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98B1 -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98B1
KR101848698B1 KR1020177028726A KR20177028726A KR101848698B1 KR 101848698 B1 KR101848698 B1 KR 101848698B1 KR 1020177028726 A KR1020177028726 A KR 1020177028726A KR 20177028726 A KR20177028726 A KR 20177028726A KR 101848698 B1 KR101848698 B1 KR 10184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se
recovery
annular spac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611A (ko
Inventor
자낙 라만랄 샤
마노즈 시얌나라얀 티와리
Original Assignee
자낙 라만랄 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낙 라만랄 샤 filed Critical 자낙 라만랄 샤
Publication of KR2017011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0Floors, roofs, or bottoms; False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B01D1/18Evaporating by spraying to obtain dry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pneumatically inducing within the drying enclosure a curved flow path, e.g. circular, spiral, helical; Cyclone or Vortex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26B25/185Spacers; Elements for supporting the goods to be dried, i.e. positioned in-between the goods to build a ventilated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 슬러리, 에멀션, 분산액,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원 포트 고체 회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이 시스템 및 방법은 비용 효율적 에너지 효율적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용액, 슬러리, 에멀션, 분산액, 겔, 반고체 등의 제어된 농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스템 및 방법은 효과적 열전달을 위해 공정에서 사용되는 액체 매체와 기체 매체 사이의 접촉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 및 방법은 식품, 영양보조식품, 천연 산물, 의약품, 화학물질 등과 관련되는 용도에서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방법{A METHOD FOR CONTROLLED CONCENTRATION AND/OR RECOVERY OF SUBSTANTIALLY DRY SOLIDS}
본 발명은 용액, 슬러리,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원 포트(one pot) 고체 회수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시스템 및 방법은 용액, 슬러리, 겔, 반고체 등의 제어된 농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액, 슬러리, 분산액, 에멀션,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고체의 회수는 증발, 역삼투, 한외여과, 침투증발, 동결 농축, 포접화(clathratio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용매 및/또는 분산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일반적으로 분사 건조기, 드럼 건조기, 동결 건조기, 폼-매트(foam-mat), 유동층 건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설비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분사 건조기는 통상적으로 용액/슬러리로부터 고체의 회수를 위해 사용된다. 유사하게 유동층 건조기는 통상적으로 젖은 고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되지만 용액, 분산액, 슬러리, 에멀션,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고체의 회수를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를 회수하기 위한 용액, 분산액, 슬러리, 에멀션, 겔, 반고체 등의 처리에 관련된 기술에서의 과제는 에너지 효율적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 설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공백에 대처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는 재료의 유형과 특질 및 그것의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10 중량% 미만의 고체,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의 고체, 더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의 고체,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고체가 되도록 "건조에 의한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비용 효율적 에너지 효율적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용액, 분산액, 슬러리, 에멀션, 겔, 반고체로부터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를 회수하기 위한 고체 회수 시스템 및 고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액, 슬러리, 분산액, 에멀션, 겔, 반고체의 농축을 위한, 더 나아가 고체의 회수를 위해 고체를 실질적으로 건조시키는 단일 포트 공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및 고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액, 슬러리, 분산액, 에멀션,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효과적 열전달을 위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액체상과 기체 매체 사이의 접촉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및 고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 영양보조식품, 천연 산물, 의약품, 화학물질 등에 관련된 용도에서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상기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컨테이너 모듈, 기체 가압 수단, 증기 추출 수단, 및 선택적 필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모듈은,
가압된 기체의 통과를 위한 천공된 베이스를 구비하는 제 1 컨테이너,
측면 상에 제 1 연속적 환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베이스와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베이스 사이에 기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제 2 컨테이너로서,
상기 제 1 환형 공간은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저면을 갖는, 제 2 컨테이너,
측면 상에 제 2 연속적 환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와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베이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환형 공간은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는 천공 또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베이스는 가압된 기체원의 유출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 모듈은 상부에 증기 추출 수단 및 선택적 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내에 일체화된다.
액체 매체(용액/분산액/에멀션/슬러리/겔/반고체 등)는 상기 제 3 컨테이너 내에 충만되고, 가압된 기체(예를 들면, 공기)는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환형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환형 공간 내로, 더욱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 내의 통로로부터 유동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또한 회수를 위해 동일 시스템 내의 형성된 고체를 건조시킨다.
