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1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18B1
KR101850718B1 KR1020110135708A KR20110135708A KR101850718B1 KR 101850718 B1 KR101850718 B1 KR 101850718B1 KR 1020110135708 A KR1020110135708 A KR 1020110135708A KR 20110135708 A KR20110135708 A KR 20110135708A KR 101850718 B1 KR101850718 B1 KR 10185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lexible display
unit
display unit
depth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490A (ko
Inventor
고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18B1/ko
Priority to US13/565,468 priority patent/US9124865B2/en
Priority to EP12006255.9A priority patent/EP2605517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휘어지는 투명센서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이 발생한 영역의 3D 깊이값(Depth)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된 입체 형태에 따라 3D 이미지를 조절함으로써, 입체 형태가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3D 입체 영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3D image of th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3D) 입체 영상 기술은 기존의 2D 평면 영상과 달리 사람의 눈으로 실제로 보는 것과 같이 영상에서 사물의 깊이, 공간 형상 정보 등이 표현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3D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 ~ 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D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3D 입체 영상 기술은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 접목되어 휴대폰, TV, 모니터 등의 여러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3D 입체 영상 기술이 적용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입체 형태가 변형됨에도 불구하고, 평면 상태에서의 3D 이미지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휜 상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는 3D 입체 영상으로 구현이 않되거나, 3D 입체 영상의 원래 의도된 3D 깊이값(Depth)이 변함에 따라 영상의 입체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휘는 경우에도 원래의 3D 입체 영상을 유지하고,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송출하며,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휘어지는 투명센서부 및 상기 투명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를 기초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이 발생한 영역의 3D 깊이값(Depth)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투명센서부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센서전극 및 상기 센서전극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된 전극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센서부에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센서전극의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지점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에 따른 상기 센서전극간의 거리 변화량을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감소시키고,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증가시키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된 영역과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을 상기 기설정 영역의 깊이값보다 크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 및 제2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게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위 영역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는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로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따라 상기 좌안 픽셀과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 및 밝기를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센서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부 및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복수개의 투과부가 교대로 배치된 패러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센서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굴절율로 굴절시키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각각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선택적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편광 필터 안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교대로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 좌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차단되는 우안 글래스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 우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차단되는 좌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셔터글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방법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에 따른 투명센서부의 센서전극간의 거리 변화량을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감소시키고,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증가시키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을 상기 기설정 영역의 깊이값보다 크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 및 제2 단위 영역으로 세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게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위 영역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이 발생한 영역의 3D 깊이값(depth)을 증감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가 변형되어도 평면 상태에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입체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3D 깊이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공간에 있는 것과 같은 3D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색감 및 밝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러렉스 배리어의 입체 영상을 구현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라 레즈의 입체 영상을 구현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휨에 따른 센서전극의 거리 변화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평면 상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3D 영상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입체 형태가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3D 깊이값이 조절된 3D 영상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휜 경우에 3D 깊이값이 조절된 3D 영상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따른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색감 및 밝기 변화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휘어지는 투명센서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이 발생한 영역의 3D 깊이값(Depth)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된 입체 형태에 따라 3D 이미지를 조절함으로써, 입체 형태가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3D 입체 영상을 유지하며, 다양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에는 투명센서부(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깨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TFT LCD), 유기 EL(OLED)과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기술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로는 전자종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란 일반적인 잉크와 종이의 특징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페이퍼(e-paper)라고도 한다. 화소에 백라이트 조명을 가하는 전통적인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르게 전자종이는 일반적인 종이처럼 반사광을 사용하며, 한 번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형성되면 추가적인 전력 공급 없이도 형성된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센서부(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휘어진다. 투명센서부(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변형에 따라 전기적 변화를 일으킨다. 제어부는 이러한 전기적 변화를 기초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센서부(200)는 투명기판(210), 상기 투명기판(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센서전극(230) 및 상기 센서전극(2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된 전극배선(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기판(21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송출되는 영상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더불어 투명기판(210)은 유연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투명기판(210)의 재질은 필름형태로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전극(23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휨에 따라 전기적 변화가 발생되는 부분이다. 센서전극(230)은 투명기판(210) 상에 복수개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전극(230)은 투명성을 갖으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써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및 안티몬-주석 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이나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과 같은 투명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극배선(250)은 센서전극(2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된다. 전극배선(250)은 센서전극(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극배선(25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휨에 따라 발생하는 센서전극(230)의 전기적 변화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전극배선(250)은 전도성이 우수한 은(Ag)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센서부(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투명센서부(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휘어져 센서전극(230)이 전기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입체 형태를 해석할 수 있으면 되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투명센서부(200) 사이에 별도의 층이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투명센서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지점을 측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접촉시 발생하는 센서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접촉지점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송출되는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어 스마트 TV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의 접촉을 수용하여야 하므로, 투명센서부(200)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에 구비될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센서부(200)는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의 입체 형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센서수단을 포함하며, 예컨데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일 수도 있다.
