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79B1 -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779B1
KR101846779B1 KR1020170048263A KR20170048263A KR101846779B1 KR 101846779 B1 KR101846779 B1 KR 101846779B1 KR 1020170048263 A KR1020170048263 A KR 1020170048263A KR 20170048263 A KR20170048263 A KR 20170048263A KR 101846779 B1 KR101846779 B1 KR 10184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module
optical transceiver
cage
optical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훈
Original Assignee
유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훈 filed Critical 유창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78Electrical aspects related to pluggable or demountable opto-electronic or 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85Optical modules characterised by a connectorised pigta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 커넥터(4)와 결합될 수 있는 광 트랜시버 모듈(2) 및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지(3)를 포함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안에 내장된 제1광어셈블리(51) 및 제2광어셈블리(52);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광소자들을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전자제어회로;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제1의 깊이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 및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3)의 양 측면부들(3b)에는 록탭(lock tab, 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내부를 향해서 20~45°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Coupling structure for facilitating of the combination and detachment between an optical transceiver module and a case}
본 발명은 광학 연결기 디바이스 기술 전반에 관련된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스트 장치와 광섬유 케이블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트랜시버 모듈의 양 측면부에 탄성력이 좋은 금속 재질의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에 실장되는 케이지의 양 측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걸 수 있는 록 탭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지의 내부로 트랜시버 모듈을 밀어 넣기만 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적인 록킹(locking)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슬라이더의 라운드형 파지부를 누르고서 트랜시버 모듈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트랜시버 모듈을 케이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에 관한 기술들이 비약적으로 발전함과 더불어 위성통신 및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기술 수준 역시 빠르게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첨단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고속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광섬유를 통신라인에 사용함으로써 고속의 광전송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광통신용 광모듈로는 광전(光電) 변환을 수행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한 광 송수신기(optical transceiver)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광 송수신기 모듈은 컴퓨터 간, 제어기 및 컴퓨터 간과 같은 단거리 및 장거리 통신에서 광학신호와 전기신호의 상호 변환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호스트(host) 장치에 실장되어 있는 케이지(cage) 또는 케이지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된다.
이렇게 시스템 호스트 장치와 광섬유 케이블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광 트랜시버(transceiver) 모듈은, 송신용 및 수신용 광소자와, 이를 제어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된다. 송신용 광소자는 'TOSA'(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라는 형태로, 수신용 광소자는 'ROSA'(Receiver Optical Sub-Assembly)라는 형태로 광 트랜시버 모듈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광학적 연결을 제공하는데, 상기 'TOSA'와 'ROSA'를 합하여 '광 서브 어셈블리'(Optical Sub-Assembly; OSA)라고 통칭한다. 여기서, 광 트랜시버 모듈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기 송신용 광소자로는 레이저 다이오드(LD)와 같은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용 광소자로는 포토 다이오드(PD)와 같은 수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OSA' 및 'ROSA'의 제어 및 구동을 위한 전자회로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광 서브 어셈블리와 호스트 장치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고속 광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및 산업화를 위해 현재까지 광 트랜시버 모듈에 대한 다수의 표준 사양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XFP(10 Gbps Small Form-factor Pluggable), XENPARK, XPAK 및 X2 등의 표준사양들이 개발되었다. 이 중에서 SFP와 XFP가 현재 광 트랜시버 모듈의 범용적인 표준사양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SFP 모듈에 관해서는 산업표준화기구(ISO)에서 SFP 트랜시버용 MSA(Multi-source Agreement)라고 불리는 표준을 제정하여 트랜시버 모듈과 이를 수용하는 케이지의 형상 및 치수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고속 광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디지털 신호처리, 영상 및 음성 처리 및 해석 등의 기술들을 실험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는 다수의 광 통신 부품들에 대한 여러 가지 테스트를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때 광 통신 부품들을 호스트 장치에 연결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자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이를 수용하는 케이지의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서로간의 결합과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결합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체결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통신 시스템이 설치된 실제 현장에서도 호스트 장치에 광케이블을 바꿔 낄 경우가 자주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체결구조가 필수적이다.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체결구조 및 방법에 관해서는 공개특허공보 10-2011-0071786호, 등록특허 제59322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546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606호, 등록특허 제947694호 등에 소개된 바 있다.
이 중에서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11-0071786호는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SFP 트랜시버 모듈의 케이스 밑면에 레버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체결핀이 위치하되, 상기 체결핀은 케이지의 밑면에 대응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져 록킹상태를 유지하고, 트랜시버 모듈의 전단부에 마련된 레버를 손으로 동작시키면 상기 체결핀이 케이스 안으로 숨어 들어가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트랜시버 모듈의 케이스와 케이지 간의 록킹 상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한 구성은 SFP MSA 표준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그 밖의 특허문헌들, 즉 등록특허 제593220호의 「광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지와의 로크 상태에서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는 광모듈」, 공개특허공보 10-2009-0025460호의 광「트랜시버 모듈」, 공개특허공보 10-2010-0022606호의 「광통신용 트랜시버 케이스의 탈착구조 및 방법」 및 등록특허 제947694호의 「트랜시버 케이지」에도 모두 이와 비슷한 레버와 체결핀, 체결홈에 관련된 구성들이 게재되어 있다.
