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055B1 -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055B1
KR101851055B1 KR1020160025610A KR20160025610A KR101851055B1 KR 101851055 B1 KR101851055 B1 KR 101851055B1 KR 1020160025610 A KR1020160025610 A KR 1020160025610A KR 20160025610 A KR20160025610 A KR 20160025610A KR 101851055 B1 KR101851055 B1 KR 10185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microwave
hollow conductor
annular hollow
conducto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120A (ko
Inventor
아르민 갈라츠
볼커 갈라츠
Original Assignee
엠더블유아이 마이크로 웨이브 이그니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더블유아이 마이크로 웨이브 이그니션 아게 filed Critical 엠더블유아이 마이크로 웨이브 이그니션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0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23/00Other ignition
    • F02P23/04Other physical ignition means, e.g. using laser rays
    • F02P23/045Other physical ignition means, e.g. using laser rays using electromagnetic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1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02Arrangements having two or more sparking plu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05H1/461Microwave discharges
    • H05H1/463Microwave discharges using antennas or appl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를 통해 연소 챔버(6)에 도달하는 실린더 헤드(2)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실린더(4)를 가진 왕복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파는 연소 챔버(6)의 외주 주위에 제공되고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8)의 적어도 한 부분을 통해 연소 챔버(6) 내에 반경 방향으로 주입된다. 상기 내연기관(1) 내에서, 연소 챔버(6)는 적어도 일부분들에서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8)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 챔버 벽은 연소 챔버 벽(8)을 향해 배열되는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 및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급부(10)를 가진 하나 이상의 외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내연기관은 연소 챔버 내에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공간 점화를 시작할 때 정밀하게 조절하기 용이하게 하며,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비해 더 좋은 효율을 가지면서 연료의 최적의 저배출 연소가 구현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희박 연료-공기 혼합물의 안전한 점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INTRODUCING MICROWAVE ENERGY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 COMBUSTION ENGINE AND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가 연소 챔버 내에 주입되는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가진 왕복 피스톤 내연기관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DE 103 56 916 A1호는 주입된 연료의 연료-공기 혼합물(fuel air mixture)을 더 잘 점화시키고 연소시기 위하여 내연기관 내의 연소 챔버 안에 공간 점화(space ignition)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엔진에서, 점화성 혼합물이 콘(cone) 형태의 실린더 헤드 내에서 압축되고 스파크 플러그에 의해 반응하고 산화되게 한다. 따라서, 화학적 산화가 압력 및 반응 전방(pressure and reaction front)(층류 연소 가스 상(phase))으로서 점화 위치로부터 콘 형태로 퍼진다(spread). 압력 전방은 반응 전방보다 더 빨리 움직여서 실린더 에지(cylinder edge)에 먼저 도달한다. 압력 전방은 실린더 에지에서 반사되고(reflected) 반응 전방을 향해 형성된다(run). 두 전방이 서로 만나면, 반응은 소멸되고(die) 분해되어 오염물질(pollutant)이 발생되게 한다.
로컬 점화(local ignition)를 마이크로파를 통해 공간 점화(space ignition)로 대체하면 이러한 효과가 완화된다. 점화 전에, 혼합물은 전체 용적(volume)에 걸쳐 가능한 최대한 균질하게 여기되어야(excited) 하는데, 이는 연소 챔버에 걸쳐 분포된 흡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재료 변수 tanδ(t)에 의해 기술된 마이크로파를 위한 흡수 성능(absorption capability) 및 관련 통과 깊이(penetration depth)가 중요하다.
