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020B1 -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020B1
KR101851020B1 KR1020120145878A KR20120145878A KR101851020B1 KR 101851020 B1 KR101851020 B1 KR 101851020B1 KR 1020120145878 A KR1020120145878 A KR 1020120145878A KR 20120145878 A KR20120145878 A KR 20120145878A KR 101851020 B1 KR101851020 B1 KR 10185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tank
level switch
valv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016A (ko
Inventor
이창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0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밸브가 구비되는 제1 연료유 벙커 탱크; 제2 밸브가 구비되는 제2 연료유 벙커 탱크; 제1 좌현 밸브와 제1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1 우현 밸브와 제1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제2 좌현 밸브와 제2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2 우현 밸브와 제2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연료유 유입관 또는 연료유 유출관을 통해 상기 모든 밸브와 연결되는 연료유 이송 펌프; 및 제어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 상기 모든 밸브, 상기 모든 레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가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연료유 이송 펌프를 사용하여 각각의 셋팅 탱크에 연료유를 효율적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유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타사와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A fuel oil filling system of twin tank}
본 발명은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엔진에는 원유(Crude Oil), 중유(Heavy Fuel Oil; HFO), 저유황 중유(Low Sulphur HFO)나 경유(Diesel Oil; DO)등과 같은 연료유(fuel oil)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엔진에 연료유 공급하기 위해, 연료유를 저장하는 탱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엔진과 2개의 프로펠러가 구비되는 쌍축선의 경우 2개의 연료유 저장 탱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쌍축선과 같이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가 구비된 경우, 기존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에는 탱크마다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각각 구비되고, 별도의 구동 시스템으로 각각의 탱크에 연료유를 충전하고 있어, 연료유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연료유 이송 펌프가 필요하여, 이에 따른 생산공수, 자재구입 등 선박 건조의 비용 상승 요인으로 생산성 저하, 타사와의 경쟁력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가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연료유 이송 펌프를 사용하여 각각의 셋팅 탱크에 연료유를 효율적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는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은, 제1 밸브가 구비되는 제1 연료유 벙커 탱크; 제2 밸브가 구비되는 제2 연료유 벙커 탱크; 제1 좌현 밸브와 제1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1 우현 밸브와 제1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제2 좌현 밸브와 제2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2 우현 밸브와 제2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연료유 유입관 또는 연료유 유출관을 통해 상기 모든 밸브와 연결되는 연료유 이송 펌프; 및 제어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 상기 모든 밸브, 상기 모든 레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가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연료유 이송 펌프를 사용하여 각각의 셋팅 탱크에 연료유를 효율적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유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타사와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시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시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시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시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1)은,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 연료유 이송 펌프(7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료유 및 제2 연료유는 원유(Crude Oil), 중유(Heavy Fuel Oil; HFO), 저유황 중유(Low Sulphur HFO)나 경유(Diesel Oil; DO) 등과 같은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연료유(fuel oi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는, 후술할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와 함께 쌍축선과 같은 선박의 엔진에 연료유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제1 밸브(11)가 구비된다.
제1 밸브(11)는, 후술할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에 구비되는 제1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22) 또는 후술할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에 구비되는 제1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3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입관(2)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11)는, 후술할 제1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22) 또는 후술할 제1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32)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 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고, 2개의 스위치(22, 32)가 모두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된다.
제1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22) 및 제1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32) 모두 작동 중이라 함은, 후술할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 및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 모두 연료유가 충진된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는,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제1 좌현 밸브(21)와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가 구비된다.
제1 좌현 밸브(21)는, 후술할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출관(3)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좌현 밸브(21)는, 후술할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가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되어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어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유지된다.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는,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에 제1 연료유가 충전 되었으면 작동되고, 충전되지 않았으면 작동되지 않는데, 이러한 작동 유무를 후술할 제어부(80)가 감지하여 제1 밸브(11), 제1 좌현 밸브(21),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를 제어하게 된다.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는,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제1 우현 밸브(31)와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가 구비된다.
제1 우현 밸브(31)는, 후술할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출관(3)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우현 밸브(31)는, 후술할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가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되어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어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의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유지된다.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는,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에 제1 연료유가 충전 되었으면 작동되고, 충전되지 않았으면 작동되지 않는데, 이러한 작동 유무를 후술할 제어부(80)가 감지하여 제1 밸브(11), 제1 우현 밸브(31),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를 제어하게 된다.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는, 전술한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와 함께 쌍축선과 같은 선박의 엔진에 연료유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제2 밸브(41)가 구비된다.
