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951B1 -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 Google Patents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951B1
KR101848951B1 KR1020137000576A KR20137000576A KR101848951B1 KR 101848951 B1 KR101848951 B1 KR 101848951B1 KR 1020137000576 A KR1020137000576 A KR 1020137000576A KR 20137000576 A KR20137000576 A KR 20137000576A KR 101848951 B1 KR101848951 B1 KR 10184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umidifying
humidifying filter
filters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6422A (en
Inventor
히로유키 하나오
다카유키 나카무라
가츠미츠 스사키
히사아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필터 기재에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 장을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가습용 필터에 있어서, 그 돌기부가, 기재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용 필터이고, 이 가습용 필터는, 경량인 얇은 필름상의 필터 기재를 사용해도,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 사이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가습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필터 기재의 파손의 문제가 적다는 이점을 갖는다. A humidifying fil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a filter substrate and used as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substrate And this humidifying filter can secure a gap between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even when a lightweight thin film filter substrate is used so that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does not decrease and the filter substr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little problem of breakage.

Description

가습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 적층체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Technical Field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filter,

본 발명은, 가습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filter and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가습 장치에 사용하는 가습용 필터로서, 흡수성을 갖는 시트상의 가습용 필터의 일부를 수조에 침지시키고,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빨아올려 건조 공기를 통풍시킴으로써, 가습 공기를 얻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빨아올리는 방식의 가습용 필터에서는, 공급된 수중의 규소, 칼슘, 마그네슘 등의 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스케일이 되어 가습용 필터에 부착되면, 물을 빨아올리는 효과가 저하되어, 가습 성능이 저하되는 과제가 있었다.Humidifying air is obtained by immersing a part of a humidifying filter on a sheet having an absorbent property in a water tank and sucking water by capillary phenomenon to ventilate dry ai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However, in a humidifying filter in which water is sucked up by a capillary phenomenon, when a compound containing elements such as silicon, calcium, and magnesium in the supplied water becomes a scale and is attached to a humidifying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umidify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흡수성이 낮은 발포 형상의 기재에 친수성의 무기 화합물을 담지하여 이루어지는, 스케일이 부착되어도 가습 성능이 잘 저하되지 않는 가습용 필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 마찬가지로 흡수성이 낮은 필터 기재의 표층부에 적당한 공극을 형성하여, 그 공극에 물을 유지시킴으로써 가습 성능을 개량한 가습용 필터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filter for humidification in which a hydrophilic inorganic compound is carried on a substrate of a foamed form having a low water absorptivity, and the humidification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even if scale is adhered (for example, 2). Also, a filter for humidification which improves the humidifying performance by forming a suitable air gap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of the filter base material having a low water absorbency and holding the water in the air gap is also propos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3).

또한 필터 기재로서, 수지판 또는 금속판으로 제조된 원판상 또는 고리형 판의 필터 기재인 가습용 필터가 제안되어 있고, 이 가습용 필터가 복수 장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가습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습용 필터의 하부가 수조 중에 침지됨으로써, 가습용 필터가 젖어, 그 후, 회전하여 건조 공기에 접촉한 가습용 필터로부터 물이 기화되어, 가습 공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원판상의 필터 기재인 가습용 필터는, 스케일이 부착되어도, 간단하게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으므로, 최근, 제조량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10 참조).As a filter substrate, there has been proposed a filter for humidification which is a filter substrate of a disk-like or annular plate made of a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A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lters for humidification are laminated is installed in a humidifier have.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in the water tank, so that the humidifying filter is wetted, and then the water is evaporated from the humidifying filter which is rotat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ry air, thereby obtaining humidified air. Such a humidifying filter, which is a disk-shaped filter substrate, can easily be separated and cleaned even if a scale is adhered. Thus, the production volume has recently increas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4 to 10).

이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구성하는 가습용 필터에 있어서, 가습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웃하는 가습용 필터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는 방법, 수조로부터 물을 퍼내기 쉽게 하는 방법, 공기가 흐르기 쉽게 하는 방법 등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는, 합성 수지제의 원판상 기재이고, 그 표면에, 높이 1 ㎜ 정도의 원형 돌기부가 스페이서로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도 합성 수지제의 원판상 기재이다. 이 기재의 양면에, 반원호 형상의 리브와, 그 리브와 동일한 높이의 베어링편 (片) 이 장착되어 있고, 이 리브와 베어링편이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in the humidifying filter constituting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 method of preventing contact between neighboring humidifying filters, a method of facilitat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how to make it easier. For example, the humidifying filt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is a circular plate-like b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circular protrusion having a height of about 1 mm is formed as a spacer on the surface thereof. The humidifying filt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5 is also a disc-shaped substrate made of a synthetic resin. A half-arc shaped rib and a bearing piec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rib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and the rib and the bearing piece serve as spacers.

특허문헌 6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는 고리형 판 기재이고,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을 이루는 복수의 단위 형상 (리브, 돌조 (突條) 등)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위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간격마다 어긋나게 했을 때, 및 전면과 후면을 반대로 했을 때에, 전체적으로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특허문헌 6 의 가습용 필터는,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전체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간격마다 어긋나게 해도, 전면과 후면을 반대로 해도 변함없기 때문에, 분리하여 세정했을 때에, 방향을 신경쓰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The humidifying filt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6 is an annular plate substrate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nit shapes (ribs, protrusions, etc.) which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nd which are formed as a whole. These unit shapes have symmetry as a whole when they are displ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intervals and wh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reversed. As a result, in the humidifying filter of Patent Document 6, the entire shape of each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does not change even i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reversed even if they are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interval.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assembled easily.

특허문헌 7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는, 가습용 필터와는 별개의 스페이서가 준비되어, 각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습용 필터와 스페이서가 분리되어 있음으로써, 청소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여,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7, a spacer separate from the humidifying filter is prepared and disposed between the filter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spac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leaning and maintenance are easy and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특허문헌 8 에는, 원주를 따라, 절기 (切起) 부가 형성된 가습용 필터가 기재되어 있어, 온풍을 통과시킨 경우, 이 절기부의 선단에서 물이 증발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의 증발량이 늘어나, 가습 장치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8 discloses a humidifying filter in which a blowing portion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When the warm air is passed through the humidifying filter,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increased because water is evaporated from the tip of the blow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p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특허문헌 9 에는,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복수 개의 관통공을 통하여 가습용 필터의 표리 양면으로부터 공기류가 관류 (貫流) 됨으로써,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가습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9 에는, 외주 가장자리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중심부에 돌기부와 동일한 높이의 베어링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습용 필터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9 discloses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n which a humidifying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is laminated so that air flows from both sides of the humidifying filter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flow therethroug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for driving the filter laminate for use and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humidifying ability can be maximized. Patent Document 9 discloses a method of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by forming a protruding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and forming a bearing portio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central portion.

특허문헌 10 에는, 중심부에 개구부를 갖는 필터 기재에 있어서, 이 개구부의 주위에 단차를 형성하여 스페이서로서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0 discloses that a filter base having an opening in its central portion is used as a spacer by forming a step around the opening.

그러나, 특허문헌 4∼10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는, 두께 1 ㎜ 이상의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두꺼운 판을 사용하고, 필터 기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결과, 복수 장 적층하면, 대형이고 무거운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humidifying filter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4 to 10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using a resin substrate or a metal thick plate with a thickness of 1 mm or more and using a filter substrat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ilter laminate for a humidification is large and heavy.

가습용 필터 적층체의 경량화를 위해서는, 경량인 얇은 필름상의 필터 기재를 사용하여 가습용 필터를 적층할 필요가 있다. 필름상의 필터 기재를 사용하여, 특허문헌 4∼10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리브, 베어링편 등의 돌기부, 절기부, 단차, 관통공 등을 형성한 경우, 필터 기재 자체의 탄력이 없기 때문에,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가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접촉하여, 바람이 잘 통과하지 않게 되어, 가습량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it is necessary to laminate the filter for humidification using a light-weight thin film-like filter substrate. In the case where protrusions, ribs, stepped portions, through holes, etc. of ribs, bearing pieces, etc. are formed by using a film-like filter substrate according to the method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4 to 10, there is no elasticity of the filter substrate itsel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so that the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well and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decreases.

또, 특허문헌 10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에서는, 가습량을 높이기 위해서,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다.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는, 금형을 사용한 사출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원판상의 필터 기재를 제조한 후에, 침지법 등에 의해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방법을 필름상의 필터 기재에 적용한 경우에는, 필터 기재의 강도가 작기 때문에, 필터 기재가 절곡되거나, 흠집이 생기거나 하는 파손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0, in a humidifying filter composed of a resin plate, hydrophilization treatment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humidification amount. The humidifying filter made of a resin plate is generally subjected to a hydrophilic treatment by a dipping method or the like after producing a filter base material on a disk by a means such as injection molding using a metal mold. There is a case where the filter substrate has a small strength so that the filter substrate may be bent or scratched.

일본 특허 제2514145호Japanese Patent No. 251414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5554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31555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868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9868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9995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29995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9532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32953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788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788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8039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80397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7-12832호Japanese Utility Mode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7-1283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718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57188 국제 공개 제2009/063884호 팜플렛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9/063884 pamphl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량인 얇은 필름상의 필터 기재를 사용해도,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 사이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가습량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필터 기재의 파손 문제가 적은 가습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ter substrate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a gap between adjacent filters for humidification even when using a lightweight thin film filter substrate, And to provid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which is formed by laminating a humidifying filter and a humidifying filter which are less problematic.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재와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1) 필터 기재에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 장을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가습용 필터에 있어서, 그 돌기부가, 기재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용 필터.(1) A humidifying filt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a filter substrate and used as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substrate A filter for humidification.

