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893B1 - 총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총열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893B1 KR101772893B1 KR1020150189143A KR20150189143A KR101772893B1 KR 101772893 B1 KR101772893 B1 KR 101772893B1 KR 1020150189143 A KR1020150189143 A KR 1020150189143A KR 20150189143 A KR20150189143 A KR 20150189143A KR 101772893 B1 KR101772893 B1 KR 101772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total
- total heat
- heat receiving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1/00—Testing arrangements
- F41A31/02—Testing arrangements for checking gun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 1인의 단독조작으로도 다수의 총열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으며, 총열을 고정한 상태에서 총열의 점검을 즉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고, 총열의 고정작업 시에 총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부재 등을 구비하여 총열의 파손을 막고 총열의 고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가능한 장점이 있는 총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을 갖는 총열수용부와 총열수용부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안착홈에 수용되는 총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총열지지부와 총열수용부로부터 총열지지부가 이격된 이격공간 내에 구비되어, 총열수용부와 총열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및 안착홈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을 구비하여 총열을 안착홈과 고정홈의 사이에 고정하도록 총열수용부와 결합하는 총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총열을 고정하여 점검 또는 정비할 수 있는 총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포와 같은 총기류의 총열을 점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총열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총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연속사격을 위해 고안된 기관총(Heavy Machine Gun)은 사용되는 탄환의 구경에 따라 경(輕)기관총 또는 중(重)기관총으로 분류되며, 총열(또는 총신, Barrel)의 개수에 따라 단총열 또는 다총열 기관총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개인이 휴대하기 용이한 개인화기는 단총열 기관총이 주로 이용되지만, 헬기나 장갑차 또는 전투기 등에 탑재되는 기관총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도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 다수의 탄환을 신속하게 발사하여야 하므로, 분당 수천 발 이상을 발사할 수 있는 다총열 기관총이 이용된다.
다총열 기관총은 다수의 총열과 총열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자장비 등이 포함되므로, 개인화기 보다는 주로 함정이나 전투기 등에 탑재된다. 이러한 다총열 기관총은 탄환의 구경이 11mm 이상인 기관포(Automatic Cannon)가 주로 이용되며, 다총열 기관총의 일례로 전투기에 탑재되는 M61A1은 20mm의 탄환을 분당 6,000발 이상의 속도로 발사할 수 있다.
기관포의 총열은 발사되는 탄환의 발생열에 의한 총열의 변형방지 또는 사격의 정확성 제고 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검에는 총열세척, 총열내부 강선검사, 윤활작업 등이 포함된다.
한편, 종래에는 기관포의 총열을 점검 및 정비하기 위해 기관포에서 해체된 다수의 총열을 손수레 등에 싣고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총열 고정과 총열점검을 별도의 작업으로 수행하여 작업인원의 증가와 노동력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작업자 1인의 단독조작으로도 다수의 총열을 동시에 고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총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총열 고정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을 갖는 총열수용부와 총열수용부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안착홈에 수용되는 총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총열지지부와 총열수용부로부터 총열지지부가 이격된 이격공간 내에 구비되어, 총열수용부와 총열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및 안착홈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을 구비하여 총열을 안착홈과 고정홈의 사이에 고정하도록 총열수용부와 결합하는 총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총열지지부는 총열의 일단부와 맞닿아 총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격벽 및 총열의 일단부와 맞닿는 지지격벽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총열고정부를 중공하여 형성된 나사홈과 총열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홈으로 나사결합하여 총열고정부와 총열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프레임부의 하측에서 연결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운반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프레임부는 연결프레임부와 접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1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조립체를 포함하여 지지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 1인의 단독조작으로도 다수의 총열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어 공수(Man-Hour)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총열을 고정한 상태에서 총열의 점검을 즉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총열의 고정 작업 시에 총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부재 등을 구비하여 총열의 파손을 막고 총열의 고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측면을 나타낸 일부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측면을 나타낸 일부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측면을 나타낸 일부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확대도이다.
