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184B1 -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184B1
KR101847184B1 KR1020160022844A KR20160022844A KR101847184B1 KR 101847184 B1 KR101847184 B1 KR 101847184B1 KR 1020160022844 A KR1020160022844 A KR 1020160022844A KR 20160022844 A KR20160022844 A KR 20160022844A KR 101847184 B1 KR101847184 B1 KR 101847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ng tank
water quality
sample collec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366A (ko
Inventor
윤성현
김시봉
이명호
Original Assignee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그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그린시스템 filed Critical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8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기 위한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시료채취조를 세정시 무인 원격으로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내로 출입하여 조작하는 것을 통제하여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질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판단하여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폐수 처리장 및 배출업소의 최종 방류수에 설치되어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여 관제서버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시료의 취수 시점에 대한 정확한 검출 데이터를 확보하여 시료의 수질 정보와 그에 따른 검출 데이터를 활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료채취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Water Quality Telemetering System}
본 발명은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기 위한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시료채취조를 세정시 무인 원격으로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내로 출입하여 조작하는 것을 통제하여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질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판단하여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질관리시스템은, 일정 규모 이상의 하수종말처리시설·폐수종말처리시설 및 폐수배출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원격감시하여 방류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총량을 산출하므로써, 산출된 오염물질 총량에 따라 폐수 배출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종래 수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되는 자료수집장치는, 하수종말처리시설·폐수종말처리시설 또는 폐수배출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취수하여 다종의 센서들로 수질 상태 및 유량을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초 간격)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5분 간격)으로 평균 자료를 산출하여 관제서버에 송신한다. 그리고 관제서버는 평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폐수 배출를 규제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종래 자료수집장치는 수질 상태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관제서버의 채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시료를 채수하여 추후 시료를 정밀 검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종래 수질관리시스템은 방류수의 수질을 분석한 후 순간적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여, 추후 채수된 시료를 검사하여 얻게 되는 채수 순간의 정밀한 수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화한 평균자료를 근거로 실제 배출된 오염물질 총량을 산출했었다.
하지만, 종래 채수방식으로 이루어진 시료는 한 순간의 수질 상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방류수의 수질 상태를 대표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수질 상태를 분석한 후 시료를 채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검출한 데이터는 실제 시료의 채수 시점 데이터와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대표성이 결여된 시료만을 채수하는 종래 수질관리시스템은 그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시스템 구축의 타탕성까지 문제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배출 사업장처리시설의 오염물질의 농도 및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의 수질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값 신호와 측정기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기; 상기 하나 이상의 방류구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는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원격검색명령을 상기 측정기에 전송하고, 상기 측정값 신호와 측정기 상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평균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하고,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자료수집기; 및 상기 측정기에 의한 수질에 대한 연속적 측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방류구와 상기 측정기 사이에 형성된 시료채취조에서 상기 하/폐수 시료를 불연속 또는 연속적으로 채취하는 자동 시료채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질관리시스템은 방류구에 설치되는 시료채취조는 방류구에 발생하는 토사 또는 이끼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막히거나 이러한 이물질까지 취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질관리시스템은 취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세척수를 입수구로 배출시켜 입수구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17429호 "수질 원격감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감시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기 위한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시료채취조를 세정시 무인 원격으로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내로 출입하여 조작하는 것을 통제하여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질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판단하여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폐수 처리장 및 배출업소의 최종 방류수에 설치되어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여 관제서버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시료의 취수 시점에 대한 정확한 검출 데이터를 확보하여 시료의 수질 정보와 그에 따른 검출 데이터를 활용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료채취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일측면(21a)에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되고, 하면(21b)에 시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시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4)을 갖는 시료채취조(20)와; 상기 시료채취조(20)에 수용된 시료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부(30)와; 상기 수질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시료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자료수집부(40)와; 상기 자료수집부(40)로부터 전송받은 시료 정보를 평균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제서버(50)와;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를 포함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 내부에 퇴적된 오염물질로 인해 상기 수질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시료 정보를 기 설정된 시료 정보와 비교하여 비정상 데이터로 판단되면 상기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에 의해 상기 시료채취조(20)가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는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 및 후면(21d)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4) 상에 끝단이 위치되고, 세척수 및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인입 배관(61)과; 상기 인입 배관(61)의 끝단에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 