공정의 실시형태에서, 용액, 슬러리, 겔, 분산액, 에멀션, 반고체 등 내의 용매/분산매의 특질에 따라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공기와 같은 가압된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컨테이너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베이스 내의 통로의 구성 중 하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개략도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 모듈(10), 기체 가압 수단(11), 팽창 체임버(12), 필터 하우징(13), 증기 배기(추출) 포트(14)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모듈(10)의 개략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기체 통과를 위한 천공된 베이스 또는 천공된 기체 분배 플레이트(20)를 구비하는 제 1 컨테이너(1)를 포함한다. 가압된 공기와 같은 기체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에서 화살표(21)로 표시되어 있다. 제 2 컨테이너(2)는 제 1 컨테이너와 제 2 컨테이너 사이에 제 1 환형 공간(22)을 한정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베이스(20)와 상기 제 2 컨테이너(2)의 베이스(24) 사이에 공간(23)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테이너(1)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환형 공간(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25)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제 2 컨테이너(2)의 베이스(24)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제 3 컨테이너(3)는 제 2 환형 공동/공간(26)을 한정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28)와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베이스(24) 사이에 공간(29)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컨테이너(2)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환형 공간(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27)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제 3 컨테이너(3)의 베이스(28)는 일련의 천공/통로를 구비하거나 일련의 천공/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실시형태들 중 하나에서, 상기 제 1 컨테이너(1), 제 2 컨테이너(2) 및 제 3 컨테이너(3)는 각각 원추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컨테이너(1)의 베이스는 압축기 또는 송풍기와 같은 기체 가압 수단의 유출구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컨테이너 모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체임버(12) 및 더 나아가 필터 하우징(1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작업 시, 용액/분산액/에멀션/슬러리/겔/반고체 등이 상기 제 3 컨테이너(3) 내에 충만된다. 가압된 기체는 상기 제 1 컨테이너(1)의 베이스(20)로부터 상기 공간(23) 및 상기 제 1 환형 공간(22)을 통해 상기 제 2 환형 공간(26) 내로 유동한다. 더 나아가 이것은 상기 제 3 컨테이너(3)의 베이스(28) 내의 통로로부터 유동하여 용액/분산액/에멀션/슬러리/겔/반고체 등과 혼합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최종 회수를 위해 얻어진 고체를 건조시킨다.
실시형태들 중 하나에서, 상기 제 3 컨테이너(3)는 열전달의 향상을 위해 기체와 액체 매체 사이의 접촉을 증진시키기 위해 난류를 생성하도록 액체 매체(용액/분산액/에멀션/슬러리/겔/반고체 등)의 전체 내에 기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경사진 통로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변형례들 중 하나에서, 통로는 수평에 대해 1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로 경사를 이룬다.
상기 베이스(28) 내의 상기 통로의 구성 중 하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로서, 기체 분배 플레이트의 1/4만만이 통로의 구성을 가지도록 표시되어 있다(개별 통로는 번호 50으로 표시됨). 상기 통로는 난형, 평평한 난형, 직사각형,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28)의 두께 대 상기 통로의 길이의 비는 0.250 내지 0.999의 범위이다.
통로의 총 면적 대 베이스의 면적의 비는 0.01 내지 0.50,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30,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통로는 이것을 통과하는 기체에 소용돌이 운동을 제공하도록 내부 톱니를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에 제공되는 통로는 둥근형, 난형, 평평한 난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통로가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측면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테이너들 사이에 2 개를 초과하는 환형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3 개를 초과하는 컨테이너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더욱 비제한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실시예 1:
25 kg의 물과 5 kg의 아세톤으로 6 kg의 슈크로스의 용액이 제조되었고, 제 3 컨테이너 내에 충만되었다. 제 3 컨테이너는 수평에 대해 55˚로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이 시스템은 고온의 제습된 공기의 흐름으로 예열되었다. 가압된 고온 공기가 제 1 컨테이너의 저면으로부터 시스템 내로 도입되었고, 공정은 시스템으로부터 증발된 용매 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를 유지하면서 약 1.5 시간 동안 가동되었다. 유입 공기 온도는 약 60˚C 내지 90˚C였고, 그 결과 층의 온도는 약 30˚C 내지 55˚C였고, 유출 공기/증기 온도는 약 30˚C 내지 45˚C였다. 용액은 서서히 농축되어 고체가 발생되었고, 이것은 용매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유동층으로서 건조되었고,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가 얻어졌다. 고체 재료가 제거되고, 중량이 측정되었다. 공정의 수율은 96.3%였고, 고체 내의 수분 함량은 약 0.7%였다.
