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887B1 - 무장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장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87B1
KR101852887B1 KR1020130036977A KR20130036977A KR101852887B1 KR 101852887 B1 KR101852887 B1 KR 101852887B1 KR 1020130036977 A KR1020130036977 A KR 1020130036977A KR 20130036977 A KR20130036977 A KR 20130036977A KR 101852887 B1 KR101852887 B1 KR 10185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firearm
support portion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33A (ko
Inventor
허만정
김병희
황주완
Original Assignee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41A23/16Testing mou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06Friction-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08Bearings, e.g. trunnions; Brakes or blocking arrangements
    • F41A27/12Brakes or locks for blocking traversing or elevating gear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장거치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화기바디부를 지지하는 바디부와, 상기 화기바디부에 연결되는 총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총렬과 결합하여 상기 총렬을 지지하는 서포터부와, 상기 서포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총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장거치대{Weapon cradle}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장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를 지지하는 무장거치대는 화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무장거치대는 화기의 시험 또는 성능 평가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무인으로 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장거치대는 일반적으로 화기의 바디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무장거치대는 화기의 바디부를 지지하여 화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 또는 반동 등을 흡수함으로써 화기의 작동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장거치대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기의 바디부만을 지지할 뿐 총렬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특히 화기의 작동 시 총렬이 움직이는 경우나 총렬의 길이가 길어지면 총렬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총렬의 상하 진동은 화기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무장거치대의 경우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8618호(발명의 명칭 : 충격흡수식 화기거치대, 출원인 : 에스앤티대우㈜)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861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총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무장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기바디부를 지지하는 바디부와, 상기 화기바디부에 연결되는 총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총렬과 결합하여 상기 총렬을 지지하는 서포터부와, 상기 서포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총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무장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총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 2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서포터부 중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서포터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격발 시 상기 총렬의 길이 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제 1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완충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격발 시 상기 총렬의 수직 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제 2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기의 작동 시 격발 충격에 의하여 총렬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총렬의 상하 운동을 방지하고 총렬의 전후 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화기의 연속 사용시 탄착 정확도와 분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장거치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거치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장거치대(10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무장거치대(100)는 화기(G)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무장거치대(100)는 화기(G)를 탑재하는 특수차량 등에 화기(G)를 연결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장거치대(100)는 화기(G)의 성능 평가 등에서 사용될 때,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화기(G)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장거치대(100)가 화기(G)를 특수차량 등에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화기(G)는 화기바디부(G1)와, 화기바디부(G1)에 연결되는 총렬(G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총렬(G2)은 화기바디부(G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무장거치대(100)는 화기바디부(G1)를 지지하는 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는 화기(G)의 작동 시 격발 충격이나 진동을 저감시키는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무장거치대(100)는 화기바디부(G1)에 연결되는 총렬(G2)의 길이방향으로 바디부(110)에 설치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는 바디부(110)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는 제 1 지지부(12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총렬(G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122)의 일단은 바디부(110)와 연결되고, 제 2 지지부(122)의 타단은 제 1 지지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2 지지부(122)의 타단은 제 1 지지부(121)의 중앙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22)는 만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 형성되어 총렬(G2)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무장거치대(100)는 총렬(G2)과 결합하여 총렬(G2)을 지지하는 서포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장거치대(100)는 서포터부(130)와 지지부(1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총렬(G2)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터부(130)는 총렬(G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브라켓(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부(130)는 제 1 브라켓(131)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이드부(140)와 연결되는 제 2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브라켓(132)은 제 1 브라켓(1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부(130)는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33)는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33)는 제 1 브라켓(131) 또는 제 2 브라켓(132)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브라켓(131) 또는 제 2 브라켓(132)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131) 또는 제 2 브라켓(132)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부재(133)의 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재(133)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가이드부(140)는 지지부(120) 또는 서포터부(130) 중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40)는 지지부(120) 또는 서포터부(13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41)에 결합하여 선형운동하는 슬라이딩블럭(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40)는 지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격발 시 총렬(G2)의 길이 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제 1 완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40)는 상기 제 1 완충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격발 시 총렬(G2)의 상하 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제 2 완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완충부 및 상기 제 2 완충부는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완충부는 지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서포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부는 상기 제 1 완충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서포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완충부는 지지부(120)와 가이드레일(141)을 연결하도록 지지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부는 슬라이딩블럭(142)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는 압축스프링, 실린더 또는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는 총탄의 발사 시 총렬(G2)의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을 보조할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레일(141)은 지지부(120)에 설치되고, 슬라이딩블럭(142)은 서포터부(1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가 설치되지 않고, 가이드레일(141)과 슬라이딩블럭(142)가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141)은 제 1 지지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레일(141)은 제 1 지지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블럭(142)은 제 2 브라켓(132)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블럭(142)은 제 2 브라켓(132)과 고정되도록 연결되어, 슬라이딩블럭(142)의 이동 시 제 2 브라켓(132)도 동시에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무장거치대(100)의 설치 및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바디부(110)를 화기바디부(G1) 및 특수 차량 등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는 바디부(110)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디부(110)의 설치 후 바디부(1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디부(110),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가 설치되는 경우 제 2 브라켓(132)은 총렬(G2)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브라켓(132)은 총렬(G2)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131)은 제 2 브라켓(132)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브라켓(132) 내부 공간에 총렬(G2)이 배치되도록 제 1 브라켓(131)은 제 2 브라켓(132)으로부터 회동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총렬(G2)이 제 2 브라켓(132)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면, 총렬(G2)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 1 브라켓(131)을 제 2 브라켓(132)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총렬(G2)이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결합부재(133)를 통하여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의 일단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미표기)를 삽입한 후 너트(미도시)를 조임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이 고정되는 경우 제 1 브라켓(131)의 내면 및 제 2 브라켓(132)의 내면과 총렬(G2)의 외면이 접촉하여 총렬(G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기(G)가 설치된 후 화기(G)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기(G)에 사용되는 탄환이 총렬(G2)을 통하여 외부로 발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 총렬(G2)은 탄환의 운동에 따라 화기바디부(G1)를 중심으로 전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총렬(G2)은 제 1 브라켓(131) 및 제 2 브라켓(132)과 함께 전후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브라켓(131) 및 제 2 브라켓(132)이 운동하는 경우 제 2 브라켓(132)에 의하여 슬라이딩블럭(142)는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 탄환의 격발 충격에 의하여 총렬(G2)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총렬(G2)의 움직임에 따라서 제 1 브라켓(131) 및 제 2 브라켓(132)이 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브라켓(131)과 제 2 브라켓(132)의 운동은 가이드레일(141)과 슬라이딩블럭(14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블럭(142)가 설치된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는 바디부(1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가 바디부(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총렬(G2)의 상하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격발 시 발생하는 총렬(G2)의 상하 운동의 경우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무장거치대(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기(G)의 작동 시 격발 충격에 의하여 총렬(G2)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기(G)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장거치대(100)는 총렬(G2)의 상하 운동을 방지하고 총렬(G2)의 전후 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화기(G)의 연속 사용시 탄착 정확도와 분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무장거치대
110 : 바디부
120 : 지지부
121 : 제 1 지지부
122 : 제 2 지지부
130 : 서포터부
131 : 제 1 브라켓
132 : 제 2 브라켓
133 : 결합부재
140 : 가이드부
141 : 가이드레일
142 : 슬라이딩블럭
G : 화기
G1 : 화기바디부
G2 : 총렬

