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05B1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05B1
KR101851705B1 KR1020170047843A KR20170047843A KR101851705B1 KR 101851705 B1 KR101851705 B1 KR 101851705B1 KR 1020170047843 A KR1020170047843 A KR 1020170047843A KR 20170047843 A KR20170047843 A KR 20170047843A KR 101851705 B1 KR101851705 B1 KR 10185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oupling
fixing
main bod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섭
Original Assignee
미래전기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전기기술단(주) filed Critical 미래전기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7004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절연케이스에 색상을 구현하여 지중 매설중이라도 쉽게 눈에 띄게 함으로써 확인이 쉽게 하고, 무엇보다도 절연케이스의 상호 체결성을 강화시켜 고정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지중매설 환경에 따른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Incoming-out connection structure of submerged underground wir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절연케이스에 색상을 구현하여 지중 매설중이라도 쉽게 눈에 띄게 함으로써 확인이 쉽게 하고, 무엇보다도 절연케이스의 상호 체결성을 강화시켜 고정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지중매설 환경에 따른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대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178호(2012.09.17.),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가 있으며, 여기에는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돌기가 파고들어 도전체에 접촉해야 하므로 도전체의 외면이 손상되기 쉽고, 피복 역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할 만한 수단이 전혀 없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에 발전경향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접속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무채색 혹은 검은색 위주의 절연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쉽게 눈에 띠지 않아 교체 보수를 위한 굴착 작업시 파손의 위험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23286호(2015.05.20.)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절연케이스에 색상을 구현하여 지중 매설중이라도 쉽게 눈에 띄게 함으로써 확인이 쉽게 하고, 무엇보다도 절연케이스의 상호 체결성을 강화시켜 고정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지중매설 환경에 따른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11a,12a)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w)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b,12b)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L,L')의 피복(c)을 가압하는 가압편(11c,1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11,12)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제1·2바디부(11,12)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1a,22a)를 갖춘 제1·2본체부(21,22)와, 제1,2본체부(21,22)의 양측면에 돌출 연장되고 가압편(11c,12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실링부재(21c) 또는 실링부재(21c)가 인입되는 결합홈(22c)을 갖추고서 제1·2본체부(21,22)가 상호 맞대어져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20)와; 체결부(21b,22b)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32)를 구비한 결합구(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30)의 내경에는 삽입되는 가압편(11c,12c)이 오무려지도록 안내하는 만곡부(3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L,L')은 상기 결합구(30)의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되고, 상기 결합구(30)는 체결부(21b,22b)에 체결되어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며;
상기 절연케이스(20)를 지지하면서 자동 수평을 맞추도록 고정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에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된 발포층(210)이 형성되며, 상기 발포층(210)에는 상기 제1본체(21) 일부가 매립될 수 있도록 고정홈(2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하면에는 지지레그(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레그(230)는 상단에 고정대(240)가 나사 고정되며, 고정대(240) 내부에는 스프링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250)에는 스프링(260)이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260)의 상단에는 레그로드(270)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레그로드(270)의 하단 일부는 상기 스프링홈(250)에 걸림된 상태로 고정대(240)의 상단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0)의 하단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의 양측면에는 결합구(3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잠금부재(FX)가 더 설치되어 제1,2본체부(21,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잠금부재(FX)는 상기 제1본체부(21)에 나사고정되는 고정래치(FRT)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FRT)에는 유동래치(MRT)가 힌지축(RT)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래치(FRT)와 유동래치(MRT)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RT)에 끼워진 토션스프링(TSP)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래치(FRT)에 대해 유동래치(MRT)가 탄성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본체부(22)에는 상기 유동래치(MRT)가 걸릴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고정자(MXT)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자(MXT)의 바깥측면에는 걸림돌기(DT)가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DT)의 하단 모서리는 모따기 되고;
상기 제2본체부(22)의 표면 일측에 NFC 태그(300)를 부착하고, NFC 태그(30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좌표정보와 몇 번째 매설케이스인지, 배전선의 전압은 얼마인지, 언제 매설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외표면은 색상 표현이 가능하도록 용융스프레이 방식으로 1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형성하고, 색상발현층이 형성된 후 완전히 건조되면 상기 색상발현층 위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2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스킨층을 형성하되,
상기 색상발현층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분체 4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4중량%, 디시안디아민 10중량%, 안료 3중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4중량%, 스티렌 모노머 5중량% 및 나머지 충전제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로 코팅되고;