(2) (1)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2)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the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1), wherein protrusions of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3)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2)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3)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2), wherein protrusions of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4) 원주 방향으로 (90/N)°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N 종류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가습용 필터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3)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4)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3), wherein N kinds of humidifying filters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provided with projections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

(5) 가습용 필터에 위치 맞춤용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5)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4), wherein a mark for positioning is formed on the humidifying filter.

(6)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 통축 (通軸) 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6)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5), wherein a hole for a passage shaf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7)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을 원주 방향으로 (90/N)°회전시켰을 때의 형상과 회전 전의 구멍의 형상이 합동 (合同) 이 아닌 (4)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7) A barrel-shaped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shape when the hol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90 / N) degrees and the shape of the hole before the rotation are not congruent (4 ). ≪ / RTI >

(8)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편면에만 형성되고, 또한 그 돌기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가습용 필터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8)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ying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7), wherei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formed on only one side and the protruding portions thereof ar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9) 돌기부에 있어서의 최하부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 영역이 돌기부에 존재하는 (1)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9) The filter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1), wherein a reg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present in the protruding portion.

(10) 돌기부는,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잘라냄부의 일부를 가압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절곡선의 길이보다 긴 폭을 갖는 영역이 돌기부에 존재하는 (1)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10)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base material and bending a part of the cut portion by pressing, and the region having a wid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olding line is present in the projecting portion. filter.

(11) (9) 또는 (10)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11)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the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9) or (10).

(12)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돌기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길이, 또한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습용 필터의 반경인 (2)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12)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radius of the humidifying filter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13) 가습용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복수 개 존재하는 (2)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13)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2), wherein the humidifying filter has a plurality of holes for passing air therethrough.

(14) 가습용 필터의 외주부의 형상이, 원주 방향에 있어서, 요철 형상인 (2) 에 기재된 가습용 필터 적층체.(14)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2), wherein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a concavo-convex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 (1) 은, 필터 기재에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 장을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가습용 필터에 있어서, 그 돌기부가, 기재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용 필터이다. 돌기부가 기재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렴하고 간이적으로 돌기부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에서는, 금형을 사용한 사출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원판상의 필터 기재를 제조한 후에, 침지법 등에 의해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방법을 필름상의 필터 기재에 적용한 경우에는, 필터 기재의 강도가 작기 때문에, 필터 기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 (1) 에 의하면,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광폭 장척 필름으로부터 원하는 형상의 필터 기재를 잘라낸 후에, 돌기부를 가압에 의해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필터 기재가 파손되지 않고, 가습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1) relates to a humidifying fil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a filter base material and used as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the protrusions being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base material Is a filter for humidification. Since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pressing the substrate, the protrusions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simply. In the conventional humidifying filter made of a resin plate, it is general that the hydrophilic treatment is performed by a dipping method or the like after the filter base material on the disk is produced by means such as injection molding using a metal mold. The filter base material is damaged due to the small strength of the filter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formed by pressing after cutting out the filter base material having a desired shape from the wide-width long film subjected to the hydrophilization treatment, the filter base material is not broken, .

본 발명 (2) 는, 필터 기재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로서 필터 기재에 돌기부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압에 의해 돌기부를 부여한 경우, 돌기부의 볼록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 가습용 필터 사이의 간극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필름상의 필터 기재의 경우, 탄력이 없기 때문에, 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 (2) 에 의하면,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한 가습 필터를 복수 장 적층하는 경우,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의 볼록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humidifying filte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a filter substrate,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overlap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In order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t is common to provide protrusions on the filter substrate as spacers. In the case where the protruding portions are provided by pressing, the convex por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a gap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by entering into the concave por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filter base material on the film, this problem is liable to occur because there is no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when a plurality of humidifying filters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re laminated, protruding portions of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gap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is not blocked, and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obtained.

본 발명 (3) 은,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한 가습 필터를 복수 장 적층하는 경우,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기부의 볼록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3)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lurality of humidifying filters each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re stacked, protruding portions of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Therefore, convex por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s do not overlap with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gaps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are not blocked, and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obtained.

본 발명 (4) 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90/N)°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N 종류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가습용 필터가 차례대로 적층됨으로써, 돌기부의 볼록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인접한 가습용 필터 기재끼리가 확실하게 중첩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4), N kinds of filters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provided with projections at positions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N) degrees are laminated in order, whereby convex portions of the projections The adjacent filter elements for humidification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reliably. Therefore, the gap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is not blocked, and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obtained.

본 발명 (2)∼(4) 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에 위치 맞춤용 마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 (5)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간단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져,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n which the positioning marks are formed on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So that the gaps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bstructed and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obtained.

본 발명 (2)∼(5) 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 (6)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가습용 필터를 치우침 없이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n which the hole for the passag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humidifying filter can be laminated without bias .

본 발명 (4) 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을 원주 방향으로 (90/N)°회전시켰을 때의 형상과 회전 전의 구멍의 형상이 합동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7)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가습용 필터를 적층할 때에,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의 돌기부가 용이하게는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4), a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shape when the hol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N) degrees and the shape of the hole before rotation are not jointed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the protrus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do not easily overlap with each other, , And a stabl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 (2)∼(7) 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편면에만 형성되고, 또한 그 돌기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가습용 필터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 (8)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는, 적층할 때에 틀리지 않고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n which the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formed only on one side, The sieve can be stacked without fail when stacked.

본 발명 (1) 에 있어서, 최하부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 영역이 그 돌기부에 존재하는 본 발명 (9) 의 가습용 필터에서는, 인접한 필터 기재끼리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 (1) 에 있어서, 돌기부가,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잘라냄부의 일부를 가압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절곡부의 길이보다 긴 폭을 갖는 영역이 그 돌기부에 존재하는 본 발명 (10) 의 가습용 필터에 있어서도, 인접한 필터 기재끼리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9) 또는 (10) 의 가습용 필터를 복수 장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 (11)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는,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1), in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n which a reg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lowermost width exists in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sions of adjacent filter substrates are not overlapp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and bending a part of the cut-out portion by pressing, and a reg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lso in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invention (10), the projections of the adjacent filter substrates do not overlap. Therefore,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humidifying fil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or (10) are laminated can secure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without closing the gap It becomes.

본 발명 (2) 에 있어서,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돌기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길이, 또한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습용 필터의 반경인 본 발명 (12)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돌기부의 형상이 타원상, 직사각형상 등이고, 그 장축이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돌기부는, 바람의 흐름을 의도적으로 변경하여, 바람이 잘 흐르지 않는 부분으로까지 충분히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2),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the circumferential length 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protrusions are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s have an oval shap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ike, and the major axis thereof is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protruding portion having such a shape can intentionally change the flow of the wind to sufficiently flow to the portion where the wind does not flow well,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본 발명 (2) 에 있어서, 필터 기재에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은 본 발명 (13)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바람이 필터 기재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져, 바람의 체류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2), in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n which a hole for passing air through the filter base is formed, wind can pass between the filter substrates, So that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increased.

본 발명 (2) 에 있어서, 필터 기재의 외주부의 형상을 요철상으로 한 본 발명 (14) 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필터 기재의 측면부의 면적이 증가하여,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2), the area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base material increases i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n which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lter base material is uneven, whereby th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름상의 얇고 가벼운 필터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제조 공정 중에 필터 기재가 파손되지 않고, 또 인접한 필터 기재끼리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얻어지므로,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는, 안정적인 가습량을 낼 수 있다. 또, 세정 후에도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어,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는 효과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thin and light filter base material on a film is used, a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is obtained in which the filter base material is not brok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rotrusions of adjacent filter base materials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btained by laminating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laminate even after cleaning, and it has an effect that it does not take time.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점선 XY 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점선 ST 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돌기부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돌기부의 확대도이다.
도 13 은 가습용 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고,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 는 가습용 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고,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 는 가습용 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고,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 은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수조에 침지시켜 회전시키고 있는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 외 (비교예 1) 의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점선 UV 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를 상방에서 본 개략도 및 돌기부를 점선 XY 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8 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9 에 관련된 돌기부의 단면도 및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 에 관련된 돌기부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ruding portion at a dotted line XY in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ruding portion at a dotted line ST in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jec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jection.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low of wind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in a water bath and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low of wind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in a water bath and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low of wind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in a water bath and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1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s immersed in a water bath and rotated.
1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ative Example 1).
Fig.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otted line UV in Fig. 18;
Fig. 20 is a schematic view of the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taken along a dotted line XY.
21 is a top view of the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top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plan view of the projection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필터 기재로는, 수지제의 판, 필름,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판,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수 처리 후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스케일의 부착도 억제할 수 있도록, 비발포 형상의 수지제의 판,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e filter substrate, a resin plate, a film, a plate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luminum, a film, or the like can be used. A plate or film made of a non-foamed resin is preferably used so that a water film can be formed after the hydrophilic treatment and scale adhesion can be suppressed

필터 기재에 사용하는 수지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방향족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ABS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M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수지 (AB 수지) 등의 부타디엔계 수지,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PM (M)A 수지)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 resin used for the filter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romatic resins such as polystyrene resi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crylonitrile-styrene resin (A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Styrene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styrene resin (MS resin), butadiene resins such as acrylonitrile-butadiene resin (AB resin), polymethyl (meth) acrylate resin (PM (Meth) acryl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s,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s and polypropylene resins, and polycarbonate resins.