실시예 2:
5 kg의 넌파레일 씨드(non-pareil seed)가 25 kg의 정제수에 첨가되었다. 제 3 컨테이너 내에 장입할 분산액을 얻기 위해 혼합물이 교반되었다. 제 3 컨테이너는 수평에 대해 55˚로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공정이 실행되었다. 공정의 말기에 고체 재료가 제거되고 중량이 측정되었다. 공정의 수율은 약 95%였고, 고체 내의 수분 함량은 1.5% 미만이었다.
실시예 3:
0.400 kg의 녹말이 1.5 kg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첨가되었다. 제 3 컨테이너 내에 충만시킬 분산액을 얻기 위해 혼합물이 교반되었다. 제 3 컨테이너는 수평에 대해 25˚로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이 시스템은 고온의 제습된 공기의 흐름으로 예열되었다. 가압된 고온 공기가 제 1 컨테이너의 저면으로부터 시스템 내로 도입되었고, 공정은 시스템으로부터 증발된 용매 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를 유지하면서 약 1 시간 동안 가동되었다. 유입 공기 온도는 약 60˚C, 그 결과 층의 온도는 약 15˚C 내지 55˚C였고, 유출 공기/증기 온도는 약 20˚C 내지 45˚C였다. 용액은 서서히 농축되어 고체가 발생되었고, 이것은 용매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유동층으로서 건조되었고,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가 얻어졌다. 고체 재료가 제거되고, 중량이 측정되었다. 공정의 수율은 약 81%였고, 고체 내의 수분 함량은 약 5.2 %였다.
실시예 4:
0.300 kg의 포비돈(povidone) K30가 0.13 kg의 정제수에 첨가되었다. 겔을 얻기 위해 혼합물이 교반되었다. 제 3 컨테이너는 수평에 대해 75˚로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정제된 활석(0.007 kg)이 제 3 컨테이너의 내벽 및 기체 분배 플레이트의 상면에 살포(도포)되었다. 제조된 겔이 제 3 컨테이너 내에 충만되었다. 이 시스템은 고온의 제습된 공기의 흐름으로 예열되었다. 가압된 고온 공기가 제 4 컨테이너의 저면으로부터 시스템 내로 도입되었고, 공정은 시스템으로부터 증발된 용매 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를 유지하면서 약 1 시간 동안 가동되었다. 유입 공기 온도는 약 65˚C 내지 85˚C였고, 그 결과 층의 온도는 약 35˚C 내지 70˚C였고, 유출 공기/증기 온도는 약 40˚C 내지 65˚C였다. 용액은 서서히 농축되어 고체가 발생되었고, 이것은 용매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유동층으로서 건조되었고,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가 얻어졌다. 고체 재료가 제거되고, 중량이 측정되었다. 공정의 수율은 약 90%였고, 고체 내의 수분 함량은 약 2.8%였다.
실시예 5:
0.400 kg의 젖당이 4.89 kg의 정제수에 첨가되었다. 제 3 컨테이너에 충만시킬 용액을 얻기 위해 혼합물이 교반되었다. 제 3 컨테이너는 수평에 대해 35˚로 경사진 통로를 구비하는 기체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이 시스템은 고온의 제습된 공기의 흐름으로 예열되었다. 가압된 고온 공기가 제 3.5 컨테이너의 저면으로부터 시스템 내로 도입되었고, 공정은 시스템으로부터 증발된 용매 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를 유지하면서 약 1 시간 동안 가동되었다. 유입 공기 온도는 약 45˚C 내지 90˚C였고, 그 결과 층의 온도는 약 25˚C 내지 75˚C였고, 유출 공기/증기 온도는 약 30˚C 내지 60˚C였다. 용액은 서서히 농축되어 고체가 발생되었고, 이것은 용매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유동층으로서 건조되었고,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가 얻어졌다. 고체 재료가 제거되고, 중량이 측정되었다. 공정의 수율은 91.75%였고, 고체 내의 수분 함량은 약 0.62%였다.
