴코일모듈(A)로 형성될 경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일 열로 분할하면 반도체소자와 같이 릴(REEL) 형태로 수납 및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금형(400)은 패턴코일모듈(A)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는 카메라나 스마트폰에서 손떨림을 보정하는 기술에 사용되며, 렌즈(450)와 마그넷(460)과 함께 금형(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렌즈(450)나 마그넷(460)은 금형(400)으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는 반면 패턴코일모듈(A)은 금형(400)에 인서트 몰딩되어 금형(400) 제작 과정에서 금형(400)과 함께 몰딩될 수 있다.
패턴코일모듈(A)은 금형(4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0이나 도 13에서와 같이, 금형(400)의 각 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경우 금형(400)에 면이 4개가 형성되면 패턴코일모듈(A)이 금형(400)의 4개면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서로 수직되는 2 방향으로 손떨림 보정이나 아웃포커싱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400)에 면이 8개가 형성되면 패턴코일모듈(A)은 금형(400)의 8개면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서로 수직되는 4방향으로 손떨림 보정이나 아웃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금형(400)의 면이 4개일 때와 비교하면 금형(400)에 면이 8개일 경우 패턴코일모듈(A)이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이 2개에서 4개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정이 더 정밀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4개 방향에서 보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떨림이나 아웃포커싱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패턴코일모듈(A)은 금형(40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홀 또는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패턴코일모듈(A)이 금형(400)에 인서트 몰딩되는 과정에 패턴코일모듈(A)에 형성된 홀 또는 홈(H)에 금형(400) 재질이 충진되어 패턴코일모듈(A)과 함께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패턴코일모듈(A)과 금형(40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흔들림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코일 100: 제1기판
100a: 일면 100b: 타면
150: 코일패턴 160: 연결패턴
200: 제2기판 200a: 일면
200b: 타면 250: 코일패턴
260: 연결패턴 300: 보조기판
300a: 일면 300b: 타면
350: 적층기판 350a: 일면
350b: 타면 360: 코일패턴
400: 금형 400a: 내부
450: 렌즈 460: 마그넷
A: 패턴코일모듈 H: 홀 또는 홈
I1~I8: 제1입력단~제8입력단 O1~O16: 제1출력단~제16출력단

Claims (8)

  1. 삭제
  2. 일면에 코일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코일패턴 및 연결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기판; 및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코일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상기 타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을 통해 상기 제2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3출력단; 및
    상기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는 제3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5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을 통해 상기 제4입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6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출력단;
    이 형성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3. 일면에 코일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코일패턴 및 연결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기판; 및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코일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1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 및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3입력단과 연결되는 제3출력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는 제4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4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 및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직성 형상의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5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
    이 형성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4. 일면에 코일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코일패턴 및 연결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기판; 및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코일패턴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양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는 제1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일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음극 전원과 연결되는 제2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1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단;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며, 상기 제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입력단;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출력단;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5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3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입력단;
    상기 제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출력단;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패턴에 의하여 상기 제7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6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출력단;
    이 형성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의 상기 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병렬 연결되는 적층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기판은 상기 제2기판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4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입력단;
    상기 일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고 상기 제7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9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8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8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코일패턴의 일단을 이루며, 상기 제5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입력단;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는 상기 코일패턴의 타단을 이루며, 상기 제9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9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0출력단; 및
    상기 코일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1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1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출력단;이 형성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2기판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제1기판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제2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입력단;
    상기 제7입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3출력단; 및
    상기 제13출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4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5출력단;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7입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7입력단 및 상기 제3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입력단;
    상기 제8입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3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3출력단 및 상기 제5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4출력단; 및
    상기 제14출력단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5출력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5출력단 및 상기 제6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6출력단;
    이 형성되는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판몰딩구조물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패턴 코일 기판어셈블리가 연속 배치되어 형성되는 패턴코일모듈; 및
    상기 패턴코일모듈과 함께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코일모듈은,
    상기 금형의 각 면에 대응되게 상기 패턴 코일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위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기판몰딩구조물.
  8. 삭제
KR1020170110004A 2017-08-30 2017-08-30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KR10185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04A KR101853047B1 (ko) 2017-08-30 2017-08-30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PCT/KR2017/009516 WO2019045139A1 (ko) 2017-08-30 2017-08-31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04A KR101853047B1 (ko) 2017-08-30 2017-08-30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47B1 true KR101853047B1 (ko) 2018-04-27

Family

ID=6208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04A KR101853047B1 (ko) 2017-08-30 2017-08-30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3047B1 (ko)
WO (1) WO20190451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26A1 (ko) * 2018-12-27 2020-07-02 (주)센서토피아 카메라 모듈의 위치 보정용 기판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4025363A1 (ko) * 2022-07-29 2024-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020A (ja) * 2004-09-07 2006-03-23 Toyota Motor Corp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並びに回路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回路成形品
KR101565705B1 (ko) * 2014-08-11 2015-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101760233B1 (ko) * 2017-03-31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955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컴퓨스터 박막형 자기발생 코일 시스템
KR101832568B1 (ko) * 2015-05-20 201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020A (ja) * 2004-09-07 2006-03-23 Toyota Motor Corp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並びに回路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回路成形品
KR101565705B1 (ko) * 2014-08-11 2015-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101760233B1 (ko) * 2017-03-31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26A1 (ko) * 2018-12-27 2020-07-02 (주)센서토피아 카메라 모듈의 위치 보정용 기판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2028979B2 (en) 2018-12-27 2024-07-02 Sensortopia Co., Ltd Substrate assembly for correct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WO2024025363A1 (ko) * 2022-07-29 2024-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139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9114B2 (en) Stacked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stacked body
KR102370813B1 (ko) 코일 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7675566B2 (en) Camera module
EP3346318B1 (en) Thin dual-aperture zoom digital camera
KR101494823B1 (ko) 카메라 모듈
US20190013148A1 (en) Coil component
KR100875731B1 (ko) 자성 소자
US10468184B2 (en) Coil component having resin wa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40620B2 (en) Lens drive device
KR101853047B1 (ko) 패턴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사출용 기판몰딩구조물
JP5915821B2 (ja) 電磁石の製造方法、および、電磁石
JP5353947B2 (ja) コイル部品及び表面実装型パルストランス
US11894728B2 (en) Multi-lens camera system and driving mechanism thereof
KR20060121692A (ko) 자성 소자
KR102463336B1 (ko) 인덕터 어레이
US11640868B2 (en) Laminated coil component
US20190115818A1 (en) Electromagnetic driving module
US11300759B2 (en) Optical member driving module having base with metal frames
CN109937381B (zh)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US12028979B2 (en) Substrate assembly for correct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106291860A (zh) 音圈马达致动器
KR20190123082A (ko) 패턴코일 기판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428204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8203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31282B (zh) 電路板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