및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62)과; 상기 노즐(6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 및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세정에 따른 진행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3a)를 갖는 컨트롤박스(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인입 배관(61)은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인입 배관(61a)과,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인입 배관(61b)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62)은 상기 세척수 인입 배관(61a)의 끝단과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노즐(62a)과, 상기 에어 인입 배관(61b)의 끝단과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에어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에어노즐(6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세정노즐(62a)은 상기 세척수 인입 배관(61a)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원형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세정노즐(62a)은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어댑터(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관제서버(50)는 원격제어기능, 데이터수집/분석/저장기능, 자동측정자료 관리기능, 일반현황자료의 수집/저장/관리기능, 예보/경보 통보 기능, 자동측정자료의 행정자료 확인기능, 및 시스템 장애 방지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기 위한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시료채취조를 세정시 무인 원격으로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내로 출입하여 조작하는 것을 통제하여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질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판단하여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폐수 처리장 및 배출업소의 최종 방류수에 설치되어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여 관제서버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시료의 취수 시점에 대한 정확한 검출 데이터를 확보하여 시료의 수질 정보와 그에 따른 검출 데이터를 활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료채취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세정노즐과 어댑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컨트롤박스를 통해 세정과정이 제어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10)은 시료채취조(20), 수질측정부(30), 자료수집부(40), 관제서버(50),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폐수 처리장 및 배출업소(이하, 배출업소라 칭함)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여 관제서버(50)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고, 시료채취조(20) 내부에 퇴적된 오염물질로 인해 수질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시료 정보를 기 설정된 시료 정보와 비교하여 비정상 데이터로 판단되면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에 의해 시료채취조(20)가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관제서버(50)는 배출업소를 관리하는 행정 기관를 포함하고, 관제서버(50)에서 원격으로 수질오염물질을 측정함과 동시에 시료채취조(20)의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료채취조(20)는 관제서버(50)에서 관리하는 배출업소의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시료)가 수용되는 것으로, 일측면(21a)에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되고, 하면(21b)에 시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시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4)을 갖고, 상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덮개(25)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24)은 격벽(27)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되, 다수의 격벽(27) 중 타측면에 형성된 격벽(27)의 상부는 메쉬망(27a)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시료채취조(20)는 하부에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펌프(26)가 설치되어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고, 내부의 수용공간(24)에 수용된 시료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 레벨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된다.
수질측정부(30)는 시료채취조(20)에 수용된 시료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이온농도(pH), 유기물질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총 질소(T-N), 총 인(T-P) 등의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다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료수집부(40)는 수질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시료의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저장한 뒤, 관제서버(50)의 명령에 따라 관제서버(50)로 자료 전송과 수질측정부로(30)의 명령 전달을 수행한다.
관제서버(50)는 자료수집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자료수집부(4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 저장한다. 즉, 관제서버(50)는 자료수집부(40)에 저장된 수질 상태 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수질관리를 위한 정보로서 활용되며, 특히 시료수 채수시 획득한 채수 시각 데이터·유량 데이터 및 수질 상태 검출 데이터는 추후에 시료수를 정밀검사할 때에 근거 자료로서 활용된다.
관제서버(50)는 원격제어기능, 데이터수집/분석/저장기능, 자동측정자료 관리기능, 일반현황자료의 수집/저장/관리기능, 예보/경보 통보 기능, 자동측정자료의 행정자료 확인기능, 및 시스템 장애 방지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10)에 의하면, 하폐수 처리장 및 배출업소의 최종 방류수에 설치되어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여 관제서버(50)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의 취수 시점에 대한 정확한 검출 데이터를 확보하여 시료의 수질 정보와 그에 따른 검출 데이터를 활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10)은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는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 및 후면(21d)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4) 상에 끝단이 위치되고, 세척수 및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인입 배관(61)과, 인입 배관(61)의 끝단에 접속되어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 및 에어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62)과, 노즐(6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 및 에어를 제어하고, 시료채취조(20)의 세정에 따른 진행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3a)를 갖는 컨트롤박스(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인입배관(61)은 시료채취조(20)의 다수개의 격벽(27)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고, 컨트롤박스(60)의 디스플레이부(63a)는 작업자가 터치하여 동작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인입 배관(61)은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인입 배관(61a)과,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인입 배관(61b)을 포함하고, 노즐(62)은 세척수 인입 배관(61a)의 끝단과 접속되어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노즐(62a)과, 에어 인입 배관(61b)의 끝단과 접속되어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에어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에어노즐(6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세정노즐은(62a)은 세척수 인입 배관(61a)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원형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인입 배관(61)은 시료채취조(20)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척수 및 에어가 공급되는 배관으로, 세척수 인입 배관(61a)은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과 후면(21d)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고, 에어 인입 배관(61b)은 시료채취조(20)의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진다.