압축 동안, 점화되어야 하는 혼합물의 온도 및 압력에 따른 이온화(ionization)가 이미 수행된다. 특정 연료의 이러한 이온화로 인해, 연소 챔버 내에서 점화될 수 있는 혼합물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분자 흡수율(molecule absorption rate)은 압축 공정에 걸쳐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위에서 기술된 균질성(homogeneity)은 실제적인 적용분야(application)에서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 없기 때문에, 반응 전방은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원형의 원통형 연소 챔버 내에서 필드 분포(field distribution)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파 공급부(microwave feed)가 발견되며, 여기서 필드 분포는 전체 외주를 따라 균질적으로 증가되고 반경을 따라서는 가능한 최대한 균질적으로 증가되거나 혹은 바람직하게는 더 큰 반경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증가된다(monotonously increase). 필드 분포의 균질성은 혼합물의 흡수 성질과는 가능한 최대한 독립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연소 공동(combustion cavity) 내에서 가능한 최대한 균질한 점화 분포를 구현하거나, 혹은 연소 챔버의 적어도 에지 부분에서 로컬 점화 코어(local ignition core)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9항에 따른 연소 엔진을 통해 구현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각각의 종속항들에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파(microwave)는 연소 챔버의 외주(circumference) 주위에 제공되고 마이크로파 윈도우(microwave window)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통해 연소 챔버 내에 반경 방향으로 주입된다. 따라서, 연소 챔버 벽의 의 적어도 한 부분,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실린더는 마이크로파를 주입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윈도우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와 동시에 강도 및 온도 안정성으로 인해 연소 챔버를 위해서도 사용되는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 재료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purity)를 가진 세라믹 재료 또는 마이크로파를 위해 투과될 수 있는 또 다른 고체 재료(solid material)일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는 연소 챔버 주위에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이한 평면 혹은 오직 한 평면에서만 제공될 수 있으며 연소 챔버 벽을 통해 연소 챔버 내로 주입될 수 있다. 그 뒤, 연소 챔버 주위에서의 전도(conduction)가 고체로 구성되고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 주위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혹은 마이크로파의 전도가 연소 챔버 벽 자체 내에, 예를 들어 연소 챔버 쪽 상에 개구(opening)들이 있는 코팅된 표면(coated surface)을 가진 세라믹 재료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개구들은 마이크로파를 위한 출구 개구(outlet opening)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의 연소 챔버 벽은 두 변형예들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파는 연소 공동(combustion cavity)의 외주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annular hollow conductor cavity)을 통해 연소 챔버 내로 주입되며, 여기서, 중공 컨덕터 공동은 연소 챔버를 향해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는 최적의 파동 전도(wave conduction)를 제공하면서 모드 도약(mode leap) 및 반사(reflection)를 방지하는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 주입되는데, 모든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의 횡단면(cross section)은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원형 또는 난형(oval)일 수 있다. 횡단면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 플래시(flash)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은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연소 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는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를 통해 연소 공동 내로 직접 주입되도록 연소 공동 벽 내에 배열될 수 있거나, 혹은 연소 공동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는 연소 공동의 전체 외주에 걸쳐 연장될 수 있거나 혹은 연소 공동의 오직 일부분들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파는, 이미 연소 챔버 주위에 제공된 마이크로파가 환형 컨덕터 공동의 한 단부(end)에서 마이크로파 공급원(source)으로 다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적어도 이러한 반사를 실질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하여,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의 한 단부에서 일정 각도로 연소 챔버 내로 전도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파는 연소 챔버 벽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사이에서 외주 간격을 통해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으로부터 주입되는데, 상기 간격의 크기는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한 경로 길이에 걸쳐 증가되거나 혹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경로 길이에 걸쳐 크기가 증가되는 복수의 간격을 통해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으로부터 주입되는데, 상기 간격은 연소 챔버 벽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사이에서 마이크로파의 전파 방향(propagation direction)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혹은 이들의 조합을 통해 주입된다. 