한편,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 안경식과 무안경식이 있다. 안경식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안경장치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안경장치를 착용해야만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안경식은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3D 입체 영상이 구현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무안경식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안경장치 없이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무안경식은 안경식과 달리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3D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시점에 따른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기술적 구성과 원리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러렉스 배리어(310)를 이용한 3D 입체 영상 구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와 투명센서부(200) 사이에 패러렉스 배리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구분되어 동시에 송출된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는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시차에 따른 시각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패러렉스 배리어(3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에서 송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부(312) 및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복수개의 투과부(314)를 포함한다. 차단부(312)와 투과부(314)는 교대로 배치되며, 사용자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차단부(312) 중 일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안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우안 영상의 광경로를 한정하고, 나머지 차단부(312)는 디스플레이부의 좌안 영상이 사용자의 우안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좌안 영상의 광경로를 한정한다. 따라서, 투과부(314)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좌안 영상은 사용자의 좌안에 입사되며, 우안 영상은 사용자의 우안에 입사됨으로써, 사용자에게 3D 입체 영상으로 보여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렌티큘라 렌즈(320)를 이용한 3D 입체 영상 구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라 렌즈(3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투명센서부(200) 사이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구분되어 송출된다.
렌티큘라 렌즈(320)는 반구형 단면 형상으로 사용자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태의 복수개의 렌즈(320a ,320b, 320c)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렌즈(320a ,320b, 320c)는 평면상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렌티큘라 렌즈(3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굴절시켜 사용자의 좌안에는 좌안 영상이 입사되고, 사용자의 우안에는 우안 영상이 입사됨으로써 사용자에게 3D 입체 영상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필터 안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사용자가 편광 필터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이 사용자에게 3D 입체 영상으로 보여진다.
편광 필터 안경에는 90°위상차가 존재하는 좌안 편광필름과 우안 편광필름이 각각 좌우측에 부착된다. 좌안 영상은 우안 편광필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좌안 편광필름을 통해 좌안에만 입사되며, 마찬가지로 우안 영상은 우안 편광필름을 통해 우안에만 입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시각정보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셔터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셔터 글라스의 착용시에만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때에는 제어부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교대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셔터 글라스의 우안 글래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 좌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을 차단하며, 좌안 글래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 우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에는 좌안 영상이 사용자의 우안에는 우안 영상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3D 입체 영상으로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투명센서부(2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를 기초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이 발생한 영역의 3D 깊이값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역을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3D 깊이값(Depth)을 조절함으로써, 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입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5을 참고하여 제어부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 해석 과정을 간단히 살펴본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휘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센서부(200)도 일체로 휘게 된다. 투명센서부(200)에는 전극배선(250)을 통해 센서전극(230)에 일정한 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라 상기 센서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이 심한 영역일수록 이에 대응되는 센서전극(230)의 거리(L1, L2, L3)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의 휨 정도가 심할수록 센서전극(230)이 서로 인접하게 되어 센서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커진다.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의 휨 정도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휨이 발생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역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복수개의 센서전극(230)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종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차원 입체 형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평면 상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제공되는 3D 입체 영상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휨이 발생한 경우에 3D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3D 깊이값 조절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휜 경우에 3D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제어부의 3D 깊이값 조절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평면 상태에서는 일반 3D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기설정된 3D 깊이값(D0)으로 3D 입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만, 종래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휘는 경우에도 이전 평면 상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D 깊이값(D0)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입체 영상이 구현되지 않거나 입체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3D 깊이값(DB)은 감소시키고,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의 3D 깊이값(DA)은 증가시키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말하며, '후방'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을 말한다.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경우, 3D 입체 영상이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보이거나 늘어져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록하게 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은 평면 상태일 때보다 3D 깊이값을 감소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른 튀어나와 보이는 효과를 상쇄시킨다. 이때, 볼록하게 휜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휨 정도(굴곡율)가 큰 영역일수록 3D 깊이값의 감소량이 더 크다.