총열수용부(10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101)이 형성되어 안착홈(101)에 총열(10)을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총열수용부(100)에 형성되는 안착홈(101)은 하나의 안착홈(101)이 하나의 총열(10)을 수용할 수 있고, 안착홈(101)의 개수는 고정이 필요한 총열(10)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6개의 총열을 갖는 다총열 기관총인 M61A1 기관포의 총열을 점검하기 위해, 총열수용부(100)에는 6개의 안착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01)은 총열(1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형상이 미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탄성을 지닌 재질로 구비되어 총열(10)이 수용됨에 따라 총열(10)에 의해 눌리면서 형상이 변화하여 총열(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총열지지부(200)는 총열수용부(100)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안착홈(101)에 수용되는 총열(1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총열지지부(200)는 총열수용부(100)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바람직하게는 수용되는 총열(10) 길이의 약 80~90%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된 총열(10)의 일단부는 총열지지부(200)에 의해 고정지지 되고, 총열(10)의 타단부는 총열지지부(200)가 총열수용부(100)로부터 총열(10)의 길이보다 적게 이격되므로, 총열수용부(10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총열지부(200)는 안착홈(101)에 수용되는 총열(10)의 일단부를 지지하여 총열(10)의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총열(1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는 의미는 총열(10)의 일단부를 클램프 등의 구조물로 클램핑하거나, 총열(10)의 일단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등의 다양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총열지지부(200)는 총열(10)의 일단부와 맞닿아 총열(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격벽(201)과 총열(10)의 일단부와 맞닿는 지지격벽(201)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20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격벽(201)은 총열(10)의 일단부와 접하여 총열(10)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총열(10)은 총열수용부(100)로부터 총열지지부(200)까지 하향경사로 수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총열(10)이 하향경사로 총열수용부(100)에 수용되면서 지지격벽(201)에 가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격벽(201)은 총열(10)의 일단부와 맞닿는 접촉면의 반대측에 부벽(扶壁)식 보강대가 형성되거나, 지지격벽(201) 자체가 삼각프레임 등으로 구비되어 총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탄성부재(203)는 총열(10)의 일단부와 맞닿는 지지격벽(201)의 일면에 형성되어 총열(10)의 일단부와 지지격벽(201)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거나 총열(10) 또는 지지격벽(201)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M61A1 기관포 총열(10)의 개당 중량은 8.4kg이며, 6개의 총열(10)은 상당한 중량(약 50kg)을 갖는 바, 총열(10)이 지지격벽(201)에 가하는 하중에 의해 총열(10)의 일단부 또는 지지격벽(201)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탄성부재(203)는 충격량을 분산하여 총열(10)의 일단부 또는 지지격벽(201)의 파손을 방지한다. 탄성부재(203)는 고무재질인 것일 수 있으나,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재질이라면 특정 종류에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부(300)는 총열수용부(100)로부터 총열지지부(200)가 이격된 이격공간 내에 구비되어, 총열수용부(100)와 총열지지부(200)를 연결한다. 연결프레임부(300)는 총열수용부(100)와 총열지지부(200)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총열수용부(100)와 총열지지부(200)의 측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총열수용부(100)와 총열지지부(200)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총열수용부(100)와 총열지지부(200)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부(300)에 의해 연결된 결합체로 구비되어 총열(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총열고정부(400)는 안착홈(101)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401)을 구비하여 총열(10)을 안착홈(101)과 고정홈(401)의 사이에 고정하도록 총열수용부(100)와 결합한다. 안착홈(101)에 수용된 총열(10)은 별도로 고정되지 아니하면 이동 또는 작업 중에 안착홈(101)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정확성을 위해 안착홈(101)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401)이 구비된 총열고정부(400)가 총열(10)을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총열고정부(400)의 고정홈(401)은 총열(10)의 외주면의 상측과 맞닿으면서 총열수용부(100)와 결합하며, 총열(10)의 외주면은 하측이 안착홈(101)과 맞닿고, 상측이 고정홈(401)과 맞닿게 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총열수용부(100)와 결합하여 안착홈(101)과 고정홈(401) 사이에 총열(10)을 고정하기 위해, 총열고정부(400)에는 결합볼트(403)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볼트(403)는 총열고정부(400)를 중공하여 형성된 나사홈과 총열수용부(100)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홈으로 나사결합하여 총열고정부(400)와 총열수용부(100)를 결합할 수 있다.