상기 스킨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중량%,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3중량%, 구연산 10중량%, 과탄산나트륨 5중량%, 에피클로로히드린 0.5중량% 및 나머지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코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절연케이스에 색상을 구현하여 지중 매설중이라도 쉽게 눈에 띄게 함으로써 확인이 쉽게 하고, 무엇보다도 절연케이스의 상호 체결성을 강화시켜 고정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지중매설 환경에 따른 열화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케이스를 지지고정하는 고정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케이스를 구성하는 제1,2본체부를 고정하는 잠금부재의 동작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잠금부재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케이스의 상면에 NFC 태그를 설치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1523286호를 그대로 인용하며, 특정 구성을 변형하여 기능상 효과성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등록특허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는, 전선고정판(10)과 절연케이스(20) 및 결합구(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 배전선(L,L')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지중 배전선(L,L')에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선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고정판(10)은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로 분할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블록으로서, 압입고정된‘U’자형의 배전선(L,L')을 감싸 고정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U’자 형상으로 홈을 낸 금속선안치부(11a,12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바디부(11)에는 한 쌍의 금속선안치부(1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되,‘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 역시 제1바디부(11)의 금속선안치부(11a)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11) 위로 제2바디부(12)를 얹혀준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를 향해 두드려 가압하게 되면 금속선안치부(11a)에 압입고정된 금속선(w)의 노출된 부분이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에 압입하여 고정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더욱더 견고하게 배전선(L,L')이 고정되기 때문에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맞대어 연결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금속선(w)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는 삼각형상의 마찰돌기(11b,1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돌기(11b,12b)는 배전선(L,L')의 금속선(w)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려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로 인해 더욱더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L,L')이 외부로 빠져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외면, 좀더 명확하게는‘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부에는 반원형상의 가압편(11c,12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1c,12c)은 두께가 얇은 편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결합구(30)의 지지부(32)를 따라 이동되어 만곡부(33)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의 금속선(w)은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에 의해 고정되고, 피복(c)은 가압편(11c,12c)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도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가압편(11c,12c)의 말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어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더라도 피복(c)이 손상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20)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취함으로써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제1·2바디부(11,12)가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21a,22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상호 맞대게 되면 반원형의 체결부(21b,22b)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원통을 이루는 체결부(21b,22b)의 외주면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가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 각각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이 형성되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21c)는 제1본체부(21)의 수용부(21a)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돌기로서, 상기 제2본체부(22)의 결합홈(22c)에 압입되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부분을 밀폐(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가 밀폐(실링)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구(30)는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져 제1·2본체부(21,22)의 체결부(21b,22b)에 결합되어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구(30)는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결합부(31)가 형성되고, 결합부(31)의 내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2)는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21b,22b)가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만곡부(33)는 지지부(32)를 따라 이동하는 가압편(11c)이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30)를 매개로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므로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 등) 없이도 용이하게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상당히 신속해지면서도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선(L,L')에 결합구(30)를 각각 끼워 준 상태에서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으로 구부려 준 다음 이를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1바디부(11)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 상에 배치하고, 금속선(w)을 두드려‘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의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도록 하며, 반대편에 배치된 금속선(w)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고정시켜 준다.
