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01B1 - 모헤어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모헤어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01B1
KR101852401B1 KR1020170017939A KR20170017939A KR101852401B1 KR 101852401 B1 KR101852401 B1 KR 101852401B1 KR 1020170017939 A KR1020170017939 A KR 1020170017939A KR 20170017939 A KR20170017939 A KR 20170017939A KR 101852401 B1 KR101852401 B1 KR 10185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mohair
profile
uni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희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희성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희성화학
Priority to KR102017001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모헤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모헤어를 삽입할 때 프로파일의 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는 공급되는 모헤어를 프로파일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헤어 삽입장치{Apparatus for mohair insert}
본 발명은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모헤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모헤어를 삽입할 때 프로파일의 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크게 유리와 창틀(Sash ; 샤시, 섀시)로 이루어지며, 매우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로파일(profiles)을 유리의 가로, 세로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최근에는 알루미늄샤시, 하이샤시 등 다양한 종류의 창틀이 제조되고 있는데, 알루미늄샤시의 경우 창틀과 창짝의 밀착성이 떨어져 황사와 같은 미세먼지나 강한 바람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하이샤시는 알루미늄샤시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PVC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하이샤시는 단열성, 방음성,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등 여러가지 면에서 알루미늄 샤시보다 훨씬 뛰어난 기능을 갖춘 창틀로서, 유리 및 창짝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의 측면에 홈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된다.
샤시를 형성하는 프로파일은 금형에서 사출된 후 냉각공정 및 모헤어 삽입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사출됨과 동시에 냉각 및 모헤어 삽입공정이 실시된다.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사출되는 프로파일은 그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라인을 따라 이동할 때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데, 종래에는 모헤어를 삽입하기 위해 프로파일의 양측면을 다수 개의 롤러를 이용해 지지하면서 모헤어를 측면 홈에 삽입하였다.
그러나, 프로파일의 좌우측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측면에 롤러들을 설치하다보니 장비 전체의 폭 및 길이가 매우 커져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프로파일이 심하게 흔들릴 경우에는 모헤어가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탈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로파일을 동시에 여러 라인으로 생산할 경우 프로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롤러들에 의해 낭비되는 공간이 매우 커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을 실시할 때마다 모든 롤러들을 세팅해야 하기 때문에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모헤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헤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되, 모헤어를 삽입할 때 프로파일의 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헤어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는 공급되는 모헤어를 프로파일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출되는 프로파일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없으므로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가변가이드부가 움직임으로써 모헤어가 프로파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별도의 전력공급 없이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유닛의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됨으로 유지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넷째,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쉽고 적용이 용이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의 제1가변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의 제2가변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의 가변유닛에 의해 모헤어가 삽입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가이드부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헤어 삽입장치에 관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고, 동일/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파일용 모헤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적용 분야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헤어 삽입장치는, 공급부(200), 텐션부(300), 높이제한부(400) 및 가변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공급부(200)는 권취되어 있는 롤 형상의 모헤어(H)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일정 속도로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권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동되는 프로파일(100)에 모헤어(H)가 장착됨에 따라 자동으로 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부(200)로부터 모헤어(H)가 공급되기 전 길게 형성된 금형부(10)를 통해 프로파일(100)이 연속적으로 사출되면서 냉각되며, 그 이후에 모헤어(H)가 삽입된다. 이를 위해 공급부(200)는 금형부(10) 주변에 구비되며, 프로파일(100)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110) 방향으로 모헤어(H)가 공급된다.
도 4는 일반적인 프로파일(100)의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용홈(110)이 형성된 프로파일(100)에 모헤어(H)를 삽입하기 위해 한 쌍의 가변가이드부(500)를 적용하였지만 수용홈(110)이 하나만 형성된 프로파일(100)일 경우 하나의 가변가이드부(500)를 적용하면 된다.
프로파일(100)의 수용홈(110) 입구에는 모헤어(H)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한 쌍의 고정돌기(120)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이격되어 있으며, 수용홈(110)에 삽입된 모헤어(H)는 한 쌍의 고정돌기(120)에 의해 들어온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텐션부(300)는 공급부(200)로부터 권출되는 모헤어(H)의 진입 방향을 가변가이드부(500)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모헤어(H)가 통과하기 위한 텐션홀(310)이 형성된다.