필터 기재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가습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 적층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필터 기재로는,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10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500 ㎛ 이다. 필터 기재의 두께가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면, 필터 기재의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한편, 필터 기재의 두께가 바람직한 범위를 초과하면, 가습 장치 내에 있어서 단위 용적에 수용할 수 있는 가습용 필터 장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가습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중량이나 비용 면에서도,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filter substrate thinner,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Therefore, as the filter substrate, a film is more preferably used. The thickness of the filter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to 1000 占 퐉, more preferably 50 to 50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 to 50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filter substrate is less than the preferable range, the filter substrate may be deformed or damaged.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filter base material exceeds the preferable range, the number of humidifying filter housing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 unit volume in the humidifying device decreases, so that sufficient humidification performance may not be obtained. Also, from the viewpoints of weight and cost, it is preferable to be within the above range.

돌기부를 형성하는 수단으로는, 필터 기재의 일부를 가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가압하는 방법으로는, 가압만으로 돌기부를 형성하는 방법,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가압에 의해, 필터 기재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절곡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압만으로 돌기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필터의 일부를 잘라내고 나서 가압하는 방법보다 바람직하고, 이것은, 저렴하고 간이적으로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 잘라냄부가 없는 편이, 필터 기재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As means for forming the protruding portion, a method of pressing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is used. Examples of the method of pressing this include a method of forming protrusions only by pressing, a method of cutting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and bending the filter base material vertically or obliquely to the filter base material by pressurization. The method of forming protrusions only by pressing is more preferable than the method of cutting out a part of the filter and then pressing it. This is because the protrusions can be formed inexpensively and easily, and the cut- It does not happen.

돌기부의 높이는 0.5∼3.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 이다. 돌기부의 높이가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면, 가습용 필터끼리의 간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바람이 잘 통하지 않게 되어, 가습량이 나오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한편으로, 돌기부의 높이가 바람직한 범위를 상회하면, 가습 장치 내에 있어서 단위 용적에 수용할 수 있는 가습용 필터 장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가습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돌기부의 수, 폭은 한정되지 않고, 가습용 필터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는 것이다.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s preferably 0.5 to 3.0 mm, and more preferably 1.0 to 2.0 mm. If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less than the preferable range, the gap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air can not pass through well and the humidification amount may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exceeds the preferable range, the number of the humidifying filter housable in the unit volume in the humidifying device is reduced, so that sufficient humidification performance may not be obtained. Further, the number and width of the protrusions are not limited, and are arbitrari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umidifying filter.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돌기부의 볼록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project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the convex portions of the projecting portions do not enter into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Since the humidifying filter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 gap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is not blocked, and a stable humidification amount can be obtain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fr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may be provid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구체예로서, 원주 방향으로 (90/N)°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N 종류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가습용 필터를 차례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서는,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는 중첩되지 않고, 서로 상이한 위치에 존재시킬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in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n which N types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of humidifying filters provided with projections at positions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N) degrees are laminated in order, The protrusions of the filter for use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present at different positions.

도 1∼4 는, 필터 기재 (10) 에 통축용의 구멍 (2) 과 복수의 돌기부 (3) 를 구비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은, N=2 인 경우이고, 원주 방향으로 (90/2)°=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 (3) 를 구비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2 종류의 가습용 필터 (1A 와 1B) 가 순서대로 적층된 경우, 가습용 필터 (1A 와 1B) 각각의 돌기부 (3) 는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하는 간극이 폐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는, N=3 인 경우의 가습용 필터를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고, 도 3 은, N=6 인 경우의 가습용 필터를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Figs. 1 to 4 are schematic plan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hole 2 for passag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3 in a filter base 10. Fig.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in order, in which N = 2, and having protruding portions 3 at positions displaced by (90/2) DEG = 45 DE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two kinds of humidifying filters 1A and 1B are stacked in order, the protruding portions 3 of the humidifying filters 1A and 1B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gaps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are not blocked, Can be issue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case of N = 3 in order,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case of N = 6 in order.

다른 구체예로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용 필터 (1C) 의 돌기부 (3) 와 가습용 필터 (1D) 의 돌기부 (3) 가, 각각 반경이 상이한 원주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인접한 경우에 서로의 돌기부 (3) 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4, the protruding portion 3 of the humidifying filter 1C and the protruding portion 3 of the humidifying filter 1D are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different radii, and in the adjacent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rotruding portions 3 fr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가습용 필터에는, 통축용의 구멍이나 위치 맞춤용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가습용 필터가 치우침 없이 적층된다. 도 5 및 6 은, N=2 이고, 원주 방향으로 (90/2)°=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 (3) 를 구비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통축용의 구멍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 의 (I) 과 같이, 통축용의 구멍이 진원 (眞圓) 인 경우,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회전할 때에, 가습용 필터도 움직여, 인접한 가습용 필터가 중첩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통축용의 구멍의 형상은 진원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 의 (II) 와 같이, 통축용의 구멍이 정팔각형인 경우,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회전할 때에, 가습용 필터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가습용 필터는 회전 중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N=2 인 경우에 있어서의 정팔각형과 같이, 원주 방향으로 (90/N)°회전시킨 전후에 통축용의 구멍의 형상이 합동이 되는 경우, 가습용 필터에 축을 통과시켜 적층할 때에, 가습용 필터가 회전되거나, 통과시킬 때의 방향을 틀리거나 하여,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드물게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도 6(I) 의 가습용 필터와 같이, 위치 맞춤용 마크 (11) 를 형성하는 것이나, 도 6(II)∼(IV) 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90/N)°회전시킨 전후에 통축용의 구멍의 형상이 합동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맞춤용 마크는,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노치를 넣어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의 경우, 필터 기재의 편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idifying filter is provided with a hole for passage and a mark for positioning. If a hole for barrel shrinkage is formed, the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without shifting. 5 and 6 are schematic plan views sequentially showing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provided with protrusions 3 at positions where N = 2 and deviated from (90/2) 占 = 45 占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hole for the barrel shan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hen the hole for barrel shrinkage is circular as shown in (I) of Fig. 5, whe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rotat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djacent filters for humidification are overlapp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hole for barrel shafting is not a true cir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I), when the hole for barrel shafts is octagonal, since the humidifying filter does not move whe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rotates,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is superposed It is preferable.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hapes of the holes for barrel shafts are made to coincide before and after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90 / N) degrees as in the regular octagonal case in the case of N = 2, , The humidifying filter may be rotated or the direction of passing may be wrong, and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may rarely overlap.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humidifying filter shown in Fig. 6 (I), it is possible to form the positioning marks 11 or to form the positioning marks 11 by rotating the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90 / N)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shapes of the holes for barrel shafts from becoming coincident before and after. The alignment mark may be formed by printing or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notch. In the case of printing, it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substrate, or on both sides.

도 1 에 나타낸 가습용 필터는, 돌기부 (3) 가 가압에 의해 형성된 예이고, 돌기부 (3) 가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 7 은, 도 1 의 점선 XY 에 있어서의 돌기부 (3) 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 은, 돌기부가 필터 기재 (10) 의 양면에 형성된 가습용 필터 (1E 및 1F) 이고, 가습용 필터 (1E 와 1F) 의 돌기부는, 원주 방향으로 (90/2)°어긋나 있다. 도 9 는, 도 8 의 점선 ST 에 있어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돌기부 (3A) (도 8:실선) 와 반대면에, 돌기부 (3B) (도 8:파선) 가 가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는 필터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가습용 필터 제조의 시간이 걸리지 않고, 또한 그 돌기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적층할 때에 틀리지 않고 적층하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돌기부가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humidifying filter shown in Fig. 1 is an exampl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3 is formed by pressing, and the protruding portion 3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base 10.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3 at the dotted line XY in Fig. Fig. 8 shows the humidifying filters 1E and 1F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ubstrate 10 with the protrusions. The protrusions of the humidifying filters 1E and 1F are shifted by 90/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t the dotted line ST in Fig.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rotruding portion 3A (Fig. 8: solid line), a protruding portion 3B (broken line in Fig. 8) is formed by pressing.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base, or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It is not necessary to take time for manufacturing the filter for humidification, and by making the protrusions face in the same direc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only on one side.

가압만으로 형성된 돌기부의 형상은, 원주상, 삼각기둥상 등의 다각기둥상, 원추, 삼각추 등의 다각추, 완상 (椀狀)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 돌기부의 최대 폭이, 돌기부의 최하부의 폭 이하인 경우에는, 가습용 필터를 적층한 경우에, 돌기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 가습용 필터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바람이 잘 통과하지 않게 되어, 가습량이 저하된다. 그래서, 돌기부의 최대 폭을 돌기부의 최하부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의 돌기부의 위치가 동일해도,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되어, 가습용 필터 사이에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hape of protrusions formed only by press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ular prism shap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one, a triangle, or a bowl shape.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s of the projec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the same,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projections is not more than the width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s, when the filters for humidifying are laminated, the projections overlap the recesse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The gap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is lost, and the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humidifi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Thus, by making the maximum width of the protruding portion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the same,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ensured.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필터 기재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절곡하는 방법에 있어서, 돌기부의 형상은, 원호상, 각 형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정삼각형의 2 변을 잘라내고, 바닥변을 필터 기재에 대해 90°로 절곡한 경우,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의 위치가 동일하면, 인접한 필터 기재의 절결부에 돌기부가 비집고 들어가, 필터 기재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바람이 잘 통과하지 않게 되어, 가습량이 저하된다. 그래서, 절곡선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 영역이 돌기부에 존재함으로써,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의 돌기부의 위치가 동일해도, 가습용 필터에 존재하는 돌기부의 절결부에,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게 되어, 기재끼리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가습량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cutting a part of the filter base material and bending the filter base material perpendicularly or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ilter base,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an arc shape and an angular shape. However, for example, when two sides of a regular triangle are cut out and the bottom sides are bent a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lter substrate, if the positions of the projec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the same, projections are projected on the cutouts of the adjacent filter substrates The clearance between the filter substrate and the filter substrate is lost, the air can not pass through the filter, and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decreases.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the sam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is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existing in the humidifying filter,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s can be ensured, and a stabl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provided.

