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606B1 - 분할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분할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2606B1 KR101852606B1 KR1020170108568A KR20170108568A KR101852606B1 KR 101852606 B1 KR101852606 B1 KR 101852606B1 KR 1020170108568 A KR1020170108568 A KR 1020170108568A KR 20170108568 A KR20170108568 A KR 20170108568A KR 101852606 B1 KR101852606 B1 KR 101852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bar electrode
- divided battery
- electrode
- battery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10F19/90—Structures for connecting between photovoltaic cells, e.g. interconnections or insulating spacers
-
- H01L31/05—
-
- H01L31/02002—
-
- H01L31/022425—
-
- H01L31/04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20—Electrodes
- H10F77/206—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77/211—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for photovoltaic ce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93—Interconnec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할 태양전지 모듈은 일 측 분할전지셀의 전면 버스바 전극과 타 측 분할전지셀의 후면 버스바 전극이 밀착됨에 따라 전면 버스바 전극 또는 후면 버스바 전극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부가 전면 버스바 전극 주변 또는 후면 버스바 전극 주변으로 유출 및 퍼지면서 분할전지셀의 후면에 형성된 전극과 전면 버스바 전극 간 단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전지셀 전면의 발전 영역으로까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특허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No.20163030014070)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할 태양전지 모듈의 분할전지셀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할전지셀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할 태양전지 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태양전지 모듈의 스트링 리본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분할전지셀과 스트링 리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할전지셀과 스트링 리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분할전지셀과 스트링 리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10 : 분할전지셀
11 : 핑거 전극
13 : 전면 버스바 전극
15 : 후면 버스바 전극
20 : 접착부
30 : 단락방지뱅크
40 : 스트링 리본
41 : 메인스트립
42 : 관통구멍
45 : 분기스트립
50 : 보조뱅크
60 : 연결리본
Claims (5)
- 전면에 복수의 핑거 전극이 형성되고, 일 측 가장자리 전면에는 상기 핑거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전면 버스바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버스바 전극과 대향되는 타 측 가장자리 후면에는 후면 버스바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버스바 전극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분할전지셀과;
일 측 분할전지셀의 전면 버스바 전극과 타 측 분할전지셀의 후면 버스바 전극을 연결하기 위해 전면 버스바 전극과 후면 버스바 전극 사이에 도포되고, 전도성을 갖는 접착부와;
상기 전면 버스바 전극과 상기 후면 버스바 전극을 연결시, 상기 전면 버스바 전극 주변 또는 상기 후면 버스바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접착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면 버스바 전극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분할전지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후면 버스바 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락방지뱅크와;
복수의 분할전지셀로 구성된 스트링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분할전지셀의 전면 버스바 전극 또는 후면 버스바 전극과 나란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분할전지셀의 전면 버스바 전극 또는 후면 버스바 전극에 연결되는 스트링 리본;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링 리본에는 상기 분할전지셀의 전면 버스바 전극 또는 후면 버스바 전극에 연결 시, 상기 전면 버스바 전극 주변 또는 상기 후면 버스바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접착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트링 리본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스트링 리본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스트링 리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보조뱅크와, 상기 보조뱅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체적보다 많은 양의 접착부가 도포될 시, 여분의 접착부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보조뱅크 사이의 영역을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태양전지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방지뱅크는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태양전지 모듈.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568A KR101852606B1 (ko) | 2017-08-28 | 2017-08-28 | 분할 태양전지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568A KR101852606B1 (ko) | 2017-08-28 | 2017-08-28 | 분할 태양전지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2606B1 true KR101852606B1 (ko) | 2018-04-30 |
Family
ID=6208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568A Active KR101852606B1 (ko) | 2017-08-28 | 2017-08-28 | 분할 태양전지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260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8864A (ko) | 2018-10-31 | 2020-05-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고출력 슁글드 어레이 구조의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13950A (ko) | 2019-07-29 | 2021-02-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슁글드 태양광 패널용 태양전지 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
KR20210014316A (ko) | 2019-07-30 | 2021-02-0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와이어를 구비한 슁글드 태양전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69438A (ko) | 2019-12-03 | 2021-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0193A (ja) * | 2007-11-26 | 2009-06-11 | Toyota Motor Corp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KR20150003258A (ko) * | 2012-04-06 | 2015-01-08 |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 결정계 태양 전지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
WO2015152020A1 (ja) * | 2014-03-31 | 2015-10-08 | 株式会社カネカ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70057177A (ko) * | 2014-05-27 | 2017-05-24 | 선파워 코포레이션 | 슁글드 태양 전지 모듈 |
-
2017
- 2017-08-28 KR KR1020170108568A patent/KR1018526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0193A (ja) * | 2007-11-26 | 2009-06-11 | Toyota Motor Corp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KR20150003258A (ko) * | 2012-04-06 | 2015-01-08 |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 결정계 태양 전지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
WO2015152020A1 (ja) * | 2014-03-31 | 2015-10-08 | 株式会社カネカ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70057177A (ko) * | 2014-05-27 | 2017-05-24 | 선파워 코포레이션 | 슁글드 태양 전지 모듈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8864A (ko) | 2018-10-31 | 2020-05-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고출력 슁글드 어레이 구조의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123251A (ko) | 2018-10-31 | 2021-10-1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고출력 슁글드 어레이 구조의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13950A (ko) | 2019-07-29 | 2021-02-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슁글드 태양광 패널용 태양전지 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
KR20210133195A (ko) | 2019-07-29 | 2021-11-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슁글드 태양광 패널용 태양전지 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
KR20210014316A (ko) | 2019-07-30 | 2021-02-0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와이어를 구비한 슁글드 태양전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69438A (ko) | 2019-12-03 | 2021-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2606B1 (ko) | 분할 태양전지 모듈 | |
US8921684B2 (en) |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031698B2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CN102800723B (zh) | 太阳电池组件及其制造方法 | |
JP2009043842A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EP2296188A1 (en) | Terminal box and solar cell module | |
JP2024516468A (ja) | 裏面接触太陽電池スト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アセンブリ並びにシステム | |
EP2503598A2 (en) | Solar photovoltaic device | |
KR101883757B1 (ko) |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 |
AU2023397228A1 (en) | An electrode structure, a back-contact solar cell, a cell assembly, and a photovoltaic system | |
US10236823B2 (en) | Solar battery module | |
JP4101611B2 (ja) | 薄膜太陽電池 | |
KR20130101817A (ko) | 태양전지 모듈 | |
JP2019519939A (ja) | 光電池セル、光電池セルアレイ、太陽電池セル、および光電池セル作製方法 | |
CN106876486B (zh) | P型晶体硅背接触双面电池的组串连接结构、组件及方法 | |
US12284835B2 (en) | Conductive interconnection member of imbricate assembly, imbricat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 |
WO2022193845A1 (zh) | 光伏组件 | |
CN212934635U (zh) | 叠瓦组件的导电互联件及叠瓦组件 | |
CN113243051B (zh) | 用具有旁路二极管的串联连接的太阳能电池发电的电路布置 | |
CN210837777U (zh) | 一种光伏电池串和光伏组件 | |
US9954484B2 (en) | Solar battery module | |
JP6568479B2 (ja) | 電気モジュール及び電気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
CN102496635A (zh) | 太阳能电池模块 | |
CN217822834U (zh) | 一种叠瓦电池串、光伏组件、光伏电池片和印刷钢板 | |
EP4102577A1 (en) | Improved parallel solar cell string assemblies for use in a photovoltaic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