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415B1 -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415B1
KR101851415B1 KR1020137001723A KR20137001723A KR101851415B1 KR 101851415 B1 KR101851415 B1 KR 101851415B1 KR 1020137001723 A KR1020137001723 A KR 1020137001723A KR 20137001723 A KR20137001723 A KR 20137001723A KR 101851415 B1 KR101851415 B1 KR 10185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hair
edge
sea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099A (ko
Inventor
피터 옵스빅
잉게제르드 에이츠빅
Original Assignee
스토케 에이에스
피터 옵스빅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케 에이에스, 피터 옵스빅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토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3006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A47D1/103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attachable to adult'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1)용 받침대(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의자는 상부 단부 또는 엣지(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구비한 의자 등받이(11)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로 받침대가 걸려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단(122)을 받침대의 후방부에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되지 않을 때 바닥과 같은 베이스 위에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시 및 비 고정시 모두 아기 또는 유아용 받침대 또는 시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BABY CRADLE AND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의자용 아기 받침대 또는 유아용 시트와 상기 받침대 또는 시트를 의자에 체결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기 받침대는 바닥에서 사용되는 것은 물론, 거의 수평인 상부 및 하부 엣지를 갖는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에 장착되어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식탁이나 작업 테이블에 착석시 아기를 지켜볼 수 있도록 테이블 높이로 맞춰진 시트 또는 받침대에 아기를 둘 수 있게 하는 것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현재, 아기와 유아를 둘 수 있는 이런 형태의 좋은 대안은 전무하다.
0-6개월 연령의 아기들은 아기의 전체 중량을 지지할 정도로 척추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고 그에 따라 과도한 변형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똑바로 않을 수가 없고 누운 상태나 기울어진 각도로 반정도 앉은 상태로 두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유로, 어린이용의 통상의 높은 의자는 아기와 유아에 사용되기엔 적합하지 않다.
최근,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는 높은 의자와 벨트 장치 등의 어린이에 사용되는 장비에 대해 자체의 안전 요건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들 표준은 새로운 어린이용 시트의 개발에 계속 고려되고 있지만, 이런 안전 요건이 발효되기 전에 오랫동안 생산되고 있는 의자와 장비에 적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의자를 물리적으로 변형하지 않고 이런 조정을 행하는 것은 특히 어렵다.
이것은 예컨대, 어린이용 시트인 트립트랩(TrippTrapp®)의 경우가 그러한 경우인데, 상기 시트는 1972년에 초기에 개발되어 1976년에 특허되었고 많은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매우 유명한 어린이용 시트이다.
상기 의자는 어린이의 신체 크기에 따라 조정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시트 플레이트와 발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판은 의자의 측면 부재의 내부에서 여러 높이의 대향하는 수평 홈 내로 활주된 후, 측면 부재 사이의 가로 부재, 즉 이 경우에는 2개의 바아(bar)인 하나의 교차 레일과 2개의 평행한 가로 요소로 된 하나의 가로 등받이로 이루어진 가로 부재를 사용하여 측면 부재를 밀착시키고 측면 부재 간의 거리를 줄이는 것으로 이들 구멍에 고정되는 것에 다양한 높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플레이트는 측면 부재가 서로 밀착된 후 그러한 밀착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기 전에 시트 등받이에 대해 플레이트를 전후로 푸싱하는 것에 의해 의자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허벅지 아래로 정확한 시트 깊이를 제공함으로써 그 깊이 위치를 추가로 조정 가능하다.
유용한 부품, 장비 또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의자, 예컨대 트립트랩 의자와 같은 보통의 식탁 의자와 어린이용 시트 모두에, 예컨대 의자의 상부, 후방부, 후방 다리 또는 측면 부재 상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아기용 시트 또는 받침대에 대한 요구가 있다.
[선행 기술]
오늘날, 바닥에 놓여지는 카 시트, 로커(rocker)/유아용 시트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착석 위치로 조정되는 아기 캐리지용 시트가 존재하지만, 유모차 프레임 상에 높게 위로 설치될 수 있는 일부의 유모차용 유아용 시트를 제외하곤, 이들 중 어떤 것도 실내에서 테이블 높이로 배치되도록 조정되거나 그러한 배치에 적합한 것은 없다. 그러나, 예컨대 식사 중에서와 같이 아기를 어른에 가깝게 높이 올리기 위해 주택 내의 실내에서 유모차를 사용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것이다. 아기가 너무 커져서 더 이상 눕는 것을 원하지만은 않을 경우에 로커 또는 유아용 시트가 현실적일 수 있다. 어린이는 여전히 혼자 앉을 수 없으므로, 어린이 등에 대해 올바른 각도를 갖거나 등받이가 조정될 수 있는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로커/유아용 시트는 아기나 어린이가 예상치 못하게 갑자기 움직이는 경우처럼 다른 가구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이 우발적으로 유아용 시트에 부딪치지 않도록 항상 바닥에 놓여져야 한다. 예컨대 가족이 식탁에 않아 있을 때 로커/유아용 시트(또는 카 시트)를 바닥에 배치하는 것의 단점은 아기를 지켜보는 것을 어렵게 하고, 아기 자신이 아마도 일어나는 일을 지켜보길 원할 때 주변을 잘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바닥에 배치하는 것은 같이 있는 다른 사람과 다른 높이에 "방치된(abandoned)" 것에 대해 아기가 저항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로커/유아용 시트 또는 카 시트를 테이블 위에 배치하는 것은 많은 공간을 차지함과 함께, 추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어린이에 대한 주의가 짧은 기간 동안 다른 곳으로 향하는 경우 시트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상 위험하므로 식사 중에는 특히 현실적이지 않다. 이런 의자 또는 시트가 의자에 고정되지 않고 식사용 의자와 같은 통상의 의자 위에 놓이는 경우 동일한 종류의 안전상 위험이 발생하며, 사고에 대한 가능성은 의자 시트 상의 제한된 면적에 기인하여 매우 크다.
카 시트는 좁고 어린이 주변으로 밀착되며 시트 표면과 등받이 지지대 사이의 각도가 비교적 작아서, 즉 웅크려진 착석 위치를 가지기 때문에 실내 시트로서 통상 적절치 않다. 이런 설계는 차량에 적용되는 안전 요건의 결과이고 어린이의 이동 자유도를 제한한다. 따라서, 이런 시트는 따로따로 제한된 기간 동안만 사용되어야 한다.
GB 2 407 489로부터 공지된 카 시트 고정용 지지대는 카 시트를 높은 의자로서 지지대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해법은 지지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사용되지 않을 때 공간을 차지하는 사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카 시트의 단점을 갖고 있다.