돌기부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돌기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길이, 또한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습용 필터의 반경인」형상이어도 된다. 도 10 은, 필터 기재 (10) 에 통축용의 구멍 (2) 과 복수의 돌기부 (3) 를 구비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돌기부 (3) 의 확대도이고, 부호 A 가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이고, 부호 B 가 「돌기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길이」이다.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돌기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길이, 또한 돌기부에 있어서의 가습용 필터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습용 필터의 반경인 돌기부」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도 11 에 나타낸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도 12 에 나타낸 직사각형, 타원형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을 들 수 있다. Although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Quot ;, and the length &quot; is the radius of the humidifying filter &quot;.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hole 2 for passag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3 in the filter base 10. Fig.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3 of Fig. 10, wherein A is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at the protruding portion" and B i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Quot;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quot; As a specific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adial length of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portion which is the radius of the humidifying filter , A rectangle having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 11, a rectangle as shown in Fig. 12, and an elongated shape such as an ellipse.

도 13 은, 완상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를 수조 (20) 에 침지시키고, 회전 방향 (22) 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 (23) 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바람은 거의 돌기부 (3) 에 부딪치지 않고, 그대로 흘러 간다. 이것에 대해, 도 14 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 (3) 를 구비한 가습용 필터를 회전시키면, 돌기부 (3) 가, 가습용 필터 적층체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바람의 방향을 하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종래, 바람이 잘 흘러들지 않았던 가습용 필터 적층체 하부에 바람을 통과시킬 수 있어,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wind flow 23 when the humidifying filter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on the top is immersed in the water bath 20 and rotated in the rotation direction 22, (3), and flows as it is.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humidifying filter provided with the elongated protruding portion 3 is rotated, the protruding portion 3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wind entering into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downward , The wind can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which has not flowed well in the past, and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increased.

도 15 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7) 이 복수 개 존재하는 가습용 필터를 수조 (20) 에 침지시키고, 회전 방향 (22) 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 (23) 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7) 이 존재함으로써, 바람은 그 구멍 (7) 을 통과하여, 필터 기재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져, 바람의 체류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7) 은, 필터 기재 (10) 중의 어디에 형성해도 되는데, 그 구멍 (7) 이 젖지 않도록, 항상 수면 (水面) (21) 상에 있는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필터 기재 (10) 의 중앙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shows the flow of wind 23 when the humidifying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7 for passing air is immersed in the water bath 20 and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22 Fig. The presence of the hole 7 for passing the air allows the wind to pass through the hole 7 and to pass between the filter substrates so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wind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increased. The hole 7 for passing the air may be formed anywhere in the filter substrate 10. Si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7 is always on the water surface 21 so that the hole 7 is not wetted, 10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portion.

필터 기재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별형, 물결형 등을 들 수 있고, 가습 장치 내에 있어서 회전시에 회전 가능하면 특별히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부정형이어도 된다. 그러나, 필터 기재의 외주 형상을 요철상으로 하고, 별형이나 물결형 (도 16) 등으로 한 경우에는, 필터 기재 외측의 단면적이 원형과 비교한 경우보다 증가하여, 그 결과, 물에 젖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The shape of the filter base may be circular, polygonal, star-shaped, wavy,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filter b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lter base is rotatable in the humidifier. However,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filter base material is a concavo-convex shape and a star shape or a wavy shape (Fig. 16) or the like is used, the cross-sectional area outside the filter substrat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ircular shape,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obtained.

가습용 필터는, 친수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 성능은, 가습 장치 운전시, 가습용 필터의 표층에 수막을 형성시킬 목적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안정적인 가습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친수 성능은, 필터 기재의 재료로서, 친수성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필터 기재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 플라즈마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의 방전 처리, 계면 활성제 처리, 그래프트 처리, 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이들 중,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The humidifying filter preferably has a hydrophilic property. The hydrophilic performance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water film on the surface layer of the humidifying filter when the humidifying device operates, and it can provide a stable humidifying performance. The hydrophilic performance can be measured by a method using a hydrophilic material, a method of roughening the surface of a filter substrate, a discharge treatment such as a plasma treatment or a corona treatment, a surfactant treatment, a graft treatment, a method of forming a hydrophilic layer . Among them, a method of forming a hydrophilic lay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durability.

친수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친수층은 친수성이 우수하고, 가습 장치 운전시, 가습용 필터의 표층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시킬 목적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The hydrophilic layer will be described. The hydrophilic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ydrophilicity and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uniform water film on the surface layer of the humidifying filter when the humidifier is in operation.

친수층에는, 미립자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는, 유기 미립자여도 되고 무기 미립자여도 된다. 미립자 내부의 공공 (空孔) 에 대해서는, 내부에 공공을 갖지 않는 미립자, 중공 미립자, 개구를 갖는 중공 미립자, 다공질 미립자 등 어느 타입이어도 된다. 유기 미립자의 구체예로는, 폴리스티렌계 미립자, 스티렌·아크릴계 미립자, 스티렌·부타디엔계 미립자,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미립자, 폴리아미드계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표면 부분과 코어에서 조성이 상이한, 이른바 코어 쉘형 미립자여도 된다. 무기 미립자의 구체예로는, 카올린, 탤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새틴화이트, 규산알루미늄, 규조토, 소성 규조토,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리토폰, 제올라이트, 가수 할로이사이트,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고,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카 겔, 콜로이달실리카, 기상법 실리카, 습식 실리카, 알루미나, 콜로이달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종 이상의 미립자를 병용해도 된다. The hydrophilic layer preferably contains fine particles. The fine particles may be organic fine particles or inorganic fine particles. The pores in the fine particles may be of any type such as fine particles having no pores, hollow fine particles, hollow fine particles having openings, and porous fine particles.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polystyrene fine particles, styrene / acrylic fine particles, styrene / butadiene fine particles, acrylic acid ester fine particles, and polyamide fine particles. Called core-shell type fine partic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fine particle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e. Specific examples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kaolin, talc,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zinc oxide, zinc sulfide, zinc carbonate, satin white, aluminum silicate, diatomaceous earth, diatomaceous earth, calc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Silica gel, colloidal silica, vapor-phase silica, wet silica, alumina, colloidal alumina and aluminum hydroxide are preferably used in order to improve hydrophilicity . Two or more kinds of fine particl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10 ㎚∼8.0 ㎛ 가 바람직하다. 체적 평균 입경이 10 ㎚ 를 만족하지 않는 미립자는 제조 곤란하다. 또, 이후에 설명하는 친수층의 바람직한 두께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체적 평균 입경은 8.0 ㎛ 이하가 바람직하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from 10 nm to 8.0 mu m. Fine particles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10 nm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preferably not more than 8.0 mu m so as not to exceed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thickness of the hydrophilic layer described later.

미립자의 박락 (剝落) 방지나 접착성 향상을 위해, 친수층에는 바인더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에폭시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아크릴 3 원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해도 되는데, 가수 분해 혹은 잘 팽윤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3 원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2 종 이상의 바인더를 병용해도 된다. 친수층에 있어서, 미립자/바인더의 비율 (질량 기준) 은, 90/10∼30/7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20∼50/50 이다. 30/70 보다 바인더 비율이 높아지면, 친수층에 함유시키는 미립자의 비율이 감소하여, 필터의 가습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90/10 보다 바인더 비율이 낮아지면, 친수층 중의 미립자가 박락될 우려가 있다.It is preferable to add a binder to the hydrophilic layer in order to prevent the fine particles from coming loose or to improve the adhesion.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olyvinyl alcohol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ethylen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styrene resins, epoxy resins, vinyl acetate resins, polyacrylic acid resins, polyacrylic ester resins, acrylic aci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vinyl acetate-acrylic copolymer resin, ethylene-vinyl acetate-acrylic ternary copolymer resin, etc. may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onitrile-butadiene copolymer resins which are not hydrolyzed or swelled well, styrene Butadiene copolymer resin, an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terpolymer resin, an acrylate ester-styrene copolymer resin, and a methacrylate ester-styrene copolymer resin are more preferable. Two or more kinds of bind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 the hydrophilic layer, the ratio (based on mass) of the fine particles / binder is preferably 90/10 to 30/70, more preferably 80/20 to 50/50. When the binder ratio is higher than 30/70, the ratio of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hydrophilic layer decreases, and the humidifying performance of the filter may be deteriorated. If the binder ratio is lower than 90/10, there is a fear that fine particles in the hydrophilic layer are peeled off.

또, 친수층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항균제, 방미제, 탈취제, 촉매와 같은 기능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In addition, functional agents such a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s, deodorants, and catalysts may be added within the range not hindering the effect of the hydrophilic layer.