한편, 세정노즐(62a)은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어댑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어댑터(64)는 세척수 인입 배관(61a)의 끝단과 접속되어 넓은 각도의 범위에 조절가능한 것으로, 신속하게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박스(63)는 관제서버(50)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시료채취조(20)의 세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채취조(20)와 연결된 각종 밸브를 제어하여 세척수 및 에어를 시료채취조(20)로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컨트롤박스(63)는 관제서버(50) 및 배출업소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동작을 수행하되,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작업자가 컨트롤박스(63)를 조작시 디스플레이부(63a)를 터치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는 관제서버(50)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할 수 있고, 배출업소에서 제어하여 시료채취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출업소에서 제어할 시에는 원격으로 제어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콘트롤박스(63)를 조작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에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컨트롤박스를 통해 세정과정이 제어되는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시료채취조(20)의 내부에 퇴적된 오염물질로 인해 수질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시료 정보를 기 설정된 시료 정보와 비교하여 비정상 데이터로 판단되면 관제서버(50)는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를 동작시키도록 명령을 내리게 된다.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의 컨트롤박스(63)를 통해 관제서버(50)로부터 동작 명령을 전달받으면, 시료채취조의 세정장치(60)는 시료채취조(20)의 배출구(23)를 개방하여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5)에 수용된 시료를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2)는 폐쇄되고, 시료채취조(20)의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된 세척수 인입 배관(61a)은 개방되어 세척수가 세정노즐(62a)을 통해 분사되어 시료채취조(20)의 내부를 세정하게 된다. 이후, 시료채취조(20)의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된 세척수 인입 배관(61a)은 폐쇄되고, 시료채취조(50)의 전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세척수 인입 배관(61a)은 개방되어 시료채취조(20)의 내부를 세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료채취조(20)의 내부를 1차 세정하고,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과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된 세척수 인입 배관(61a)을 모두 개방하여 시료채취조(20)의 내부 전체를 세정하게 된다. 세척수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의 내부를 세정한 후, 세척수 인입 배관(61a)을 폐쇄하고, 에어 인입 배관(61b)을 개방하여 에어 노즐(62b)을 통해 에어를 시료채취조(20)의 내부에 분사하여 세정을 완료하도록 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시료채취조(20)의 유입구(22)를 개방하여 방류수(시료)가 유입구(22)를 통해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시스템은 수질오염물질을 자동측정하기 위한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의 시료채취조를 세정시 무인 원격으로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내로 출입하여 조작하는 것을 통제하여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질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판단하여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는 관제서버, 배출업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시료채취조를 세정할 수 있어 행정 기관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필요시 행정 기관의 관리하에 작업자가 시료채취조 세정장치의 컨트롤박스를 조작하여 시료채취조를 세정할 수 있어 시료채취조의 세정이 용이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시료채취조 세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료채취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20 : 시료채취조 21a : 일측면
21b : 타측면 21c : 전면
21d : 후면 22 : 유입구
23 : 배출구 24 : 수용공간
30 : 수질측정부 40 : 자료수집부
50 : 관제서버 60 : 시료채취조 세정장치
61 : 인입 배관 61a : 세척수 인입 배관
61b : 에어 인입 배관 62 : 노즐
62a : 세정노즐 62b : 에어노즐
63 : 컨트롤박스 64 : 어댑터

Claims (6)

  1. 일측면(21a)에 방류구에서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되고, 하면(21b)에 시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시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4)을 갖는 시료채취조(20)와;
    상기 시료채취조(20)에 수용된 시료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부(30)와;
    상기 수질측정부(30)로부터 측정된 시료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자료수집부(40)와;
    상기 자료수집부(40)로부터 전송받은 시료 정보를 평균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제서버(50)와;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를 포함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 내부에 퇴적된 오염물질로 인해 상기 수질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시료 정보를 기 설정된 시료 정보와 비교하여 비정상 데이터로 판단되면 상기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에 의해 상기 시료채취조(20)가 세정되도록 하되,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은 격벽(27)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되, 다수의 격벽(27) 중 타측면에 형성된 격벽(27)의 상부는 메쉬망(27a)이 형성되고,