그런데 위에 언급한 특허문헌들에 소개된 구성들은 모두 케이스의 전면에서 레버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케이스의 밑면에 위치한 체결핀이 케이스 쪽으로 숨어 들어가도록 한 구조를 갖고 있을 뿐이어서, 호스트 장치의 랙(rack)에 다수의 케이지들이 조밀하게 실장되고, 그러한 케이지들에 광 트랜시버 모듈들이 역시 조밀하게 결합된 경우, 레버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더라도 랙의 표면과 닿아 체결핀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어려웠으며, 레버를 누르는 힘과 광 트랜시버 모듈을 잡아 빼는 힘이 작용방향이 서로 다른데도 동시에 각각 들어가야만 되어 사용자가 광트랜시버 모듈을 케이지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에 관한 체결구조 및 방식으로는 광트랜시버 모듈을 호스트 장치의 케이지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쉽지 않았고, 과도한 힘으로 잘못 빼려고 할 경우 장치를 아예 망가뜨리는 일도 빈번하여, 광통신 부품들의 테스트 과정에서 자주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있는 광 통신 장치의 사용에 있어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뛰어난 강성과 안정적인 착탈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제조가 매우 간단한 XFP 타입의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록킹 및 해체를 위한 '스프링 슬라이더' 방식의 해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XFP 트랜시버 모듈에 대해 사용되는 연결기의 체결구조를 원터치 방식의 장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고, 체결구조의 강성과 안정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XFP 광 트랜시버 모듈의 광 커넥터(LC커넥터)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광 트랜시버 모듈을 케이지 어셈블리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LC플러그상의 전기적 감쇠량을 최소화하고, 광 커넥터의 노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송수신 서브 어셈블리(TOSA/ROSA)를 포함한 광 서브 어셈블리(OSA)와 디바이스 구동을 위해 필요한 인쇄회로기판(23), 그리고 이런 구성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20)로 구성된다. 이때,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의 구성은 케이스 몸체(20a)안에 각 디바이스 조립체를 삽입하고 케이스 상판(22)을 결합하며, 케이스(20)의 양 측면부(20a-1)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더가 원터치 핸들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에 삽입전(상시)에는 케이스(20)의 록(lock)이 풀려 있으므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이 그대로 원터치로 케이지(3)에 밀어 넣어서 장착할 수 있다.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와 케이지(3)를 해체할 때에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양단에 위치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폭 방향의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타원형 슬라이더의 유격이 수축하여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여 슬라이더(21)가 늘어나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측면부(20a-1)에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가이드 경로를 전진하여 케이지(3)의 록탭(33)을 외부로 밀어낸다. 이렇게 록탭(33)이 케이지(3)의 외측으로 밀려 나오면,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간의 록킹 상태는 해제되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섬유 통신라인과 전자계산기 시스템 간의 광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광섬유 라인의 일 단부에 결합된 광 커넥터(4)와 결합될 수 있는 광 트랜시버 모듈(2) 및 전자계산기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실장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케이지(3)를 포함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스 몸체(20a)와 그 위를 덮는 상판(2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안에 내장되며 전기신호와 광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1광어셈블리(51) 및 제2광어셈블리(52);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호스트 장치의 전기회로와도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광소자들을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전자제어회로;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제1의 깊이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 및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3)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한쪽 면이 상기 호스트 장치 상에 본딩 결합되고, 케이지 몸체(30)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된 입구(3a)를 통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양 측면부들에는 록탭(lock tab, 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양 측면부들(3b)에서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이동 경로와 겹쳐지는 면적 부분을 'ㄷ'자 모양으로 펀칭 및 절곡 가공하여 형성하되, 이때 상기 펀칭 작업에 의해 케이지(3)의 양 측면부들(3b)에 제1개구부(34)가 만들어지고, 상기 록탭(33)은 상기 케이지(3)의 입구(3a) 쪽을 향한 부분을 통해서만 케이지(3)의 측면부(3b)와 일체로 연결되고, 나머지 방향들에 대해서는 케이지(3)의 측면부(3b)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내부를 향해서 20~45°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 트랜시버 모듈(2) 내의 전자제어회로가 인쇄회로기판(23)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은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 안에 배치되되, 상기 광 커넥터(4)에 가깝게 위치한 제1단부 쪽에는 상기 제1광어셈블리(51) 및 제2광어셈블리(52)와 연결된 부품들이 결합되고, 상기 제1단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제2단부 쪽에는 연결단자부(2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의 연결단자부(23b)는 케이지(3) 안에 설치된 단자소켓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소켓은 호스트 장치의 전자회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안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이 배치되는 위치에 제1안착면(2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2안착면(25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안착면(25)을 둘러싸는 케이스 몸체(20a)의 내벽면 상에는 제2의 두께로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가 튀어나와 있으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를 덮는 상판(22)의 밑면에도 상기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들(202)이 제2의 두께로 튀어나와 있고, 상기 케이스(20)의 몸체(20a) 및 상판(22)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은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2) 및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케이스(20) 내에서 흔들림없이 지지되고, 케이스(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가,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끼움핀 구멍(21f)이 관통 형성된 고정단부(21e);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단부(21e)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반타원형으로 휘어져서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는 라운드형 파지부(21a); 일측 단부가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된 직선 설요소부(21b); 일측 단부가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 보다 융기된 높이를 갖는 록킹 어깨부(21c); 및 상기 록킹 어깨부(21c)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가동단부(21d);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어깨부(21c)는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와의 경계 부분에 록킹 경사면(21c-1)을 갖고, 상기 록킹 경사면(21c-1)과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가동단부(21d)와의 경계면에는 대향 경사면(21c-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광 커넥터(4)와 결합되는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제1단부에는 광 커넥터 삽입구멍들(28a, 28b)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 커넥터들(4)은 상기 광 커넥터 삽입구멍을 통해 광 트랜시버 모듈(2) 안으로 끼워져서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와 연결되고,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1e)와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이 케이지(3)의 내부에 들어가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 안착홈부(26e)에는 끼움핀(26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핀(26b)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끼움핀 구멍(21f)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1e)가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a)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안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 안으로 밀어 넣으면, 인쇄회로기판(23)의 연결단자부(23b)가 케이지(3) 내의 단자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록탭(33)의 끝부분(33a)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경사면(21c-1)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b)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압박하여 누르면,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가 휘어져 융기함으로써 상기 록탭(33)을 케이지(3)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게 되어 록탭(33)과 스프링 슬라이더(21) 간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는,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 안착홈부(26e)가, 그로부터 연장된 직선 홈 구간(26f)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직선 홈 구간(26f)에 의한 직선방향의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끼움핀(26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가 안착되는 어깨 안착홈 공간(26a)은 상기 직선 홈 구간(26f) 및 단부 안착홈 공간(26c)보다 확대된 폭을 갖고,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에서 확대된 폭에 의한 모서리 부분들에는 만입된 모양의 코너 포켓들(26a-1)이 형성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록탭(33)의 끝부분(33a)이 록킹 경사면(21c-1)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록탭(33)의 끝부분(33a)의 모서리들이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코너 포켓들(26a-1)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상기 록탭(33)과 스프링 슬라이더(21) 간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를 가진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는 XFP 광 트랜시버 모듈의 광송수신 서브 어셈블리(TOSA/ROSA)에 장착한 LC커넥터를 분리할 필요없이 광 트랜시버 모듈을 케이지 어셈블리로부터 직접 분리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LC커넥터의 장탈시에 발생되었던 광커넥터의 로스(loss)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광 트랜시버 모듈 케이스의 원터치 체결방식에 의한 원활한 장탈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를 가진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 중의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그리고 광커넥터들(4)과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결합관계를 보이는 평면 조립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평면투시도(그림<a>) 및 측면투시도(그림<b>)이다.
도5는 도4의 그림<a>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저면도 및 전후면도로서, 이 중 그림<a>는 도6의 광 트랜시버 모듈(2)을 밑면에서 올려다 본 저면도이고, 그림<b>는 그림<a>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되 케이스 상판(22) 부분이 위로 가도록 그림을 180° 회전시킨 것이며, 그림<c>는 그림<a>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배면도이되 케이스 상판(22) 부분이 위로 가도록 그림을 180° 회전시킨 것이다.