US 2006/0181123으로부터 공지된 로커/유아용 시트는 시트를 지표 높이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해 지지대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에는 상기 해법에서와 동일한 단점이 존재하는데, 다시 말해 공간을 차지하고 다른 어떤 기능도 없어서 시트를 어딘가 다른 곳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치워 넣거나 휴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의자의 보유자가 상기 의자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 받침대 또는 시트용 부착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일부에 구멍을 뚫거나 나사를 삽입하는 것과 같이 받침대가나 시트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 볼 수 있게 되는 보기 흉한 표시를 의자 위에 남기는 의자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런 물리적 변형은 사용자가 옳지 않은 방법으로 조작을 실행하여 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도 역시 수반하므로 이런 변형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 또는 시트의 체결이 안전이 유지됨과 동시에 가능한 한 용이하고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의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공간을 과도하게 요구하지 않는 장비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아기가 아기의 연령과 발달의 함수로서 적절한 인체공학적 위치에 테이블 높이로 놓일 수 있는 받침대/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의자와 받침대 모두는 추가로, 서로 결합되지 않을 때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의자용 받침대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하부 엣지와 하나의 수평 상부 엣지를 가지는 횡방향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상기 받침대를 부착하는 체결 및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의 하부 엣지를 파지하여 받침대/시트를 의자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받침대의 후방 엣지 상의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와 함께 의자 등받이의 상부 엣지를 파지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를 받침대의 후방 엣지 상에 포함한다. 고정 장치(들)는, 상기 고정 장치(들)의 해제를 위해 "두 가지 독립적 동시 작동"에 대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자동 고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자가 상부 단부 또는 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구비한 의자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로 받침대가 걸려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단을 받침대의 후방부에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되지 않을 때 바닥과 같은 베이스 위에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시 및 비 고정시 모두 아기 또는 유아용 받침대 또는 시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후크 수단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차 레일, 측면 부재, 벽 부재, 후방 다리 또는 중심 스템(central ste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상부 단부 또는 엣지 위로, 바람직하게는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상부 엣지 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교차 레일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상부 엣지 위로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후크 수단이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에 아래로 끼워지도록 된 페룰이고, 상기 의자 등받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측면 부재와, 의자의 측면, 벽 또는 후방 다리의 상부 부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러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의자 등받이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받침대의 후방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받침대가 의자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고정 장치(들)가 의자 등받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엣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하부 엣지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교차 레일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하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어 받침대를 의자에 고정하는 활성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구성된, 그러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다른 예에서, 고정 장치(들)는 받침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교차 레일의 하부 수평 엣지에 대해 지지되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될 때의 활성 위치 내로 받침대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바 형태이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고정 장치(들)는 받침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교차 레일의 하부 수평 엣지 둘레를 파지하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에 걸림 고정되는 활성 위치 내로 회전 가능하다.
고정 장치는 활주 가능하고 피봇 가능한 고정 장치 형태의 전술한 고정 장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장치(들)는 받침대를 의자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장치(들)를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전환하도록 스프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장치(들)는, 바람직하게는 받침대의 외부면에 접근 가능하고, 대안으로서 받침대 외부면의 핸들에 합체되고, 또 대안으로서 받침대의 외부면의 리세스 형태의 핸들에 합체되는 버튼 또는 레버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받침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정 장치(들)가 고정 해제 위치에서 비활성일 때 적색 표시를 나타내고 고정 장치(들)가 고정 위치에서 활성일 때 녹색 표시를 나타내는 가시 패널에 의해 상기 받침대가 의자 상에 정확히 장착되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계기 패널을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고정 장치마다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장치(들)는 비활성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에 내장될 수 있고, 받침대의 측면 부재(120), 후방 벽 부재(140) 또는 후크 부재(122),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받침대의 바닥이 베이스 측으로 종방향을 따라 오목하여, 받침대가 베이스 상에 기립시 요동 가능하게 하며, 하부 오목 엣지를 갖는 상기 받침대의 측면 부재가 로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측면 부재의 기저면이 부분 패턴화된 고무 스트립과 같은 마찰 코팅을 포함하는, 그러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의자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받침대 또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착 장치는 전술한 바에 따른 하나 이상의 후크 수단과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장치는 상부 단부 또는 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하부 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갖는 의자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받침대 또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장착 장치는 받침대에 분리 가능하거나 영구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장착 장치는: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 요소(들)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 수단과;
받침대가 의자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고정 장치(들)가 의자 등받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어 받침대를 의자에 고정하는 활성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장치는 또한 아기 또는 유아용의 별도의 받침대 또는 시트로서 사용되도록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되지 않을 때 받침대가 바닥과 같은 베이스 상에 분리되게 한다.
또한, 고정 장치(들)는 활성 위치에서 받침대가 의자 위에 장착되지 않을 때 베이스에 대해 놓여진 다리부로서 기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받침대를 고정 장치(들)가 비활성일 때보다 베이스 측으로 더 경사진 각도로 위치시킨다. 받침대는 또한 상기 받침대가 의자 위에 장착되지 않을 때 베이스에 대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발처럼 받침대 내외로 회전 가능하거나 활주 가능함은 물론, 상기 받침대가 베이스 상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보다 받침대를 베이스 측으로 더 경사진 각도로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플랩(support flap(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중 받침대의 후방부 아래에서 지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지 않을 때 받침대에 예컨대 받침대의 후방 벽 부재 또는 기저면 내에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전방 벽 부재와 후방 벽 부재에 의해 함께 연결된 두 개의 평행한 측면 부재를 갖는 경질의 쉘의 형태의 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대안으로서 플레이트 형태의 기저면을 구비한다. 또한, 받침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등받이 엣지를 갖는 등받이와, 바람직하게는 상부 측면 엣지를 갖는 두 개의 내부 측면 부재와, 시트부와, 바람직하게는 발판을 구비하는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는 선택적으로 합체된 보강재 또는 보강 부품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패드화된 직물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자기 지지형(self-supporting)인 시트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시트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홈 및/또는 후크/버튼과 같은 체결 장치 또는 시트 부분의 거의 전체의 외주 둘레의 스트레칭 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에 의해 쉘의 외부 상부 부분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쉘의 상부 엣지 둘레에 현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후방 상부 부분에 있는 하나의 하향 후크 수단과 활주 가능한 스프링 작동식 바 요소의 형태의 두 개의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는 통상의 의자, 어린이용 시트 및 특히 트립트랩(TrippTrapp®) 의자 위의 장착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장점은 의자 부품 어디에도 물리적 변형을 행함이 없이 트립트랩 의자 또는 다른 의자와 같은 기존의 의자 위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 받침대의 이동 및 보관시 쉽게 잃어버릴 수 있는 매여 있지 않은 끈, 또는 받침대가 사용되지 않을 때 의자의 외관을 해치는 의자에 장착된 끈의 사용이 필요치 않다. 상기 받침대는 합체된 부분에 의해 단독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사용 후 쉽게 제거할 수 있거나 더 이상 필요치 않을 때 다른 유사한 의자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는 높이 조정 또는 깊이 조정과 같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의자의 발판 및/또는 시트 플레이트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의자의 기능 어떤 것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의자의 사용은 받침대를 의자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받침대/시트는 보관되어야 하거나 관리되어야 할 다양한 부품 또는 지지대 없이도, 의자에 장착되는 것과 그리고 받침대 없이 따로 장착된 것 모두에 해당하는 받침대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를 다른 의자에 장착하기 위해 의자나 부품에 어떤 물리적 변형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다른 유사한 의자에 쉽게 사용될 수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시트 또는 아기 받침대는 친구나 가족의 다른 가정에 있는 의자나 식당에서와 같이 다른 장소에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연령대와 유아의 발달이 계속 변함에 따라 요구 사항이 이동할 수 있는 어린이집이나 시설 또는 병원의 유아 시설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의 도움으로 다음에 매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 중 어떤 도면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로서 사용된다.