텐션부(300)의 일측은 프로파일(100)의 이동경로 일측에 고정되며 모헤어(H)는 텐션홀(310)을 경유하여 가변가이드부(500) 방향으로 권출된다. 이러한 텐션부(300)는 공급부(200)와 가변가이드부(500) 사이에 위치하여 권출되는 모헤어(H)의 진행 방향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킴으로써 장력을 발생시킨다.
높이제한부(400)는 금형부(10)로부터 연속적으로 사출되는 프로파일(100)이 상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프로파일(100)과 상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롤러(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410)는 프로파일(100)의 이동경로 상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되는 프로파일(100)의 상측과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프로파일(100)이 상방향으로 출렁거리거나 튀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프로파일(100)의 하방향의 경우 금형부(10)에서 사출되는 높이가 있기 때문에 움직이는 범위가 매우 적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롤러 또는 프레임을 프로파일(100)의 이동경로 하측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변가이드부(500)는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모헤어(H)를 프로파일(100)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1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프로파일(1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용홈(110)에 모헤어(H)를 각각 삽입하기 위해 제1가변가이드부(600)와 제2가변가이드부(700)를 적용하였으며, 실제 구성은 동일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변가이드부(500)는 지지유닛(610), 가변유닛(650) 및 탄성부재(630)를 포함한다.
지지유닛(610)은 가변가이드부(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프로파일(100)의 이동경로 일측에 위치가 고정되고 내측에는 전방 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홀(612)이 형성된다.
가변유닛(650)은 프로파일(1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지지유닛(610)의 내측에서 인입인출되는 구성으로, 지지유닛(6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돌출된 단부 일측이 프로파일(100)의 수용홈(110)에 삽입된다.
탄성부재(630)는 프로파일(100)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유닛(610)의 내측에서 인출된 가변유닛(650)이 다시 인입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변유닛(650)은 가변몸체(651), 측면이탈방지편(654) 및 상부이탈방지편(655)을 포함하고, 지지유닛(610)은 고정몸체(611) 및 커버유닛(620)을 포함한다.
가변몸체(65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는 링크편(652)이 돌출 구비되며, 가변몸체(651)의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653)이 장착된다.
이러한 베어링(653)은 가변몸체(65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하는 측면이탈방지편(654) 및 상부이탈방지편(655)이 모헤어(H)와 접촉되어 수용홈(110) 내측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모헤어(H)와 프로파일(100)의 연속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가변몸체(651) 역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몸체(651)의 양단부가 아닌 일단부만 모헤어(H) 및 프로파일(100)과 접촉되어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가변몸체(651)에 가해지는 힘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변몸체(651)의 양단부에 베어링(653)을 각각 구비하여 원기둥 형상의 가변몸체(651)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몸체(651)의 일단부에 돌출 구비된 링크편(652)에는 측면이탈방지편(654)이 결합되며, 측면이탈방지편(654)은 프로파일(100)의 수용홈(1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측면이탈방지편(654)은 링크편(6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용홈(110)에 삽입됨으로써 프로파일(100)의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수용홈(110)의 입구에 형성된 고정돌기(120) 끝단과 접촉된다.
모헤어(H)의 폭은 수용홈(110)의 폭과 대응되지만 한 쌍의 고정돌기(120)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돌기(120) 사이의 거리는 모헤어(H)의 폭보다 작아지게 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수용홈(110)에 삽입된 모헤어(H)는 고정돌기(120)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측면이탈방지편(654)은 모헤어(H)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고정돌기(120) 사이의 간격으로 모헤어(H)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측면이탈방지편(654)의 전방 측면에 모헤어(H)가 대각선으로 접촉되어 일단이 휘어짐으로써 모헤어(H)의 폭을 임시적으로 줄어들게 하며, 가변가이드부(500)를 통과한 이후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120) 하측 즉, 수용홈(110)의 내측에서 다시 펼쳐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삽입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이탈방지편(654)의 원주방향 외주면에는 요철부(656)가 형성되어 수용홈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된다. 요철부(656)는 측면이탈방지편(654)과 프로파일(10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프로파일(10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이탈방지편(654)이 구비된 가변몸체(651) 역시 회전하게 된다.