총열고정부(400)는 총열수용부(100)에 구비된 안착홈(101)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401)을 구비하되, 안착홈(10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고정홈(401)이 형성되어 총열수용부(100)와 결합한다. 다만, 총열고정부(400)는 대칭적인 한 쌍의 고정홈(401)이 형성되어, 총열수용부(100)에 구비된 두 개의 안착홈(101)으로 두 개의 총열(10)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총열고정체(405)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총열(10)을 수용할 수 있는 6개의 안착홈(101)을 구비한 총열수용부(100)에는 3개의 총열고정체(405)가 결합하여, 각각의 총열고정체(405)는 독립적으로 2개의 총열(10)을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총열고정부(400)가 복수 개의 총열고정체(405)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총열고정체(405)에는 총열수용부(1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403)가 구비된다. 총열고정부(400)가 복수 개의 총열고정체(405)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이 필요한 총열(10)의 개수에 맞게 일부 총열고정체(405)만을 조작하여 총열(1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총열(10)의 고정작업이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부(500)는 연결프레임부(300)의 하측에서 연결프레임부(300)를 지지한다. 지지프레임부(500)가 연결프레임부(300)의 하측에서 연결프레임부(300)를 지지한다는 의미는 지지프레임부(5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연결프레임부(300)의 하부와 직접적으로 접합 또는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부(500)에 받침판이 구비되어 연결프레임부(300) 및 이와 연결된 총열수용부(100), 총열지지부(200)를 상면으로 받치면서 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부(500)가 연결프레임부(300)를 하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연결프레임부(300) 및 연결프레임부(300)와 연결된 총열수용부(100), 총열지지부(200)는 지지프레임부(500)를 이루는 프레임의 길이만큼의 높이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500)는 지지프레임부(5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프레임부(500)는 연결프레임부(300)와 접하는 제1지지프레임(501), 제1지지프레임(50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제2지지프레임(503) 및 제1지지프레임(501)과 제2지지프레임(503)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조립체(505)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지지프레임(501)은 연결프레임부(300)와 접하며, 단부에는 제1지지프레임(50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공이 배열 형성되어 체결조립체(505)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503)은 제1지지프레임(501)의 단부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제2지지프레임(503)의 단부에는 제2지지프레임(50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공이 배열 형성되어 체결조립체(505)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503)이 제1지지프레임(501)의 단부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 제2지지프레임(503)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지지프레임부(5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체결조립체(505)는 제1지지프레임(501)의 고정공과 제2지지프레임(503)의 고정공으로 삽입되어 제1지지프레임(501)과 제2지지프레임(503)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체결조립체(505)는 제1지지프레임(501) 및 제2지지프레임(503)의 고정공의 내경보다 큰 볼트헤드를 갖고 제1지지프레임(501) 및 제2지지프레임(503)의 고정공의 측부로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반대측에서 체결볼트로 삽입결합되어 제1지지프레임(501)과 제2지지프레임(503)을 고정하는 체결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바퀴(600)는 지지프레임부(500)의 하단에 구비되어, 고정된 총열(10)을 작업장소로 이동하는데 이용된다. 지지프레임부(500)가 연결프레임부(300)에서 연장된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이동바퀴(600)는 지지프레임부(500)의 각각의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4개의 바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바퀴(600)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운반손잡이(700)는 지지프레임부(5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이동바퀴(600)를 움직이기 위한 외력을 제공한다. 운반손잡이(700)는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외력을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지지프레임부(500)의 양 측면에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총열 고정장비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작업자는 총열고정부(400)를 개방하여 총열수용부(100)에 총열(10)을 위치시키고, 총열고정부(400)를 총열수용부(100)에 결합함으로써 총열(10)을 고정한 후, 운반손잡이(700)를 이용해 작업장소로 총열(10)을 이동시켜 총열(10)의 세척, 강선검사, 윤활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1인의 작업자가 총열(10)의 고정 및 이동과 총열(10) 검사를 수행하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총열 100 : 총열수용부
101 : 안착홈 200 : 총열지지부
201 : 지지격벽 203 : 탄성부재
300 : 연결프레임부 400 : 총열고정부
401 : 고정홈 403 : 결합볼트
405 : 총열고정체 500 : 지지프레임부
501 : 제1지지프레임 503 : 제2지지프레임
505 : 체결조립체 600 : 이동바퀴
700 : 운반손잡이
101 : 안착홈 200 : 총열지지부
201 : 지지격벽 203 : 탄성부재
300 : 연결프레임부 400 : 총열고정부
401 : 고정홈 403 : 결합볼트