도 1은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상부로부터 바라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받침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받침대를 하부에서 바라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받침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전개된 고정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당겨진 고정 장치를 갖는 도 6a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전개된 지지 플랩을 갖는 도 6a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1의 받침대와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1의 받침대와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a, 6b 및 도 9a, 9b의 고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6a의 받침대와 전개된 상태의 도 10의 고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12는 당겨진 고정 장치를 갖는 도 11의 받침대를 보여준다.
도 13은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a는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b는 전개된 지지 플랩을 갖는 도 14a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4c는 전개된 지지 플랩을 갖는 도 14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트립트랩(TrippTrapp®) 타입의 어린이용 시트 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a는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6b는 전개된 지지 플랩을 갖는 도 16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16c는 전개된 지지 플랩을 갖는 도 16a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7a는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받침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보통의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0a는 의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받침대의 배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음의 단어와 표현은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의 전방", "전방측", "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전방" 및 유사 표현은 통상의 방식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어린이의 얼굴과 가슴이 향하는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
"뒤", "후방", "후방측으로" 또는 "~ 후방"은 반대측 수평 방향, 즉 통상의 방식으로 앉아 있는 어린이의 등이 향하는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
"횡"측 또는 방향은 받침대를 통한 대칭면에 수직한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
"길이", "깊이" 또는 "종방향"은 받침대의 대칭면에 수평한 방향을 의미한다.
"받침대"은 선택적으로는 정상적 착석 위치를 포함하는, 수평으로 누워 있는 위치와 정상적 착석 위치 사이 어딘가에 있는 시트 플레이트에 대한 등받이의 각도를 갖는 아기 또는 어린이용 경사 시트를 의미한다.
"의자 등받이" 또는 "시트 등받이"는 의자 또는 시트의 착석면 또는 시트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특히 등받이인 의자 또는 시트의 부분 또는 부분들의 조립체를 의미한다.
"등받이"는 의자 또는 시트의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고, 측면 부재, 측면 패널, 교차 레일, 중심 스템, 후방 다리, 후방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의 부분(들) 또는 요소를 의미한다.
"엣지"는 플레이트 또는 레일 등의 요소의 물리적 종단부 또는 단부를 의미한다. "상부 엣지"는 요소의 상부 측면 상의 엣지를 의미하고, "하부 엣지"는 요소의 기저면 상의 엣지를 의미한다.
도 1은 해당 경우에서는 트립트랩(TrippTrapp®) 타입의 어린이용 시트인 의자(1) 위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는 의자의 등받이에 체결되고 그로부터 현수된다. 이것은 받침대에 착석하거나 누워 있는 아기를 예컨대 식사 중에 아기가 일어나는 일을 따라 지켜볼 수 있도록 예컨대 식탁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위치시킨다. 의자에 장착시 받침대의 높이와 각도는 어른이 식탁 의자 등의 일반적인 의자에 착석하고 있으면서 아기에 우유를 먹이는 것을 편하게 한다. 따라서 어린이는 대안적인 로커(rocker)/유아용 시트에 비해 바닥으로부터 위로 상승되며, 어른은 예컨대 우유를 먹이는 동안 아기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바닥에 앉거나 굽혀야할 필요가 없다. 이 방식은 예컨대 식탁이나 커피 테이블와 같은 테이블 위에 로커/유아용 시트 또는 카 시트를 놓아 두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데, 테이블 위에 두는 방식은 어린이를 지켜보기 위해 요즘 어른들 사이에서 매우 보편적인 것이지만, 로커/유아용 시트 또는 카 시트가 테이블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을 제공하는 한편, 더욱이 식탁 위의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이다.
받침대(10)는 기본적으로 사이에 시트부(30)와 등받이(40)가 있도록 종방향으로 기본적으로 평행한 두 개의 측면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30)와 등받이(40)는 인접하는 횡방향 단부에서 주어진 착석 각도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시트부(30)와 등받이(40) 간의 각도는 받침대를 사용하게 될 어린이의 연령에 적합화되어야 하므로 어린이는 완전히 수평인 위치보다는 더 수직하게 여전히 앉을 수 있지만 몸을 뻗을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서 받침대는 시트부와 등받이 간의 상기 각도의 조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받침대(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다른 재료나 재료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보다 상세히 나타낸 받침대(10)는 외부 쉘(100)과 시트부(200)(시트부는 예시의 목적으로 패턴화됨)로 구성된다.
쉘(100)은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제1 재료로 제조되며, 시트부(200)를 위한 구조적 프레임을 구성한다.
시트부(200)는 일종 이상의 반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복합 재료와 같이 제1 재료보다 연질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자기 지지형의 시트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받침대(1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외부 쉘(100)은 전방 벽 부재(130)와 후방 벽 부재(140)(도 3 및 도 4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 거의 평행인 두 개의 측면 부재(120)를 포함한다. 양측의 측면 부재(120)는 측면 부재(120) 내의 리세스 또는 엣지 형태의 핸들(121) 또는 엣지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런 핸들 또는 엣지는 받침대를 들어올리고 휴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를 의자에 체결하기 위해, 외부 쉘은 측면 부재(120)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에서와 같은 받침대의 후방부 상에 하나 이상의 후크 수단(hook means)(1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 수단(122)은 하나 이상의 평행한 하향 후크(들) 또는 캐치(들)로서 구성되며, 이들은 본 실시예에서 측면 부재(120)의 상부 후방 코너의 연장부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상부 후방 코너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받침대에 대해 위로 향하는 힘을 가하는 것처럼 우연히 받침대가 떨어질 수 없도록 받침대(10)를 의자(1)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받침대는 측면 부재(120) 및/또는 후크 수단(122) 아래의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에서와 같은 받침대의 후방부에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00)는 전개되거나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 부재(120)의 하부 후방 코너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하부 외부 코너의 연장부에서 두 개의 평행한 상향 배향된 후크 또는 캐치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후크 수단(122)과 고정 장치(300) 양자는 의자의 종류와 고정 장치가 부착될 등받이의 형태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받침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장치(300)는 받침대의 대칭면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거나 고정 장치(들)가 의자 상의 하부 수평 등받이 엣지의 하부 엣지 둘레를 파지하게 되는 의자(1)의 등받이의 부분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의 회전 작동은 핸들(121)의 리세스 내에 위치된 푸시 버튼(130)에 의해 제공된다.