도8은 도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사시도로서, 다만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앞부분에 광커넥터들(4)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를 분리하여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부분과 케이스 상판(22)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부분으로부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13 및 도14는 도12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를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 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2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의 저면도이고, 도16은 측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의 핵심을 이루는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사시도이고, 도18은 정면도이며, 도19는 평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에 있어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 안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일부 투시도로서, 이때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측면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가 케이지(3)의 측면에 형성된 록탭(lock tab, 33)에 걸려 광 트랜시버 모듈(2)이 빠지지 않도록 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21과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에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 일부 투시도들로서, 이 중 도21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사람의 손가락들로 눌러서 압박하여 변형시키는 장면을 도시하며, 도22는 록탭(33)의 끝부분(33a)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 위를 타고 넘어서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간의 잠금상태가 풀리고 서로 분리되는 장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자체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간 개발된 SFP, XFP, XPAK, XENPARK 등의 다양한 표준사양들에 따른 트랜시버 모듈의 체결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XFP 타입의 광학 트랜시버에 특화된 체결방식에 관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SFP 타입의 광학 트랜시버의 경우, 트랜시버 케이스의 밑면에 돌출된 체결핀이 케이지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맞춰지는 방식으로 록킹 및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표준사양의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의 체결구조를 적용하려면 기존의 SFP 타입의 광학 트랜시버에 관한 표준규약(SFP MSA)과 다르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XFP 타입의 광학 트랜시버는 케이스의 양 측면에 슬라이더를 설치하는 것을 표준규약(XFP MSA)으로 지정하고 있어서, 본 발명의 체결구조를 직접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의 체결구조는, 이하 특히 XFP 타입의 광학 트랜시버 모듈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광 트랜시버'라고 칭할 때에는 이를 'XFP 광 트랜시버'와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를 가진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설명의 편의상 일반적인 사용 상태시의 모습과는 정반대로, 상하를 거꾸로 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사용시에는 아래쪽을 향해 있는 면(호스트 장치 결합면(35))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케이지(3)를 배치하고, 그 케이지(3)에 결합된 상태로서의 트랜시버 모듈(2)을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광섬유를 통신라인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광 커넥터(4)를 호스트(미도시)에 연결하거나 또는 그러한 연결을 해제하는 기구라고 할 수 있다.
도1을 참고하면,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시스템의 호스트(미도시)에 용접, 납땜 등의 방식으로 일면이 결합되는 케이지(3)와, 상기 케이지(3) 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을 구비한다. 도1에서 케이지(3)의 상면(35)은 호스트 장치의 랙에 결합되는 면이며, 상기 결합면(35)에는 복수 개의 제2개구부들(36)이 형성되고, 그 제2개구부들(36)을 형성하기 위해서 떼어진 부분들이 상방으로 꺾어져 올라가서 제1웰딩용 탭들(37)을 형성한다. 상기 제1웰딩용 탭들(37)은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용접, 납땜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3)의 상부에 위치한 결합면(35)의 후단 쪽에는 케이지 단부 앵글부재(39)가 위치하며, 상기 결합면(35)과 케이지 단부 앵글부재(39)의 사이에는 제3개구부(39a, 도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개구부들(36)은 케이지(3) 내부에 위치하는 트랜시버 모듈(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3개구부(39a)는 인쇄회로기판(23)과 연결된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케이지 단부 앵글부재(39)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제2웰딩용 탭들(38)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웰딩용 탭들(38) 역시 제1웰딩용 탭들(37)과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본딩됨으로써, 케이지(3)를 호스트 장치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케이지(3)는 상방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진 몸체(30) 위에 결합면(35)이 얹혀지고, 결합면(35)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꺾쇠부(35a)를 형성하여 몸체(3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들을 붙잡음으로써, 상기 호스트 장치 결합면(35)과 몸체(30)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케이지(3)는 철, 스테인리스(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케이지(3)의 양 측면부(3b)에는 제1개구부(34)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구부(34)를 형성하기 위해 3면이 잘라진 부분은 록탭(lock tab, 33)이 되며,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내부 쪽으로 20~45°의 각도로 절곡된 자세를 취한다.
도1의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상기 케이지(3)의 내부에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삽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양 측면부(20a-1)에는 스프링 슬라이더(2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측면부(20a-1)에 결합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일부가 케이지(3)의 록탭(33)에 걸림으로써,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는 록킹 결합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해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지(3)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로부터 빼기를 원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손가락 2개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양 측면부들(20a-1)에 위치한 스프링 슬라이더들(21)을 각각 누르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케이스(20)를 잡아 빼면 된다. 그러면, 케이지(3)의 록탭(33)에 걸려있던 스프링 슬라이더(21)의 해당 부분이 록킹 상태로부터 풀려나면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분리되어 빠져나오게 된다.
도1에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전방부에 광 커넥터들(4)이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광 커넥터(4)는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케이블(4a), 상기 광케이블을 보호하는 부트(boot, 4c) 및 상기 부트(4c)를 둘러싸면서 결합된 바디(body, 4g)와 캡(4b), 상기 캡(4b)의 일측에 연결된 해제레버(4d)를 포함한다. 상기 캡(4b)의 밑면에는 해제레버(4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4g)의 밑면에는 스토퍼(stopper, 4e; 도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e)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 밑면에 형성된 걸림구조 부분(미도시)에 그 일부가 끼워져서 광 커넥터(4)가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에 록킹되도록 하며, 상기 해제레버(4d)는 광 커넥터(4)를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누르게 되는 부품이다. 상기 해제레버(4d)가 눌려지면, 해제레버(4d)와 접촉하고 있는 스토퍼(4e)의 형태가 변형되어 스토퍼(4e)가 케이스(20)의 걸림구조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그 결과 광 커넥터(4) 자체가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1은 케이스(3)의 전면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플랜지이고, 22는 상기 케이스(3)의 상판이며, 22a는 상기 케이스 상판(22)에 형성된 볼트 통과공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는 케이스 몸체(20a)와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상판(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20) 안에는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과 인쇄회로기판(23)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광어셈블리(51)는 예를 들어 광 송신 서브어셈블리(TOSA)이고, 상기 제2광어셈블리(52)는 예를 들어 광 수신 서브어셈블리(ROSA)로서, 이들을 통칭하여 광 서브 어셈블리(OSA)라고 부른다. 