405 : 총열고정체 500 : 지지프레임부
501 : 제1지지프레임 503 : 제2지지프레임
505 : 체결조립체 600 : 이동바퀴
700 : 운반손잡이
Claims (7)
-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을 갖는 총열수용부;
상기 총열수용부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총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총열지지부;
상기 총열수용부로부터 상기 총열지지부가 이격된 이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총열수용부와 상기 총열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및
상기 안착홈과 상보적인 형상의 고정홈을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총열을 상기 안착홈과 상기 고정홈의 사이에 고정하도록 상기 총열수용부와 결합하는 총열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총열고정부를 중공하여 형성된 나사홈과 상기 총열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홈으로 나사결합하여 상기 총열고정부와 상기 총열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운반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총열지지부는 상기 총열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총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격벽; 및
상기 총열의 일단부와 맞닿는 상기 지지격벽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 고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연결프레임부와 접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9143A KR101772893B1 (ko) | 2015-12-30 | 2015-12-30 | 총열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9143A KR101772893B1 (ko) | 2015-12-30 | 2015-12-30 | 총열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9033A KR20170079033A (ko) | 2017-07-10 |
KR101772893B1 true KR101772893B1 (ko) | 2017-09-01 |
Family
ID=5935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9143A KR101772893B1 (ko) | 2015-12-30 | 2015-12-30 | 총열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28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651B1 (ko) * | 2018-09-05 | 2023-09-1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모듈형 무장 저장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21794A (en) * | 1943-11-19 | 1947-06-10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Gun platform |
US4333385A (en) * | 1980-08-07 | 1982-06-08 | Culver W Jay | Gun sighting apparatus |
-
2015
- 2015-12-30 KR KR1020150189143A patent/KR1017728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21794A (en) * | 1943-11-19 | 1947-06-10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Gun platform |
US4333385A (en) * | 1980-08-07 | 1982-06-08 | Culver W Jay | Gun sigh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9033A (ko)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2836B2 (en) | Mitigating recoil in a ballistic robot | |
US7877917B2 (en) | Hunting rifle recoilless buttstock | |
US940015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in an optical system | |
US7739822B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 accessory to a firearm | |
ES2602066T5 (es) | Plataforma de armas, vehículo militar con una plataforma de armas y procedimiento para el servicio de una plataforma de armas | |
US9823035B2 (en) | Mount for firearm assembly and adjustment | |
US20100269681A1 (en) | Pointing Device Inertial Isolation and Alignment Mounting System | |
US11543206B1 (en) | Shooting rest with shoulder rest | |
AU201126182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hock isolation in a launch system | |
KR101772893B1 (ko) | 총열 고정장치 | |
US20190212083A1 (en) | Firearm with gas block attached to upper receiver | |
US9739561B1 (en) | Mounting assembly for a firearm | |
KR20120094799A (ko) |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 |
EP1078849B1 (de) | Stau- und Transporteinrichtung für in Torpedorohre zu verbringende Körper | |
KR101555096B1 (ko) | K6 기관총 장착 어셈블리 | |
KR101852887B1 (ko) | 무장거치대 | |
CA2715691A1 (en) | Firearm suppor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
SG174965A1 (en) | An object launcher | |
DE4206218C1 (de) | Panzerturm | |
US5429032A (en) | Lightweight mortar and baseplate apparatus | |
KR20190017058A (ko) | 접촉 압력을 자체 조절하는 무기 홀더를 구비한 무기 트레이 | |
US8661962B1 (en) | Bipod-mounted mortar fire control system | |
RU2643621C2 (ru) | Установка оружия | |
US20240085131A1 (en) | Modularized Platform for Munition Canister | |
KR101644520B1 (ko) | 스터드를 이용한 유도탄 횡방향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