설명된 발명은 용액, 에멀션, 분산액, 슬러리, 겔, 반고체 등으로부터 원 포트 고체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설계된 시스템의 효과를 입증한다. 추가의 설비 및 공정이 용액, 슬러리, 분산액, 에멀션, 반고체, 겔 및 유사한 재료의 제어된 농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회수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컨테이너 모듈(10), 기체 가압 수단(11), 증기 추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 모듈은,
    가압된 기체의 통과를 위한 천공된 베이스(20)를 구비하는 제 1 컨테이너(1),
    측면 상에 제 1 연속적 환형 공간(22)을 형성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컨테이너(1)의 베이스(20)와 제 2 컨테이너(2)의 베이스(24) 사이에 공간(23)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테이너(1) 내에 배치되는 제 2 컨테이너(2)로서, 상기 제 2 컨테이너(2)의 베이스(24)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저면을 갖는, 제 2 컨테이너(2),
    측면 상에 제 2 연속적 환형 공간(26)을 형성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28)와 상기 제 2 컨테이너(2)의 베이스(24) 사이에 공간(29)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컨테이너(3)
    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28)는 통로(5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테이너(1)의 베이스(20)는 가압된 기체원의 유출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 모듈(10)은 상부에 증기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 내에 일체화되며,
    상기 제 1 환형 공간의 상측부(25) 및 제 2 환형 공간(26)의 상측부(27)는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속적 환형 공간(22)과 제 2 연속적 환형 공간(26)의 사이에 서로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역을 구비함 ―;
    b) 용액, 분산액, 에멀션, 슬러리, 겔 또는 반고체로부터 선택된 액체 매체를 상기 제 3 컨테이너 안으로 충전하는 단계;
    c) 가압된 기체를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환형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환형 공간 내로 유동시키고, 나아가 상기 제 3 컨테이너의 베이스 내의 통로로부터 유동시켜 상기 액체 매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
    d) 고체의 회수를 위해 상기 시스템 내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상기 액체 매체를 농축하고 상기 고체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체는 용액, 분산액 및 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향상된 열전달을 위해 상기 기체와 액체 매체 사이의 접촉을 증진시키는 난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3 컨테이너(3) 내의 일련의 경사진 통로(50)에 의해 상기 가압된 기체가 상기 액체 매체의 전체 내에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가압 수단은 압축기 또는 송풍기인,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기체는 공기인,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모듈(10)은 상부에 증기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내에 일체화된,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또는 회수를 위한 방법.
KR1020177028726A 2012-11-01 2013-10-28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방법 KR101848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175/MUM/2012 2012-11-01
IN3175MU2012 2012-11-01
PCT/IB2013/002404 WO2014068386A2 (en) 2012-11-01 2013-10-28 A system for controlled concentration and solids recove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963A Division KR101793574B1 (ko) 2012-11-01 2013-10-28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11A KR20170117611A (ko) 2017-10-23
KR101848698B1 true KR101848698B1 (ko) 2018-04-13

Family

ID=542094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726A KR101848698B1 (ko) 2012-11-01 2013-10-28 실질적으로 건조된 고체의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방법
KR1020157011963A KR101793574B1 (ko) 2012-11-01 2013-10-28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963A KR101793574B1 (ko) 2012-11-01 2013-10-28 제어된 농축 및 고체 회수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22580B2 (ko)
EP (2) EP2914914B1 (ko)
KR (2) KR101848698B1 (ko)
ES (2) ES2739981T3 (ko)
WO (1) WO20140683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98B1 (ko) 2015-06-17 2018-01-30 이지현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CN113267023A (zh) * 2021-05-26 2021-08-17 安徽农业大学 一种带有余热回收装置的茶叶烘干设备
CN115014065B (zh) * 2022-06-01 2024-01-09 盐城东方天成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配件加工烘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552A (ja) 2005-03-23 2006-10-05 Kurita Water Ind Ltd 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271A (en) * 1975-05-21 1976-10-19 Andrews Norwood H Combined material feeder and drier
US4137029A (en) * 1977-09-19 1979-01-30 Cannon Limited Organic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DE3237303A1 (de) 1982-10-08 1984-04-12 Glatt GmbH, 7851 Binzen Vorrichtung fuer wirbelschichtverfahren sowie damit durchfuehrbares verfahren
US5022164A (en) 1989-11-29 1991-06-11 A/S Niro Atomizer Fluid bed dryer
US5033208A (en) * 1989-12-13 1991-07-23 Kabushiki Kaisha Matsui Seisakusho Hopper dryer
DK0474949T3 (da) 1990-09-11 1995-01-30 Niro Holding As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behandling af et pulverformet eller partikelformet materiale eller produkt med gas
ES2064972T3 (es) 1991-04-05 1995-02-01 Niro Holding As Un aparato de lecho fluidizado y un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DE4118433C2 (de) 1991-06-05 1994-12-01 Herbert Huettlin Fließbettapparatur zum Behandeln partikelförmigen Gutes
