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60B1 - 신발용 중창 - Google Patents

신발용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60B1
KR101851760B1 KR1020170016959A KR20170016959A KR101851760B1 KR 101851760 B1 KR101851760 B1 KR 101851760B1 KR 1020170016959 A KR1020170016959 A KR 1020170016959A KR 20170016959 A KR20170016959 A KR 20170016959A KR 101851760 B1 KR101851760 B1 KR 10185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base layer
sole
lay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2017001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전면부와 발볼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거나 베이스층의 상면 전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층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층 및 상기 후면부의 하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바닥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발포수지를 이용한 완충작용으로 보행시 발바닥 전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어 보행에 따른 발바닥의 통증이나 착용자의 피로감이 줄어들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용 중창{MID-SOLE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겉창(밑창)과 안창 사이에 개재되어 신발창을 구성하기 위한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용 중창은 겉창(밑창)과 안창 사이에 한 겹을 덧붙여 댄 것으로서, 신발창을 튼튼하게 하고, 신발의 형상을 결정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신발창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닿는 겉창(Out-sole)과 착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안창(Insole) 및 상기 겉창과 안창 사이에 개재되는 중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창의 하부에 허리쇠(shank)를 부착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창은 성별 또는 용도에 따라 그 형태를 다르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창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공통적인 사항으로서, 착용자의 뒤꿈치가 닿는 후방에 허리쇠가 구비되도록 텍션이 접착되고, 앞꿈치가 닿는 전방에 완충용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쇠는 일반적으로 중창의 하부에 부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완충용 패드는 중창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접착되거나,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강성재질인 겉창, 텍션 및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인 안창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접착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접착방식의 구성은 완충작용의 한계가 있어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완충용 패드가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접착 또는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에는 미흡함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용 패드가 중창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에만 집중되어 있어 발바닥의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할 수 있으나 발바닥의 다른 부위, 예컨대 발가락이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효과가 떨어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중장기적으로 볼 때, 착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데, 예컨대 족저근막염 등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이 집중되는 다양한 부위를 용이하게 완충토록 함으로써, 중창의 충격흡수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중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전면부와 발볼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허리쇠가 개재되도록 후면부의 하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바닥층;
상기 아치부의 사이드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어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사이드완충부;
상기 발볼부 및 엄지발가락이 닿는 전면부의 베이스층과 쿠션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과 쿠션층을 관통하여 각기 형성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1,2 수용공간;
상기 제1,2 수용공간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 및 쿠션층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1,2 완충부; 및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
상기 베이스층과 쿠션층의 외부로 노출된 제1,2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제1,2 완충부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완충부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되, 발볼부 및 전면부에 형성되어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보조완충부;
삭제
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수지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발포수지를 이용한 완충작용으로 보행시 발바닥의 다양한 부위에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어 중창의 충격흡수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행에 따른 발바닥의 통증이나 착용자의 피로감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는 제1,2,3 완충부를 통한 완충작용으로 보행시 충격이 집중되는 발볼은 물론이고, 엄지발가락 및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함으로써, 중창의 충격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보행에 따른 발바닥의 통증이나 착용자의 피로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의 조립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1)은 텍션으로도 지칭 가능한 베이스층(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10)은 예컨대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부직포를 압착하여 형성하거나, 금형에 발포수지를 발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도면상 좌측부터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10a),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10b),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10c)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10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발용 중창(1)은 쿠션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층(20)은 베이스층(10)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인 예컨대, 우레탄을 포함하는 수지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만든 발포수지를 전면부(10a)와 발볼부(10b)에 발포하여 형성되거나 베이스층(10)의 상면 전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즉 예컨대, 하이힐에 사용되는 신발용 중창(도 1의 1 참조)은 베이스층(10)의 전면부(10a)와 발볼부(10b)에 발포수지를 발포함으로써, 쿠션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의 일반적인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용 중창(도 2의 1 참조)은 베이스층(10)의 상면 전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쿠션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면 전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는 쿠션층(20)은 후면부(10d)와 아치부(10c)의 두께(T1)보다 상대적으로 전면부(10a) 및 발볼부(10b)의 두께(T2)를 두껍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보행시 강한 충격이 우선 전달되는 엄지발가락과 발볼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이힐에 사용되는 신발용 중창(1)에서 보듯이, 경우에 따라 아치부(10c)와 후면부(10d)에 쿠션층(20)이 없을 수 있으나, 전면부(10a) 및 발볼부(10b)의 상부에는 반드시 상기 쿠션층(20)이 형성된다.
상기 신발용 중창(1)은 바닥층(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10)의 하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층(10)과의 사이에 허리쇠(31)를 개재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허리쇠(31)는 신발의 척추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시 하중이 집중되는 발바닥의 뒤꿈치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허리쇠(31)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하 생략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1)은 발볼부(10b) 및 엄지발가락이 닿는 전면부(10a)의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에 예컨대, 펀칭이나 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각기 형성되며,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1,2 수용공간(40a)(4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2 수용공간(40a)(40b)에 발포우레탄 등과 같은 통상의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층(10) 및 쿠션층(20)과 이질감 없이 용이하게 일체화 가능하며,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1,2 완충부(41)(42) 및 상기 후면부(10d)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어 베이스층(10) 또는 쿠션층(20)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수지는 예컨대, 우레탄을 포함하는 수지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만든 발포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써, 다양한 발포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2 수용공간(40a)(40b)은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 사이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수용공간(40a)(40b)이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 사이의 내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예컨대, 베이스층(10)에 발포수지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멍(11)을 형성하여 발포수지의 투입 및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2 완충부(41)(42)를 용이하게 형성토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 수용공간(40a)(40b)이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을 관통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베이스층(10)과 쿠션층(20)을 덮으며, 투입구멍(11)이 형성된 제1,2 금형(50)(51)을 통해 발포수지의 투입 및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2 완충부(41)(4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완충부(41)(42)는 보행시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됨은 물론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10) 및 쿠션층(20)과도 일체화됨으로써, 완충작용을 용이하게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제3 완충부(43)는 베이스층(10)의 후면부(10d)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층(10) 또는 쿠션층(20)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는 베이스층(10)의 후면부(10d)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상기 제3 완충부(도 1의 43 참조)를 형성하되, 상기 후면부(10d) 상부에 쿠션층(2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쿠션층(20)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일체화하게 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완충부(41)(42)는 엄지발가락과 발볼의 충격을 더욱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도록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일체로 형성된 보조완충부(44)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완충부(44)는 제1,2 완충부(41)(42)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발볼부(10b) 및 전면부(10a)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완충부(44)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바닥의 이질감이 없으면서 보행시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1)은 아치부(10c)의 사이드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사이드완충부(45)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사이드완충부(45)를 보행시 엄지발가락 발볼 및 뒤꿈치에 이어서 충격이 전달되는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증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중창(1)은 베이스층(10)의 상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쿠션층(20)을 형성하고, 제1,2 수용공간(도 1의 40a, 40b 참조)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제1,2 완충부(41)(42)를 형성하게 되며, 후면부(도 1의 10d 참조)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제3 완충부(43)를 형성하게 되는데, 신발의 용도에 따라 그 형상을 자유롭게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하이힐의 형상으로 재단하고 있음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후,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면에 허리쇠(31)가 구비되도록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바닥층(30)을 형성함으로써, 신발용 중창(1)의 구성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중창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신발용 중창 10 - 베이스층
10a - 전면부 10b - 발볼부
10c - 아치부 10d - 후면부
11 - 투입구멍 20 - 쿠션층
30 - 바닥층 31 - 허리쇠
40a - 제1 수용공간 40b - 제2 수용공간
41 - 제1 완충부 42 - 제2 완충부
43 - 제3 완충부 44 - 보조완충부
45 - 사이드완충부 50 - 제1 금형
51 - 제2 금형