친수층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친수층용 도장액을 제조하면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친수층에 함유시키는 기능제를, 친수층용 도장액 중에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함유시켜도 된다. 친수층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에 의해 친수층용 도장액을 도공하고, 도공 후에, 건조시켜 얻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양면에 동시에 친수층을 얻을 수도 있다. 침지, 취출, 건조의 일련의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해도 된다. 친수층의 두께는 0.5∼8.0 ㎛ 가 바람직하다. 친수층의 두께가 0.5 ㎛ 를 하회하면, 친수층 표면의 친수성이 저하되어, 가습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8.0 ㎛ 를 초과하는 친수층을 형성해도, 추가적인 가습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친수층 중에 시간 경과적으로 부착되는 스케일이 많아져, 친수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To prepare a hydrophilic layer, a coating liquid for a hydrophilic layer may be first prepared. If necessary, the functional agent contained in the hydrophilic layer may be contained as a solution or dispersion in the coating liquid for hydrophilic layer. The hydrophilic layer is prepared, for example, by coating a coating liquid for a hydrophilic layer with a gravure roll, and then drying after coating. According to this method, a hydrophilic layer can be simultaneously obtained on both sides. A series of processes of immersion, extraction and drying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The thickness of the hydrophilic layer is preferably 0.5 to 8.0 탆. If the thickness of the hydrophilic layer is less than 0.5 占 퐉, the hydrophilic property of the surface of the hydrophilic layer may deteriorate, thereby deteriorating the humidify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even if a hydrophilic layer exceeding 8.0 탆 is formed, it is not expected to further improve the humidification performance, and the scale attached to the hydrophilic layer with time increases, which may hinder the hydrophilic property.

친수층용 도장액에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계, 술폰산계, 황산에스테르계, 고급 알코올계,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아세틸렌디올계인 것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미립자나 바인더의 소재나 이온성 등을 고려하면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s the coating liquid for the hydrophilic layer, a surfactant may be used. The surfactant may, for example, contain carboxylic acid, sulfonic acid, sulfuric ester, higher alcohol, glycerin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alkyl ether, fatty acid polyethylene glycol, . The kind of the surfacta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ionicity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binder.

또, 친수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에서, 친수층용 도장액에 가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알데히드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등,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친수층에 무기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기 규소 화합물,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알릴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비닐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과 같은 알릴실란 화합물,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디에톡시(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실란과 같은 에폭시실란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과 같은 아미노실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란 커플링제는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hydrophilic layer, it is preferable to add a crosslinking agent to the hydrophilic layer coating liquid. As the crosslinking agent, conventionally known ones such as an aldehyde type compound, a ketone type compound, a triazine type compound, a carbodiimide type compound, an epoxy type compound, an isocyanate type compound and a melamine type compound can be used. Particularly, when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used for the hydrophilic layer, an organosilicon compound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can be preferably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for example, allyl silane compounds such as allyltrimethoxysilane, allyltriethoxysilane, diethoxymethylvinyl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 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methylsilane, 3-aminopropyltrimethoxymethylsilane, 3-aminopropyltrimethoxymethylsilane, 3-aminopropyltrimethoxymethylsilane, 3- And aminosilane compounds such as aminopropyldiethoxymethylsilane and 3- (2-aminoethylamino) propyltriethoxysilane. However, the silane coupling agent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친수층을 형성하는 경우, 친수층과 필터 기재 사이에 앵커층을 형성해도 된다. 앵커층은, 필터 기재와 친수층 사이에 개재되어, 필터 기재와 친수층의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앵커층을 갖는 것에 의해, 친수층 자체의 강도도 향상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높은 가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orming a hydrophilic layer, an ancho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hydrophilic layer and the filter substrate. The anchor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lter substrate and the hydrophilic lay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filter substrate and the hydrophilic layer. Further, by having an anchor layer, the strength of the hydrophilic layer itself is also improved, and high humidification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앵커층에는, 조막성 (造膜性) 고분자를 함유시켜도 된다. 또, 조막성 고분자의 앵커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조막성 고분자의 함유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바람직한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고 앵커층이 조막성 고분자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바람직한 비율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앵커층과 필터 기재의 접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The anchor layer may contain a film-forming polym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anchor layer of the film-forming polymer, the content of the film-forming polymer is 30% or more, more preferably 5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70% or more, based on the mass.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nchor layer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lm-forming polymer. If the preferred ratio is not satisfied, the anchor layer and the filter substrate may be deteriorated in adhesiveness.

조막성 고분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에폭시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세트산비닐·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아크릴 3 원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가 장시간 물에 침지되는 용도인 점에서, 가수 분해 혹은 잘 팽윤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3 원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조막성 고분자를 각각 단독으로, 혹은 복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film-forming polymer include a polyvinyl alcohol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polyethylene resin, a polyester resin, a polystyrene resin, an epoxy resin, a vinyl acetate resin, a polyacrylic acid resin, an acrylic ester resin, A copolymer resin, an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a vinyl acetate · styrene copolymer resin, an ethylene · vinyl acetate · acryl ternary copolymer resin and the like. In view of the use of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mersing in water for a long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crylonitrile / butadiene copolymer resin, a styrene / butadiene copolymer resin, an acrylonitrile / styrene / butadiene terpolymer Acrylate ester-styrene copolymer resin, and methacrylate ester-styrene copolymer resin are more preferable. These film-forming poly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또, 앵커층에는,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기 청정 필터나 항균방미 (防黴) 시트 등에 있어서 공지된 항균제, 방미제, 탈취제, 촉매와 같은 기능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The anchor layer may contain functional agents such a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s, deodorants, and catalysts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air cleaning filters and antimicrobial antifungal sheets,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effect.

앵커층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앵커층용 도장액을 제조하면 된다. 앵커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조막성 고분자는, 많은 경우, 물을 매체로 하는 에멀션 또는 분산액으로서 앵커층용 도장액에 사용된다. 또, 앵커층에 필요에 따라 기능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앵커층용 도장액 중에 그 기능제를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함유시켜도 된다. 앵커층은, 예를 들어, 필터 기재를, 앵커층용 도장액에 침지시키고, 취출하여 건조시켜 얻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필터 기재의 양면에 동시에 앵커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침지, 취출, 건조의 일련의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해도 된다. 앵커층의 두께는 0.01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0.01 ㎛ 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앵커층으로서 기대해야 할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20.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평탄한 표면의 앵커층을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To prepare the anchor layer, a coating solution for the anchor layer may be prepared first. The film-forming polymer preferably used for the anchor layer is often used as an emulsion or dispersion liquid of water as a coating liquid for an anchor layer. When a functional agent is contained in the anchor layer if necessary, the functional agent may be contained as a solution or dispersion in a coating liquid for an anchor layer. The anchor layer is produced by, for example, dipping a filter substrate in a coating liquid for an anchor layer, taking it out and drying it.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anchor layer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ubstrate at the same time. A series of processes of immersion, extraction and drying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The thickness of the anchor layer is preferably 0.01 m or more and 20.0 m or less. If the thickness is not 0.01 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ffect to be expected as an anchor layer may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20.0 占 퐉,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n anchor layer of a flat surface.

앵커층용 도장액의 필터 기재에 대한 도장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 활성제를 병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계, 술폰산계, 황산에스테르계, 고급 알코올계,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아세틸렌디올계인 것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조막성 고분자의 조성 등을 고려하여, 각각 단독 혹은 복수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ating suitability of the coating liquid for the anchor layer to the filter substrate, a surfactant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surfactant may, for example, contain carboxylic acid, sulfonic acid, sulfuric ester, higher alcohol, glycerin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alkyl ether, fatty acid polyethylene glycol, . The kind of the surfacta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film-forming polymer and the like,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는, 장척 광폭의 필름으로부터 타발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필터 기재를 제조하여, 가압에 의해,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통축용의 구멍이나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친수 성능은, 타발 가공 후의 필터 기재에 부여해도 되지만, 타발 가공 전의 장척 광폭의 필름에 친수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 긴 광폭의 필름에 친수 성능을 부여하고 나서 타발 가공함으로써 얻어진 가습용 필터는, 외측 단면에는 친수 성능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필터 기재의 외측 단면에 물이 부착되면, 바람과 함께 물이 튀는 것이 발생하기 쉬워져, 가습 장치 내에 스케일 등이 석출되어, 가습 장치 내에서 오염을 일으키기 쉽다. 외측 단면에 친수 성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가습용 필터는,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manufacturing a filter base material having a desired shape by punching from a long wide film and forming protrusions by pressurization. A hole for passage of the cylinder or a hole for passing air can also be formed by punching. The hydrophilic performance can be imparted to the filter substrate after the punching process, but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imparting a hydrophilic property to the long and wide film before the punching process. In addition, the humidifying filter obtained by imparting the hydrophilic property to the long-width film and then punching the film has no hydrophilic property on the outer end face. When water adheres to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filter substrate, water splashes easily with the wind, so that scale or the like is precipitated in the humidifying device, which tends to cause contamination in the humidifying device. A humidifying filter not provided with a hydrophilic property on its outer surface is preferable becaus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splashing.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의 사용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가습용 필터에 물이 공급되면, 각 가습용 필터의 표층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고, 그 물이 기화되어 건조 공기가 가습된다. 가습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단위 용적당 많은 가습용 필터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습용 필터를 일정 간격으로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구성하고, 가습용 필터끼리의 간극에 건조 공기를 통과시켜 가습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형의 가습용 필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적층하여, 원통형의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A method of using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humidifying filter, a uniform water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layer of each humidifying filter, the water is vaporized, and the dry air is humid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humidifying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to charge a large number of humidifying filters per unit volume. Humidifying filters are stack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onstitut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Dry air is passed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A method of humidifying is preferably used.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ylindrical humidifying filter laminate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circular humidifying filters at regular intervals.