이들은 복수의 점화 코어(ignition core)를 통해 연소 챔버 내에서 공간 점화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연소 챔버 내의 최대 개수의 위치들에서 충분한 수량으로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농축하도록(concentrate)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파는 25 GHz 내지 90 GHz 사이의 주파수(frequency), 바람직하게는 36 GHz의 주파수로 주입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주파수들이 연소 공동 내에서 원하는 공간 점화를 생성시키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파는 임펄스 패킷(impulse packet)으로 주입되는데, 상기 임펄스 패킷은 이미 수행된 연료-공기 혼합물의 점화 후에 유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점화가 최적화되며, 점화가 이미 수행되고 난 뒤에도 연료-공기 혼합물의 연소는 추가로 여기되며(excited), 연소 챔버는 이미 팽창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가 크랭크샤프트(crank shaft)의 각도에 따라 주입되어 점화의 정밀한 조절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를 통해 연소 챔버 내에 주입되는 실린더 헤드를 가진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서, 연소 챔버는 일부분들에서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연소 챔버 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 챔버 벽은 연소 챔버 벽을 향해 배열된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 및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급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외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에 의해 둘러싸인다(enveloped). 따라서, 연소 챔버 벽은 세라믹 재료 또는 그 외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인서트(insert)로서 실린더 내에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형 컨덕터 공동의 한 단부에서 반사(reflection)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 챔버 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출구 개구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된 벽이 상기 위치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연기관은 연소 챔버 벽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사이에 외주 간격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경로 길이에 걸쳐 증가되거나, 또는 상기 내연기관은 연소 챔버 벽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사이에서 마이크로파의 전파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경로 길이에 걸쳐 크기가 증가되는 복수의 간격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과 결합된, 추가적인,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중공 컨덕터 공동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추가적인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은, 예를 들어, 제1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의 출구 개구에 대해 오프셋배열된(offset) 출구 개구들과 배열되며 제1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의 공급부의 맞은편에 배열된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점화 코어의 생성 및 로컬 필드 증대(local field augmentation)를 위한 지점(point)들이 연소 공동 내에, 특히, 실린더 헤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 시에는, 공동-소유된 출원 EP 15 15 72 98.2에 따른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마이크로파 스파크 플러그가 실린더 헤드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주입에 대한 수학적 기술은 원통좌표계 r, ψ, z에 따른다. 전도 경계(conduction border)로 형성된 원형의 원통형 공간(cylindrical space) 내에서, 외주를 따른 전자기파의 분포는 사인 함수 또는 코사인 함수로 형성되며 반경을 따라 베셀 함수(Bessel function)로 지칭되는 실린더 함수에 의해 형성된다. 필드 라인(field line)의 배열에 따라, 아이겐 모드(Eigen mode)가 T Emn, T 또는 Mmn 모드로 표시된다. 따라서, 제1 지수(m)는 방위 극대값(azimuthal maxima)의 개수에 상응하고, 제2 지수(n)는 반경 극대값(radial maxima)의 개수에 상응한다. 높은 방위 지수값 및 낮은 반경 지수값을 가진 모드는 속삭임 회랑 모드(Whispering Gallery Mode: WGM)로 표시된다. 이들의 파워(power)는 중공 실린더의 에지(edge)에서 실질적으로 진동한다(oscillate). 반경 지수값이 증가되면, 진동하는 파워가 연소 챔버의 내부로 이동된다.
방위각적으로(azimuthally) π/(2m)만큼 오프셋배열되고 시간에 좌우되는 두 모드의 중첩(superposition)은 동일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서는 회전 모드(rotating mode)로 이어진다. 이는 종래 기술에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수학적으로, 방위각적으로 스탠딩 모드(azimuthally standing mode)는 다음 공식을 이용하는 2개의 반대 회전 모드(counter rotating mode)에 의해 기술된다:
Figure 112016020738179-pat00001
m=0이면, 방위각적으로 일정한 분포가 제공된다.
이와 비슷한 식이 반경 방향으로도 적용된다. 반경 방향으로 정상파(standing wave)를 기술한 베셀 함수는 내부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전파되는 한켈 함수(Hankel function)로 나뉘질 수 있다:
2Jm(krr) = Hm2(krr) + Hm1(kr r)
여기서, kr은 반경방향 파동수(radial wave number)이다.
eimψ * Hm2(kr r)에 비례하는 필드 분포(field distribution)는 파워(power)가 나선 형태로 내부를 향해 전파되는 모드를 기술한다. 면 전방(face front)은 반경이 줄어들 때 점점 더 가팔라진다(steeper).