Claims (6)

  1. 발가락을 지지하는 전면부, 발볼을 지지하는 발볼부,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는 후면부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전면부와 발볼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허리쇠가 개재되도록 후면부의 하면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바닥층;
    상기 아치부의 사이드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어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사이드완충부;
    상기 발볼부 및 엄지발가락이 닿는 전면부의 베이스층과 쿠션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과 쿠션층을 관통하여 각기 형성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1,2 수용공간;
    상기 제1,2 수용공간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 및 쿠션층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1,2 완충부;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되며, 베이스층과 일체화되어 발바닥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 및
    상기 베이스층과 쿠션층의 외부로 노출된 제1,2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제1,2 완충부의 상부에 발포수지를 발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완충부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되, 발볼부 및 전면부에 형성되어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발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보조완충부;
    를 포함하는 신발용 중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16959A 2017-02-07 2017-02-07 신발용 중창 KR10185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59A KR101851760B1 (ko) 2017-02-07 2017-02-07 신발용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59A KR101851760B1 (ko) 2017-02-07 2017-02-07 신발용 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760B1 true KR101851760B1 (ko) 2018-04-24

Family

ID=6208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59A KR101851760B1 (ko) 2017-02-07 2017-02-07 신발용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986A1 (ko) * 2020-02-03 2021-08-12 뉴스텝 주식회사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855A (ja) * 1997-05-14 2001-12-04 ザイター、ハンス シューズ用インナーソール
KR100768739B1 (ko) * 2007-01-19 2007-10-19 김상백 완충형 신발 중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855A (ja) * 1997-05-14 2001-12-04 ザイター、ハンス シューズ用インナーソール
KR100768739B1 (ko) * 2007-01-19 2007-10-19 김상백 완충형 신발 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986A1 (ko) * 2020-02-03 2021-08-12 뉴스텝 주식회사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049B2 (en) Footwear midsole with lattice structure formed between platforms
US11382386B2 (en) Comfort system for boots
US10925346B2 (en) Article of footwear
KR100933527B1 (ko) 신발용 인솔
US8839531B2 (en) Footwear
US5077915A (en) Stress fracture reduction midsole
US10624416B2 (en) Footwear and the manufacture thereof
KR100884659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1380100B1 (ko) 신발 밑창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KR101851760B1 (ko) 신발용 중창
US20160286895A1 (en) Footwear
KR20100056052A (ko) 신사화에 소프트한 큐션을 제공하는 속창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101478955B1 (ko) 미드솔 및 인솔
CN208259166U (zh) 一种具有双高弹力量平衡软垫的鞋底结构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EP3082488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KR200274113Y1 (ko) 신발중창
US20220053880A1 (en) Impact reduction footwear through heel and metatarsal cavities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101509233B1 (ko) 안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