물론 가변몸체(651)와 별개로 측면이탈방지편(654)만 회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몸체(611)는 가변몸체(651)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변몸체(651)가 삽입되는 장착홀(6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홀(612)은 가변몸체(651)가 삽입되었을 때 링크편(652)이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변몸체(65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가변몸체(65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커버유닛(620)은 고정몸체(611)의 단부에 결합되어 가변몸체(65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가변몸체(651)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변홈(622) 및 가변몸체(65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홀(621)이 형성된다.
가변홈(622)은 고정몸체(611)의 단부에 커버유닛(620)이 장착되었을 때 가변몸체(65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되 가변몸체(65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변몸체(65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탈방지홀(621)은 가변몸체(651)가 가변홈(622)을 통해 인출되었을 때 커버유닛(620) 바깥 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변홈(622)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되 가변몸체(651)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가변몸체(65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홀(621)을 통해 가변몸체(651)의 링크편(652)이 외부로 돌출되며, 링크편(652)이 커버유닛(6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면이탈방지편(654)이 결합된다.
고정몸체(611)의 내측에 삽입된 가변몸체(651)의 외측 단부에는 탄성부재(630)가 구비된 상태로 커버유닛(620)이 장착되며, 탄성부재(630)는 가변몸체(651)와 커버유닛(620) 사이 즉, 가변몸체(651)와 수용홈(1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프로파일(100)이 가변가이드부(50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수용홈(110)의 고정돌기(120)에 접촉된 측면이탈방지편(654)에 외력이 가해져 가변몸체(651)가 해당 방향으로 인출되며, 이때 수용홈(110)에 수용된 탄성부재(630)가 압축된다.
이후 프로파일(100)이 가변가이드부(500) 방향으로 움직이면 탄성부재(630)에 가해지던 압축력이 제거되어 탄성력에 의해 가변몸체(651)가 지지유닛(610) 방향으로 밀려나고, 이에 따라 가변몸체(651)가 처음의 위치로 인입된다.
한편, 본 발명은 측면이탈방지편(65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이탈방지편(6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이탈방지편(655)은 측면이탈방지편(654)의 일측 중심부에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이탈방지편(655)은 모헤어(H)의 상면과 접촉되어 모헤어(H)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측면이탈방지편(654)이 모헤어(H)의 측면과 접촉되어 벤딩시킴으로써 측면 위치를 제한하고 상부이탈방지편(655)이 모헤어(H)의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모헤어(H)의 상면 높이를 제한한다.
상부이탈방지편(655) 역시 측면이탈방지편(654)과 함께 프로파일(100)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므로 모헤어(H)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측면이탈방지편(654)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상부이탈방지편(655)이 형성된 측면이탈방지편(654)을 링크편(652)과 결속시킨다.
이렇듯, 본원발명의 가변가이드부(500)는 상술한 측면이탈방지편(654)과 상부이탈방지편(655)을 이용하여 고정돌기(120) 사이로 모헤어(H)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프로파일(100)이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그에 대응하여 가변유닛(650)의 위치를 인입인출시킴으로써 모헤어(H) 및 측면이탈방지편(654), 상부이탈방지편(655)이 프로파일(10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가변가이드부(600)와 제2가변가이드부(700)는 동일한 구성이며 프로파일(100)에 형성된 한 쌍의 수용홈(110)에 모헤어(H)를 각각 삽입하는 기능을 한다.
즉, 한 쌍의 수용홈(110)이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위치시켰을 때 제1가변가이드부(600)는 상측에 위치한 제1수용홈(111)에 모헤어(H)를 삽입하고, 제2가변가이드부는(700)는 하측에 위치한 제2수용홈(112)에 모헤어(H)를 삽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정몸체(611)와 커버유닛(620)에 두 개의 장착홀(612)과 이탈방지홀(621) 및 가변홈(622)을 형성하였으며, 두 개의 가변유닛(651)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두 개의 가변유닛(651)이 구비될 경우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모헤어(H)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나만 사용하여 모헤어(H)를 삽입하다가 고장이날 경우 즉시 회전시켜 나머지 하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대응이 가능해 진다.