가습용 필터 적층체로 가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가습용 필터 적층체 (6) 의 일부 (예를 들어, 도 17 에서는, 원통형을 옆으로 쓰러뜨린 가습용 필터 적층체 (6) 의 바닥부) 를 수조 (20) 내의 물에 침지시킨다. 가습 장치 (「가습기」라고도 한다) 운전시에 가습용 필터 적층체의 중심부를 축으로, 회전 방향 (22) 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면 (21) 하에서 공급된 물이, 가습용 필터 표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퍼져, 수면 (21) 상에서 건조 공기에 접촉하여 물이 기화되어, 가습되는 방법 등이 자주 이용된다. 회전축은 통상, 가습용 필터의 가장 넓은 면에 대해 수직이다. 예를 들어, 가습용 필터 적층체가 원통형이면, 각 가습용 필터의 원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회전축이 된다. 가습용 필터의 중심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가 존재하는 경우,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적층할 수 있음과 함께, 코어봉을 회전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humidifying with a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n Fig. 17, the bottom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laminate 6 in which the cylindrical shape is folded sideways) is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0. [ The water supplied under the water surface 21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humidifying filter by rot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at the time of rota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22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humidifier (also referred to as "humidifier" And the water is vaporized by contact with dry air on the water surface 21 and is humidified. The rotating shaft is normally perpendicular to the widest surface of the humidifying filter. For example, if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s of a cylindrical shape,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circles of the humidifying filters serves as a rotating shaft. When the opening is provided as the hole 2 for the barrel shaft in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laminated humidifying filter can be stacked without shifting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hole 2 for barrel shrinking, The rod can be used as a rotating shaf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부 내지 % 는 질량 기준이다. 또, 수용액이나 에멀션, 분산액 등의 부수는 고형분 질량으로 환산한 수치를 기재한다.
또한, 실시예 3 ~ 6, 8 ~ 10 은 출원 당초에는 실시예였지만, 특허청구범위의 보정 후에 실시예가 아닌 참고예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Hereinafter, parts by mass are based on mass. In addition, numerical values converted into mass of solids in aqueous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liquid and the like are described.
Examples 3 to 6 and 8 to 10 are examples at the beginning of the application, but are not reference examples after the amendment of the claims, and are referenc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필터 기재)(Filter substrate)

두께 2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하, 「PET 필름」이라고 한다) 을 사용하였다.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PET film &quot;) having a thickness of 250 mu m was used.

(친수층 도장)(Hydrophilic layer coating)

하기 재료를 교반기로 혼합하여, 친수층용 도장액을 제조하였다.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mixed with a stirrer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for a hydrophilic layer.

콜로이달실리카Colloidal silica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스노우텍스 (등록상표) 20, 20 % 액) 70 부 (Trade name: SNOWTEX (registered trademark) 20, 20% solution,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70 parts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Styrene-butadiene copolymer resin

(JSR 사 제조, 상품명:3600H, 50 % 액) 30 부 (Trade name: 3600H, 50% soluti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30 parts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1 부Silane coupling agent (3-aminopropyldimethoxymethylsilane) 1 part

친수층용 도장액을 부착시킨 그라비아 롤로부터 상기 PET 필름에 전사 후, 건조시켜 두께 3 ㎛ 의 친수층을 양면 도장하였다. Transferred onto the PET film from a gravure roll having a hydrophilic layer coating liquid, and then dried to obtain a hydrophilic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占 퐉 on both sides.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16.1 ㎜×10.1 ㎜)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 개의 돌기부 (3) 를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가압에 의해 형성하고, 원주 방향으로 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 (1A 및 1B) 를 각 58 장 제조하였다. 돌기부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완상이고, 돌기부 (3) 의 최하부의 직경 (W) 을 5.0 ㎜, 높이 (H) 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formed on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and an opening (16.1 mm x 10.1 mm) was formed by punching as a hole 2 for passing through the center.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1A and 1B (see Fig. 1) are provided, in which sixteen projections 3 are formed by pressing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base 10, and two projections are provided at positions shifted by 45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Were prepared. 7, and the diameter W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 3 was 5.0 mm and the height H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2 종류의 가습용 필터 (1A 및 1B) 를 교대로 적층하여, 전체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 구비된 높이 (H) 의 돌기부 (3) 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다. 또, 통축용의 구멍은, 45°회전시킨 전후에 합동이 되는 형상은 아니기 때문에, 돌기부 (3)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도록,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었다.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1A and 1B were alternately stacked to produc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composed of a total of 116 humidifying filters laminated. Since the projections 3 of the height H provided in the humidifying filter serve as spacers, whe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is formed between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air passes through the gap . Further,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hole for passage) 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stacked humidifying filter could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Further, since the hole for barrel shafts is not a shape to be joined before and after rotated by 45 degrees, it is possible to simply stack the projections 3 so that they do not enter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실시예 2Example 2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16.1 ㎜×10.1 ㎜)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 개의 돌기부 (완상) 를 필터 기재 (10) 에 가압에 의해 형성한 가습용 필터 (1E 및 1F) 를 각각 58 장 제조하였다. 실선으로 나타낸 돌기부 (3A) 와 파선으로 나타낸 돌기부 (3B) 는, 필터 기재 (10) 의 반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가습용 필터 (1E 와 1F) 의 돌기부는, 원주 방향으로 45°어긋나 있다. 돌기부 (3A 및 3B) 에 있어서, 최하부의 직경을 5.0 ㎜ 로 하고, 높이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opening (16.1 mm x 10.1 mm) wa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a hole 2 for barrel shrinkage by punching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58 pieces of humidifying filters 1E and 1F were formed, each of which was formed by pressing 16 protruding portions (tabular portions) on the filter base 10. The protruding portion 3A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protruding portion 3B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r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lter base 10, respectively. The protrusions of the humidifying filters 1E and 1F are shifted by 45 占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projections 3A and 3B,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portion was 5.0 mm and the height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 돌기부 (3A) 가 형성되고, 반대면에 돌기부 (3B) 가 형성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 (1E 및 1F) 를 교대로 적층하고, 전체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과 비교하여, 양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시간이 걸리고, 적층할 때에 표리면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지만, 돌기부 (3A 및 3B) 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다. 또, 돌기부 (3A 및 3B)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고 적층할 수 있었다.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1E and 1F in which protrusions 3A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substrate 10 and protrusions 3B ar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are alternately stacked to form a total of 116 humidifying filters To prepare a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It takes time to form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front and back surfaces when stacking. However, since the protrusions 3A and 3B serve as spacers,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was formed between adjacent filters for humidification, and air passed through the gap. Further,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hole for passage) 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stacked humidifying filter could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Further, the protrusions 3A and 3B could be stacked without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실시예 3Example 3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16.1 ㎜×10.1 ㎜)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8 개의 돌기부 (3) (완상) 를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가압에 의해 형성한 가습용 필터 (1C 및 1D) 를 각각 58 장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 (1C) 의 돌기부 (3) 와 가습용 필터 (D) 의 돌기부 (3) 가, 각각 반경이 상이한 원주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인접한 경우에, 서로의 돌기부 (3) 는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부 (3) 의 최하부의 직경을 5.0 ㎜, 높이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opening (16.1 mm x 10.1 mm) wa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a hole 2 for barrel shrinkage by punching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58 pieces of humidifying filters 1C and 1D, each of which formed by pressing eight projections 3 (bumpy)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base 10, were produced. The protrusions 3 of the humidifying filter 1C and the protrusions 3 of the humidifying filter D are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different radii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djacent protrusions 3 do not overlap each other .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 3 was 5.0 mm and the height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2 종류의 가습용 필터 (1C 및 1D) 를 교대로 적층하고, 전체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 구비된 돌기부 (3) 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다. 또, 돌기부 (3)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고, 적층할 수 있었다. Two kinds of humidifying filters 1C and 1D were alternately laminated and a total of 116 humidifying filters were laminated to produc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Since the projections 3 provided in the humidifying filter serve as spacers, whe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is formed between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air passes through the gaps. Further,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hole for passage) 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stacked humidifying filter could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Further, the protruding portions 3 could be stacked without entering into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실시예 4Example 4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직경 15.0 ㎜ 의 진원)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5(I)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 개의 돌기부 (3) (완상) 를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가압에 의해 형성하고, 원주 방향으로 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각 58 장 제조하였다. 돌기부 (3) 의 최하부의 직경을 5.0 ㎜, 높이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opening portion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5.0 mm) wa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s a hole for barrel 2 by punching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I), 16 protrusions 3 (protrusions) are formed by pressing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base 10, and two types of humidification (protrusions) 58 filters were prepared.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 3 was 5.0 mm and the height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교대로 적층하고, 전체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 구비된 돌기부 (3) 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지만, 통축용의 구멍 (2) 이 진원 (眞圓) 이기 때문에, 돌기부 (3)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도록,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45°어긋난 상태로 조정되는 데에 시간이 걸렸다. 또,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회전시킨 결과, 일부의 가습용 필터가 코어봉의 주위를 회전하여, 돌기부 (3)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Two types of humidifying filters were alternately laminated and a total of 116 humidifying filters were stacked to produc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Since the projections 3 provided in the humidifying filter serve as spacers, whe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is formed between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air passes through the gaps. The laminated humidifying filter can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hole for cylinder shank) 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However, the hole 2 for cylinder shrinking It took a long time for the protrus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to be adjusted to be shifted by 45 degrees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s 3 did not enter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rotating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some humidifying filters rotate around the core rod, and the protruding portions 3 sometimes overlap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실시예 5Example 5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한 변 5.7 ㎜ 의 정팔각형)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6(I)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 개의 돌기부 (3) (완상) 를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가압에 의해 형성하고, 원주 방향으로 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각 58 장 제조하였다. 돌기부 (3) 의 최하부의 직경을 5.0 ㎜, 높이를 1.5 ㎜ 로 하였다. 또, 위치 맞춤용 마크 (11) (바닥변 5.0 ㎜, 높이 10.0 ㎜ 의 이등변 삼각형) 를 필터 기재 (10) 의 편측에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opening (an octagonal shape with a side of 5.7 mm) as a hole 2 for barrel- . As shown in Fig. 6 (I), 16 protrusions 3 (protuberance) are formed by pressing only on one side of the filter base 10, and two types of humidification with projections at positions shifted by 45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58 filters were prepared.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 3 was 5.0 mm and the height was 1.5 mm. The alignment mark 11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a bottom side of 5.0 mm and a height of 10.0 mm)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substrate 10 by printing.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2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교대로 적층하여, 전체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 구비된 돌기부 (3) 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통축용의 구멍) (2) 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위치 맞춤용 마크 (11) 를 맞추도록 적층함으로써, 돌기부 (3) 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었다. 또,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회전시킨 경우, 가습용 필터가 코어봉의 주위를 회전하는 경우는 없었다. Two kinds of humidifying filters were alternately laminated and a total of 116 humidifying filters were stacked to produc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Since the projections 3 provided in the humidifying filter serve as spacers, whe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is formed between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air passes through the gaps. Further,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hole for passage) 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stacked humidifying filter could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Further, by laminating the positioning marks 11 so as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s 3 did not enter the concave port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nd the lamination was simple. Further, when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was rotated, the humidifying filter did not rotate around the core rod.