고정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가 의자 상의 의자 등받이(11)의 하부 엣지 둘레를 파지하고, 그리고 고정 장치를 장력 스프링에 대항하여 받침대가 장착되는 의자(1)로부터 받침대(10)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방된/당겨진 위치 또는 비활성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예컨대, 내측, 후방,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 경우는 상방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푸시 버튼(130)이 작동되어야 하는 활성인 전개된 위치 측으로 장력이 인가되도록 스프링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두 개의 푸시 버튼(130)이 있어야 하는데, 이때 양자는 버튼 중 하나가 우발적으로 또는 의도하지 않게 작동시 받침대를 고정 해제하지 않도록 받침대가 장착되는 의자로부터 받침대를 해제하기 위해 동작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컨대, 본 발명에서 예측되는 하나의 넓은, 중심 배치된 고정 후크(도 14a 및 도 19 참조)와 같은 단 하나의 고정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시트부(200)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부에 그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시트부(200)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는 통합된 보강재 또는 보강 부품과 함께 패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시트부(200)는 쉘의 외부 상부 부분 상의 체결 장치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쉘(100)의 상부 엣지 위로 현수된다. 시트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등받이 엣지(241)를 갖는 등받이(240)와, 상부 및 외부측 엣지(221)를 갖는 두 개의 내부 측면부(220)와, 시트 부분(230)과, 다리 지지부(231)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부(200)의 상부 등받이 엣지(241)와 두 개의 상부측 엣지(221)는 이들 요소의 상부 외부 이외에, 후방 벽 부재(140)의 상부 엣지와 측면 부재(220)의 상부 엣지 양자를 각각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부는 예컨대 후크, 캐치, 버튼 등의 둘레로 체결되는 루프에 의한 것과 같이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 상부 영역의 고정점(141)에 등받이 엣지(241)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쉘(100)의 외부에 체결되며, 측면 엣지(221)는 측면 부재(120)의 주(main) 길이를 따라 측면 부재(120)의 상부 외부의 그루브(123) 안으로 삽입되는, 예컨대 엣지 내의 박음질된 스테이(stays) 또는 플라스틱 배튼(batten)과 같은 단부 엣지의 두께부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시트 부분(230) 또는 시트 부분(230)과 등받이(240) 사이의 조인트는 스트랩을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둘레로 스트립이 전방 벽 부재(130)의 하부로 들어가는 합체된 크로스 피스를 갖는 구멍 형태인 쉘(100) 내의 고정점(131)에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시트부는 쉘의 적어도 3개의 상부 엣지의 외부에 체결된 후, 바람직하게는 탄성적 방식으로, 쉘의 하부와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 부재(130)의 내부 상에, 예컨대 벨크로(Velcro®) 덮개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전방 벽 부재의 상부 엣지 위로 당겨지도록 구성된 포켓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쉘에 견고하게 묶여진다. 다리 지지부(231)는 반드시 쉘에 부착될 필요는 없지만, 예컨대 전술한 요소 각각에 있는 대향하는 벨크로 스트립에 의해 전방 벽 부재(130)의 상부 엣지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받침대(10)는 고정 장치(300)가 개방 또는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받침대는 의자 위에 장착시 가질 수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각도를 취한다. 이런 각도는 지지 다리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개된 고정 장치(300)와 함께 예컨대 바닥 위와 같이 베이스 상에 배치시의 받침대의 각도와 거의 동일하거나 가까울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300)는 받침대가 의자 위에 또는 약간 하부 위치에 장착되는 것처럼 받침대를 아기가 약간 들어 올려진 지지 위치로 앉아 있는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하부 후방 다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에서, 받침대(10)는 당겨진 또는 눌려진 고정 장치(300)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받침대는 고정 장치(300)가 전개되었을 때보다 더 경사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시트를 대략적으로 받침대 내에서 어린이가 누워 있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 도 7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부재(120)는 전방 벽 부재(130)와 후방 벽 부재(140)가 수직 하향으로 덜 연장됨과 동시에 예컨대 로커의 형태를 갖는, 베이스 측으로 볼록한 베이스에 기대진 하부 엣지(125)를 가질 수 있어서, 받침대가 전후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게 하여 아마도 어린이를 즐겁게 하거나 잠들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벽 부재(140)의 하부 엣지(126)와 전방 벽 부재(130)의 하부 엣지(127) 각각은 바닥 또는 평면 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측면 부재의 최하위 포인트보다 약간 높이 위치되므로, 전방 및 후방 벽 부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작 위치에서 베이스와 접촉되지 않으며, 동시에 받침대가 불규칙성에 기인하여 불안정해지거나 기울어지게 되지 않게 측면 부재 사이에서 베이스에 미미한 불규칙성을 허용할 것이다. 로커 또는 볼록한 측면 부재의 기저면 각각은 받침대가 예컨대 바닥과 같이 받침대가 장착된 베이스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요동 때문에 받침대가 바닥이나 베이스 위의 시작 점으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예컨대, 부분적으로 패턴화된 고무 스트립(미도시)과 같은 마찰 코팅(friction coatin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전방 벽 부재(130)와 후방 벽 부재(140)는 베이스 측으로 볼록할 수 있고, 측면 부재보다 더 많이 수직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받침대가 옆으로 요동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측면 부재의 기저면을 베이스 측으로 볼록한 이중 만곡된 기저면으로 구성하여 받침대가 대략적으로 평평한 베이스 상의 주변에서 여러 방향으로 요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예측할 수 있다.
도 8a-8c에서, 받침대는 고정 장치(300)보다 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방된 또는 전개된 지지 플랩(150)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서 화살표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플랩(150)은 도시된 전개된 위치로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당겨지고 눌려진 위치로 쉘 내로 회전될 수 있다. 전개된 지지 플랩(150)에 의해, 받침대는 바닥과 같은 베이스에 적치시 더 경사진 각도를 취한다. 이 위치는 예컨대 어린이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지켜볼 수 있도록 앉아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것처럼 어린이에게 보다 기립된 자세를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b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300)는 이 위치로 전개될 수 있지만, 받침대의 각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후퇴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받침대(10)가 의자(1) 위, 해당 경우 트립트랩 타입의 어린이용 시트 위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더 자세히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종류의 의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의자 등받이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부재(2) 또는 측면 피스 사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교차 레일(3, 4)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엣지를 갖는 의자 등받이를 구비한 임의의 의자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부착을 위한 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의자 등받이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엣지와 실질적으로 수평인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엣지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어린이용 시트(1)의 등받이는 측면 부재(2) 사이로 연장되는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4) 형태의 두 개의 수평 교차 레일을 구비한다. 받침대(10)의 장착을 위해, 고정 장치(300)는 푸시 버튼(131)을 상향으로, 선택적으로는 장력 스프링 측으로 누르는 것에 의한 것처럼 오목하거나 거의 오목한 위치로 회전된다. 이후 받침대의 후크 수단(122)이 상부 레일(3)에 대해 아래로 당겨짐으로써 받침대가 의자 위에 현수된다.