또한, 후방으로 오목하게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은 3D 입체 영상이 상대적으로 함몰된 것처럼 들어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제어부가 오목하게 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의 3D 깊이값(DA)을 평면 상태일 때보다 증가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른 함몰되어 보이는 효과를 상쇄시킨다. 이때, 오목하게 휜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휨 정도(굴곡율)가 큰 영역일수록 3D 깊이값의 증가량이 더 크다.
한편, 여기서 3D 깊이값의 증감은 평면 상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해당 영역별 기설정된 3D 깊이값에 일정한 값을 더하거나 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어부가 일정 영역의 3D 깊이값을 증가시킴은 평면 상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의 해당 영역의 기설정된 3D 깊이값에 일정값을 더하는 것을 말한다. 즉, 도면에서는 동일한 3D 깊이값으로 도시되었으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역마다 3D 깊이값은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가 상기와 같이 3D 깊이값을 증감시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D 입체 영상(도 6 참조)과 동일하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휜 경우에도 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D 깊이값 조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감 향상을 위한 제어부의 기능을 살펴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복수개의 영역(E0, E1, E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 영역(E0)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 영역(E0)과 접하는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기설정 영역(E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으로써 임의적으로 설정한 영역을 말한다. 이러한 기설정 영역(E0)은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 영역(E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복수개 영역의 3D 깊이값을 조절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3D 깊이값(D0)을 가진 영역으로써 기능하거나 그 밖에 3D 입체 효과에 관련된 기술적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영역(E1)과 제2 영역(E2)은 기설정 영역(E0)과 접하는 영역으로써, 다양한 입체감 구현과 입체감의 향상을 위해 제1 영역(E1)과 제2 영역(E2)은 서로 다른 3D 깊이값(D1, D2)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른 입체감 보정을 위해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1, D2)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콘텐츠에 따라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영역(E1)과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1, D2)을 달리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E1)의 3D 깊이값(D1)은 증가시켜, 제1 영역(E1)의 3D 입체 영상은 더욱 돌출되어 가깝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E1)의 3D 깊이값(D1)을 감소시킴으로써 움푹 들어가 보이거나 원근감을 높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E1)의 3D 깊이값(D1)은 증가시키고,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2)은 감소시켜 3D 입체 영상의 단계적인 입체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은 기설정 영역(E0)과 상하좌우 어느 한 측면에서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영역(E1) 또는 제2 영역(E2)이 기설정 영역(E0)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은 기설정 영역(E0)과 서로 이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E1a, E1b, E2a, E2b)으로 더욱 세분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복수개의 단위 영역(E1a, E1b, E2a, E2b)으로 세분하여 3D 깊이값(D1a, D1b, D2a, D2b)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3D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으며, 디테일한 입체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복수개 영역(E1a, E1b, E2a, E2b)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복수개 영역(E1a, E1b, E2a, E2b)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오목하게 휜 경우에 3D 깊이값 조절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휜 경우에 제어부의 3D 깊이값 조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 기설정 영역(E0)을 중심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복수개의 영역(E1, E2)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역은 기설정 영역(E0)으로써 입체감 구현을 위한 3D 깊이값의 기준이 되는 영역이다. 기설정 영역(E0)은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정중앙을 마주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정면 시야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제1 영역(E1)은 기설정 영역(E0)의 좌측면에 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역을 말하고, 제2 영역(E2)은 기설정 영역(E0)의 우측면에 접하는 영역이다. 제어부는 기설정 영역(E0)의 3D 깊이값(D0)보다 크도록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1, D2)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E1)과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E2)에서의 3D 입체 영상은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의 3D 입체 영상보다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나와 보인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어 내부 공간과 같은 느낌을 줌과 동시에, 사용자의 좌우측의 3D 입체 영상이 더 튀어나와 보이므로 사용자는 마치 3D 입체 영상 내부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3D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도 11과 같이 원근감을 표현하는 영상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송출되는 경우, 근거리를 나타내는 영상이 송출되는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은 튀어나와 보이고, 원거리를 나타내는 영상이 송출되는 기설정 영역(E0)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들어가 보이므로 사용자는 실제 영상 내부에 있는 듯한 3D 입체감을 더욱 느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오목하게 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E1a, E1b, E1c, E1d) 및 제2 단위 영역(E2a, E2b, E2c, E2d)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E1a, E1b, E1c, E1d)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영역(E0)의 좌측에 위치한 제1 단위 영역(E1a)을 첫번째 제1 단위 영역이라 명명하여 순서대로 제1 영역(E1)의 단위 영역의 순서를 붙일 때, 두번째 제1 단위 영역(E1b)은 우측에 위치한 첫번째 제1 단위 영역(E1a)보다 3D 깊이값(D1b)이 크고, 세번째 제1 단위 영역(E1c)은 우측에 위치한 두번째 제1 단위 영역(E1b)보다 3D 깊이값(D1c)이 더 크다. 