그런 다음,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두드려주게 되면 제1바디부(11)의 외부로 노출된 금속선(w)이 제2바디부(12)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며, 이를 매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고정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절연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이용하여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주며, 이때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제1·2본체부(21,22)의 경계부분은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에 의해 차폐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진 결합구(30)를 이용하여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결합구(30)의 결합부(31)를 절연케이스(20)의 체결부(21b,22b)에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구(30)를 조이게 되면, 결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체결부(21b,22b)의 외주면 형성된 나사탭이 상호 체결되고, 이때 결합부(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2)의 외주면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을 받쳐 지지하므로 체결과정에 체결부(21b,22b)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과정에 가압편(11c,12c)은 지지부(3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부(33)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전선(L,L')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로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케이스(20)를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자동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고정유닛(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에는 신축성소재, 이를 테면 폴리우레탄이 발포된 발포층(210)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포층(21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 특히 하측부인 제1본체(21)가 체결부(21b) 전까지 매립될 수 있도록 고정홈(220)이 요입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유닛(200)의 하면에는 지지레그(23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그(230)는 상단에 고정대(240)가 나사 고정되며, 고정대(240) 내부에는 스프링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250)에는 스프링(260)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260)의 상단에는 레그로드(270)의 하단이 안착되는데, 상기 레그로드(270)의 하단 일부는 상기 스프링홈(250)에 걸림된 상태로 고정대(240)의 상단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0)의 하단에 나사체결된다.
즉, 스프링홈(250)과 상기 고정대(240)의 상단면은 서로 연통되는데, 연통되는 연통로(PA)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홈(25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레그로드(270)의 하단은 상기 연통로(PA)의 직경보다 큰 스프링홈(250)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레그로드(270)의 하단은 상기 연통로(PA)의 하단에 걸림되게 되므로 더 이상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때, 조립 과정은 고정대(240)를 지지레그(230)에 조립하기 전에 먼저 레그로드(270)의 상단을 스프링홈(250)의 하측을 통해 삽입시킨 후 연통로(PA)를 관통시킨 다음 레그로드(270)의 상단을 상기 고정유닛(200)의 하단에 나사체결한다.
그런 다음, 스프링(260)을 끼운 다음 지지레그(230)를 고정대(240)의 하단에 체결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하게 되면, 스프링(260)의 탄성에 의해 무게편중에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맞춰지면서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의 양측면에는 결합구(3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잠금부재(FX)가 더 설치되어 제1,2본체부(21,22)가 견실 안정적으로 조립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FX)는 상기 제1본체부(21)에 나사고정되는 고정래치(FRT)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FRT)에는 유동래치(MRT)가 힌지축(RT)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래치(FRT)와 유동래치(MRT)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RT)에 끼워진 토션스프링(TSP)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래치(FRT)에 대해 유동래치(MRT)가 탄성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부(22)에는 상기 유동래치(MRT)가 걸릴 수 있도록 고정자(MXT)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자(MXT)의 바깥측면에는 걸림돌기(DT)가 수직하게 돌출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자(MXT)는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유동래치(MRT)를 회전시켜 누르면 유동래치(MRT)의 선단이 걸림돌기(DT)를 타고 넘어간 후 걸림고정되며, 탈착시킬 때에는 유동래치(MRT)의 선단을 살짝 들어 올려 걸림돌기(DT)에 걸려 있는 부분만 넘기면 자동적으로 쇄정상태가 해정된다.
이것은 고정자(MXT)가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하며, 또한 동작의 원활성을 위해 상기 걸림돌기(DT)의 하단 모서리는 모따기 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도 8의 예시와 같이, 제2본체부(22)의 표면 일측에 NFC 태그(300)를 부착하고, NFC 태그(30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설치위치, 즉 좌표정보와 몇번째 매설케이스인지, 그리고 인접 절연케이스와는 얼마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지, 또한 배전선의 전압은 얼마인지, 언제 매설했는지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NFC는 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앞글자를 따서 통용되는 10cm 이내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말하며, ISO/IEC 표준을 사용하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RFID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데 비해 NFC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과, RFID보다 NFC가 짧은 거리에서 동작하므로 보안성이 높다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를 갖는다.