예컨대 돌발적인 상향력에 의해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헐거워질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우측 및 좌측의 고정 장치(300)는 선택적으로 장력 스프링이 고정 위치가 되는 장소로 고정 장치(300)를 회전시킬 때 버튼(131)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레일(4)의 하부 엣지를 지나 아래 위로 쉘로부터 회전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는 의자의 시트 플레이트(5) 상에 지지되지 않는다. 대상 의자에서, 시트 플레이트(5)는 받침대와 접촉되지 않고 고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뒤로 밀려질 수 있지만, 이런 의자에서 시트 플레이트(5)는 거의 전방으로 연장되지 않고 최상측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최상측 위치는 착석하여 식탁에까지 이르는, 시트 플레이트 상에 짧은 허벅지를 갖는 유아의 출발점으로서 적합화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시트 플레이트(5)는 시트 플레이트와 발판(6) 양자의 높이에 대해 트랙을 구성하는 측면 부재(2)의 내부 상의 전술한 홈(7) 내로 활주되는 것에 의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식탁에서, 시트 플레이트는 정상적으로 상부 레일(3)의 상부 엣지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있으므로 받침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엣지와 충돌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300)를 보다 상세히 보여준다.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는 본 실시예의 경우 구멍일 수 있는 피봇점(302)을 갖는 스템(309)을 상부 단부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볼트 또는 액슬에 고정되게 설계되지만, 고정 장치(300)는 선택적으로 구성의 일부로서 실제 볼트 또는 액슬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 장치는 측면 부재(120) 내의 핸들(121) 내로 돌출되는 버튼(301)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핸들(121) 내의 리세스에 위치됨으로써 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간단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버튼(301)의 배치는 본 실시예에서 스템(309)의 상부 전방부에 있는 피봇점(302)의 전방의 코너 엣지에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00)는 하단부에 후크를 갖는 스템(309)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은 상부 엣지(304)를 갖는 상향 캐치 핀(303)과 오목부(305)로 이루어진다. 오목부(305)는 본 실시예의 경우 중간 레일(4)의 하부 엣지인 의자 상의 관련 등받이의 하부 엣지에 맞춰지는 게 바람직하다. 고정 장치(300)의 전개된 위치에서, 상부 엣지(304)는 약간 하방 및 후측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의 목적은 엣지(304)가 등받이에 접촉되고 등받이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될 때, 고정 장치가 등받이의 하부 엣지에 대해 여유 공간을 둠으로써 엣지 아래의 주변을 스탭하여 받침대를 고정하도록, 받침대(10)가 의자 등받이의 상부 엣지에 걸려 고정되고 받침대의 하부 후방부가 의자 등받이 측으로 피봇될 때 후크가 약간 전방으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 장치는 가이드 슬롯(306)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롯은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엣지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후방 벽 부재(140)의 하부 위를 파지하는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의 스템(309)의 후방 엣지의 횡방향 수평 홈으로 이루어진다. 전개된 상태의 고정 장치의 바닥(300)은 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편평한데, 이는 베이스와 잘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선택적으로, 고정 장치는 경사 엣지(30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경사 엣지는 등받이 측으로 수직 깊이가 증가되며, 상기 고정 장치가 받침대 안으로 내측으로 돌발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전개된 위치의 고정 장치가 바닥 위에 기립된 받침대의 무게에 의해 뒤로 눌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스템(309)은 추가로 전개된 위치에 있는 대략 수직인 전방 엣지(308)를 구비하며, 상기 엣지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가 후퇴시 측면 부재(120)의 내부 상에 핸들(121)에 기대어 놓여진 정지면이다.
도 11에서, 받침대는 전개된 위치의 고정 장치(300)와 함께 베이스 상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 장치는 점선으로 그려져서 쉘(100) 내에 배치되고 위치됨을 나타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튼(301)은 핸들(121) 내로 돌출되고, 위로 누르는 것에 의한 버튼(301)의 작동으로 고정 장치는 화살표(B)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내로 회전될 것이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300)의 추가 회전은 핸들(121)에 의해 방지되는데, 핸들은 측면 부재(120) 내의 리세스이고, 상기 리세스에서 스템(309)의 전방 엣지(308)는 핸들의 리세스의 하부 표면에 접촉되어 정지될 것이다. 고정 장치(300)는 반대 방향, 즉 후방으로의 회전을 위해 스프링력으로 작동되고, 도 12에 도시된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가 장력을 받는 방향의 베이스에 의해 감춰진 오목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충분히 전방으로 회전될 것임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받침대가 바닥으로부터 위로 들어 올려지거나 후방 엣지에서 들어 올려지면, 고정 장치는 예측되는 대안적인 예의 특징인, 상기 고정 장치를 후퇴된 위치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되돌려 회전되어 전개된 위치로 외측으로 회전될 것이다. 그러나, 고정 장치의 자동 전개는 후크(303)가 등받이의 엣지를 수용하여, 받침대를 의자 등받이에 걸어 고정시켜 임의의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람이 없이도 받침대를 고정할 수 있게 자동으로 밖으로 스냅 동작되도록 하는 유리한 안전 기능이다.
도 13은 후방 후크 수단(122)이 하나의 후크, 즉 여기서는 의자의 시트 등받이 상의 상부 레일(3)의 대략 전체의 상부 엣지를 커버하는 넓은 후크로 이루어진 받침대(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등받이의 교차 레일은 하나의 단일 요소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이런 종류의 등받이와 후크 수단 및 고정 장치(들) 각각이 받침대를 안전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 파지를 행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엣지를 갖는 모든 다른 구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4a에는 다른 대안적인 예가 예시되는데, 여기서 받침대는 하나의 단일의 중심 고정 장치(30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장치는 등받이의 상부 레일(3)의 하부 엣지 중 중간 부분에 파지를 행하는 넓은 고정 캐치이다.
도 14b 및 도 14c에서, 도 14a의 받침대는 지지 플랩(150)의 대안적인 실시예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플랩은 하나의 중심 고정 장치(300)의 각 측면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지지 플랩을 포함한다. 도 14b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플랩(들)(150)은 회전을 위해 받침대 내에 적재되는 대신에 슬라이딩 변위에 의해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안할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예컨대 후방 벽 부재(140) 내로 받침대를 내외로 푸싱될 수 있는 것도 예측된다. 이런 푸싱/슬라이딩식 해법의 구성은 지지 플랩(들)이 사용 중 의도하지 않게 푸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장치 또는 안전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실시예는 물론 조합될 수 있다. 후크 수단(122)과 고정 장치(들)(300)의 폭은 의자 등받이 또는 다른 고려 사항에 맞게 및/또는 서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요소들을 유지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후크(122) 및/또는 고정 장치(300) 및/또는 지지 플랩(150)을 가지는 실시예도 예측되는데, 이는 예컨대 받침대를 특별한 의자에 적합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언급된 요소들은 각 종류의 의자마다 조정된 요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받침대가 여러 종류의 의자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 및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런 부품은 예컨대 각각의 의자 종류에 대해 별도의 키트로서 공급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받침대(10)를 보여주며, 상기 받침대는 후크 수단(122)과 후크형 고정 장치(300) 이외에, 본 실시예의 경우 의자 등받이(11)의 의자 상부 레일(3)의 하부 엣지에서 측면 부재(120)의 후방부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로부터 후방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추가적인 고정 장치(310)도 포함한다. 고정 장치(310)는 활성인 고정 위치에서 외부면을 지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의 후방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비활성인 비-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면과 같은 높이로 받침대 내로 후퇴될 수 있다.