즉, 제1 단위 영역(E1a, E1b, E1c, E1d)의 3D 깊이값(D1a, D1b, D1c, D1d)은 사용자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3D 깊이값이 증가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2 단위 영역(E2a, E2b, E2c, E2d)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영역(E0)의 우측에 위치한 제2 단위 영역(E2a)을 첫번째 제2 단위 영역이라 명명하여 순서대로 제2 영역(E2)의 단위 영역의 순서를 붙일 때, 두번째 제2 단위 영역(E2b)은 우측에 위치한 첫번째 제2 단위 영역(E2a)보다 3D 깊이값(D2b)이 크고, 세번째 제1 단위 영역(E2c)은 우측에 위치한 두번째 제1 단위 영역(E2b)보다 3D 깊이값(D2c)이 더 크다.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3D 깊이값을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디테일하게 사용자가 마치 3D 입체 영상 내부에 있는 것 같은 3D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송출되는 영상에서 나타내는 공간 형태에 따라 상기 기설정 영역(E0),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0, D1, D2)을 공간 형태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내부에 있는 것과 같은 3D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픽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및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따른 제어부의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색감 및 밝기의 조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좌안 픽셀(PL)과 우안 픽셀(PR)로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P)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안 픽셀(PL)은 사용자의 좌안에 입사되는 영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우안 픽셀(PR)은 사용자의 우안에 입사되는 영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말한다. 좌안 픽셀(PL)과 우안 픽셀(PR)로 구성된 단위 픽셀(P)의 집합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따라 좌안 픽셀(PL)과 우안 픽셀(PR)의 색감 및 밝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실제로 사람이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과 동일하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좌안 / 우안에서 바라보는 3D 입체 영상의 색감 및 밝기를 상이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영상 내부에 들어와 있는 듯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을 기준으로 기설정 영역(E0)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E1)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밝기를 좌안 픽셀(PL)의 밝기보다 크도록 조절한다.
사람은 별도의 조명이 사용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가까운 물체를 멀리 있는 물체보다 밝게 인지한다. 따라서, 제1 영역(E1)에 해당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의 좌안보다 우안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밝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실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사용자간의 위치관계를 반영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3D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제어부는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색감을 좌안 픽셀(PL)의 색감보다 크도록 조절한다. 사람은 가까운 물체의 색감을 더욱 진하게 인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보다 우안에 가깝게 위치한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색감을 좌안 픽셀(PL)의 색감보다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3D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E0)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E2)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 밝기를 우안 픽셀(PR)의 밝기보다 크도록 조절한다.
즉, 제2 영역(E2)에 해당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의 우안보다 좌안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좌안 픽셀(PL)의 밝기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3D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제어부는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 색감을 우안 픽셀(PR)의 색감보다 크도록 조절한다. 사용자의 우안보다 좌안에 가깝게 위치한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 색감을 우안 픽셀(PR)의 색감보다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3D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E0)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E1)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의 밝기를 좌안 픽셀(PL)의 밝기보다 작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조절한다.
제1 영역(E1)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E1)은 사용자의 우안보다 좌안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밝기를 좌안 픽셀(PL) 밝기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사용자간의 위치관계를 반영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3D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제어부는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색감을 좌안 픽셀(PL)의 색감보다 작도록 조절한다. 사람은 먼 물체의 색감을 더 연하게 인지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E1)의 우안 영상을 좌안 영상보다 색감이 연하게 느낀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보다 우안에 더 멀리 위치한 제1 영역(E1)의 우안 픽셀(PR) 색감을 좌안 픽셀(PL)의 색감보다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3D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E0)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E2)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의 밝기를 우안 픽셀(PR)의 밝기보다 작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조절한다.