상기 제1광어셈블리(51)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롤 변환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내장된 하우징(51a)과 상기 레어저 다이오드에 연결된 핀들(51b)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광어셈블리(52)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가 내장된 하우징(52a)과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 전기신호를 인쇄회로기판(23)으로 전달할 수 있는 커넥터 케이블(52b)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전단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안착홈들(27a, 27b)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광어셈블리(51)는 제1광어셈블리 안착홈(27a)에 놓여지고, 제2광어셈블리(52)는 제2광어셈블리 안착홈(27b)에 놓여지며, 그 위로 케이스 상판(22)의 밑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광어셈블리 받침목들(205a, 206a; 도10 참조)이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광어셈블리들(51, 52)은 케이스(20) 내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중앙 부분에는 제1안착면(25)과 제2안착면(25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면(25)은 인쇄회로기판(23)이 놓여지는 자리이며, 상기 제2안착면(250)은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하우징(51a, 52a) 부분들과 핀(51b) 및 커넥터 케이블(52b)이 놓여지는 자리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후단부 쪽에는 제1안착면(25)의 후단부를 규정하기 위한 내부 칸막이벽(20b)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제1안착면(25)의 모서리 부분에는 볼트체결 포스트들(24a)이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체결 포스트들(24a)에는 볼트 체결공들(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23)은, 상기 제1안착면(25)에 놓여졌을 때 상기 볼트체결 포스트들(24a)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볼트체결 포스트들(24a)이 있는 자리는 볼트체결 포스트용 홈(23a)들이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다. 케이스 상판(22)은 체결볼트들(22b)이 볼트통과공(22a)을 지나 케이스 몸체(20a)의 볼트체결공들(24)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 몸체(20a)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양 측면부들(20a-1)에는 그 전단부 쪽에 0.2~1.2㎜의 깊이로 슬라이더 안착홈(26)들이 파여져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들은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파여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에는 스프링 슬라이더(21)가 넣어져서 위치가 고정되는데, 이때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부 끝에 돌출 형성된 끼움핀(26b)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전단부 끝 쪽에 마련된 끼움핀 구멍(21f, 도17 및 도18 참조)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더 안착홈(26)안에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깊이는 0.5~0.7㎜로 하고,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두께는 0.2~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깊이를 0.6㎜로 하고,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두께를 0.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굴곡된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슬라이더 안착홈(26)안에 쏙 들어가 있게 되므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눌러 조작하더라도 안착홈(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은 일종의 가이드레일로서의 기능을 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는 스테인리스(SUS), 스프링 강판 등과 같이 탄성력과 복원력이 좋은 금속 소재를 프레스 장치에 넣고 한 번에 모양을 찍어내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구조는, 상기 케이스 몸체(20a)에 형성된 끼움핀(26b)과 결합되는 끼움핀 구멍(21f)을 가진 고정단부(21e), 반타원(半楕圓) 형태로 튀어나온 라운드형 파지부(21a),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에 이어져서 길게 연장된 직선 설(舌) 요소부(21b), 케이지(3)의 록탭(33)과의 관계에서 걸림 및 풀림 작용을 하는 록킹 어깨부(21c), 및 상기 록킹 어깨부(21c)로부터 더 연장된 가동단부(21d)로 구성된다(도2 및 도8 참조)
한편,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역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형상 및 구조에 맞춰 각 부분이 특별한 사양으로 형성된다. 즉, 도2에서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좌측 끝 부분(※도11에 전단 안착홈부(26e)로 표시됨)은 L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는데, 그 상부 모서리 부분에 끼움핀(26b)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우측 끝부분에는 확장된 폭을 가진 어깨 안착홈 공간(26a)과 단부 안착홈 공간(26c, 도11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1e; 도3 및 도17 참조)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돌출 형성된 끼움핀(26b)에 끼워져서, 스프링 슬라이더(21)가 케이스 몸체(20a)의 슬라이더 안착홈(26)안에 넣어지므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탈선이 방지되며, 스프링 슬라이더(21) 중의 라운드형 파지부(21a)가 눌려졌을 때의 압력에 의해 직선 설요소부(21b) 및 기타 부분들이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의 유격 안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직선 설요소부(21b), 록킹 어깨부(21c) 및 가동단부(21d)가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미끄러짐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움직임은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슬라이더 안착홈(26)이라고 하는 일종의 '가이드 레일' 안에서만 행해지므로, 광 트랜시버 모듈의 해체시에는 스프링 슬라이더의 라운드형 파지부(21a)에 압력을 가하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직선 설요소부(21b) 및 록킹 어깨부(21c)가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고, 이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 슬라이더의 부풀어 오른 부분이 케이지의 록탭(33)을 케이지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어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21 및 도22 참조).
인쇄회로기판(23)은 케이스(2)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3)의 면적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을 향한 부분에는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배선이 결합되며, 그 반대쪽 단부에는 구리도금에 의해 형성된 연결단자부(23b, 도6 참조)가 위치한다.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 안에 장착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23)의 연결단자부(23b)가 도달하게 되는 케이지(3) 내의 소정 위치에는 단자소켓(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어서, 인쇄회로기판(23)이 케이지(3)의 단자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소켓은 전선들에 의해서 호스트 장치의 전기회로와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23)은 케이스(20)와의 접합성 및 접지 특성 향상을 위해 케이스(20)와 접촉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의해 케이스(20)의 접지단과 인쇄회로기판(23)의 접지단을 공통으로 묶어서 접합하고 접지시키므로, 외부의 노이즈에 대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f는 광커넥터(4)의 부품들 중 하나인 페룰(ferrule)을 가리키는데, 상기 페룰(4f)은 광커넥터 등의 접속에서 광섬유 심선(心線, core wire)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길고 얇은 실린더 튜브 형태의 부품으로서, 그 페룰의 정중앙에 구멍이 있어서 그 구멍으로 빛이 통과하게 되어 있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 중의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 그리고 광커넥터들(4)과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결합관계를 보이는 평면 조립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양 측면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안에 스프링 슬라이더(21)를 설치하고,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의 입구(3a)를 통해 그 속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의 록킹 경사면(21c-1, 도17 참조)에 케이지(3)의 록탭(33, 도2 참조)이 자동적으로 걸려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와 결합되고, 특별한 해제 동작을 취하지 않는 이상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지(3)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여기서 특별한 해제동작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압박하고 그 상태에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잡아 빼는 동작을 말한다.
한편,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속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 록탭(33)에 의해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때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인쇄회로기판(23) 부분이 케이지(3)의 제3개구부(39a)에 위치하게 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평면투시도(그림<a>) 및 측면투시도(그림<b>)이다. 도4의 그림<a>와 <b>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는 케이스(20)의 전단부에 위치한 공간과 바로 그에 인접한 제2안착면(250)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스(20)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제1안착면(25)에는 인쇄회로기판(23)이 놓여진다. 도4에서 도면부호 23b는 인쇄회로기판(23)의 후단부에 구리 도금에 의해 형성된 연결 단자부를 가리킨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광 커넥터(4)는 그 연결 형태에 따라 LC(Lucent connector)형, SC(subscriber connector)형, FC(fiber transmission system connector)형, ST(straight tip connector)형 등의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XFP 타입의 광 트랜시버에 특화된 체결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므로, XFP 타입의 광 트랜시버에 많이 적용되는 LC형의 광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C형 커넥터는 루슨트(Lucent)사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SFP 타입과 같은 소형의 트랜시버에 적합하며, RJ-45 잭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광 커넥터(4)는 바람직하게는 LC형 커넥터이며, 도4의 그림<b>에 그 형태가 잘 나타나 있다. 도4의 그림<b>를 참고하면, 바디(4g)에 연결되어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4e)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의 밑면에 마련된 홈 형태의 걸림구조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4e)가 케이스(20)의 밑면에 걸림으로써 광 커넥터(4)의 위치가 케이스(20)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때, 광 커넥터(4)의 페룰(4f)이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의 전단부와 접촉하여 매칭됨으로써 광 케이블들(4a)이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와 연결된다. 광 커넥터(4)들을 케이스(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캡(4b)에 연결된 해제레버(4d)를 눌러서 스토퍼(4e)가 바디(4g)쪽으로 오므려지도록 하면 된다.