바형(bar)의 고정 장치(310)는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들어 올려져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받침대에 추가적인 안정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고정 장치(310)는 후크형 고정 장치(300) 대신에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요소들과 조합하여 기능할 수 있다. 고정 장치(310)는 자체의 버튼(미도시) 또는 전술한 버튼(301)에 의해 예컨대, 함께 구비된 경우, 후크형 고정 장치(30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동작 가능하다. 고정 장치(310)는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 위에 아래로 걸려 있을 때 측면 부재(120)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 내로 푸싱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는 스프링력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 상의 정확한 위치, 특히 의자 등받이에 대해 수직으로 정확한 위치에 자리할 때 외측으로 스냅 동작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측면 부재(120)의 후방부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는 받침대를 시트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다른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도 예측된다. 예컨대 의자 등받이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조여져서, 특히 등받이의 교차 레일(3, 4) 사이의 구멍을 통해, 교차 레일(3, 4)의 하부 엣지와 같은 의자 등받이 내의 요소의 하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는 나사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음이 예측된다. 이런 나사 메커니즘의 예가 도 15에서 점선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메커니즘은 나사편을 구비하는 나사와 핸들 요소(401)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편은 받침대와 등받이 지지부 내의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디스크/스토퍼 요소 내로 나사 삽입됨으로써 고정 장치가 의자 등받이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조여지는 것을 허용하여 받침대를 의자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6a에서, 받침대(10)는 어린이용 시트(1)의 의자 등받이의 상부 레일(3) 상에 장착되며, 받침대는 이전의 도면에 예시된 것과는 다소 다른 형태를 갖는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는 받침대의 전체 측면 부재(120)를 따라 구분적인 상부 외부 엣지(221)를 가지며, 여기서 하부 엣지는 받침대의 휴대 및 이동을 위한 핸들(121)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받침대는 의자의 횡방향 상부 레일(3) 위로 걸림 고정되게 적합화된 하나의 단일의 큰 후크 수단(122)을 후방부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10)는 측면 부재(120)의 후방부 및/또는 후방 벽 부재(140)의 외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직 두 개의 바형 고정 장치(310)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310)는 측면 부재(120) 내의 버튼(301)에 의해 동작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도 16c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력으로 작동된다. 스프링력에 의한 작동은 예컨대 스프링 박스(360)와 나선형 스프링(361)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나선형 스프링은 예컨대, 고정 장치가 도 16c에 나타낸 전개된 활성인 위치 측으로 장력을 받도록 스프링 박스의 벽과 고정 장치(310) 사이에서 장력을 받는다. 도 16c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 장치(310)는 만곡된 하측 외부 엣지 또는 약간 경사진 엣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요소는 후방 하부 엣지에서보다 후방 상부 엣지에 다소 큰 수평 연장부를 가진다. 이런 고정 장치의 후방 엣지의 경사부 또는 만곡부는 요소가 의자 등받이의 상부 레일(3)의 전방 상부 엣지의 전방 측면에 기대어 놓여지도록 적합화됨으로써 상기 요소는 받침대가 의자 측으로 하강될 때 장력 스프링에 대항하여 받침대 내로 푸싱될 것이고 이후 받침대가 그 정확한 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교차 레일의 엣지 아래에서 외측으로 스냅 동작할 것이다. 계기 패널(311)은 받침대가 정확하게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데, 적색 표시는 고정 장치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받침대 내로 푸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녹색 표시는 고정 장치가 완전히 전개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표시는 고정 장치 자체 상의 색깔일 수 있고, 상기 색깔은 받침대의 측면 부재(120) 내의 구멍 또는 개구 내에서 나온다. 두 개의 고정 장치(310)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바람직한데, 각각은 각각의 측면 부재(120) 상의 자체의 푸시 버튼(301)에 의해 작동된다.
도 16a 내지 도 16b의 받침대(10)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지지 플랩(150)을 구비한다. 도 16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랩은 베이스에 대한 받침대의 점유 공간의 폭에 대략 대응하는 하부 지지 다리부를 갖는 하나의 단일의 중심 광폭 플랩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 플랩(150)은 도 16c에서 화살표(A)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의 기저면 측으로 내측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받침대(10)의 기저면 패널 내에서 지지 플랩에 맞는 공동은 예컨대, 공동 내의 마찰 포인트/릴리프에 의해 지지 플랩을 수용 및 고정한다. 받침대(10)는 따라서 두 위치들: 자유-눕힘 수평 위치와 상승된 경사 위치로 베이스 상에 놓일 수 있다. 스평 위치에서, 지지 플랩(150)은 측면 부재가 도 1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만곡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 받침대가 종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도록 측면 부재(120)의 연장부 내에 눕혀져 자리할 것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중심 스템을 갖는 의자 등받이 상에 장착된 도 16으로부터의 받침대를 보여주는데, 특히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의 상부 상의 크로스 피스(503) 위에 걸려져 있다. 측면 부재 대신에, 이런 의자는 예컨대 플레이트 또는 크로스 베이스와 같은 프레임 또는 발부(507)(점선)에 고정되는 중심 스템(502)을 기초로 한다. 의자의 시트부는 스템(502)에 부착되는 시트 플레이트(505)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템은 시트 등받이의 일부로서도 기능하며, 동시에 받침대(10)가 부착되는 상부 수평 등받이(503)를 지지한다. 도 17a에서, 고정 장치(310)가 어떻게 크로스 피스(503)의 하부 엣지의 기저면 위에 돌출되는 지를 볼 수 있다. 의자는 선택적으로, 받침대가 의자 위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시트 플레이트(505) 상에 앉아 있는 어린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지지 발판(506)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10)의 수평 변위는 추가로 크로스 피스(503) 위와 같은 의자 등받이 상의 받침대의 수평 변위를 제한 또는 고정하기 위해 가능한 한 스템(502)에 근접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8은 통상의 의자 위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보여주며, 여기서 측면 부재와 등받이는 후방 다리(22)를 포함한다. 모든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 지시된 부분에 대응한다. 받침대의 후크 수단(122)은 의자 등받이의 상부 엣지, 예컨대 상부 레일(3)의 상부 엣지 위에서 아래로 제공되며, 고정 장치(310)는 동일한 교차 레일의 하부 엣지에 기대어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앞서 언급한 후크와 같은 고정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되어 중간 레일(4)의 바닥 엣지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9는 어린이용 시트 위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보여주며, 여기서 후크 수단은 받침대의 외측 상부 후방 코너에 위치되고 의자 등받이의 측면 부재(2)의 상부 엣지와, 의자의 측면, 측면 부재 또는 후방 다리의 상부 위로 걸림 고정될 수 있게 적합화된 페룰(323)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크 수단은 소정 깊이의 상부 레일(3)을 위한 개구를 가지고 있어서 의자에 대한 받침대의 높이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작동식인 바형의 중심 고정 장치로 예시된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310)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를 의자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해 고정 장치는 스프링 부하에 대항하여 의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쉽게 내측으로 푸싱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고정 장치의 해제를 위해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두 개의 이런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가 내측으로 눌려질 때 