제2 밸브(41)는, 후술할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에 구비되는 제2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52) 또는 후술할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에 구비되는 제2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6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입관(2)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41)는, 후술할 제2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52) 또는 후술할 제2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62)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고, 2개의 스위치(52, 62)가 모두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된다.
제2 연료유 좌현 레벨 스위치(52) 및 제2 연료유 우현 레벨 스위치(62) 모두 작동 중이라 함은, 후술할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 및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 모두 연료유가 충진된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는,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제2 좌현 밸브(51)와 제2 좌현 레벨 스위치(52)가 구비된다.
제2 좌현 밸브(51)는, 후술할 제2 좌현 레벨 스위치(5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출관(3)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좌현 밸브(51)는, 후술할 제2 좌현 레벨 스위치(52)가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되어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어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유지된다.
제2 좌현 레벨 스위치(52)는,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에 제2 연료유가 충전 되었으면 작동되고, 충전되지 않았으면 작동되지 않는데, 이러한 작동 유무를 후술할 제어부(80)가 감지하여 제2 밸브(41), 제2 좌현 밸브(51),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를 제어하게 된다.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는,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제2 우현 밸브(61)와 제2 우현 레벨 스위치(62)가 구비된다.
제2 우현 밸브(61)는, 후술할 제2 우현 레벨 스위치(6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연료유 유출관(3)을 통해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우현 밸브(61)는, 후술할 제2 우현 레벨 스위치(62)가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되어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개방되어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의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유지된다.
제2 우현 레벨 스위치(62)는,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에 제2 연료유가 충전 되었으면 작동되고, 충전되지 않았으면 작동되지 않는데, 이러한 작동 유무를 후술할 제어부(80)가 감지하여 제2 밸브(41), 제2 우현 밸브(61), 후술할 연료유 이송 펌프(70)를 제어하게 된다.
연료유 이송 펌프(70)는, 연료유 유입관(2)을 통해 제1 연료유 벙커 탱크(10)의 제1 밸브(11)와 제2 연료유 벙커 탱크(40)의 제2 밸브(41)와 각각 연결되며, 연료유 유출관(3)을 통해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의 제1 좌현 밸브(21),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의 제1 우현 밸브(31),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의 제2 좌현 밸브(51),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의 제2 우현 밸브(61) 각각과 연결된다. 또한, 연료유 이송 펌프(70)는 후술할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된다.
연료유 이송 펌프(70)는,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와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 모두 제1 연료유로 충전되어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고, 또한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50)와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60) 모두 제2 연료유로 충전되어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된 상태일 때,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가동을 멈춘다. 즉, 연료유 이송 펌프(70)는,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또는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될 경우에는 가동을 계속하게 된다.
제어부(80)는, 제어 신호 전송 라인(4)을 통해 제1 밸브(11), 제1 좌현 밸브(21),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 제1 우현 밸브(31),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 제2 밸브(41), 제2 좌현 밸브(51), 제2 좌현 레벨 스위치(52), 제2 우현 밸브(61), 제2 우현 레벨 스위치(62), 연료유 이송 펌프(7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하나의 연료유 이송 펌프(70)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ICMS 제어 로직(control logic) 구성일 수 있으며, ICMS MIMIC 상에 이송 모드 셀렉터(transfer mode selector) 기능 설정, 예를 들어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오프 모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실시예의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80)는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 또는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고,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 및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지 않으면, 제1 밸브(11)를 개방하고, 작동되고 있지 않은 레벨 스위치(22, 32)에 해당되는 탱크(20, 30)에 구비되는 제1 좌현 밸브(21) 또는 제1 우현 밸브(31)를 개방하고, 연료유 이송 펌프(70)가 구동되게 하여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 또는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에 제1 연료유를 자동 충전되도록 한다. 즉,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 및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지 않으면, 제1 연료유 충전 모드가 유지된다.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20) 및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30) 모두 제1 연료유가 충전되면, 제1 좌현 레벨 스위치(22) 및 제1 우현 레벨 스위치(32)는 모두 작동하고, 이를 제어부(80)가 감지하여 모든 밸브(11, 21, 31)가 폐쇄되도록 하고, 연료유 이송 펌프(70)의 가동을 중단시켜,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 된다.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선택 시의 작동 개념은 상기한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선택 시의 작동 개념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와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작동 개념 역시 상기한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오프 모드는, 모든 밸브(11, 21, 31, 41, 51, 61)가 폐쇄된 상태이고, 연료유 이송 펌프(70)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었을 때,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었을 때, 또는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와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모두가 해제되었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10, 20)가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연료유 이송 펌프(70)를 사용하여 각각의 셋팅 탱크(20, 30, 40, 50)에 연료유를 효율적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유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타사와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쌍축선과 같이 2개 이상의 연료유 저장 탱크가 구비된 경우, 기존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에는 탱크마다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각각 구비되고, 별도의 구동 시스템으로 각각의 탱크에 연료유를 충전하고 있어, 연료유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연료유 이송 펌프가 필요하여, 이에 따른 생산공수, 자재구입 등 선박 건조의 비용 상승 요인으로 생산성 저하, 타사와의 경쟁력 저하 등의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연료유 충전 시스템 2: 연료유 유입관