도5는 도4의 그림<a>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20a)의 양 측면부(20a-1)에는 슬라이더 안착홈(26)이 파여져 있으며, 그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 스프링 슬라이더(21)가 끼워져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사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케이스(2)의 양 측면부들(20a-1)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는 반타원 형태로 솟아나온 라운드형 파지부(21a)와 마치 혀처럼 길게 뻗은 직선 설요소부(21b) 및 외측으로 절곡되어 융기된 록킹 어깨부(21c), 그리고 록킹 어깨부(21c)로부터 더 연장된 가동단부(21d)로 구성된다. 스프링 슬라이더(21)가 끼워진 슬라이더 안착홈(26)은 상기 가동단부(21d)가 위치한 단부 안착홈 공간(26c)만이 약간 더 여유있게 형성되어 있고, 그 외의 공간부분들은 모두 스프링 슬라이더(21)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누르면 직선 설요소부(21b)가 도6의 우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가동단부(21d) 역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처럼 가동단부(21d)가 우측으로 이동할 공간적 여유를 주기 위하여 상기 단부 안착홈 공간(26c)이 가동단부(21d)의 형상보다 좀 더 길게 형성된 것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저면도 및 전후면도로서, 이 중 그림<a>는 도6의 광 트랜시버 모듈(2)을 밑면에서 올려다 본 저면도이고, 그림<b>는 그림<a>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되 케이스 상판(22) 부분이 위로 가도록 그림을 180° 회전시킨 것이며, 그림<c>는 그림<a>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배면도이되 케이스 상판(22) 부분이 위로 가도록 그림을 180° 회전시킨 것이다.
도8은 도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의 사시도로서, 이때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앞부분에 광커넥터들(4)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을 참고하면,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의 입구를 통해 끝까지 밀어 넣었을 때에는, 케이지(3)의 측면부(3b)에 형성된 록탭(33)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의 한쪽에 위치한 록킹 경사면(21c-1)에 "딱" 소리와 함께 걸쳐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조작하지 않은 이상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지(3)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도8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전단부에는 제1 및 제2 광커넥터 삽입구멍들(28a, 2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멍들(28a, 28b)에 광 커넥터(4)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를 분리하여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부분과 케이스 상판(22)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을 참고하면, 케이스 몸체(20a) 안에는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이 서로 평행한 형태로 놓여지며, 그 사이에는 제1체결지지 블록부(29)가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상판(22)의 밑면에는 그 앞쪽 부분에 제2체결지지 블록부(2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 상판(22)을 케이스 몸체(20a)와 결합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체결지지 블록부(204)가 제1체결지지 블록부(29)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고, 볼트(미도시)를 이용해 상기 제2체결지지 블록부(204)와 제1체결지지 블록부(29)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29a는 제1체결지지 블록부(29)의 앞쪽 면에 형성된 제1볼트 체결공을 가리키며, 204a는 제2체결지지 블록부(204)의 앞쪽 면에 형성된 제2볼트 체결공을 가리킨다.
상기 케이스 상판(22)의 밑면에는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목 부분들과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할 수 있게끔 제1 및 제2광어셈블리 받침목들(205a, 206a)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쪽 면적 부분에는 하우징 안착공간(207)이 약간의 깊이로 파여져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몸체(20a)의 내벽면들에는 약간의 두께를 가진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가 튀어나와 있고, 케이스 상판(22)의 내벽면들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2)가 튀어나와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들(202, 201)은 인쇄회로기판(23)의 가장자리 부분들과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써 기계적인 진동을 차단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지효과를 제공하여 전자파 노이즈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10에서 케이스 몸체(20a) 안에 안착된 제1광어셈블리(51)의 앞쪽 끝에는 페룰 연결부(51c)가 마련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광어셈블리(52)의 앞쪽 끝에도 페룰 연결부(52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페룰 연결부들(51c, 52c)은 광 커넥터(4)의 페룰(4f)과 접촉하여 광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은 역할을 수행한다(도2 및 도4 참조).
도11은 도10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부분으로부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은 케이스 몸체(20a)의 전단부 쪽에 마련된 L자형의 전단 안착홈부(26e)와, 직선 홈 구간(26f), 그리고 확장된 폭을 갖는 어깨 안착홈 공간(26a)과 다시 폭이 좁아진 단부 안착홈 공간(26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 홈 구간(26f)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와 직선 설요소부(21b)를 수용하는 부분이며,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를 수용하고, 상기 단부 안착홈 공간(26c)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가동단부(21d)를 수용한다.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4개의 모서리 부분들에는 각각 만입(灣入)된 모양을 가진 코너 포켓(26a-1)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1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0b-1은 케이스 몸체(20a)의 후단부에서 내부 칸막이벽(20b)에 의해 구분되어진 후단 공간부를 가리킨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12에서는 케이스 몸체(20a)의 양 측면부들(20a-1)에 0.2~1.2㎜의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13 및 도14는 도12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를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 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케이스 몸체(20a)의 밑면에는 제1 및 제2광커넥터 삽입구멍들(28a, 28b)의 자리에 제1 밑면 절개홈(211a)과 제2 밑면 절개홈(21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밑면 절개홈들(211a, 211b)의 측면들이 둥글게 더 파여져 만입홈들(21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밑면 절개홈들(211a, 211b)은 광 커넥터(4)의 스토퍼(4e)가 걸리는 부분들이며, 이렇게 스토퍼(4e)가 상기 절개홈들(211a, 211b)에 걸려 있음으로써 광 커넥터(4)가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4 참조).
도13에서 도면부호 213은 제1 및 제2밑면 절개홈들(211a, 211b)에 있어 만입홈(214) 부분보다 폭을 좁게 만드는 돌출가드이며, 도면부호 212는 제1 및 제2광커넥터 삽입구멍들(28a, 28b)에서 광 커넥터들(4)의 삽입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턱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26d는 슬라이더 안착홈(26)에 있어 단부 안착홈 공간(26c)의 끝에 위치한 '막힌 턱부'를 가리키는데, 상기 막힌 턱부(26d)는 스프링 슬라이더(21)를 손가락으로 눌러 압박했을 때 그 가동단부(21d)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도14에서 도면부호 261은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서 슬라이더 안착홈(26)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262는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을 가리킨다. 한편, 도면부호 20b-2는 케이스 몸체(20a)의 밑면 후단부에서 파여져 형성된 '후단 밑면 단차부'를 가리킨다.