Claims (8)

  1. 특수차량에 설치되며, 화기바디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화기바디부에 연결되는 총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총렬과 결합하여 상기 총렬을 지지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총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며, 일부가 만곡지게 형성된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무장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총렬을 연결하며, 상기 총렬의 수직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무장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총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 2 브라켓;을 구비하는 무장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36977A 2013-04-04 2013-04-04 무장거치대 KR10185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77A KR101852887B1 (ko) 2013-04-04 2013-04-04 무장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77A KR101852887B1 (ko) 2013-04-04 2013-04-04 무장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33A KR20140120733A (ko) 2014-10-14
KR101852887B1 true KR101852887B1 (ko) 2018-04-27

Family

ID=5199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977A KR101852887B1 (ko) 2013-04-04 2013-04-04 무장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52B1 (ko) * 2021-08-24 2022-04-12 버드렉스 주식회사 조류충돌 예방장치
CN114061366B (zh) * 2021-11-24 2023-07-04 重庆建设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精度射击试验的枪械固定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7233A (en) * 1956-05-25 1957-12-24 Ethell J Dower Flexible firing mount
US20100170128A1 (en) * 2009-01-07 2010-07-08 Werner Theodore J Dampened recoil rest for supporting a rifle
KR20110104325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소총의 지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7233A (en) * 1956-05-25 1957-12-24 Ethell J Dower Flexible firing mount
US20100170128A1 (en) * 2009-01-07 2010-07-08 Werner Theodore J Dampened recoil rest for supporting a rifle
KR20110104325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소총의 지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33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1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in an optical system
US7878105B2 (en) Mitigating recoil in a ballistic robot
EP1584884A1 (en) Camblock assembly for a firearm
CN103712521B (zh) 用于枪支的反冲阻尼设备
US11112203B2 (en) Force damping shooting rest system and method
US6684547B2 (en) Firearm recoil dampening assembly
US11656042B2 (en) Bolt assembly
KR101852887B1 (ko) 무장거치대
US7677372B2 (en) Conductor clamp for a trailing line
ATE517305T1 (de) RÜCKSTOß ABSORBIERENDE SCHUSSWAFFE
RU2014133424A (ru)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448962A (en) Rocket stop assembly
CN207598062U (zh) 一种橱窗液压支撑杆
KR101772893B1 (ko) 총열 고정장치
KR101849355B1 (ko) 화기 지지 장치
US8333141B2 (en) Recoil absorbing assembly for automatic weapons
US8925239B1 (en) Firearm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860000068B1 (ko) 소화기용 왕복 슬라이드의 완충장치
WO2008030128A2 (en) Centurion type anti-recoil device sliding butt stock
KR101295189B1 (ko) 총기의 개머리판 충격흡수장치
US20230160670A1 (en) Target Stand
CN214582784U (zh) 一种安全验枪器
CN215256421U (zh) 一种减震式排气管组件
KR101103344B1 (ko) 총기의 개머리판 충격흡수장치
RU2574872C2 (ru) Виброзащитная подвеска сиденья объекта бронетанковой техни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