실시예 6Example 6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41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16.1 ㎜×10.1 ㎜) 도 타발 가공으로 형성하였다. 도 1 의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 개의 돌기부 (3) (완상) 를 필터 기재 (10) 의 편면에만 가압에 의해 형성한 1 종류의 가습용 필터를 116 장 제조하였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 (3) 의 최하부의 직경 (W) 을 5.0 ㎜, 높이 (T) 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Diameter: 141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opening (16.1 mm x 10.1 mm) wa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a hole 2 for barrel shrinkage by punching Respectively. As shown in 1A of Fig. 1, 116 kinds of filters for humidifying one type of protruding portion 3 (bumpy shape) formed by pressing only one side of the filter base material 10 were produced. As shown in Fig. 7, the diameter W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jection 3 was 5.0 mm and the height T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116 장의 가습용 필터 (1A) 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는, 돌기부 (3) 가 구비되어 있지만,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는 장소가 있어, 그 장소에서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없어, 가습용 필터 사이에 공기가 잘 통과하지 않았다.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comprising 116 sheets of the humidifying filter 1A laminated was produced. The humidifying filter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 but there is a place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oining humidifying filter, so that the humidifying filter can not serve as a spacer in the place, I di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두께 250 ㎛, 직경 141 ㎜) 의 필터 기재 (10) 의 중심부에, 높이 1.5 ㎜, 직경 30.0 ㎜ 의 볼록상의 돌기부 (3) 를 1 개만 형성하고, 통축용의 구멍 (2) 으로서 개구부 (직경 15.0 ㎜ 의 진원) 를 타발 가공으로 형성한 가습용 필터를 116 장 제조하였다. 도 19 는, 도 18 의 점선 UV 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As shown in Fig. 18, only one convex protruding portion 3 having a height of 1.5 mm and a diameter of 30.0 mm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250 탆 thick, 141 ㎜ diameter) filter base 10, And 116 sheets of humidifying filters formed by punching an opening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5.0 mm) as the hole 2 were produced. Fig.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otted line UV in Fi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116 장의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는, 돌기부 (3) 가 구비되어 있지만, 거의 모든 인접한 가습용 필터끼리가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첩부되어, 가습용 필터 사이에 공기가 잘 통과하지 않았다.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comprising 116 sheets of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d was produced. The protruding portion 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but almost all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adhered to each oth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and air does not pass through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실시예 7Example 7

(필터 기재)(Filter substrate)

두께 250 ㎛ 의 PET 필름을 사용하였다.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0 탆 was used.

(앵커층용 도장액 제조)(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for anchor laye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JSR 사 제조, 상품명:3600H, 50 % 액) 39.3 부를 교반하면서, 물을 추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39.3 % 의 앵커층용 도장액을 제조하였다. While stirring 39.3 parts of styrene-butadiene copolymer resin (trade name: 3600H, 50% soluti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water was added to prepare an anchor layer coating liquid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9.3%.

(친수층용 도장액 제조)(Manufacture of coating liquid for hydrophilic layer)

하기 재료를 교반기로 혼합하여, 친수층용 도장액을 제조하였다.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mixed with a stirrer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for a hydrophilic layer.

콜로이달실리카 Colloidal silica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스노우텍스 (등록상표) 20, 20 % 액) (Trade name: SNOWTEX (registered trademark) 20, 20% solution,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70 부                                                                   70 parts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Styrene-butadiene copolymer resin

(JSR 사 제조, 상품명:3600H, 50 % 액) 30 부 (Trade name: 3600H, 50% soluti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30 parts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1 부Silane coupling agent (3-aminopropyldimethoxymethylsilane) 1 part

(가습용 필터 제조)(Manufacture of Humidification Filter)

상기 PET 필름을 상기 앵커층용 도장액에 침지시키고 취출 후, 건조시켜, 두께 1 ㎛ 의 앵커층을 양면에 도장하였다. 그 앵커층 도장품을, 상기 친수층용 도장액에 침지시키고 취출 후, 건조시켜, 두께 3 ㎛ 의 친수층을 양면에 도장하였다. 친수층을 도장한 PET 필름에 원형 (직경 150 ㎜) 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중심부의 개구부 (2) (10.0 ㎜×15.0 ㎜) 도 타발 가공에 의해 실시하였다. 도 20 (11A) 와 같이, 4 개의 돌기부 (3) 를 가압에 의해 형성하여, 가습용 필터로 하였다. 도 20 (11A) 에 있어서, 점선 XY 로 절단한 돌기부 (3) 의 단면도를 도 20 (11B) 에 나타내었다. 돌기부에 있어서, 최하부의 폭을 5.0 ㎜, 최대 폭을 9.0 ㎜, 높이를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The PET film was immersed in the coating solution for the anchor layer, taken out, and dried to coat both surfaces with an ancho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mu m. The anchor layer coating product was immersed in the coating solution for hydrophilic layer, taken out and dried, and a hydrophilic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탆 was coated on both sides. (Diameter: 150 mm) was applied to the PET film coated with the hydrophilic layer, and the opening portion 2 (10.0 mm x 15.0 mm) in the central portion was also subjected to punching. As shown in Fig. 20 (11A),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3 were formed by pressing to form a humidifying filter. In Fig. 20 (11A),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3 cut with a dotted line XY is shown in Fig. 20 (11B). In the protruding portion, the width of the lowermost portion was 5.0 mm, the maximum width was 9.0 mm, and the height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가습용 필터 적층체 제조)(Production of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상기 가습용 필터를 51 장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가습용 필터에 구비된 1.5 ㎜ 의 돌기부의 높이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면, 가습용 필터끼리에 1.5 ㎜ 의 간극이 생겨, 그 간극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었다. 또, 가습용 필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코어봉을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가습용 필터를 어긋남 없이 고정시킬 수 있었다. 또, 돌기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었다. 51 pieces of the above-described humidifying filters were laminated to prepare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Since the height of the projecting portion of 1.5 mm provided in the humidifying filter serves as a spacer, when the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a gap of 1.5 mm is generated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s, and air passes through the gap. By passing the core rod through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the stacked humidifying filter could be fixed without misalignment. Further, the protrusions did not ent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and the lamination could be simply performed.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7 과 마찬가지로, 가습용 필터를 제조하여,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 (4) 만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절곡선을 따라, 가압에 의해, 필터 기재에 대해 90°의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절곡선의 길이가 5.0 ㎜, 돌기부의 최대 폭이 10.0 ㎜, 돌기부의 높이가 1.5 ㎜ 로 하였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필터 기재의 일부를 절곡하여 돌기부를 만듦으로써, 가습용 필터에 통풍구가 생겨, 바람이 잘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적은 풍량으로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돌기부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 돌기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노치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었다. 21,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was cut out, and the filter substrate was cut along the folding line by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lter base by pressurization, as shown in Fig. 21, As shown in Fig. The length of the folding line was 5.0 mm, the maximum width of the projection was 10.0 mm, and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wa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By bending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to form the protruding portion,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humidifying filter,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well, so that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reduced with a small air volume, and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Further, the protrusions did not enter the notch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and the lamination could be simply performed.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7 과 마찬가지로, 가습용 필터를 제조하여, 4 개의 돌기부를, 기재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하고, 가습용 필터로 하였다. 이 돌기부는,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부에 오목부를 갖고, 그 오목부의 돌기 폭은 7.0 ㎜, 최하부의 폭은 5.0 ㎜, 최대 폭은 10.0 ㎜, 높이는 1.5 ㎜ 이다. 얻어진 가습용 필터에는, 절곡 등의 결함은 없었다. 이 가습용 필터를 적층하여 가습용 필터 적층체를 제조한 경우, 바람이 잘 통과하고,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돌기부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는다는 효과 외에, 상기 오목부의 돌기에서 인접한 가습용 필터와 접하고 있는 점에서,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 7 의 경우보다 인접한 가습용 필터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습용 필터가 회전해도, 변형이 적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A humidifying filt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and four protruding portions wer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substrate to form a humidifying filter. As shown in Fig. 22, the projection has a concave portion at the top, the projection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7.0 mm, the width of the lowermost portion is 5.0 mm, the maximum width is 10.0 mm, and the height is 1.5 mm. The obtained humidifying filter was free from defects such as bending. In the case where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humidifying filter, the air passes well and the protruding portion does not enter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In addition to the effect that the humidifying filter laminates, The area contacted with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is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seventh embodiment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does not exist. Therefore, even when the humidifying filter rotates, the effect of less deformation is obtained.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8 과 마찬가지로, 가습용 필터를 제조해 가고, 돌기부만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절곡선을 따라, 기재에 대해 90°의 각도로, 가압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이 돌기부는,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선의 길이가 5.0 ㎜, 돌기부의 최대 폭이 10.0 ㎜, 높이 1.5 ㎜ 로 하였다. 필터 기재의 일부를 절곡하여 돌기부를 만듦으로써, 필터 기재에 통풍구가 생겨, 바람이 잘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적은 풍량으로 가습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이 아니라, 용이하게 돌기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돌기부가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간단하게 적층할 수 있었다. 또한, 돌기부의 형상으로 둥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A humidifying filt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 and only a protruding portion was cut out, and a portion of the filter substrate was cut out and bent along the folding line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ase material. As shown in Fig. 23, the projection had a length of 5.0 mm, a maximum width of 10.0 mm, and a height of 1.5 mm. By bending a portion of the filter substrate to form the projecting portion,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filter substrate to allow the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substrate. Therefore, not only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reduced with a small air volume, but also the protrus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Further, the protrusions did not ent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 and the lamination could be simply performed. In addition, by rounding the protruding portion in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safety of the user is improv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가습용 필터는, 가습 장치뿐만 아니라, 공기 청정기 등에 가습 기능을 갖게 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not only in a humidifying device but also in an air purifier or the like when humidifying functions are provided.