본 발명에 따르면, 외주를 따라 최대 균질성을 가진 점화는, 선택적으로, 회전 속삭임 회랑 모드 또는 용적 모드(volume mode)가 연소 공동 내에서 조절되어 여기된다는(excited) 점에서 실린더의 외측 부분에서 구현되거나 혹은 전체 용적(entire volume)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피드 파동 컨덕터(feed wave conductor), 바람직하게는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 형태의 직사각형 파동 컨덕터(rectangular wave conductor)가 연소 챔버 주위로 감겨진다(wound). 이로부터, 모드의 중공 컨덕터 파동 길이는 횡단방향 기하학적 수치(transversal geometric dimension)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따라서, 피드 파동 컨덕터 및 원통형 연소 공동은, 파워를 파동 컨덕터로부터 연소 공동 내로 주입하는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공동 벽을 통해 주기적 개방(periodic opening)에 의해 한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제, 개방 주기(p)는 다음과 같이 선택되는데:
Figure 112016020738179-pat00002
여기서, kl은 T E0n 모드를 연소 챔버 내에서 조절하여 여기시키는 감겨진 파동 컨덕터(wound wave conductor)에서의 모드의 축방향 파동수(axial wave number)이다. 상기 모드는 이상적인 경우에서 일정한 진폭(amplitude)을 가진 원형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 면 전방(face front)을 가질 수 있다. 공급된 파워는 맞은편 벽에 직접 도달하고 이 위치에서 감겨진 피드 파동 컨덕터 내로 다시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 공동 내에서 경로 길이(path length)는 연소 챔버의 직경에 상응한다. 점화되어야 하는 혼합물의 흡수(absorption)가 불량한 경우, 파워의 상당한 부분은 피드 파동 컨덕터 내로 다시 주입되어 마이크로파 공급원(microwave source)에 대해 반사된다(reflected).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대안예로서 약간 상이한 개방 주기가 선택된다. 이에 따라, 면 전방(face front)은 경사진다(inclined). 파워는 나선 형태로 연소 공동 내로 전파되며, 경로 길이(path length)가 커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facilitate) 따라서 tanδ과 대부분 무관한 마이크로파 파워(microwave power)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개방의 폭(width)은 연소 챔버 내에 주입된 파워가 외주를 따라 일정하도록 변경된다.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일정한 상(phase)을 가진 표면이 반경에 대해 더욱 더 기울어지면 질수록 반경은 점점 더 작아지게 된다. 파워가 오직 방위각 방향(azimuthal direction)으로만 전파되는 반경이 있다. 이는 연소 챔버의 내부 안에서 필드(field)가 없는 부분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연료 농축도(fuel concentration)가 연소 챔버의 중앙(center)에서 낮을 때 바람직하다. 여기된 모드(excited mode)는 앞에서 기술된 속삭임 회랑 모드에 상응한다. 이 결합(coupling)은, 감겨진 파동 컨덕터 내의 파동 길이가 깨끗한 공간(clear space) 파동 길이에 대해 짧을 때 특히 효율적으로 도달된다. 따라서, 파동 컨덕터에는 비-흡수성 유전 재료(non absorbing 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진다(filled).
한 에지에서 강력한 필드 증대(field augmentation)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주입 주기(injecting period)가 용적 모드 뿐만 아니라 WGM으로 주입이 수행되도록 선택된다는 점에서,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필드 여기(field excitation)가 발행된다. 이 때문에 에지 부분들에서 필드 증대(field augmentation)가 형성된다(yield).