받침대가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의자의 측면 부재 근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 대해 지시된 부분에 대응한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00) 또는 고정 장치(310)는 특히 후크 수단이 광폭이면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수단(122) 내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수단(122)은 예컨대 의자 등받이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의자 등받이(11) 내의 교차 레일(3)의 하부 엣지 아래의 위치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크형 고정 장치(309)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장치(들)(309)는 후방 측면으로부터 의자 요소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하부 엣지 아래에서 내측으로 푸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 장치(들)(309)의 푸싱 및 회전 조합을 예컨대 도 20b의 적재된 위치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고정 장치(들)는 후크 수단(122) 내에 합체된 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 푸싱된 다음, 도 20A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동안 후방으로 회전된 후, 의자 등받이(11)의 교차 레일(3) 하부에서 내측으로 회전된다. 고정 장치(들)(309)의 후크형 단부의 상부 엣지는 교차 레일(3) 아래에 적소에 파지되어야 하고 따라서 용이하게 해제 가능하지 않도록 마찰 코팅을 가지거나 및/또는 교차 레일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 장치(들)(309)는 앞서 논의된 변형례에서와 같이 고정 동작을 해제하기 위해 버튼 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의 쉘 구성은 받침대를 경량화하고 움직이기 쉽게 한다. 쉘 구성은 비 사용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고정 장치와 지지 장치를 시트 내에 오목하게 들어가거나/집어넣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는 등받이의 수평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 장치가 등받이의 일부의 하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도록 고정 장치를 연장하는 것으로써 의자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의자 또는 어린이용 시트 위에 장착하기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측면 부재 상의 버튼의 작동으로, 고정 장치는, 받침대가 장착되는 의자에서 받침대가 용이하게 들어올려 제거되어, 의자가 그 통상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때와 동시에, 지지 플랩(150)의 도움으로 바닥 위의 자유-기립 자세 또는 바닥 위의 경사진 자세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받침대 내로 후퇴되거나 부분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를 식탁에서와 같이 높은 위치로 놓거나 바닥이나 다른 베이스 위에 장착하는 것을 번갈아 행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와 같은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받침대가 의자에 부착되지 않을 때 유지 및 보관되어야 하는 조립 장비 또는 기타의 여러 가지 부품이나 나사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장착과 분리는 도구의 사용 없이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2)

  1. 의자(1)용 받침대(10)로서, 상기 의자는 상부 단부 또는 엣지(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구비한 의자 등받이(11)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 등받이에 구비되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 요소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로 받침대가 걸려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단(122)을 받침대의 후방부에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되지 않을 때 베이스 위에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시 및 비 고정시 모두 아기 또는 유아용 받침대 또는 시트로서 사용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후방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고정 장치(300, 309, 3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받침대가 의자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고정 장치가 의자 등받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어 받침대를 의자에 고정하는 활성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요소는 하나 이상의 교차 레일(3, 4, 503), 측면 부재(2), 의자 부재, 후방 다리(22) 또는 중심 스템(50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받침대는 후크 수단(122)에 의해 하나 이상의 의자 등받이 요소의 상부 단부 또는 엣지(12) 위로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수단(122)은 의자 등받이 요소의 상부 단부, 상부 부분 또는 상부 엣지 위에 아래로 끼워지도록 된 페룰(ferrule)(323)이고, 상기 의자 등받이 요소는 측면 부재(2)와, 의자의 측면, 벽 또는 후방 다리(22)의 상부 부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00)는 받침대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인 요소는 교차 레일(3, 4)의 하부 수평 엣지에 대해 지지되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에 걸려 고정될 때의 활성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인 요소는 바(bar)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인 요소는 상기 받침대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받침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교차 레일(3, 4)의 하부 수평 엣지 둘레를 파지하는 비활성 위치로부터 상기 받침대가 의자 등받이에 걸림 고정되는 활성 위치 내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활주 가능하고 피봇 가능한 고정 장치 형태의 고정 장치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받침대를 의자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장치를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전환하도록 스프링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고정 장치가 고정 해제 위치에서 비활성일때 적색 표시를 나타내고 상기 고정 장치가 고정 위치에서 활성일때 녹색 표시를 나타내는 가시 패널(visible panel)에 의해 상기 받침대가 의자 상에 정확히 장착되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계기 패널(indicator pane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측면 부재(120), 후방 벽 부재(140) 또는 후크 부재(122),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바닥은 베이스 측으로 종방향을 따라 오목하여, 받침대가 베이스 상에 기립시 요동 가능하게 하며, 하부 오목 엣지(125)를 갖는 상기 받침대의 측면 부재(120)가 로커(rocker)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측면 부재의 기저면이 부분 패턴화된 마찰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받침대가 의자 위에 장착되지 않을 때 베이스에 대해 놓여진 다리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고정 장치가 비활성일 때보다 베이스 측으로 더 경사진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가 의자 위에 장착되지 않을 때 베이스에 대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대 내외로 회전 가능하거나 활주 가능함은 물론, 상기 받침대가 베이스 상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받침대를 베이스 측으로 더 경사진 각도로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플랩(1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랩은 사용중 상기 받침대의 후방부 아래에서 지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 플랩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전방 벽 부재(130)와 후방 벽 부재(140)에 의해 함께 연결된 두 개의 평행한 측면 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질 쉘(100) 형태의 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 등받이 엣지(241)를 갖는 등받이(240)와, 상부 측면 엣지(221)를 갖는 두 개의 내부 측면 부재(220)와, 시트 부(230)와, 다리 지지부(231)를 구비하는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00)는 선택적으로 합체된 보강재 또는 보강 부품을 갖는 부분적으로 자기 지지형인 시트 커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00)는 체결 장치 또는 탄성 재료에 의해 쉘의 외부 상부 부분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쉘(100)의 상부 엣지 둘레에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 후방부에 있는 하나의 하향 후크 수단(122)과 바 형태의 요소로서 활주 가능한 스프링 작동식 요소의 형태의 두 개의 체결 장치(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통상의 의자, 어린이용 시트 의자 위의 장착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의자 등받이 요소의 수평인 하부 엣지에 대해 받침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22. 삭제