최근에는 NFC 태그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NFC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모바일 결제 분야에서 특히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교체 작업 등 작업시 작업자가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NFC 태그(300)에 태깅하여 정보를 열게 되면 절연케이스(20)와 관련된 대부분의 정보를 즉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스마트폰은 관리서버 등과 통신가능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외표면은 색상 표현이 가능하도록 용융스프레이 방식으로 1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형성하고, 색상발현층이 형성된 후 완전히 건조되면 상기 색상발현층 위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2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발현층을 형성하기 위한 색상발현 코팅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분체 4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4중량%, 디시안디아민 10중량%, 안료 3중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4중량%, 스티렌 모노머 5중량% 및 나머지 충전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에폭시수지 분체는 용융 도포시 내화학성과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기본성분이며,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도막의 표면장력을 높이고 유분을 제거하여 도막 안정화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디시안디아민은 경화제로서 내열성, 안정성이 뛰어나 도막(색상발현층)의 부착안정성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안료는 다양한 색상 구현을 위한 것으로, 이를 테면 비스무트 바나데이트, 카본 블랙, 네이비 블루, 시아닌 그린, 산화 철황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은 보수조절제로서 용융도포시 도포면에서의 수분 이동에 대한 코팅액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다시 말해, 도장이 잘 되도록 수분을 밀어 내는 역할을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 경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은 목재펄프로부터 유도된 섬유소 유도체인 셀룰로오스를 가성소다에 침적시켜 알카리 셀룰로오스를 만든 다음 이것을 다시 빙초산과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형태로 만든다.
또한, 상기 스티렌 모노머는 도막의 가교밀도를 높여 내충격성과 내찰과성을 증대시시키 위해 첨가되며,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들 색상발현 코팅조성물은 200-240℃의 온도로 용융된 상태에서 분사되어 코팅됨으로써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킨층은 구현된 색상이 그대로 표출되면서 내크랙성, 항균성, 스크래치방지성, 그리고 투명성이 확보되도록 스킨층 코팅액이 스프레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한 스킨층 코팅액은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중량%,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3중량%, 구연산 10중량%, 과탄산나트륨 5중량%, 에피클로로히드린 0.5중량% 및 나머지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는 범용의 고기능성 수지로서 내충격성, 인장강도,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특히, 투명성이 우수하여 색상발현층을 보호하면서 색상발현층에 구현된 색상을 그대로 현출하는데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며, 상기 트리페닐포스페이트는 투명 상도층의 표면 산화방지를 위해 첨가되고, 상기 구연산은 식초보다 3-4배 이상 강한 살균력을 가진 항균제로서, 섬유에 잔류된 세균,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과탄산나트륨은 살균력을 더 강화시키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100% 산소계 살균제이며,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은 무색의 액체로서, 표면보호층의 안정화를 위해 첨가된다. 다만, 독성이 있으므로 미량 첨가하여야 하며, 상기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5-50nm의 입경을 갖는 무정형의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며 되고,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는 자정능력 뿐만 아니라, 표면에서의 잔류 물질 고착을 저해하고 분해하여 표면을 깨끗하면서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렇게 하면, 절연케이스(20)가 특정 색상을 갖게 되어 눈에 아주 쉽게 잘 띠게 되므로 유지 보수할 때 찾기 쉬운 장점이 있다.
바람직한 색상으로는 그린, 블루일 수 있다.
10: 전선고정판 11: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1a,12a: 금속선안치부 11b,12b: 마찰돌기 11c,12c: 가압편
20: 절연케이스 21: 제1본체부 22: 제2본체부
21a,22a: 수용부 21b,22b: 체결부 21c: 실링부재
22c: 결합홈 30: 결합구 31: 결합부
32: 지지부 33: 만곡부 L,L': 배전선

Claims (1)

  1.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11a,12a)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w)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b,12b)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L,L')의 피복(c)을 가압하는 가압편(11c,1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11,12)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제1·2바디부(11,12)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1a,22a)를 갖춘 제1·2본체부(21,22)와, 제1,2본체부(21,22)의 양측면에 돌출 연장되고 가압편(11c,12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실링부재(21c) 또는 실링부재(21c)가 인입되는 결합홈(22c)을 갖추고서 제1·2본체부(21,22)가 상호 맞대어져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20)와; 체결부(21b,22b)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32)를 구비한 결합구(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30)의 내경에는 삽입되는 가압편(11c,12c)이 오무려지도록 안내하는 만곡부(3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L,L')은 상기 결합구(30)의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되고, 상기 결합구(30)는 체결부(21b,22b)에 체결되어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며;