3: 연료유 유출관 4: 제어 신호 전송 라인
10: 제1 연료유 벙커 탱크 11: 제1 밸브
20: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21: 제1 좌현 밸브
22: 제1 좌현 레벨 스위치 30: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31: 제1 우현 밸브 32: 제1 우현 레벨 스위치
40: 제2 연료유 벙커 탱크 21: 제2 밸브
50: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51: 제2 좌현 밸브
52: 제2 좌현 레벨 스위치 60: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61: 제2 우현 밸브 62: 제2 우현 레벨 스위치
70: 연료유 이송 펌프 80: 제어부

Claims (5)

  1. 제1 밸브가 구비되는 제1 연료유 벙커 탱크;
    제2 밸브가 구비되는 제2 연료유 벙커 탱크;
    제1 좌현 밸브와 제1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1 우현 밸브와 제1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1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제2 좌현 밸브와 제2 좌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제2 우현 밸브와 제2 우현 레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료유 벙커 탱크로부터 제2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연료유 유입관 또는 연료유 유출관을 통해 상기 모든 밸브와 연결되는 연료유 이송 펌프; 및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및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 상기 모든 밸브, 상기 모든 레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좌현 레벨 스위치 또는 상기 제1 우현 레벨 스위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가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또는 상기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에 구비된 레벨 스위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탱크가 상기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현 레벨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우현 레벨 스위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가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또는 상기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에 구비된 레벨 스위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탱크가 상기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1 우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2 좌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2 우현 레벨 스위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 또는 상기 제2 밸브 중 해당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가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상기 제1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 상기 제2 연료유 좌현 셋팅 탱크 또는 상기 제2 연료유 우현 셋팅 탱크에 구비된 레벨 스위치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탱크가 상기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1 우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2 좌현 레벨 스위치, 상기 제2 우현 레벨 스위치 모두가 작동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모든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연료유 이송 펌프가 가동 상태를 멈추어, 상기 모든 셋팅 탱크의 상기 제1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 및 상기 제2 연료유 자동 충전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KR1020120145878A 2012-12-14 2012-12-14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KR10185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78A KR101851020B1 (ko) 2012-12-14 2012-12-14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78A KR101851020B1 (ko) 2012-12-14 2012-12-14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16A KR20140078016A (ko) 2014-06-25
KR101851020B1 true KR101851020B1 (ko) 2018-04-20

Family

ID=5112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78A KR101851020B1 (ko) 2012-12-14 2012-12-14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56B1 (ko) * 2015-10-15 2022-09-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연료 로딩방법 및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연료 공급방법
CN110058616A (zh) * 2019-05-21 2019-07-26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船用燃油液位控制自动调拔装置
KR102248196B1 (ko) * 2020-11-09 2021-05-04 한화시스템(주) 함정의 연료유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16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719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LNG fuelled marine vessel and a corresponding marine vessel
KR101851020B1 (ko)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CN104608879B (zh) 一种压载水置换系统
CN101839391A (zh) 液压式压缩天然气加气装置及加气控制方法
JP2016156288A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EP3601871B1 (en) System for storing a gas in several tanks
JP7057372B2 (ja) 船舶用のガス排出システム及びガス排出方法、並びに排出ガスのリサイクル方法
KR20130013117A (ko) 선박용 연료공급탱크의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공급탱크의 레벨 제어방법
KR101115226B1 (ko) 익스펜션 탱크 자동 충전장치
KR101192720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폐쇄공기 시스템
KR101805511B1 (ko)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205875B1 (ko) 자동 연료유 전환장치
KR101463285B1 (ko) 선박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CN103935497A (zh) 移动加气船
CN107128496A (zh) 一种四发涡桨飞机供输油系统
CN109469563B (zh) 具有至少两个箱的水喷射设备
KR102140228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1891359B1 (ko) 선박용 이중 연료유 계통
KR20140091995A (ko) 선박 및 선박의 발라스트 워터 처리 방법
EP4202283A1 (en) A hydrogen gas supply system
KR102361521B1 (ko)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RU152676U1 (ru)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101904608B1 (ko) 연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