연소 공동의 에지에서 필드 여기는 시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처음에, 전체 연소 챔버를 여기시키는 용적 모드로 가는 피드 파동 컨덕터에 의해 주입이 수행되는 주파수(frequency)가 선택된다. 그 뒤, 상기 주파수는 점화 WGM으로의 주입이 수행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감겨진 파동 컨덕터의 한 단부에서, 45°의 각도로 경사지고 편광을 회전시키는(rotate polarization) 플레이트(plate)가 배열될 수 있다. 그 뒤, 감겨진 컨덕터의 단부에 도달하는 마이크로파 파워(microwave power)는 회전된 편광(rotated polarization)에서 반사된다. 90°로 회전된 편광에서 연소 공동 내로 주입되는 파워는 전방 방향으로 주입되는 파워와 간섭되지(interfere) 않는다.
몇몇 적용분야에서, 실린더 헤드의 경사부(slant)에서 국지적으로 점화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전자기파 이론에서, 전도 지점(conductive point)들에서 로컬 필드 증대(local field augmentation)가 발생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도 지점들이 엔진(실린더 헤드)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열되며, 로컬 필드 증대 및 따라서 로컬 점화가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연소 엔진은 연소 챔버 내에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공간 점화의 시작할 때 정밀하게 조절하기 용이하게 하며,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왕복 피스톤 내연기관에 비해 더 좋은 효율을 가지면서 연료의 최적의 저배출 연소가 구현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점화를 구현하기 위해 추가적인 농축(enrichment)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낮은 연료 소비로 이어지는 희박(lean) 연료-공기 혼합물의 안전한 점화(safe ignition)를 용이하게 한다. 배출물(emissions) 및 배출물 생성은 공기 대 연료의 혼합비 및 연소 온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는 종래 기술의 점화보다 더 신속하게 발생된다. 이는 "저온 연소(colder combustion)"가 발생되게 하여 효율이 증가된다. 더욱이, 실제로, 저온 연소 공정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물을 줄어든다. 저온 연소는 배기 가스 내에서 질소산화물(NO)의 농축도를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의 연소와는 상이한 공간 점화를 통해, 연소 공정은 확산 화염(diffusion flame) 형태의 연소 공정에 훨씬 덜 좌우된다. 이는 추가적인 열손실을 방지하고 효율성이 증대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타입의 연소를 위해서는 산화 부분(oxidation portion) 내에서의 공기 및 연소 챔버의 가열 상(heat up)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도면들과 특허청구범위들을 조합하여 아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외주에 걸쳐 연소 챔버를 향하는 간격이 일정한 폭을 가진 환형 주입부(annular injection)가 있는 한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실린더 헤드가 없는 왕복 피스톤 내연기관의 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부도(도 1a); 및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여 도 1a의 라인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는 환형 경로의 길이에 걸쳐 간격이 증가하는 링 주입부(ring injection)에 대해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실린더 헤드가 없는 개략적인 상부도(도 1a); 및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도 2a의 라인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도 2b에서 라인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도 2c); 및
도 3은 개별 바(bar)들이 서로 오프셋배열된 링 주입부에 대해 도 2에 따른 도면으로서, 실린더 헤드가 없는 개략적인 상부도(도 3a);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도 3a의 라인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도 3b) 및 도 3b의 라인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도 3c)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대표적으로 예시된다. 개별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비슷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제공된다.