도15는 도12에 도시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의 저면도이고, 도16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 트랜시버 모듈은 XFP 타입의 광 트랜시버 모듈을 특별히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도15, 도16, 도18 및 도19에 기재된 수치적 설계사항들 역시 XFP 타입의 광 트랜시버 모듈에 특별히 최적화된 사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자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XFP 광 트랜시버 모듈(2)의 길이(L1)는 72~84㎜이고, 폭(L5)은 15~21㎜이며, 후단 밑면 단차부(20b-2)의 폭(L2)은 12~19㎜이고, 길이(L3)는 4~9㎜이며, 상기 후단 밑면 단차부(20b-2)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갖는 간격(L4)은 0.5~1.5㎜인 경우가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밑면 절개홈들(211a, 211b)의 형상 및 구조와 관련해서는,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로부터 가까운 한쪽 돌출가드(213)까지의 간격(L8)은 3~5㎜이고, 먼 다른 쪽의 돌출가드(213)까지의 간격(L7)은 5.5~7.5㎜이며, 상기 측면부(20a-1)로부터 가이드 턱(212)까지의 간격(L8-1)은 3~4.2㎜이고, 만입홈(214)까지의 거리(L6)는 6~10㎜이며, 케이스 몸체(20a)의 전단부로부터 측정한 상기 돌출가드(213)의 길이(L10)는 1~2.5㎜이고, 만입홈(214)의 길이(L9)는 1~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상기 설계수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하면, 상기 XFP 광 트랜시버 모듈(2)의 길이(L1)는 78㎜이고, 폭(L5)은 18.4㎜이며, 후단 밑면 단차부(20b-2)의 폭(L2)는 16.4㎜이고, 길이(L3)는 6.77㎜이며, 상기 후단 밑면 단차부(20b-2)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갖는 간격(L4)은 1㎜로 하고,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로부터 가까운 한쪽 돌출가드(213)까지의 간격(L8)은 4.18㎜로 하며, 간격(L7)은 6.56㎜로 하고, 측면부(20a-1)로부터 가이드 턱(212)까지의 간격(L8-1)은 3.61㎜로 하고, 만입홈(214)까지의 거리(L6)는 7.71㎜로 하며, 케이스 몸체(20a)의 전단부로부터 돌출가드(213)까지의 길이(L10)는 1.5㎜로 하고, 만입홈(214)의 길이(L9)는 2.5㎜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한편, 케이스 몸체(20a)에 케이스 상판(22)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케이스(20) 자체의 높이는 7~9.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화된 실시예에서는 8.4㎜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도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자가 다수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XFP 트랜시버 모듈(2)의 측면부(20a-1)에 있어서는,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길이(L11)를 25~35㎜로 하고, 전단 안착홈부(26e)의 길이(L12)는 1~4㎜로 하며, 그 폭(L15)은 2~5.5㎜로 하고, 직선 홈 구간(26f)의 길이(L17)는 16~23㎜로 하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길이(L13)는 3~8㎜로 하고, 단부 안착홈 공간(26c)의 길이(L14)는 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설계수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하면,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길이(L11)를 29.1㎜로 하고, 전단 안착홈부(26e)의 길이(L12)는 2㎜로 하며, 그 폭(L15)은 3.2㎜로 하고, 직선 홈 구간(26f)의 길이(L17)는 19.17㎜로 하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길이(L13)는 5㎜로 하고, 단부 안착홈 공간(26c)의 길이(L14)는 2.93㎜로 하는 것이 최적화된 결과로 나타났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의 핵심을 이루는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사시도이다.
도17을 참고하면, 스프링 슬라이더(21)는 고정단부(21e)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에 끼움핀 구멍(21f)이 형성되며, 고정단부(21e)의 상단 우측은 "
Figure 112017036467851-pat00001
"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수직으로 된 전단 접촉벽면(21e-1)과 그로부터 수평으로 더 연장된 돌출부(21e-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부(21e)는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 안착홈 공간(26c)에 끼워지고, 이때 고정단부(21e)의 끼움핀 구멍(21f)으로는 케이스(20a)의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서 돌출 형성된 끼움핀(26b)이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서 상기 고정단부(21e)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4e)와 직선 설요소부(21b)의 사이에는 반타원 형태로 둥글게 튀어나온 라운드형 파지부(21a)가 위치하는데,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는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변형이 가능하며, 라운드형 파지부(21a)가 힘을 받아 눌러지면 구부러진 부분이 곧게 펴지면서 직선 설요소부(21b)가 그 힘을 그대로 받게 되고, 그 결과 직선 설요소부(21b)와 록킹 어깨부(21c)의 사이가 구부러짐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도17에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상기 라운드형 설요소부(21a)와 고정단부(21e)간의 경계선 부분은 제1절곡부(21a-1)를 이루며, 그 반대쪽의 라운드형 설요소부(21a)와 직선 설요소부(21b) 간의 경계선 부분은 제2절곡부(21a-2)를 이룬다. 그리고 록킹 어깨부(21c)는 직선 설요소부(21b)보다 융기된 위치를 갖는데, 이때 록킹 어깨부(21c)와 직선 설요소부(21b)간의 경계 부분은 록킹 경사면(21c-1)을 이루고, 그 반대쪽의 록킹 어깨부(21c)와 가동단부(21d)간의 경계 구분은 대향 경사면(21c-2)을 이룬다. 상기 록킹 어깨부(21c)의 록킹 경사면(21c-1)이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케이지(3)의 록탭(33)에 의해 걸려지는 부분이며, 이러한 록탭(33)과 록킹 경사면(21c-1)의 걸림 및 풀림 작용에 의해서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의 결합/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17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1d-1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가동단부(21d)의 끝에 위치한 '단부끝'을 가리킨다.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정면도이며, 도19는 그 평면도이다. 우선 도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자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형상 수치에 대해서 다수의 실험들로 얻은 결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 슬라이더(21)는 그 길이(L33)를 24~32㎜로 하고, 고정단부(21e)의 상단부의 길이(L34)는 1~4㎜로 하며, 고정단부(21e)의 폭(L31)은 2.5~6㎜로 하고, 전단 접촉벽면(21e-1)의 폭(L39)은 0.3~1.5㎜로 하며, 돌출부(21e-2)의 폭(L40)은 0.5~2㎜로 하고, 고정단부(21e)의 전단 접촉벽면(21e-1)으로부터 제2절곡부(21a-2)까지의 길이(L35)는 5~10㎜로 하고, 직선 설요소부(21b)의 길이(L36)는 7~15㎜로 하며, 록킹 어깨부(21c)의 길이(L37)는 2~6㎜로 하고, 가동단부(21d)의 길이(L38)는 1~4㎜로 하며, 상기 가동단부(21d)의 폭(L32)은 1.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도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두께(t1)는 0.1~0.7㎜로 하고,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튀어나온 두께(D1)는 1~3㎜로 하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곡률반경(R1)은 3~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설계수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하면, 스프링 슬라이더(21)는 길이(L33)는 27.5㎜로 하고, 고정단부(21e)의 상단부의 길이(L34)는 1.9㎜로 하며, 고정단부(21e)의 폭(L31)은 3.8㎜로 하고, 전단 접촉벽면(21e-1)의 폭(L39)은 0.7㎜로 하며, 돌출부(21e-2)의 폭(L40)은 1㎜로 하고, 고정단부(21e)의 전단 접촉벽면(21e-1)으로부터 제2절곡부(21a-2)까지의 길이(L35)는 7.4㎜로 하고, 직선 설요소부(21b)의 길이(L36)는 11.5㎜로 하며, 록킹 어깨부(21c)의 길이(L37)는 4.5㎜로 하고, 가동단부(21d)의 길이(L38)는 2.2㎜로 하며, 상기 가동단부(21d)의 폭(L32)은 2.83㎜로 하고,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두께(t1)는 0.3㎜로 하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튀어나온 두께(D1)는 1.53㎜로,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곡률반경(R1)은 6㎜로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에 있어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 안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일부 투시도로서, 이때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측면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가 케이지(3)의 측면에 형성된 록탭(lock tab, 33)에 걸려 광 트랜시버 모듈(2)이 빠지지 않도록 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20의 우측 상단 확대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지(3)의 측면부(3b)에 형성되어서 내부 쪽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록탭(33)은 그 끝부분(33a)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의 록킹 경사면(21c-1)에 걸리게 되며, 이때 상기 록탭(33)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경사면(21c-1)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한편으로는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이중으로 걸리게 된다(도1, 도6 및 도16 참조). 이렇게 록탭(33)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경사면(21c-1)에 걸린 상태에서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잡아 당긴다고 하더라도 케이지(3)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도21과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에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 일부 투시도들로서, 이 중 도21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사람의 손가락들로 눌러서 압박하여 변형시키는 장면을 도시하며, 도22는 록탭(33)의 끝부분(33a)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 위를 타고 넘어서 광 트랜시버 모듈(2)과 케이지(3)간의 잠금상태가 풀리고 분리되는 장면을 도시한다.