제2 영역(E2)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E2)은 사용자의 좌안보다 우안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 밝기를 우안 픽셀(PR)의 밝기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와 사용자간의 위치관계를 반영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3D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제어부는 제2 영역(E2)의 좌안 픽셀(PL) 색감을 우안 픽셀(PR)의 색감보다 작도록 조절한다. 사용자의 좌안에 더 멀리 위치한 제2 영역(E2)의 우안 픽셀(PR) 색감을 좌안 픽셀(PL)의 색감보다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3D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를 해석한다.(S1)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는 투명센서부(200)의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센서부(200)도 일체로 휘게 된다. 이때, 투명센서부(200)의 센서전극(230)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센서전극(230)의 정전용량도 변하게 된다. 복수개 센서전극(230)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기초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 정도 및 휨이 발생한 영역을 계산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를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조절한다.(S2, S3)
일실시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3D 깊이값(DB)은 감소시키고,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의 3D 깊이값(DA)은 증가시키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D 깊이값을 조절함으로써 평면 상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3D 입체 영상과 동일하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휜 경우에도 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의 경우, 3D 입체 영상이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보이거나 늘어져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볼록하게 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B)은 평면 상태일 때보다 3D 깊이값(DB)을 감소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른 튀어나와 보이는 효과를 상쇄시킨다.
또한, 후방으로 오목하게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은 3D 입체 영상이 상대적으로 함몰된 것처럼 들어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오목하게 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EA)의 3D 깊이값(DA)을 평면 상태일 때보다 증가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휨에 따른 함몰되어 보이는 효과를 상쇄시킨다.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E0)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1, D2)을 기설정 영역(E0)의 깊이값(D0)보다 크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치 3D 입체 영상 내부에 들어와 있는 듯한 3D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영역(E0)의 3D 깊이값(D0)보다 크도록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의 3D 깊이값(D1, D2)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E1)과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E2)에서의 3D 입체 영상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E0)의 3D 입체 영상보다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나와 보인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어 내부 공간과 같은 느낌을 줌과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0) 좌우측의 3D 입체 영상이 더 튀어나와 보이므로 사용자는 3D 입체 영상 내부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3D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E1a, E1b, E1c, E1d) 및 제2 단위 영역(E2a, E2b, E2c, E2d)으로 세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E1a, E1b, E1c, E1d)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게 하며, 복수개의 제2 단위 영역(E2a, E2b, E2c, E2d)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한다.
즉, 제1 영역(E1) 및 제2 영역(E2)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3D 깊이값을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3D 입체 영상의 원근감을 더욱 디테일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마치 3D 입체 영상 내부에 있는 것 같은 3D 입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200 : 투명센서부
210 : 투명기판 230 : 센서전극
250 : 전극배선 310 : 패러렉스 배리어
320 : 렌티큘라 렌즈

Claims (28)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송출하며,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휘어지는 투명센서부; 및
    상기 투명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를 기초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여 휘어짐이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3D 깊이값(depth)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어짐이 없는 영역보다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상기 기설정된 3D 깊이값보다 감소시키고, 상기 휘어짐이 없는 영역보다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상기 기설정된 3D 깊이값보다 증가시키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센서부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센서전극 및 상기 센서전극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된 전극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센서부에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센서전극의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지점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에 따른 상기 센서전극간의 거리 변화량을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된 영역과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을 상기 기설정 영역의 깊이값보다 크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 및 제2 단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게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위 영역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는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로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따라 상기 좌안 픽셀과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 및 밝기를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밝기를 상기 우안 픽셀의 밝기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측면에 접하는 제1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우측면에 접하는 제2 영역이 후방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좌안 픽셀의 색감을 상기 우안 픽셀의 색감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센서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부 및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복수개의 투과부가 교대로 배치된 패러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센서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굴절율로 굴절시키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각각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선택적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편광 필터 안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교대로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 좌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차단되는 우안 글래스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 우안 영상이 표시될 때 광차단되는 좌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셔터글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여 휘어짐이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3D 깊이값(depth)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휘어짐이 없는 영역보다 볼록하게 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상기 기설정된 3D 깊이값보다 감소시키고, 상기 휘어짐이 없는 영역보다 오목하게 후방으로 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3D 깊이값은 상기 기설정된 3D 깊이값보다 증가시키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휨에 따른 투명센서부의 센서전극간의 거리 변화량을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기설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3D 깊이값을 상기 기설정 영역의 깊이값보다 크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방법.