H : 모헤어 100 : 프로파일
110 : 수용홈 120 : 고정돌기
200 : 공급부 300 : 텐션부
400 : 높이제한부 500 : 가변가이드부
600 : 제1가변가이드부 610 : 지지유닛
611 : 고정몸체 612 : 장착홀
620 : 커버유닛 630 : 탄성부재
650 : 가변유닛 651 : 가변몸체
654 : 측면이탈방지편 655 : 상부이탈방지편
700 : 제2가변가이드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공급되는 모헤어를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어 프로파일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모헤어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위치가 고정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에 구비되고 돌출된 단부 일측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프로파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에서 인입인출되는 가변유닛과, 상기 가변유닛이 인입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유닛은, 일단부에 링크편이 돌출 구비된 가변몸체와, 상기 링크편에 결합되어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측면이탈방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가변몸체가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가변몸체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변홈 및 상기 가변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변몸체와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몸체의 인출시 가변홈에 밀착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헤어 삽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이탈방지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측면이탈방지편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상부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모헤어 삽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몸체의 양단에는 베어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변몸체는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헤어 삽입장치.
  6. 삭제
KR1020170017939A 2017-02-09 2017-02-09 모헤어 삽입장치 KR10185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39A KR101852401B1 (ko) 2017-02-09 2017-02-09 모헤어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39A KR101852401B1 (ko) 2017-02-09 2017-02-09 모헤어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401B1 true KR101852401B1 (ko) 2018-04-26

Family

ID=6208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39A KR101852401B1 (ko) 2017-02-09 2017-02-09 모헤어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95A (ja) * 1984-05-29 1986-01-18 シユレ−ゲル カナダ インコ−ポレイテツド 目詰め挿入用器具
JPS6284937A (ja) * 1985-09-30 1987-04-18 シ−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封止用形材の插入装置
KR960003575Y1 (ko) * 1992-07-14 1996-04-25 박원배 창틀부재의 모헤어 삽입장치
JP2007313604A (ja) * 2006-05-25 2007-12-06 Nissan Motor Co Ltd ウェザーストリップ挿入工具および挿入方法
KR101343216B1 (ko) * 2012-11-21 2013-12-18 이대원 창호 모헤어 삽입기
KR101350595B1 (ko) * 2012-07-30 2014-01-13 (주)엘지하우시스 인라인 모헤어 인서트 장치
KR20150071303A (ko) * 2013-12-18 2015-06-26 (주)엘지하우시스 모헤어 삽입용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95A (ja) * 1984-05-29 1986-01-18 シユレ−ゲル カナダ インコ−ポレイテツド 目詰め挿入用器具
JPS6284937A (ja) * 1985-09-30 1987-04-18 シ−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封止用形材の插入装置
KR960003575Y1 (ko) * 1992-07-14 1996-04-25 박원배 창틀부재의 모헤어 삽입장치
JP2007313604A (ja) * 2006-05-25 2007-12-06 Nissan Motor Co Ltd ウェザーストリップ挿入工具および挿入方法
KR101350595B1 (ko) * 2012-07-30 2014-01-13 (주)엘지하우시스 인라인 모헤어 인서트 장치
KR101343216B1 (ko) * 2012-11-21 2013-12-18 이대원 창호 모헤어 삽입기
KR20150071303A (ko) * 2013-12-18 2015-06-26 (주)엘지하우시스 모헤어 삽입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0742B1 (en) Screen device
US9717362B1 (en) Drapery carrying method and apparatus
US10260279B2 (en)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330475B1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9723924B1 (en) Bracket assembly
KR101852401B1 (ko) 모헤어 삽입장치
RU2016134162A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125301A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US20160023258A1 (en) Rail for guided screen system
US20050012816A1 (en) Snap-in roller
US2720682A (en) Window construction
KR101775191B1 (ko) 모헤어 삽입용 장치
EP3330476B1 (en) Tension cord mounting
KR101989845B1 (ko)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EP3409873A1 (en) Tension cord mounting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11214442B2 (en) Auxiliary carrier, carrier assembly and carrying apparatus
US9309079B1 (en) Bottom taping tape roll replacement
WO20161249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display sheet
KR101218207B1 (ko)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CN110952886A (zh) 一种可调节的玻璃垫块及门窗
CN111391338A (zh) 一种塑钢型材制造加工工艺
KR20040076899A (ko) 캐비닛 지그 장치
JP6426534B2 (ja) バリアフリー型横引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102135115B1 (ko) 창짝 이탈 방지 고기밀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