    상기 시료채취조 세정장치(60)는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 및 후면(21d)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4) 상에 끝단이 위치되고, 세척수 및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인입 배관(61)과;
    상기 인입 배관(61)의 끝단에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 및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62)과;
    상기 노즐(6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 및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세정에 따른 진행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3a)를 갖는 컨트롤박스(63)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 배관(61)은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전면(21c) 및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인입 배관(61a)과, 상기 시료채취조(20)의 후면(21d)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인입 배관(61b)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62)은 상기 세척수 인입 배관(61a)의 끝단과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세척수를 원형으로 분사하여 상기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노즐(62a)과, 상기 에어 인입 배관(61b)의 끝단과 접속되어 상기 시료채취조(20)의 수용공간(24)에 에어를 분사하여 시료채취조(20)를 세정하기 위한 에어노즐(62b)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노즐(62a)은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어댑터(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는 원격제어기능, 데이터수집/분석/저장기능, 자동측정자료 관리기능, 일반현황자료의 수집/저장/관리기능, 예보/경보 통보 기능, 자동측정자료의 행정자료 확인기능, 및 시스템 장애 방지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KR1020160022844A 2016-02-25 2016-02-25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KR101847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44A KR101847184B1 (ko) 2016-02-25 2016-02-25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44A KR101847184B1 (ko) 2016-02-25 2016-02-25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66A KR20170100366A (ko) 2017-09-04
KR101847184B1 true KR101847184B1 (ko) 2018-04-09

Family

ID=5992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844A KR101847184B1 (ko) 2016-02-25 2016-02-25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861B1 (ko) 2021-11-16 2024-05-20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 폐수 자동 채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432B1 (ko) * 2018-07-11 2019-10-21 (주)두타아이티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101962402B1 (ko) * 2018-07-11 2019-03-26 (주)두타아이티 수질측정기기 배관구조 및 설치방법
KR102314412B1 (ko) * 2019-12-27 2021-10-19 주식회사 효림 오염토양 또는 오염지하수의 실시간 오염 측정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468515B1 (ko) * 2020-08-03 2022-11-18 이엠씨 주식회사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CN112408654A (zh) * 2020-12-08 2021-02-26 江苏诚品电气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系统的自动化控制装置
CN114594224B (zh) * 2022-05-09 2022-07-22 深圳市鼎钛海工装备有限公司 一种微站水质监测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861B1 (ko) 2021-11-16 2024-05-20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 폐수 자동 채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66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84B1 (ko)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CN112567242B (zh) 用于在饮用水分配网络中连续自动在线地监测水质和颗粒采样的移动系统
KR101782040B1 (ko) 드론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측량장치 및 위치측정방법
KR100945652B1 (ko) 원격 자동 수질 감시시스템
KR100817243B1 (ko) 수질원격감시시스템
CN106706946B (zh) 海水水样自动分配及反冲洗装置
KR20120034928A (ko) 상수관로 수질 측정 및 대응시스템
CN103424291A (zh) 一种多通道气体取样辐射监测装置及其工作方法
JP4598775B2 (ja) 流体監視装置、流体幹線及び流体監視方法
CN102384884A (zh) 取样式浆液密度测量法
WO2020012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ing monitoring and verification
CN205644200U (zh) 一种火电厂实时水务监测系统
KR20120034924A (ko) 상수관로 이동형 수질 측정 및 입자포집장치
KR101621449B1 (ko)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JP2007240373A (ja) 水処理用ろ過システムの膜損傷検出装置及び膜損傷検出方法
CN109072597A (zh) 用于控制用于建筑物或用于船舶的真空污水系统的方法
KR101707282B1 (ko) 다용도 제수밸브를 이용한 비굴착형 부단수 측정장치
KR20110085470A (ko) 발전용수 수질측정의 제어 및 감시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통합형 수질측정 시스템
US20230176027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water facility
KR101742274B1 (ko) 소규모 상수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수질 측정 장치
KR100387362B1 (ko)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
CN214201419U (zh) 一种一体式九参数微型水质自动监测柜
KR102259536B1 (ko) 지능형 상수도 관로 자동 플러싱 시스템 및 방법
KR101659422B1 (ko) 급수관 정체수역 자동퇴수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