    상기 절연케이스(20)를 지지하면서 자동 수평을 맞추도록 고정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에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된 발포층(210)이 형성되며, 상기 발포층(210)에는 상기 제1본체부(21) 일부가 매립될 수 있도록 고정홈(2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하면에는 지지레그(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레그(230)는 상단에 고정대(240)가 나사 고정되며, 고정대(240) 내부에는 스프링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250)에는 스프링(260)이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260)의 상단에는 레그로드(270)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레그로드(270)의 하단 일부는 상기 스프링홈(250)에 걸림된 상태로 고정대(240)의 상단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0)의 하단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의 양측면에는 결합구(3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잠금부재(FX)가 더 설치되어 제1,2본체부(21,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잠금부재(FX)는 상기 제1본체부(21)에 나사고정되는 고정래치(FRT)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FRT)에는 유동래치(MRT)가 힌지축(RT)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래치(FRT)와 유동래치(MRT)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RT)에 끼워진 토션스프링(TSP)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래치(FRT)에 대해 유동래치(MRT)가 탄성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본체부(22)에는 상기 유동래치(MRT)가 걸릴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고정자(MXT)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자(MXT)의 바깥측면에는 걸림돌기(DT)가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DT)의 하단 모서리는 모따기 되고;
    상기 제2본체부(22)의 표면 일측에 NFC 태그(300)를 부착하고, NFC 태그(30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좌표정보와 몇 번째 매설케이스인지, 배전선의 전압은 얼마인지, 언제 매설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외표면은 색상 표현이 가능하도록 용융스프레이 방식으로 1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형성하고, 색상발현층이 형성된 후 완전히 건조되면 상기 색상발현층 위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2차 도포하여 색상발현층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스킨층을 형성하되,
    상기 색상발현층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분체 4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4중량%, 디시안디아민 10중량%, 안료 3중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4중량%, 스티렌 모노머 5중량% 및 나머지 충전제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로 코팅되고;
    상기 스킨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중량%,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3중량%, 구연산 10중량%, 과탄산나트륨 5중량%, 에피클로로히드린 0.5중량% 및 나머지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코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170047843A 2017-04-13 2017-04-1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85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43A KR101851705B1 (ko) 2017-04-13 2017-04-1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43A KR101851705B1 (ko) 2017-04-13 2017-04-1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705B1 true KR101851705B1 (ko) 2018-06-11

Family

ID=6260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43A KR101851705B1 (ko) 2017-04-13 2017-04-1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21B1 (ko) * 2022-04-19 2023-05-03 (주) 이림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고정관 시스템
KR102672471B1 (ko) * 2023-11-15 2024-06-05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72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1440802B1 (ko) * 2014-05-12 2014-09-22 (주)한국나이스이엔지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 배전반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72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1440802B1 (ko) * 2014-05-12 2014-09-22 (주)한국나이스이엔지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 배전반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21B1 (ko) * 2022-04-19 2023-05-03 (주) 이림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고정관 시스템
KR102672471B1 (ko) * 2023-11-15 2024-06-05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705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US20190047426A1 (en) Electromobility charge interface socket and modular closure device
CN206789772U (zh) 电缆的连接器结构
US9819115B2 (en) Plug and socket for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US9728879B2 (en) Sealed connector
US20150318644A1 (en) Car charging connector
US9948020B1 (en) Lid-equipped power socket structure
US20070117428A1 (en) Wall outlet
KR101900945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1828071B1 (ko) 내진 및 신축을 위한 이음관
JP2014135864A (ja) アースピンとボディの容易な導通と高い防水性を有したコネクタ構造
KR10186971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JP6491231B2 (ja) パネル装着usb充電器
WO2015008609A1 (ja) コネクタ
KR102015003B1 (ko) 터미널 케이스
WO2020077942A1 (zh) 一种移动终端
JP2011086509A (ja) コネクタ
KR101891740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JP3948529B2 (ja) 防水コネクタ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JP6261044B2 (ja) 防水ジャック
US20030100206A1 (en) Safety device for the supply of power to electrical equipment
CN207200249U (zh) 绝缘保护外套
CN210866518U (zh) 接地件的防护结构
CN204144586U (zh) 一种工业插座及其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