우선, 도21에 나타나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들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압박해서 누르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가 편평하게 펴지는 방향으로 오므려지며, 이때 가동단부(21d)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직선 설요소부(21b)와 록킹 어깨부(21c)가 그 힘을 그대로 전달받으므로, 직선 설요소부(21b)와 록킹 경사면(21c-1)의 경계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록탭(33)을 잠그고 있던 록킹 경사면(21c-1)의 기능이 소멸되어 록탭(33)이 록킹 경사면(21c-1)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록탭(33)은 원래의 절곡 경사각도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변형되는데, 이는 록킹 경사면(21c-1)의 위치 변형에 따른 압박에 밀려서 록탭(33)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게 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의 힘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를 잡아당기게 되면, 이제는 록탭(33)의 저항이 없는 상태이므로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슬라이더(21)와 록탭(33)을 이용한 "록킹결합/해제 기구"는, 호스트 장치의 프린트 기판에 항구적으로 장착되는 케이지 어셈블리에 수용되는 광 트랜시버 모듈에 대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록킹결합/해제 기구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양 측면부에 스프링 슬라이더(21)를 갖추며,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지(3)의 측면부(3b)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한 벌의 록탭(33)에 의해서 케이지(3) 내에 고정된다. 상기 록탭(33)은 광 트랜시버 모듈의 케이스(20)의 측면부(20a-1)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 슬라이더들(21)의 록킹 경사면(21c-1)과 접촉하여 록킹상태를 만든다.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 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의 편평한 부분들은 록탭(33)을 압압(押壓)하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 어셈블리 내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를 지나 록킹 경사면(21c-1)에 록탭(33)이 도달하게 되면, 록탭(33)은 탄성력에 의해 반발하여 원래의 절곡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고, 록킹 경사면(21c-1)에 걸려서 록킹 상태를 만들게 되므로,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지(3)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도1 및 도20 내지 도22 참조).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XFP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록킹 및 해체를 위한 '스프링 슬라이더' 방식의 해체 기구를 제안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뛰어난 강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인 착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착 및 해체기구를 제공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및 해체기구는 기존의 장착 및 해체기구 보다 월등히 신뢰성이 높고 작동이 용이하며 제조과정이 단순해서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1: XFP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 2: XFP 트랜시버 모듈
3: 케이지 3a: 입구
3b: 측면부 4: 광 커넥터
4a: 광 케이블 4b: 캡(cap)
4c: 부트(boot) 4d: 해제 레버
4e: 스토퍼(stopper) 4f: 페룰(ferrule)
4g: 바디(body) 20: 케이스
20a: 케이스 몸체 20a-1: 측면부
20a-2: 밑면부 20b: 내부 칸막이 벽
20b-1: 후단공간부 20b-2: 후단 밑면 단차부
21: 스프링 슬라이더 21a: 라운드형 파지부
21a-1: 제1절곡부 21a-2: 제2절곡부
21b: 직선 설요소부 21c: 록킹 어깨부
21c-1: 록킹 경사면 21c-2: 대향 경사면
21d: 가동단부 21d-1: 단부끝
21e: 고정단부 21e-1: 전단 접촉벽면
21e-2: 돌출부 21f: 끼움핀 구멍
22: 케이스 상판 22a: 볼트통과공
22b: 체결볼트 23: 인쇄회로기판
23a: 볼트체결 포스트용 홈 23b: 연결단자부
24: 볼트체결공 24a: 볼트체결 포스트
25: 제1안착면 26: 슬라이더 안착홈
26a: 어깨 안착홈 공간 26a-1: 코너포켓
26b: 끼움핀 26c: 단부 안착홈 공간
26d: 막힌턱부 26e: 전단 안착홈부
26f: 직선 홈 구간
27a: 제1광어셈블리 안착홈 27b: 제2광어셈블리 안착홈
28: 광커넥터 삽입구멍 28a: 제1광커넥터 삽입구멍
28b: 제2광커넥터 삽입구멍 29: 제1체결지지 블록부
29a: 제1볼트체결공 30: 케이지 몸체
31: 사각플랜지 33: 록탭(lock tab)
33a: 록탭의 끝부분 34: 제1개구부
35: 호스트장치 결합면 35a: 꺾쇠부
36: 제2개구부 37: 제1웰딩용 탭
38: 제2웰딩용 탭 39: 케이지 단부 앵글부재
39a: 제3개구부 51: 제1광어셈블리
51a, 52a: 하우징 51b: 핀
51c, 52c: 페룰 연결부 52: 제2광어셈블리
52b: 커넥터 케이블 201: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
202: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 204: 제2체결 지지 블록부
204a: 제2볼트체결공 205a: 제1광어셈블리 받침목
206a: 제2광어셈블리 받침목 207: 하우징 안착공간
211a: 제1밑면 절개홈 211b: 제2밑면 절개홈
212: 가이드 턱 213: 돌출가드
214: 만입홈 250: 제2안착면
261: 홈 상부 인접부위 262: 홈 하부 인접부위

Claims (8)

  1. 광섬유 통신라인과 전자계산기 시스템 간의 광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 조립체(1)는, 광섬유 라인의 일 단부에 결합된 광 커넥터(4)와 결합될 수 있는 광 트랜시버 모듈(2), 및 전자계산기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실장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케이지(3)를 포함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은,
    케이스 몸체(20a)와 그 위를 덮는 상판(2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안에 내장되며 전기신호와 광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1광어셈블리(51) 및 제2광어셈블리(52);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호스트 장치의 전기회로와도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의 광소자들을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전자제어회로;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제1의 깊이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더 안착홈(26); 및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측면부(20a-1)에 설치된 스프링 슬라이더(2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3)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한쪽 면이 상기 호스트 장치 상에 본딩 결합되고, 케이지 몸체(30)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된 입구(3a)를 통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양 측면부들에는 록탭(lock tab, 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양 측면부들(3b)에서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이동 경로와 겹쳐지는 면적 부분을 'ㄷ'자 모양으로 펀칭 및 절곡 가공하여 형성하되, 이때 상기 펀칭 작업에 의해 케이지(3)의 양 측면부들(3b)에 제1개구부(34)가 만들어지고, 상기 록탭(33)은 상기 케이지(3)의 입구(3a) 쪽을 향한 부분을 통해서만 케이지(3)의 측면부(3b)와 일체로 연결되고, 나머지 방향들에 대해서는 케이지(3)의 측면부(3b)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록탭(33)은 케이지(3)의 내부를 향해서 20~45°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는,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끼움핀 구멍(21f)이 관통 형성된 고정단부(21e);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단부(21e)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반타원형으로 휘어져서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는 라운드형 파지부(21a);
    일측 단부가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된 직선 설요소부(21b);
    일측 단부가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 보다 융기된 높이를 갖는 록킹 어깨부(21c); 및