JPH05220314A (ja) * 1992-02-14 1993-08-31 Maekawa Seisakusho:Kk スラッジの乾燥回収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US5839207A (en) 1995-12-22 1998-11-24 Niro A/S Fluid bed apparatus, a bed plate therefore, and a method of making a bed plate
US5766557A (en) 1995-12-29 1998-06-16 Glatt Gmbh Fluidized-bed apparatus
US5647142A (en) 1996-05-13 1997-07-15 Niro A/S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a moist material dispersed or dispersible in a stream of drying gas
JP3866919B2 (ja) * 1998-05-07 2007-01-10 メグテック・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再生式熱源完全統合型ウェブ乾燥機
US5943786A (en) * 1998-12-24 1999-08-31 Stahley; Laura D. Container drying device
DE19904147C2 (de) 1999-02-03 2001-05-10 Herbert Huettlin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partikelförmigem Gut
US6249988B1 (en) * 2000-02-24 2001-06-26 Wyoming Sawmills, Inc. Particulate drying system
DE10015597A1 (de) 2000-03-29 2001-12-20 Huettlin Gmbh Bodenelement für eine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partikelförmigem Gut
DE10129166C1 (de) 2001-06-12 2003-01-16 Herbert Huettlin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partikelförmigem Gut
US6912778B2 (en) 2001-07-19 2005-07-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full-wafer silicon probe cards for burn-in and tes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US20040050802A1 (en) 2002-05-17 2004-03-18 Banister John Patrick Fluid bed filter-dryer apparatus
DE10318302B3 (de) 2003-04-14 2004-10-28 Hüttlin, Herbert, Dr.h.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partikelförmigen Guts
DE10345342A1 (de) 2003-09-19 2005-04-28 Engelhard Arzneimitte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gerstabilen Extraktes aus Efeublättern, sowie ein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Extrakt
DE202005003791U1 (de) 2005-02-28 2006-07-06 Hüttlin, Herbert, Dr. h.c. Apparatur zur Behandlung von partikelförmigem Gut
US7563325B2 (en) 2006-06-30 2009-07-21 Bender Martin P Wurster fluid bed coater with fluidizing gas distribution plate bypass
AT509388B1 (de) 2010-02-12 2012-06-15 Andritz Tech & Asset Man Gmbh Anströmboden für einen fluidisierungsappar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552A (ja) 2005-03-23 2006-10-05 Kurita Water Ind Ltd 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2100B1 (en) 2019-06-26
EP2914914A2 (en) 2015-09-09
ES2739981T3 (es) 2020-02-05
ES2643867T3 (es) 2017-11-24
KR20170117611A (ko) 2017-10-23
WO2014068386A2 (en) 2014-05-08
US10969173B2 (en) 2021-04-06
EP3242100A1 (en) 2017-11-08
KR20150079682A (ko) 2015-07-08
US10422580B2 (en) 2019-09-24
US20150285555A1 (en) 2015-10-08
WO2014068386A3 (en) 2014-09-12
US20190376744A1 (en) 2019-12-12
KR101793574B1 (ko) 2017-11-03
EP2914914B1 (en)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173B2 (en) Method for controlled concentration and solids recovery
Filková et al. 9 Industrial Spray Drying Systems
JP2016530096A5 (ko)
CA2907236C (en) Mobile 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evaporator
ES2948235T3 (es) Aparatos y procesos de secado por pulverización de ultra alta eficiencia
JP2020530810A (ja) 超高効率噴霧乾燥装置及びプロセス
US11085696B2 (en) Drying system with improved energy efficiency and capacity control
Wu et al. Pulse combustion spray drying of egg white: energy efficiency and product quality
HRP20180232T1 (hr) Postupak i oprema za proizvodnju čvrstog goriva iz mulja od otpadne vode
KR910700438A (ko) 고령토 슬러리를 응축시키는 방법
EP1906123A3 (en) System for securing plants for drying organic substances susceptible of causing explosive reactions and process for drying said substances
US10507402B2 (en) System for liquid purification
Zhang et al. Selective separation of zwitterionic phospholipid homologues with functional ionic liquids as extractants
CN206318853U (zh) 污泥干燥器
Su et al. Vaporization and particle formation during drying of multisolvent droplet without and with antisolvent-vapor infusion
CN203454620U (zh) 一种基于膜除湿的干燥和淡水制取联合装置
RU2354429C1 (ru) Пленочный выпарной аппарат с восходящей пленкой
JP2004000887A5 (ko)
WO2014194350A1 (en) Cooling tower system
WO2018109144A1 (en) Pla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a dried product from a humid product
TWI831355B (zh) 管式滲透蒸發膜製備方法及應用
RU2501767C1 (ru) Способ конвективной сушк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с регенерацией сушильного агента в трубе газодинамической температурной стратификации
Mujumdar Drying: Principles and practice
RU2486419C1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ая вакуум-сублимационная сушилка поточно-цикл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RU1507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молочно-растительн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