도면들은 엔진 블록(3)과 실린더 헤드(2)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의 세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엔진 블록(3)은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5)을 가진 실린더(4) 및 상기 실린더(4) 위에서 실린더 헤드(2)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연소 챔버(6)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표시된 연료-공기 혼합물을 위한 입구(7)는 연소 챔버(6)로 이어진다(lead). 배기 가스(exhaust gas)를 위한 출구는 예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출구가 종래 기술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료-공기 혼합물을 위한 중앙 입구(7)를 가진, 개략적으로 표시된 실린더 헤드(2)는 배기 가스를 위한 추가적인 출구 또는 스파크 플러그(spark plug)를 가질 수 있다. 스파크 플러그는 공동-소유된 출원 EP 15 298.9호에 기술된 특별히 구성된 마이크로파 스파크 플러그일 수 있다. 실린더(4) 내에 추가적인 내부 벽(8)이 제공된다. 상기 추가적인 벽은 마이크로파 윈도우(microwave window)의 기능(function)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로 제작된다. 이는 예를 들어 세라믹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순도를 가진 재료, 사파이어 유리 또는 또 다른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도 1a에서,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이 엔진 블록(3) 내에서 내부 벽(8) 주위로 연장되는데, 상기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은 내부 벽(8)을 향해 전체 외주에 걸쳐 동일한 높이를 가진 환형 공동 벽(12)을 포함하며, 간격(11)이 형성되어 마이크로파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사용되는 내부 벽(8)을 통해 연소 챔버(6)에 도달한다.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마이크로파를 연소 챔버(6) 내에 주입하면 입구(7)를 통해 연소 챔버(6) 내에 주입된 연료-공기 혼합물의 공간 점화(space ignition)를 위해 점화 코어(ignition core)가 생성된다. 도 1a 및 1b는 개별 부품(component)들의 배열(arrangement)을 예시한다.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공급부(10)는 접선방향 공급부(tangential feed)로서 예시되는데, 상기 공급부는 반경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혹은 중간 각도(intermediary angle)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내부 벽(8)을 따르는 경로(path)의 길이에 걸쳐 환형 공동 벽(12)의 높이가 줄어들며, 따라서 크기가 점점 더 커지는 간격(12)을 형성하는 비슷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환형 공동 벽(12)은 면 벽(face wall)(14)에 도달하기 전에 종료되어(terminate),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의 전체 높이에 걸쳐 개구(13)가 얻어진다(obtained). 상기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공급부(10)는 면 벽(14)이, 마이크로파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에 의해 가능한 최소로 반사되고(reflected) 대신 마이크로파가 일정 각도로 연소 챔버(6) 내에 주입되는 절차(consequence)를 가지게 형성되도록 선택된다. 도 2c는 위에서 기술된 내용을 상이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마이크로파 공급부가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고(configured tangential)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가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연속적이며(continuous)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처럼 중단되지(interrupted) 않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환형 공동 벽(12)은 개별적으로 서로 오프셋배열된(offset) 바(bar)(15)로 형성되며, 마이크로파 공급부(10)를 통해 주입된 마이크로파는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내부 벽(8)를 통해 바(15)들 사이의 중간 공간(16)을 통해 연소 챔버(6)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15)들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개별 바들 사이의 중간 공간(16)의 크기도 동일하다. 바(15)들의 높이와 폭 뿐만 아니라 중간 공간(16)의 폭도 적용분야(application)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은 엔진 블록(3) 내에서 실린더(4) 주위로 배열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2) 내에서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엔진 블록은 일반적인 재료, 통상,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재료는 적용분야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시된 중공 컨덕터 공동 내에서 마이크로파를 위한 경계(boundary)도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 전기전도성 재료로 코팅된 표면에 의해 전도성(conductivity)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변형(measure)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를 통해 연소 챔버(6)에 도달하는 실린더 헤드(2)를 가진 하나 이상의 실린더(4)를 포함하는 왕복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연소 챔버(6)의 외주(circumference)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을 통해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8)의 적어도 한 부분을 통하여 연소 챔버(6) 내에 반경 방향으로 주입되며, 연소 챔버 벽(8)은 연소 챔버(6)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을 분리시키고 마이크로파가 투과할 수 있는 고체 및 온도-안정성 재료로 구성되며,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은 연소 챔버(6)를 향해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를 포함하되,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은 엔진 블록(3)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전방 방향으로 주입되는 파워와 간섭되지 않도록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의 한 단부에서 45°의 각도로 연소 챔버(6) 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주 간격(11)을 통해,
    외주 간격의 크기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한 경로 길이에 걸쳐 증가되는,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주 간격(11)을 통해, 또는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마이크로파의 전파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경로 길이에 걸쳐 크기가 증가되는 복수의 중간 공간(16)을 통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으로부터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25 GHz 내지 90 GHz 사이의 주파수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36 GHz의 주파수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임펄스 패킷(impulse packet)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임펄스 패킷은 이미 수행된 연료-공기 혼합물의 점화 후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크랭크샤프트의 각위치(angular position)에 따라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6)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방법.