  26. 삭제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입체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3D 깊이값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 및 제2 단위 영역으로 세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위 영역은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게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위 영역은 우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이 좌측에 위치한 단위 영역의 3D 깊이값보다 크도록 3D 깊이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방법.
  28. 삭제
KR1020110135708A 2011-12-15 2011-1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KR10185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08A KR101850718B1 (ko) 2011-12-15 2011-1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US13/565,468 US9124865B2 (en) 2011-12-15 2012-08-0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3D image therein
EP12006255.9A EP2605517B1 (en) 2011-12-15 2012-09-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3D imag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08A KR101850718B1 (ko) 2011-12-15 2011-1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490A KR20130068490A (ko) 2013-06-26
KR101850718B1 true KR101850718B1 (ko) 2018-04-20

Family

ID=4685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708A KR101850718B1 (ko) 2011-12-15 2011-1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24865B2 (ko)
EP (1) EP2605517B1 (ko)
KR (1) KR101850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JP6195607B2 (ja) * 2012-04-03 2017-09-13 フラウンホ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ア フェデルンク デア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ュンク エーファウ 3d画像を再生するための自動立体視スクリーンおよび方法
KR102082779B1 (ko) * 2013-04-16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4309B1 (ko) * 2013-07-18 2020-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11407B1 (ko) * 2013-08-19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496522B2 (en) * 2013-12-13 2016-11-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optically coupled to curved substrate
US20150091796A1 (en) * 2013-09-30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738361B (zh) 2013-11-29 2021-09-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及資料處理裝置的驅動方法
KR102278816B1 (ko) * 2014-02-04 2021-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19510B1 (ko) 2014-02-04 2021-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곡률가변장치
KR20150092962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81887B1 (ko) 2014-02-11 2020-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2192986B1 (ko) 2014-05-23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N104093015B (zh) * 2014-06-23 2016-0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97382B1 (ko) * 2014-08-14 2020-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4238833B (zh) * 2014-09-03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39861B1 (ko)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64978A (ko) 2014-11-28 2016-06-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US10452195B2 (en) * 2014-12-30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gesture calib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60299531A1 (en) * 2015-03-17 2016-10-13 Roel Vertegaal Cylindrical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0488959B2 (en) * 2015-11-04 2019-11-26 Dell Products L.P. Flexible roll-u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R20170070574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IL292790A (en) * 2016-01-29 2022-07-01 Magic Leap Inc View for a 3D image
US10911742B2 (en) * 2016-03-08 2021-02-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louvered filte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N110411472B (zh) * 2019-07-31 2021-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导航系统
US11782190B2 (en) 2019-09-06 2023-10-10 Apple Inc. Optical film arrangement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968A1 (en) * 2009-07-21 2011-01-27 Fujifilm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s well as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79B1 (ko) 2008-08-21 201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US20130093753A1 (en) * 2011-10-14 2013-04-18 Nokia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968A1 (en) * 2009-07-21 2011-01-27 Fujifilm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s well as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5052A1 (en) 2013-06-20
KR20130068490A (ko) 2013-06-26
EP2605517A3 (en) 2014-01-01
US9124865B2 (en) 2015-09-01
EP2605517B1 (en) 2016-01-13
EP2605517A2 (en)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7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KR101729682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857616B2 (en) Touch sensing optical syste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654281B2 (ja) 液晶レンチキュラレンズ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立体表示装置、端末機
KR101852121B1 (ko) 전자 영상 기기
US8582043B2 (en) 2D/3D switchable LC lens unit for use in a display device
JP5607430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194145B2 (en) 3D display device for reducing moving flicker
EP28163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TWI514007B (zh) Display device
US8625037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45158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50037012A (ko)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무안경식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JP2014228852A (ja) 表示装置
KR10195828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106217B1 (ko)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패럴렉스 배리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70011048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TW201341914A (zh) 立體顯示裝置及其主動式光學元件
KR20100112902A (ko) 2d/3d 전환가능한 영상 표시 장치
CN116525337A (zh) 具有裸视3d功能的按键及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