KR1020137001723A 2010-06-24 2011-06-23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 KR101851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00918 2010-06-24
NO20100918A NO334981B1 (no) 2010-06-24 2010-06-24 Babykrybbe til stol
PCT/NO2011/000180 WO2011162618A1 (en) 2010-06-24 2011-06-23 Baby cradle and mou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099A KR20130064099A (ko) 2013-06-17
KR101851415B1 true KR101851415B1 (ko) 2018-04-23

Family

ID=4462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723A KR101851415B1 (ko) 2010-06-24 2011-06-23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61636B2 (ko)
EP (1) EP2584940B1 (ko)
JP (1) JP5919264B2 (ko)
KR (1) KR101851415B1 (ko)
AU (1) AU2011269932B2 (ko)
CA (1) CA2803050C (ko)
DK (1) DK2584940T3 (ko)
ES (1) ES2535188T3 (ko)
NO (1) NO334981B1 (ko)
RU (1) RU2560339C2 (ko)
WO (1) WO2011162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74328U (zh) * 2012-04-20 2012-12-05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座位高度调整机构
GB2517268B (en) * 2013-06-14 2016-08-31 Wonderland Nursery Goods Child seat convertible to multiple configurations of use
USD742657S1 (en) 2013-09-18 2015-11-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High chair
CN104706090B (zh) 2013-12-11 2018-01-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卡合连接机构及儿童座椅组件
AU2014218407B2 (en) * 2014-08-27 2019-10-10 Britax Childcare Pty Ltd An improved connector
US11877671B2 (en) 2015-04-25 2024-01-23 Kids2, Inc. Convertible high chair
US11723477B2 (en) 2015-04-25 2023-08-15 Kids2, Inc. Convertible highchair
US10588424B2 (en) 2015-04-25 2020-03-17 Kids2, Inc. Convertible high chair
CN205548135U (zh) 2016-03-30 2016-09-07 蔚冠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桌边椅
RU178091U1 (ru) * 2017-02-20 2018-03-22 Артем Алексеевич Жданович Детский стул для кормления
ES1180294Y (es) * 2017-03-15 2017-07-06 Fama Sofas S L Camilla para intervenciones en bebes
USD826590S1 (en) 2017-06-16 2018-08-28 Kids Ii, Inc. Child support device
USD826592S1 (en) 2017-06-16 2018-08-28 Kids Ii, Inc. Child support device
USD826591S1 (en) 2017-06-16 2018-08-28 Kids Ii, Inc. Child support device
CN108720426A (zh) * 2018-06-29 2018-11-02 兔迪昵(厦门)贸易有限公司 一种儿童椅
CN109393837B (zh) * 2018-11-30 2024-03-15 宁波霍科电器有限公司 一种可摇动的z型儿童餐椅
US11172764B2 (en) * 2019-06-05 2021-11-16 Skip Hop, Inc. Feature high chair
UA140485U (uk) * 2019-08-15 2020-02-25 Авалекс Інвестмент Лімітед Люлька дитячого візка
USD977865S1 (en) 2020-09-17 2023-02-14 Kids2, Inc. Modular crad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0938A (en) * 2000-04-04 2001-10-10 Glyn Edin Michael Tuvnes Multi-functional infant/child sea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5007A (en) * 1956-10-18 1959-06-17 Norman Hart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ts for infants
US2324421A (en) * 1939-03-23 1943-07-13 Alfred J Ouellette Supporting stand for infants
SU72636A1 (ru) * 1947-05-31 1947-11-30 В.А. Асерянц Детский складной стул
JPS432798Y1 (ko) * 1964-09-04 1968-02-05
GB1186808A (en) * 1968-09-30 1970-04-08 Morris Elias Cohen An Improved Portable Chair and Seat Device
US3563601A (en) * 1968-10-23 1971-02-16 Patricia C Dickey Orthopedic device
GB2254548B (en) * 1991-04-08 1995-05-03 Claudia Hamilton Beamish Transportable childs seat
US6679550B2 (en) * 1998-10-13 2004-01-20 Xsci, Inc. Child safety seat
EP1046825A3 (en) * 1999-04-23 2002-04-17 Piolax Inc. Fastening structure for fixing an article on a board via a through-hole, and holder with such a fastening structure
US6095604A (en) * 1999-09-28 2000-08-0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hild seat mounting system
US6296307B1 (en) * 1999-11-15 2001-10-02 Cosco Management, Inc. Reversible seat pad
US6199949B1 (en) * 2000-07-31 2001-03-13 Dasilva Eric S. Child safety seat
GB2380663A (en) 2001-10-10 2003-04-16 Jenx Ltd Premature baby support and positioning arrangement in which the support is hinged to the base
GB2407489B (en) 2003-10-31 2007-10-10 Michael Julian Pope Car seat chair
US7325871B2 (en) * 2003-12-01 2008-02-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 seat
US7472955B2 (en) * 2003-12-01 2009-01-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 seat
WO2005122843A2 (en) * 2004-06-16 2005-12-29 Handysitt A/S Supporting legs for collapsible, portable infant’s chair
US7216932B2 (en) * 2004-11-04 2007-05-15 Britax Romer Kindersicherheit Gmbh Half fold belt tensioner
DE202004016992U1 (de) * 2004-11-04 2005-01-05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Kindersitz
US20060181123A1 (en) 2004-11-23 2006-08-17 Steven Gibree Transferable baby seat
US7712830B2 (en) * 2007-06-20 2010-05-11 Cosco Management, Inc. Child restraint with swiveling juvenile seat and seat-back lock
WO2009158134A1 (en) * 2008-05-30 2009-12-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with adjustable b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0938A (en) * 2000-04-04 2001-10-10 Glyn Edin Michael Tuvnes Multi-functional infant/chil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03091A (ru) 2014-07-27
NO334981B1 (no) 2014-08-18
KR20130064099A (ko) 2013-06-17
WO2011162618A1 (en) 2011-12-29
EP2584940B1 (en) 2015-01-21
CA2803050C (en) 2016-12-13
CN103153138A (zh) 2013-06-12
US9161636B2 (en) 2015-10-20
RU2560339C2 (ru) 2015-08-20
EP2584940A1 (en) 2013-05-01
JP2013529496A (ja) 2013-07-22
NO20100918A1 (no) 2011-12-27
JP5919264B2 (ja) 2016-05-18
AU2011269932A1 (en) 2013-01-10
CA2803050A1 (en) 2011-12-29
ES2535188T3 (es) 2015-05-06
DK2584940T3 (en) 2015-04-27
AU2011269932B2 (en) 2016-09-01
US20130214571A1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415B1 (ko) 아기 받침대 및 장착 장치
US11426008B2 (en) Convertible high chair
US11653771B2 (en) Booster seat for convertible high chair
JP5647221B2 (ja) テーブル付きの折り畳み式幼児用椅子
US11622632B2 (en) Feature high chair
US11877671B2 (en) Convertible high chair
US20080203779A1 (en) Lifting and lowering structure of a long-legged chair
US20230355006A1 (en) Sit-to-stand convertible highchair
US20230371713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CN214905383U (zh) 一种儿童餐椅
CN103153138B (zh) 婴儿摇篮和固定装置
KR101613961B1 (ko) 어른과 아이 겸용 의자
WO2023224849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