  9.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윈도우를 통해 연소 챔버(6) 내에 주입되는 피스톤(5)과 실린더 헤드(2)를 가진 하나 이상의 실린더(4)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에 있어서,
    연소 챔버(6)는 적어도 일부분들에서 마이크로파 윈도우로서 작용하는 연소 챔버 벽(8)을 포함하되, 연소 챔버 벽(8)은 출구 개구가 연소 챔버 벽(8)을 향해 배열되는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와 마이크로파를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급부(10)를 가진 하나 이상의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에 의해 둘러싸이며(enveloped), 연소 챔버 벽(8)은 연소 챔버(6)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을 분리시키고 마이크로파가 투과할 수 있는 고체 및 온도-안정성 재료로 구성되며,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은 엔진 블록(3)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10. 제9항에 있어서, 연소 챔버 벽(8)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출구 개구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에 대해 45°의 각도로 배열된 면 벽(14)이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의 단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주 간격(11),
    외주 간격의 크기가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한 경로 길이에 걸쳐 증가되는,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주 간격(11), 또는
    연소 챔버 벽(8)과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사이에서 마이크로파의 전파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환형 중공 컨덕터 공동(9)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경로 길이에 걸쳐 크기가 증가되는 복수의 중간 공간(16),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KR1020160025610A 2015-03-03 2016-03-03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KR101851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7324.3A EP3064767A1 (de) 2015-03-03 2015-03-03 Verfahren und zum Einbringen von Mikrowellenenergie in einen Brennraum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Verbrennungsmotor
EP15157324.3 2015-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20A KR20160107120A (ko) 2016-09-13
KR101851055B1 true KR101851055B1 (ko) 2018-04-20

Family

ID=5259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10A KR101851055B1 (ko) 2015-03-03 2016-03-03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57947B2 (ko)
EP (1) EP3064767A1 (ko)
JP (1) JP6215988B2 (ko)
KR (1) KR101851055B1 (ko)
CN (1) CN105937473B (ko)
MX (1) MX369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4766A1 (de) * 2015-03-03 2016-09-07 MWI Micro Wave Ignitio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Mikrowellenenergie in einen Brennraum eines Verbrennungsmotors
JP7194956B2 (ja) * 2016-02-16 2022-12-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1115B2 (ja) * 2016-02-16 2022-03-0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1114B2 (ja) * 2016-02-16 2022-03-0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88066B2 (ja) * 2016-02-16 2022-01-0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53731B2 (ja) * 2017-02-03 2021-10-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53732B2 (ja) * 2017-02-03 2021-10-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53733B2 (ja) * 2017-02-03 2021-10-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20168493A (ja) * 2020-07-13 2020-10-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20168495A (ja) * 2020-07-13 2020-10-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20168494A (ja) * 2020-07-13 2020-10-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20168522A (ja) * 2020-07-15 2020-10-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DE102022000797A1 (de) 2021-03-10 2022-09-15 Mathias Herrmann Zündkonzept und Verbrennungskonzept für Triebwerke und Raketen; möglichst effektive, bzw. gerichtete Anregung und Zündung mittels angepasster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bzw. elektromagnetischer Wellen (z. B. Radiowellen, Mikrowellen, Magnetwellen) und katalytischer Absorber zur Erhöhung des energetischen Wirkungsgrades und Schub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6340A1 (de) * 2011-10-19 2013-04-25 Heinz Brümmer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hochfrequenten Mikrowellen in einen Hochdruck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0939A (en) * 1963-02-04 1966-01-25 Goossak Lev Abramovich Method of prechamber-torch igni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434753A (en) * 1981-05-18 1984-03-06 Nippon Soken, Inc.