1A : 가습용 필터 (필터 기재의 편면에만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1B : 가습용 필터 (가습용 필터 (1A) 와 비교하여, 원주 방향으로 45°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1C : 가습용 필터
1D : 가습용 필터 (가습용 필터 (1C) 와 인접시킨 경우, 서로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는다)
1E : 가습용 필터 (필터 기재의 양면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1F : 가습용 필터 (가습용 필터 (1E) 와 인접시킨 경우, 서로의 돌기부가 중첩되지 않는다)
2 : 통축용의 구멍 (개구부)
3 : 돌기부
3A : 돌기부
3B : 돌기부 (돌기부 (3A) 와는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4 : 돌기부 (필터 기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가압에 의해, 절곡하여 형성)
5 : 돌기부의 절곡선
6 : 필터 적층체
7 :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10 : 필터 기재
20 : 수조
21 : 수면
22 : 가습용 필터 적층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23 :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
11A : 가습용 필터 (돌기부는, 필터 기재의 일부를 가압에 의해 형성)
11B : 돌기부 (3) 의 단면도
1A: a humidifying filter (having protrusions on only one side of the filter substrate)
1B: a humidifying filter (the humidifying filter 1A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at a position displaced by 45 占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C: Humidification filter
1D: a humidifying filter (when the humidifying filter 1C is adjacent to the humidifying filter 1C, the protruding portions do not overlap each other)
1E: a humidifying filter (hav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ubstrate)
1F: Humidifying filter (when the filter is adjacent to the humidifying filter (1E),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humidifying filter are not overlapped)
2: Holes (openings)
3: protrusion
3A: protrusion
3B: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rotruding portion 3A)
4: protru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and pressing it by pressure)
5: Fold curve of protrusion
6: Filter laminate
7: hole for passing air
10: filter substrate
20: Water tank
21: Sleeping
22: arrow indicating rotation direction of the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23: arrows indicating the flow of wind
11A: Humidifying filter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y pressing part of the filter substrate)
11B: sectional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3

Claims (14)

필터 기재에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돌기부가 기재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를, 복수 장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에 있어서,
인접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 (90/N)°어긋난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 N 종류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가습용 필터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가습용 필터의 중심부에 통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을 원주 방향으로 (90/N)°회전시켰을 때의 형상과 회전 전의 구멍의 형상이 합동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the filter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humidifying filters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base material,
The protrusions of the adjacent humidifying filters are provid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N kinds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of humidifying filters provided with projections at positions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N) degrees are laminated in order,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so that the shape when the hole is rotated (90 / 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hole before the rotation are not jointed. sieve.
제 1 항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에 위치 맞춤용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sitioning mark is formed on the humidifying fil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의 돌기부가 편면에만 형성되고, 또한 그 돌기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가습용 필터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humidifying filter is laminate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formed only on one side and the protruding portions ar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복수 개 존재하는 가습용 필터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umidifying filter lamin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passing air there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가습용 필터의 외주부의 형상이, 원주 방향에 있어서, 요철 형상인 가습용 필터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has a concavo-convex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7000576A 2010-06-29 2011-06-21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KR1018489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7119 2010-06-29
JP2010147119 2010-06-29
JP2010191136 2010-08-27
JPJP-P-2010-191136 2010-08-27
PCT/JP2011/064619 WO2012002296A1 (en) 2010-06-29 2011-06-21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22A KR20130046422A (en) 2013-05-07
KR101848951B1 true KR101848951B1 (en) 2018-05-28

Family

ID=4540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576A KR101848951B1 (en) 2010-06-29 2011-06-21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48361B2 (en)
KR (1) KR101848951B1 (en)
CN (1) CN102959337B (en)
WO (1) WO201200229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7807B2 (en) * 2013-08-06 2018-05-23 エステー株式会社 Volatilization equipment
JP6300921B2 (en) 2014-07-04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ventilator
KR20160036479A (en) * 2014-09-25 2016-04-04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Humidification filtering material and humidification filter
CN106739177B (en) * 2017-01-23 2019-03-26 珠海清菱净化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viscose glue edge banding machine
CN110639304A (en) * 2018-06-26 2020-01-03 奇鼎科技股份有限公司 Structure of water spraying plate
JP7386003B2 (en) * 2019-06-14 2023-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Humidifying filter and humidify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188A (en) * 2005-08-26 2007-03-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Humidifier
JP2009014323A (en) * 2007-07-09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34569A (en) * 1929-05-07 1930-09-08 Joseph Allen Pickard Improvements relating to filters
US3529810A (en) * 1968-07-29 1970-09-22 Eaton Yale & Towne Screen disc humidifier
JPS5240518Y2 (en) * 1972-10-16 1977-09-13
AR207955A1 (en) * 1973-06-15 1976-11-22 Autotrol Corp AN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JPS5621519Y2 (en) * 1976-06-28 1981-05-21
JPS5643427Y2 (en) * 1977-06-17 1981-10-12
JPS60176037U (en) * 1984-05-02 1985-11-21 土屋 勝義 Air permeable rotating bodies such as air purifiers and humidifiers
CN2558911Y (en) * 2002-05-29 2003-07-02 朱智 Indoor air quality improving system for central air conditioner
JP4720071B2 (en) * 2003-06-12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ir cleaner
EP1952872A4 (en) * 2005-11-24 2010-02-24 Bridgestone Corp Fluid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housing
CN101457965B (en) * 2008-12-31 2012-02-01 苏州英诗格林净化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humid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188A (en) * 2005-08-26 2007-03-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Humidifier
JP2009014323A (en) * 2007-07-09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9337B (en) 2015-11-25
CN102959337A (en) 2013-03-06
WO2012002296A1 (en) 2012-01-05
JPWO2012002296A1 (en) 2013-08-22
JP5748361B2 (en) 2015-07-15
KR20130046422A (en)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51B1 (en)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filter laminate body
US8550151B2 (en) Heat exchanger
KR101523802B1 (en) Vaporization filter for humidification, vaporization filter laminate for humidification, and humidifying method using them
KR20120023132A (en) Total enthalpy heat exchange element
US20180126316A1 (en) Gas filter
US20230129711A1 (en) Laminate
JP2004535291A5 (en)
WO2007050613A2 (en) Double-sided self-cleansing media
WO2009110494A1 (en) Heat exchange element and air conditioner or heating/cool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2013368A (en) Filter for humidification and filter lamination for humidification
JP2008293742A (en) Humidifier for fuel cell
CN207232434U (en) A kind of optoisolator
JP2005203228A5 (en)
JP2014089029A (en) Humidifier and ventilator
JP2011002126A (en) Vaporization filter for humidification, vaporization filter laminated body for 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method using them
WO2017057346A1 (en) Binder material, cell assembly, cell assembling method, cell preservation method
JP2003090692A (en) Heat exchanger
CN218120154U (en) Micropore plate, air conditioner panel and air conditioner
CN220266188U (en) Paper material with waterproof film layer
JP7192369B2 (en)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package body, lid material, label
JP6234576B2 (en) Humidifying element and humidifier equipped with the same
JP2014008430A (en) Separation membrane element
JP4485259B2 (en) Sector for camera, rotating part for camera, light amount control device for camer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sector
JP2016151406A (en) Total heat-transfer element and heat exchanging type ventilation equipment
JP26397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per tube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