    상기 록킹 어깨부(21c)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가동단부(21d);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어깨부(21c)는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와의 경계 부분에 록킹 경사면(21c-1)을 갖고, 상기 록킹 경사면(21c-1)과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가동단부(21d)와의 경계면에는 대향 경사면(21c-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 내의 전자제어회로는 인쇄회로기판(23)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은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20) 안에 배치되되, 상기 광 커넥터(4)에 가깝게 위치한 제1단부 쪽에는 상기 제1광어셈블리(51) 및 제2광어셈블리(52)와 연결된 부품들이 결합되고, 상기 제1단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제2단부 쪽에는 연결단자부(2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의 연결단자부(23b)는 케이지(3) 안에 설치된 단자소켓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소켓은 호스트 장치의 전자회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케이스 몸체(20a) 안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이 배치되는 위치에 제1안착면(2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들(51, 52)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2안착면(25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안착면(25)을 둘러싸는 케이스 몸체(20a)의 내벽면 상에는 제2의 두께로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가 튀어나와 있으며, 상기 케이스 몸체(20a)를 덮는 상판(22)의 밑면에도 상기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들(202)이 제2의 두께로 튀어나와 있고,
    상기 케이스(20)의 몸체(20a) 및 상판(22)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은 상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2) 및 하부 기판지지 돌출벽부(201)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케이스(20) 내에서 흔들림없이 지지되고, 케이스(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4)와 결합되는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제1단부에는 광 커넥터 삽입구멍들(28a, 28b)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 커넥터들(4)은 상기 광 커넥터 삽입구멍을 통해 광 트랜시버 모듈(2) 안으로 끼워져서 상기 제1 및 제2광어셈블리(51, 52)와 연결되고,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1e)와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이 케이지(3)의 내부에 들어가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 안착홈부(26e)에는 끼움핀(26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핀(26b)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끼움핀 구멍(21f)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고정단부(21e)가 슬라이더 안착홈(26) 안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a)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안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광 트랜시버 모듈(2)을 케이지(3) 안으로 밀어 넣으면, 인쇄회로기판(23)의 연결단자부(23b)가 케이지(3) 내의 단자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록탭(33)의 끝부분(33a)이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경사면(21c-1)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b)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라운드형 파지부(21a)를 압박하여 누르면, 상기 라운드형 파지부(21a)의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직선 설요소부(21b)가 휘어져 융기함으로써 상기 록탭(33)을 케이지(3)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게 되어 록탭(33)과 스프링 슬라이더(21) 간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전단 안착홈부(26e)는, 그로부터 연장된 직선 홈 구간(26f)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직선 홈 구간(26f)에 의한 직선방향의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끼움핀(26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의 록킹 어깨부(21c)가 안착되는 어깨 안착홈 공간(26a)은 상기 직선 홈 구간(26f) 및 단부 안착홈 공간(26c)보다 확대된 폭을 갖고,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에서 확대된 폭에 의한 모서리 부분들에는 만입된 모양의 코너 포켓들(26a-1)이 형성되며,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이 케이지(3)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록탭(33)의 끝부분(33a)이 록킹 경사면(21c-1)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록탭(33)의 끝부분(33a)의 모서리들이 상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코너 포켓들(26a-1)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상기 록탭(33)과 스프링 슬라이더(21) 간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시버 모듈(2)의 길이(L1)는 72~84㎜이고, 폭(L5)은 15~21㎜이며, 높이는 7~9.5㎜이고,
    광 트랜시버 모듈(2)의 측면부(20a-1)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깊이는 0.2~1.2㎜이며, 상기 슬라이더 안착홈(26)의 길이(L11)는 25~35㎜이고, 전단 안착홈부(26e)의 길이(L12)는 1~4㎜이며 그 폭(L15)은 2~5.5㎜이고, 직선 홈 구간(26f)의 길이(L17)는 16~23㎜이며, 어깨 안착홈 공간(26a)의 길이(L13)는 3~8㎜이고, 단부 안착홈 공간(26c)의 길이(L14)는 2~5㎜이며,
    상기 스프링 슬라이더(21)는 스프링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고 그 두께는 0.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KR1020170048263A 2017-03-15 2017-04-14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KR101846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63 2017-03-15
KR20170032363 2017-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79B1 true KR101846779B1 (ko) 2018-04-09

Family

ID=6197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263A KR101846779B1 (ko) 2017-03-15 2017-04-14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6213A (ja) * 2004-01-06 2005-07-21 Tyco Electronics Corp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組立体
JP5573651B2 (ja) * 2010-12-20 2014-08-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データリン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6213A (ja) * 2004-01-06 2005-07-21 Tyco Electronics Corp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組立体
JP5573651B2 (ja) * 2010-12-20 2014-08-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データリン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204B1 (ko) 모듈형 래칭 아암을 갖는 좁은 폭 어댑터 및 커넥터
US8449205B2 (en) Optical connector with protecting mechanism to prevent damage to fiber optic lens
US8696220B2 (en) Optical connector with improved dustproof mechanism
US68634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button release fiber optic modules
US7090523B2 (en) Release mechanism for transceiver module assembly
JP4093862B2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のラッチ外し機構
US7833068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a transceiver assembly
US20020150344A1 (en) Pull-action de-latching mechanisms for fiber optic modules
US8858095B2 (en) Optical-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silient member for urging ferrule against lens member
CN112055825B (zh) 小占地面积的并行光学收发器
CN110380285B (zh) 顶部装载的电子连接系统
KR102307379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전자기기
US20170199335A1 (en)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s and related cable assemblies
US694239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ull-lever release for fiber optic modules
US20030118293A1 (en) Snap together optoelectronic module
TWI651558B (zh) 具有位移蓋體及迎接插座的光學式插頭
CN109655976B (zh) 光收发器
KR100640357B1 (ko)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KR101846779B1 (ko) 광 트랜시버 모듈과 케이지 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구조
JP6092550B2 (ja) 電子部品組立体
EP2290417A1 (en) Shielded optical transceiver
US11177594B2 (en) Housing for pluggable module
EP2646865B1 (en)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s and related cable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