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61406A (en) * 1984-05-25 1985-12-31 Combustion Electromagnetics, Inc. Winged reentrant electromagnetic combustion chamber
US4726336A (en) * 1985-12-26 1988-02-23 Eaton Corporation UV irradi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pretreatment enabling hypergolic combustion
JPS62213126A (ja) * 1986-03-13 1987-09-19 Fujitsu Ltd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AT2623U1 (de) * 1998-03-24 1999-01-25 Avl List Gmbh Brennkraftmaschine mit fremdzündung
DE10356916B3 (de) * 2003-12-01 2005-06-23 Volker Gallatz Verfahren zum Zünden der Verbrennung eines Kraftstoffes in einem Verbrennungsraum eines Motors, zugehörige Vorrichtung und Motor
JP4876217B2 (ja) * 2005-09-20 2012-02-15 イマ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点火装置、内燃機関
JP3984636B1 (ja) * 2006-03-07 2007-10-03 ミヤマ株式会社 多点点火エンジン
CA2828176C (en) * 2006-09-20 2017-02-21 Imagineering, Inc. Plasma equipment and exhaust gas degradation apparatus
JP5374691B2 (ja) * 2008-03-14 2013-12-25 イマ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複数放電のプラズマ装置
JP5256415B2 (ja) * 2008-03-14 2013-08-07 イマ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燃焼室の排気ガス後処理装置
US8276570B2 (en) * 2009-03-17 2012-10-02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nal combustion of fuel/oxidizer mixtures by nanostructure injection and electromagnetic pulse ignition
JP5679162B2 (ja) * 2010-08-04 2015-03-0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バリア放電装置
JP6086427B2 (ja) * 2011-01-31 2017-03-01 イマ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ラズマ装置
JP6002893B2 (ja) * 2011-02-15 2016-10-05 イマ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内燃機関
US9022006B2 (en) * 2011-11-04 2015-05-05 Enock N Segawa Method and devices for process intensified wall integrated operations for IC engines
WO2013069739A1 (ja) * 2011-11-11 2013-05-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用誘電体窓、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6340A1 (de) * 2011-10-19 2013-04-25 Heinz Brümmer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hochfrequenten Mikrowellen in einen Hochdruck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7473B (zh) 2018-09-25
MX2016002673A (es) 2016-09-02
CN105937473A (zh) 2016-09-14
US20160265503A1 (en) 2016-09-15
JP2016186307A (ja) 2016-10-27
US9957947B2 (en) 2018-05-01
EP3064767A1 (de) 2016-09-07
MX369272B (es) 2019-11-01
JP6215988B2 (ja) 2017-10-18
KR20160107120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055B1 (ko) 연소 엔진 및 연소 엔진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KR101769240B1 (ko) 내연기관
JP2007512477A (ja) エンジンの内燃機関内で燃料の燃焼に点火する方法、付属の装置およびエンジン
EP3037651A1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81635B1 (ko) 내연기관의 연소 챔버 내에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467285B2 (ja) 均一予混合圧縮自着火エンジン及びエンジン
US10677456B2 (en) Waveguide antenna for microwave enhanced combustion
WO2013011965A1 (ja) 内燃機関、及びプラズマ生成装置
KR101819826B1 (ko) 회전식 피스톤 내연기관
JP2012149608A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CN109209729A (zh) 一种可应用于发动机燃烧室的微波点火系统及方法
WO2013021993A1 (ja) 内燃機関
Nishiyama et al. 5.2 Lean Limit Expansion up to Lambda 2 by Multi-Point Microwave Discharge Igniter
JP5973956B2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WO2013039122A1 (ja) 高周波放射用プラグ及び内燃機関
WO2017022710A1 (ja) 電磁波放電放射装置
JP2013194717A (ja) アンテナ構造体、高周波放射用プラグ、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